니진스키 I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진스키 II는 1967년 캐나다에서 태어난 갈색 수말로, 20세기 최고의 씨수말 노던 댄서의 아들이자 1962년 퀸스 플레이트 우승마 플래밍 페이지의 자마이다. 1968년 경매에서 찰스 W. 엥겔하르트 주니어에게 낙찰되어 아일랜드에서 훈련받았다. 1969년과 1970년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2세 챔피언으로 활약했으며, 1970년에는 영국 삼관 경주를 모두 석권했다. 종마로서도 성공하여 155마리의 스테이크스 우승마를 배출했으며, 1986년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챔피언 씨수말, 1993년과 1994년 미국에서 챔피언 암말 씨수말이 되었다. 1976년 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00년에는 "밀레니엄의 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진스키 II | |
---|---|
기본 정보 | |
![]() | |
품종 | 서러브레드 |
성별 | 수말 |
모색 | 밤색 |
출생일 | 1967년 2월 21일 |
사망일 | 1992년 4월 15일 |
출생 국가 | 캐나다 |
생산자 | 윈드필즈 농장 |
마주 | 찰스 W. 엥겔하드 주니어 |
조교사 | 빈센트 오브라이언 |
전적 | 13전 11승 2무 0패 |
총 상금 | 677,177 달러 |
혈통 | |
종부 | 노던 댄서 |
외조부 | 니어크틱 |
모마 | 플래밍 페이지 |
외조모 | 불 페이지 |
주요 우승 | |
1969년 | 레일웨이 스테이크스 앵글시 스테이크스 베레스포드 스테이크스 듀허스트 스테이크스 |
1970년 | 글래드니스 스테이크스 2,000 기니 엡섬 더비 아이리시 더비 킹 조지 6세 앤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
수상 및 영예 | |
1970년 | 제15대 영국 삼관마 타임폼 올해의 말 영국 올해의 말 |
1986년 | 영국 및 아일랜드 리딩 사ire |
1993년 & 1994년 | 북미 리딩 브루드메어 사ire |
헌액 | 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 (1976년) |
경주 | 니진스키 스테이크스 (캐나다) 니진스키 스테이크스 (아일랜드) 데린스타운 스터드 더비 트라이얼 |
기타 | 1970년 영화 - "니진스키라고 불리는 말" 타임폼 레이팅: 138 |
2. 역사적 배경
(내용 없음)
2. 1. 탄생과 혈통
니진스키는 1967년 2월 21일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샤와에 위치한 에드워드 플런켓 테일러(E. P. Taylor)의 윈드필즈 농장에서 태어났다. 이마에 흰색 하트 모양의 별이 있고 세 개의 흰 발을 가진 갈색 말이었다.아비는 1964년 켄터키 더비 우승마이자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종마 중 하나로 평가받는 노던 댄서(Northern Dancer)이며, 니진스키는 그의 두 번째 자마 세대에 해당한다. 어미는 불 페이지(Bull Page)의 자마인 플래밍 페이지(Flaming Page)로, 1962년 캐나다 더비 격인 퀸스 플레이트 우승마이자 미국 켄터키 오크스 2착을 기록한 성공적인 경주마였다. 플래밍 페이지는 니진스키 외에 단 두 마리의 자마만을 더 생산했는데, 하나는 빅토리아 파크의 자마인 플뢰르(Fleur)로, 훗날 1977년 엡섬 더비 우승마 더 민스트럴(The Minstrel)을 낳았다. 다른 하나는 니진스키의 전형제(full brother)이자 1970년 아일랜드 챔피언 2세마였던 민스키(Minsky)로, 이후 일본에 종마로 수출되었다.[4]
니진스키는 키(체고)가 16.3 핸드(약 170cm)에 달하는 큰 체격의 말이었다. 작은 체구의 자마가 많은 노던 댄서의 자마임에도 불구하고 니진스키는 체격과 체형 면에서 아비보다는 어미를 더 닮았으며, 크고 힘이 넘치며 잘생긴 외모를 지녔다. 이러한 특징은 그의 자손들에게도 유전되는 경향을 보였다.[5]
1968년 여름, 윈드필즈 농장의 연례 1년생 경매에서 미국의 광물 재벌이자 사업가인 찰스 W. 엥겔하드 주니어가 아일랜드 조련사 빈센트 오'브라이언의 조언을 받아 8.4만캐나다 달러에 니진스키를 구매했다. 니진스키라는 이름은 엥겔하드의 부인 제인 엥겔하드가 러시아의 전설적인 무용가 바슬라프 니진스키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이후 니진스키는 아일랜드로 보내져 카운티 티퍼래리의 발리도일에서 오'브라이언의 훈련을 받았다.
2. 2. 경매
니진스키는 1968년 여름, 윈드필즈 농장의 연례 1년생 경매에 매물로 나왔다. 당시 아일랜드의 조련사 빈센트 오'브라이언은 미국의 광물 재벌이자 사업가, 보석상인 찰스 W. 엥겔하드 주니어의 부탁으로 리보의 자마[53]를 보기 위해 윈드필즈 농장을 방문했다. 그러나 오'브라이언은 원래 보려던 말보다 니진스키에게 더 큰 인상을 받았다.[5]초기에는 6만 캐나다 달러에 판매될 예정이었으나, 3명의 구매 희망자가 나타나 입찰 경쟁이 벌어졌다. 경쟁 끝에 니진스키는 찰스 W. 엥겔하드 주니어에게 84000CAD에 낙찰되었다. 엥겔하드의 부인 제인 엥겔하드는 전설적인 무용가 바슬라프 니진스키의 이름을 따서 망아지의 이름을 '니진스키'로 지었다. 이후 니진스키는 아일랜드로 보내져 카운티 티퍼래리의 발리도일에서 빈센트 오'브라이언의 훈련을 받게 되었다.
3. 경주 경력
니진스키는 아일랜드의 명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마방 소속으로 2세와 3세 시즌에 걸쳐 경주에 출전했다.
1969년 2세 시즌에는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총 5번의 경주에 출전하여 전승을 거두며 양국의 2세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주요 우승 경주로는 레일웨이 스테이크스, 앵글시 스테이크스, 베레스포드 스테이크스, 듀허스트 스테이크스 등이 있다.
1970년 3세 시즌에는 더욱 압도적인 활약을 펼쳤다. 글래드니스 스테이크스 우승을 시작으로 2000 기니, 엡섬 더비,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를 모두 제패하며 1935년 바람 이후 35년 만에 영국 클래식 삼관을 달성하는 위업을 세웠다. 또한 아이리시 더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등 주요 경주에서도 연승을 이어가며 데뷔 후 11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특히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우승으로 영국 더비, 아일랜드 더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를 모두 우승한 최초의 말이 되었다.
그러나 시즌 막바지 프랑스 개선문상에서 사사프라스에게 머리 차이로 패하며 연승 행진을 마감하고 첫 패배를 기록했다. 이어진 챔피언 스테이크스에서도 로렌자치오에게 패하며 2착을 기록한 뒤 경주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했다.
니진스키의 최종 경주 전적은 13전 11승, 2착 2회이다.
3. 1. 1969년: 2세 시즌
니진스키는 빈센트 오브라이언(Vincent O'Brien) 조교사가 관리하는 아일랜드 발리도일 마방 소속으로 경주 생활을 시작했다. 1969년 2세 시즌에는 총 5번의 경주에 출전하여 모두 우승하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니진스키의 첫 네 번의 경주는 모두 아일랜드의 커라 경마장에서 치러졌다. 1969년 7월 12일,[54] 6f(약 1207m) 거리의 에른 미승리마 경주(Maiden Stakes)에서 리엄 워드(Liam Ward) 기수와 함께 데뷔하여, 2착마 에브리데이(Everyday)를 반 마신 차로 꺾고 우승했다.[6][54] 이어서 8월 16일에는 6f 거리의 레일웨이 스테이크스에서 데시에스(Decies)를 5마신 차로 크게 이겼다. 8월 30일에는 6f 약 57.61m(약 1265m) 거리의 앵글시 스테이크스에서 다시 에브리데이를 3마신 차로 누르고 우승했다.[55] 9월 27일, 네 번째 경주인 베레스포드 스테이크스(8f, 약 1609m)에서는 다시 만난 데시에스를 상대로 3/4 마신 차까지 추격당했지만 결국 승리하며 연승을 이어갔다. 데시에스는 이후 1970년 아일랜드 2000 기니 우승마가 되며, 니진스키가 꺾은 상대의 수준이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이 4연승으로 아일랜드 최고의 2세마로 확고히 자리매김한 니진스키는 10월 17일 영국으로 건너가 뉴마켓 경마장에서 열리는 7f(약 1408m) 거리의 듀허스트 스테이크스에 출전했다. 이 경주에서는 레스터 피곳 기수가 처음으로 니진스키에 기승했다. 니진스키는 6마리의 경주마 중 후미에 머물다가 마지막 1f 안쪽 구간에서 폭발적인 스퍼트로 선두로 치고 나와, 미승리마였던 리콜드(Recalled)를 3마신 차로 여유 있게 제치고 우승했다.[7][8]
이 승리로 니진스키는 5전 전승이라는 완벽한 성적으로 2세 시즌을 마감했으며, 아일랜드와 영국 양국의 2세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영국 공식 핸디캡(Free Handicap)에서 최고 등급을 받으며 명실상부한 당대 최고의 2세마로 공인받았다.[7] 이후 니진스키의 기수는 경주 장소에 따라 나뉘어, 아일랜드에서는 리엄 워드가, 영국 등 다른 국가에서는 레스터 피곳이 주로 기승하게 되었다.
3. 2. 1970년: 3세 시즌

니진스키는 1970년 3세 시즌을 4월 4일 커라에서 열린 글래드니스 스테이크스 우승으로 시작했다. 이 경주에서 처음으로 고마와 대결했으며, 좋지 않은 주로 상태에도 불구하고 2착마인 4세마 딥 런(Deep Run, 전년도 아이리쉬 세인트 레저 2착마)을 5마신 차로 꺾으며 여유롭게 우승했다.[9][56]
이후 4월 29일에는 뉴마켓에서 열린 영국 클래식 삼관의 첫 번째 경주인 2000 기니에 출전했다. 13마리의 경쟁자를 상대로 4/7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나선 니진스키는, 후방에서 경주를 진행하다 결승선 2펄롱(약 400m) 지점에서 선두로 나섰다. 기수 레스터 피곳의 별다른 독려 없이도[10] 강력한 경쟁자였던 옐로우 갓(Yellow God)을 2와 1/2 마신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56]
3. 2. 1. 영국 클래식 삼관 달성
1970년 4월 29일, 니진스키는 뉴마켓에서 열린 영국 클래식 삼관의 첫 번째 경주인 2000 기니에 출전했다. 후방에서 경주를 진행하다 옐로우 갓(Yellow God)을 마지막에 2와 1/2 마신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했다.[56]6월 3일, 엡솜에서 열린 더비에서는 더 강한 상대를 만났다. 프랑스에서 훈련받은 지르(Gyr)와 스틴티노(Stintino) 등이 주요 경쟁자였다.[11][7] 니진스키는 11/8의 배당률로 출발했는데, 이는 그의 경주 경력 중 유일하게 우승 후보로 가장 유력하지 않았던 경우였다. 경주 전날 심한 복통을 겪기도 했지만[16], 레스터 피곳 기수는 평소처럼 니진스키를 뒤쪽에 머물게 하다가 직선 주로에서 앞으로 나아갔다. 결승선 1과 1/2 펄롱을 남기고 피곳이 채찍을 사용하자 니진스키는 즉각 반응하여 선두를 달리던 지르를 따라잡고 2와 1/2 마신 차로 승리했으며, 스틴티노가 3위를 차지했다. 우승 기록 2분 34초 68은 1936년 이후 가장 빠른 더비 기록이었다.[12] 피곳 기수는 경주 후 "항상 여유가 있었다"고 말했고, 지르에 기승했던 빌 윌리엄슨은 "니진스키가 너무 뛰어났다"고 평가했다.[14] 지르는 이후 생클루 대상에서 우승하며 실력을 증명했다.[15]
6월 27일, 니진스키는 커라에서 열린 아이리시 더비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리암 워드 기수가 기승하여 4/11의 배당률로 출발했고, 막판에 속도를 높여 메도우빌(Meadowville)을 3마신 차로 이겼다.[17]
8월에는 백선(ringworm)에 걸려 훈련에 차질을 빚기도 했으나[16], 날달걀과 아일랜드 스타우트 등을 먹으며 회복했다.[19] 9월 12일, 돈캐스터에서 열린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에 출전하여 영국 클래식 삼관 달성에 도전했다. 이는 1935년 바람(Bahram) 이후 35년 만의 기록 도전이었다. 니진스키는 2/7의 압도적인 배당률로 출발하여 편안하게 우승했지만[20], 2착 메도우빌과의 차이는 1마신에 불과했다. 이 우승으로 니진스키는 35년 만에 탄생한 15번째 영국 클래식 삼관마가 되었다. 2023년 현재까지 니진스키는 마지막 영국 클래식 삼관 달성마로 남아있다.
3. 2. 2. 그 외 주요 경주
1970년 4월 4일, 니진스키는 커라 경마장의 글래드니스 스테익스(Gladness Stakes)에서 경주로에 복귀했다. 이 경주에서 처음으로 고마와 대결하게 되었고, 경주로 상태도 좋지 않았지만, 2착마 디프런(Deep Run, 전년도 아이리쉬 세인트 레저 2착마)에 5마신 차로 여유롭게 우승했다.[56] 이어서 같은 해 4월 29일에는 뉴마켓에서 열린 영국 삼관의 첫 번째 관문인 2000 기니 스테익스에 출전했다. 경주 후방에서 따라가다 강력한 경쟁자였던 옐로우 갓과 어깨를 나란히 한 뒤, 막판 경합 끝에 2와 1/2 마신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56]6월 27일, 니진스키는 엡솜 더비 우승에 이어 커라 경마장에서 열린 아일랜드 더비에서도 우승했다. 리암 워드 기수가 기승하여 4/11의 압도적인 배당률로 출전했고, 경주 후반에 가속하여 메도우빌(Meadowville)을 3마신 차로 이겼다.[17]
7월 25일, 니진스키는 애스콧에서 열린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에서 처음으로 연상의 말들과 경쟁했다. 같은 세대의 3세마들은 니진스키와의 대결을 피해 출전하지 않았다.[61] 그의 다섯 경쟁자들은 모두 주요 경주 우승 경력이 있는 말들이었다: 블레이크니 (1969년 엡솜 더비), 카라바스 (1969년 워싱턴 D.C. 국제 스테이크스), 크레펠라나 (Crepellana, 프리 디안), 그리고 칼리반 (Caliban, 코로네이션 컵).[18] 니진스키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경주를 운영하다가 결승선 약 200미터(1펄롱) 지점에서 선두로 나섰다. 기수 레스터 피곳은 마지막 50미터 지점에서 뒤를 돌아보며 고삐를 늦추는 여유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2착 블레이크니를 2마신 차로 이겼다.[18][61] 이 우승으로 니진스키는 영국 더비, 아일랜드 더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라는 3개의 주요 경주를 무패로 제패한 역사상 최초의 말이 되었다.[62]
그러나 8월에는 심한 백선에 걸려 훈련 일정에 큰 차질이 생겼고, 몸의 털 대부분이 빠지는 등 컨디션 난조를 겪었다.[16][65] 이 때문에 가을의 주요 목표였던 개선문상 준비에 어려움을 겪었다. 개선문상 출전 전 적절한 스텝 레이스를 찾던 중, 부담 중량이 적고 특별한 강적이 없어 보이는 9월 12일 돈캐스터 경마장의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에 출전하기로 결정했다.[65] 빈센트 오브라이언 조교사는 내키지 않았지만, 마주 찰스 엥겔하르트가 돈캐스터 경마장의 출전 요청을 받아들였다.[67]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는 영국 클래식 삼관의 마지막 경주였지만, 당시에는 그 위상이 다소 떨어져 있었다. 니진스키는 이 경주에서 2착 메도우빌을 1마신 차로 이기며 바람 이후 35년 만에 15번째 영국 삼관마가 되었다. 무패로 삼관을 달성한 것은 오몬드, 아이싱글래스, 바람에 이어 역사상 네 번째였다. 약 2937m의 장거리 경주 우승으로 니진스키의 스태미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으나,[68] 경주 후 체중이 약 13.15kg (약 13kg)이나 줄어드는 등 힘든 경주였음을 보여주었다.[69]
3. 2. 3. 개선문상 패배와 은퇴
10월 4일, 니진스키는 프랑스 롱샹 경마장에서 열린 개선문상에 출전했다. 단승 배당률 1.4배의 압도적인 1번 인기를 얻었으나, 일부에서는 그의 상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70] 경주 전 패독(paddock)에서 니진스키는 평소와 달리 땀을 흘리는 등 더비나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우승 당시만큼의 상태는 아닌 것으로 보였다.[72]경주에서 레스터 피곳 기수는 니진스키를 후방에 위치시켰다. 직선 주로에 들어서며 추격을 시작했으나, 바깥쪽으로 달리면서 두 차례 진로 방해를 받았다. 결승선 150m 지점에서 선두 주자 미스 단과 사사프라스를 따라잡아 잠시 선두에 나서는 듯했으나, 마지막 순간 피곳이 채찍을 사용하자 니진스키는 왼쪽으로 급격히 벗어났고,[21][73] 그 사이 이브 생마르탱 기수가 기승한 사사프라스가 다시 힘을 내 머리 차이로 니진스키를 제치고 우승했다. 이 패배는 니진스키의 경주 경력 중 첫 패배였다.[74]
니진스키의 개선문상 패배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왔다.
- 피곳의 기승 미스: 너무 늦게 추격을 시작했고, 결정적인 순간에 익숙하지 않은 채찍을 사용한 점이 지적되었다.[22] 그러나 마주 엥겔하르트 등 일부는 피곳의 기승이 불가피했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 컨디션 난조: 피곳 기수는 경주 직후 니진스키의 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23]
- 혹독한 스케줄과 후유증: 봄부터 이어진 강행군과 여름철 겪었던 피부병의 영향으로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었다는 분석이다.[65][67] 특히 마주 엥겔하르트는 장거리 경주인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출전으로 니진스키가 소모되었다고 보았다.
- 스태미나 및 코스 상성: 롱샹 경마장의 2400m 코스는 니진스키에게 부담스러운 거리였으며, 추격 과정에서 스태미나를 너무 많이 소모했다는 분석도 있다.[74]
- 전성기 지남: 개선문상 시점에는 이미 니진스키의 전성기가 지났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피곳이 니진스키에게 너무 많은 거리를 따라잡게 했고 너무 늦게 공격했다고 느꼈지만,[22] 피곳은 니진스키가 그해 이미 정점을 지났다고 생각했다.[23] 피곳은 "니진스키가 마지막 코너에서 진로가 막히지 않고, 결승선 앞에서 안쪽으로 기대지 않았다면 당연히 이겼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5] 니진스키가 불운하게 패배했다는 점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24]
개선문상 패배 후 약 2주 뒤인 10월 17일, 니진스키는 뉴마켓 경마장에서 열린 10펄롱스(약 2000m) 거리의 챔피언 스테이크스에 출전하여 마지막 경주를 치렀다. 경주 전부터 니진스키는 평소보다 훨씬 더 긴장하고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4/11의 압도적인 배당률에도 불구하고, 5세마 로렌자치오에게 ¾ 마신 차이로 패하며 2착에 머물렀다.[26]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역시 니진스키가 "활력을 잃은" 것처럼 보였다고 동의했다.[23]
니진스키는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이미 8월에 당시 역대 최고액인 544만달러에 종마 신디케이트가 조직되었으며,[27][62] 1971년 봄부터 미국 켄터키주에 위치한 클레이본 농장에서 씨수말로 활동하게 되었다.[27][63]
4. 종마 경력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가 켄터키주 패리스 근처의 클레이본 팜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하며 '니진스키 II'(Nijinsky IIeng)로 등록되었다.[42] 그는 매우 성공적인 씨수말로 평가받으며, 경주마 시절 활약했던 다양한 거리에서 성공적인 자마들을 배출했다.[43][44] 니진스키 II는 아버지 노던 댄서의 성공적인 후계 종마로서 자신만의 강력한 혈통 라인을 구축했으며, 특히 1986년에는 영국과 아일랜드의 리딩 사이어에 오르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45]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특별히 아꼈던 말로도 알려져 있으며, 여왕은 클레이본 팜을 방문할 때마다 니진스키 II를 찾았다고 한다.[47]
니진스키 II는 1985년부터 제엽염을 앓기 시작했으며,[42] 1992년 4월 15일 제엽염 증상 악화와 급성 림프절염 발병으로 인해 일어설 수 없게 되어 다음 날인 4월 16일 안락사되었다.[42] 그의 유해는 클레이본 팜 부지 내에 묻혔다.[49]
4. 1. 주요 자마
니진스키 II는 매우 성공적인 씨수말이었다. 그는 총 862마리의 자마 중 155마리(18.1%)가 스테이크스 경주 우승마였으며, 519마리(60.2%)가 개별 경주에서 우승했다.[43][44] 이러한 성과는 니진스키 II가 경주마 시절 활약했던 다양한 거리에 걸쳐 나타났다. 니진스키 II는 1986년 한 해에 그의 자마들이 켄터키 더비와 엡섬 더비를 동시에 석권하는 진기록을 세운 유일한 씨수말이다. 1986년 영국과 아일랜드의 리딩 사이어였고, 1993년과 1994년에는 미국의 리딩 브루드메어 사이어였다.[45] 북미에서는 리딩 사이어 타이틀을 얻지는 못했지만, 리딩 사이어 순위 10위 안에 총 10번 이름을 올렸다.주요 자마는 다음과 같다.
출생 연도 | 자마 이름 | 주요 경력 |
---|---|---|
1972 | 그린 댄서 |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1974), 프리 뤼팽, 풀 드 에세 데 풀랭 (1975) 우승, 1991년 프랑스 최고 씨수말 |
1972 | 코카서스 | 아일랜드 세인트 레저 (1975) 우승, 이후 미국에서 3개의 그룹 1 경주 우승 |
1972 | 콰이어트 플링 | 코로네이션 컵 (1976) 우승 |
1974 | 마루젠스키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무패) 우승, 일본 경마 협회 명예의 전당 헌액 |
1975 | 일 드 부르봉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1978) 우승 |
1975 | 야마닌스키 | 야에노무테키, 라이트 컬러의 부 |
1976 | 니니스키 | 아일랜드 세인트 레저, 프리 로얄 오크 (1979) 우승 |
1978 | 드 라 로즈 | 1981년 미국 챔피언 암말 (이클립스 어워드) |
1978 | 킹스 레이크 | 아일랜드 2000 기니, 서섹스 스테이크스, 조 맥그래스 메모리얼 스테이크스 (1981) 우승 |
1979 | 골든 플리스 | 엡섬 더비 (1982) 우승 (무패), 영국 및 아일랜드 3세 챔피언 콜트 |
1980 | 카얼레온 | 프리 드 조키 클럽,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 우승, 영국 및 아일랜드 최고 씨수말 (1988, 1991), 제너러스의 씨수말 |
1980 | 러시안 루블 | 이소노 루블의 부 (일본 수입) |
1981 | 나글스키 | 나리타하야부사, 호쿠토 베가의 부 (일본 수입) |
1982 | 셰디드 | 2,000 기니 스테이크스 (1985) 우승, 알리디드의 씨수말 |
1983 | 퍼디낸드 | 켄터키 더비 (1986), 브리더스 컵 클래식 (1987) 우승, 올해의 미국 경주마 (1987) (일본 수입) |
1983 | 샤흐라스타니 | 엡섬 더비, 아일랜드 더비 (1986) 우승 (일본 수입) |
1983 | 댄스 오브 라이프 | 맨 오 워 스테이크스 우승 |
1983 | 댄싱 키 | 댄스 파트너, 댄스 인 더 다크, 댄스 인 더 무드의 모마 (일본 수입) |
1983 | 솔포드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1983) 우승 |
1984 | 시애틀 댄서 | 파리 대상 2착, 1985년 세계 최고가 1세마 (1310만달러),[46] 타이키 포춘의 부 (일본 수입) |
1984 | 그랜드 오페라 | 메이세이 오페라의 부 (일본 수입) |
1985 | 댄싱 스프리 | 브리더스 컵 스프린트, 서버번 핸디캡, 카터 핸디캡, 트루 노스 핸디캡, 처칠 다운스 핸디캡, 걸프스트림 파크 스프린트 챔피언십 (1989) 우승 |
1987 | 로열 아카데미 | 브리더스 컵 마일, 줄라이 컵 우승, 불리시 럭, 발 로열, 벨 에스프리, 블랙 캐비어의 씨수말 (일본 수입) |
1987 | 스카이 클래식 | 터프 클래식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 캐나디안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 브리더스 컵 터프 2착, 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 이클립스 어워드 수상 |
1988 | 마샤알라 | 아일랜드 세인트 레저, 바덴 대상, 밀라노 대상전 우승 |
1992 | 람타라 | 엡섬 더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개선문상 (1995, 무패) 우승 (일본 수입) |
미상 | 프린세스 리다 | 프랑스 2세 암말 챔피언 |
미상 | 메이플진스키 | 몬머스 옥스, 앨라배마 스테이크스 우승, 미국 암말 삼관 우승마 스카이 뷰티의 모마 |
미상 | 위스키 로드 | 스트로베리 로드의 씨수말 |
미상 | 헤븐리 프라이즈 | 프리제트 스테이크스, 테스트 스테이크스, 앨라배마 스테이크스, 가젤 핸디캡, 벨데임 스테이크스, 브리더스 컵 디스타프, 애플 블로섬 핸디캡, 오그덴 핍스 핸디캡, 고 포 완드 핸디캡, 퍼스널 엔사인 핸디캡 우승 |
5. 평가 및 유산
Timeform은 니진스키에게 138점의 레이팅을 부여했는데, 이는 당시 엡섬 더비 우승마 중 두 번째로 높은 점수였다.[28] 니진스키는 2세 시절인 1969년에 출전한 5번의 경주에서 모두 우승하며 뛰어난 경주마로 주목받았고, 3세 시절인 1970년에는 영국 삼관을 달성하는 위업을 세웠다. 이는 2021년까지도 나오지 않은 기록이다.[79]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1970년 타임폼 올해의 경주마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영국 경마 협회(Racecourse Association)가 선정한 영국 올해의 경주마 투표에서도 40표 중 38표를 얻어 선정되었다.[29]
니진스키에 대한 평가는 시간이 흘러도 높게 유지되었다. 2018년,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소집한 전문가 패널은 니진스키를 역대 최고의 엡섬 더비 우승마로 평가했다.[30] 2021년에는 《스포팅 라이프》가 니진스키의 더비 우승을 역대 최고의 경주 40선 중 1위로 선정하며 시 버드보다 높게 평가했다.[31] 경마 역사가 존 랜달과 토니 모리스는 그들의 저서 《A Century of Champions》에서 니진스키를 "위대한" 더비 우승마이자 20세기 최고의 아일랜드 경주마로 꼽았다.[32] 아일랜드 생물학자 제리 맥케나(P. G. McKenna) 역시 조련사 빈센트 오브라이언의 전기에서 "많은 사람들이 니진스키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경주마로 여기고 있다"고 언급했다.[80]
니진스키를 직접 경험한 인물들 역시 높이 평가했다. 조련사 빈센트 오브라이언은 자신이 훈련시킨 최고의 말로 니진스키와 서 아이버를 꼽으면서도, "뛰어난 재능"을 이유로 니진스키를 첫 번째로 언급했다.[33] 기수 레스터 피곳 역시 "내 생각에 니진스키는 최고의 날에는 내가 타본 가장 뛰어난 말이었다"고 회고했다.[34] 피곳은 니진스키가 2,000 기니 스테이크스, 엡섬 더비, 아일랜드 더비, 킹 조지 6세 앤드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에서 연달아 우승했던 1970년 여름에는 "무적의 말"이었다고 덧붙였다.[35] 다만 피곳은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출전이 개선문상(Arc de Triomphe)에서의 패배로 이어졌다고 보았다.[36]
니진스키의 업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었다.
- 1970년, 니진스키의 경주 경력을 다룬 영화 《니진스키라는 말》(A Horse Called Nijinsky)이 제작되었다. 오슨 웰스의 내레이션으로 영국 영화관에서 개봉되었고, 1988년에는 VHS 비디오로 출시되었다.[37]
- 니진스키 팀은 1970년 BBC 스포츠 올해의 팀상을 수상했다.[38]
- 1976년에는 캐나다 경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2000년에는 영국의 신문 더 선에 의해 "밀레니엄의 말"로 선정되었다.
-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 캐나다의 우드바인 경마장과 아일랜드의 레퍼즈타운 경마장에는 그의 이름을 딴 니진스키 스테이크스 경주가 신설되었다.
- 발리도일과 더 커라 경마장에는 니진스키의 청동상이 세워져 있다.[41]
-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의 와인[39]과 특정 겨울 밀 품종[40]에도 니진스키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 외에도 니진스키와 관련된 일화들이 남아있다. 맨체스터 시티의 축구 선수였던 콜린 벨은 뛰어난 지구력 덕분에 당시 코치였던 말콤 앨리슨으로부터 '니진스키'라는 별명을 얻었다. 또한 니진스키는 성격이 좋지 않아 때때로 뒷발로 서거나 마방에서 나오기를 거부하기도 했는데, 기수 피곳은 이를 "불꽃 같은 성격"이라 묘사하며 "그렇게 성격이 격렬하기 때문에 달린다"고 평했다. 엡섬 더비 경주에는 전설적인 발레 무용수 바츨라프 니진스키의 미망인 로몰라 니진스키가 마주 엥겔하르트의 초대로 참석했는데, 그녀는 남편의 이름을 딴 이 말에게 매 경주마다 큰 금액을 걸었다고 전해진다.[81][82] 사이토 타카오의 만화 《고르고 13》에서는 엡섬 더비에서의 니진스키를 소재로 다루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Vincent O'Brien Biography
https://www.research[...]
2015-01-01
[2]
뉴스
Nijinsky (1970)
https://web.archive.[...]
Daily Telegraph
2018-06-02
[3]
웹사이트
Nijinsky II (horse)
http://www.americanc[...]
[4]
웹사이트
English Derby Winner: Nijinsky II
http://www.chef-de-r[...]
Chef-de-race.com
2012-01-05
[5]
서적
Great breeders and their methods ... – Frank J. Mitchell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2-01-05
[6]
서적
Vincent O'Brien: The Official Biography
Bantam Press
[7]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British Flat Racing
Macdonald and Jane's
[8]
뉴스
Nijinsky II Destroyed at Claiborne Farm –
https://www.nytimes.[...]
2012-01-05
[9]
서적
Encyclopedia of British horseracing – Wray Vamplew, Joyce Kay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2-01-05
[10]
뉴스
Nijinsky promoted Derby favourite
https://news.google.[...]
2012-01-05
[11]
웹사이트
It looks like Nijinsky's year
https://news.google.[...]
2012-01-05
[12]
웹사이트
Nijinsky cops Derby
https://news.google.[...]
2012-01-05
[13]
간행물
'Rowleyfile: Analysing Nijinsky 50 years after he landed the Triple Crown'
Timeform
2020-09-06
[14]
웹사이트
'Nijinsky, one of the greatest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2012-01-05
[15]
간행물
'Nijinsky and Lester Piggott|Triple Crown winners'
Timeform
2022-06-05
[16]
문서
'Nijinsky – Brough Scott'
Brough Scott MBE. Journalist, Author & Broadcaster. Racing Post
2012-01-01
[17]
웹사이트
Nijinsky captures Irish Sweepstakes
https://news.google.[...]
2012-01-05
[18]
웹사이트
Nijinsky wins 10th
https://news.google.[...]
2012-01-05
[19]
웹사이트
Nijinsky goes on rich diet
https://news.google.[...]
Lewiston Daily Sun
2012-01-05
[20]
웹사이트
Triple feat to Nijinsky
https://news.google.[...]
2012-01-05
[21]
웹사이트
Nijinsky's unbroken string snapped in French classic
https://news.google.[...]
2012-01-05
[22]
웹사이트
Nijinsky's defeat after 11 straight victories raised – 10.26.70 – SI Vault
https://web.archive.[...]
2012-01-06
[23]
웹사이트
Playing the field
https://news.google.[...]
2012-01-05
[24]
서적
Vincent O'Brien: The Official Biography
Bantam Press
[25]
문서
'The race that sealed Nijinsky''s greatness'
Thoroughbred Racing Commentary
2014-09-08
[26]
웹사이트
Nijinsky beaten
https://news.google.[...]
2012-01-05
[27]
웹사이트
Nijinsky will stand in Kentucky
https://news.google.[...]
2012-01-05
[28]
웹사이트
Dosage
https://web.archive.[...]
Chef-de-race.com
2012-01-05
[29]
서적
Horse Racing: Records, Facts, Champions
Guinness Publishing
[30]
문서
'Why Nijinsky reigns supreme as greatest champion of all'
Daily Telegraph
2018-06-02
[31]
간행물
'Ben Linfoot counts down the 40 greatest renewals of the Derby from Diamond Jubilee to Nijinsky'
The Sporting Life
2021-05-31
[32]
서적
A Century of Champions
Portway Press
[33]
웹사이트
Horse Racing: Lester loves Nijinsky. – Free Online Library
http://www.thefreeli[...]
Thefreelibrary.com
2012-01-05
[34]
웹사이트
Great partnerships: Lester Piggott and Vincent O'Brien | Horse Racing News | Racing Post
https://www.racingpo[...]
[35]
Youtube
Lester Piggott relives Nijinsky's King George VI and Queen Elizabeth QIPCO Stakes win
https://www.youtube.[...]
[36]
뉴스
'Piggott returns to scene of Nijinsky glory 40 years after Triple Crown'
https://www.yorkshir[...]
Yorkshire Evening Post
2010-09-08
[37]
웹사이트
A Horse Called Nijinsky
https://www.imdb.com[...]
IMDb
1970-06-12
[38]
웹사이트
Press Office – Sports Personality of the Year: team winners key facts
http://www.bbc.co.uk[...]
BBC
2012-01-05
[39]
웹사이트
L'Esprit de Nijinsky
http://www.wineonlin[...]
Wineonline.ie
2012-01-05
[40]
웹사이트
Two New Outstanding Nickerson Wheat Varieties Added to the Hgca List! At Limagrain
http://www.limagrain[...]
Limagrain.co.uk
2012-01-05
[41]
웹사이트
Aidan O'Brien and Camelot ready for their race into the history books by completing Triple Crown with St Leger
https://www.telegrap[...]
2012-09-14
[42]
웹사이트
'Stallion Dynasties: Nijinsky'
https://pastthewire.[...]
Past the Wire
2022-04-05
[43]
웹사이트
Triple Crown Winner's Influence Lives on
https://www.sporting[...]
2016-08-17
[44]
웹사이트
Nijinsky: Triple Crown Champion –
http://thoroughbreda[...]
2015-03-03
[45]
뉴스
'Nijinsky Influence Burns Bright Fifty Years On'
https://www.thorough[...]
Thoroughbred Daily News
2022-07-22
[46]
뉴스
Nijinsky II Yearling Brings $13.1 Million
https://www.nytimes.[...]
1985-07-24
[47]
웹사이트
'Queen Elizabeth visiting Nijinsky'
https://www.pinteres[...]
The Tony Leonard Collection
2022-04-26
[48]
뉴스
Nijinsky II made his mark
http://nl.newsbank.c[...]
2012-01-05
[49]
웹사이트
Grave Matters Claiborne Farm
http://www.tbheritag[...]
Tbheritage.com
2012-01-05
[50]
웹사이트
8 Bustler Mare
http://www.tbheritag[...]
Tbheritage.com
2012-01-05
[51]
문서
種牡馬入りの際、すでにアメリカでは同名の種牡馬がいたためNijinsky IIと「'''II'''」が付けられた。またインドにも同名の競走馬として、1967年のインドダービー・インドセントレジャー勝ち馬Nijinskyがいた。
[52]
뉴스
“Why Nijinsky rules supreme as the greatest champion”
Daily Telegraph
2018-06-02
[53]
문서
エンゲルハードはリボーに魅せられて馬主となり、リボッコ・リベロ兄弟(共に[[アイリッシュダービー]]、[[セントレジャーステークス]]。共に後年日本に輸入)を初めとして毎年リボーの仔を持つのが慣例となっていた。この年も見所のあるリボー産駒を探していた。
[54]
서적
山野
1997
[55]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56]
서적
山野
1997
[57]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58]
서적
新・世界の名馬
[59]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60]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61]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62]
문서
[[ヴェイグリーノーブル]]の500万ドルの記録を更新。後に[[セクレタリアト]]のシンジケート(608万ドル)が更新。
[63]
서적
新・世界の名馬
[64]
서적
新・世界の名馬
[65]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66]
문서
1967年の二冠馬ロイヤルパレス([[:en:Royal Palace (horse)|en]])はセントレジャーステークスでの三冠達成を目指していたが、直前に怪我をして出走できなかった。
[67]
서적
新・世界の名馬
[68]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69]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0]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1]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2]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3]
서적
新・世界の名馬
[74]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5]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6]
서적
新・世界の名馬
[77]
서적
凱旋門賞の歴史
[78]
서적
新・世界の名馬
[79]
뉴스
Why Nijinsky rules supreme as the greatest champion
Daily Telegraph
2018-06-02
[80]
논문
Vincent O'Brien Biography
https://www.research[...]
2015-01-01
[81]
문서
[82]
뉴스
Nijinsky's Widow Misses Race
https://web.archive.[...]
New York Times
2023-12-06
[83]
간행물
굽소리
한국마사회 홍보팀
199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