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로 3세 데스테 디 페라라 변경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로 3세 데스테 디 페라라는 페라라 변경백으로, 1393년 10세의 나이에 페라라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그는 베네치아, 피렌체, 볼로냐의 지원을 받으며, 밀라노 공작의 침입을 막아냈다. 1397년 질리올라 다 카라라와 결혼했고, 1425년에는 아내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사생아 아들 우고를 간통죄로 처형했다. 그는 이탈리아 내에서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서 1438년 페라라 공의회를 주최했으며, 세 번의 결혼을 통해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엔차의 영주 - 아스토레 3세 만프레디
  • 파엔차의 영주 - 체자레 보르자
    체사레 보르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사생아로, 아버지의 권력을 이용해 교황군 총사령관이 되어 이탈리아 통일을 꿈꿨으며,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서 이상적인 군주로 묘사되기도 했지만 권모술수에 능하고 잔혹한 면모를 보여 엇갈린 평가를 받는 15세기 말-16세기 초 이탈리아의 로마냐 공국 통치자이자 군인이다.
  • 1383년 출생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1383년 출생 -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는 초기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화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의 조수로 시작하여 마사초와 함께 브란카치 예배당 벽화 제작에 참여했으며, 혁신성은 부족하나 서정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다.
  • 페라라 변경백 - 알도브란디노 2세 데스테
  • 페라라 변경백 - 오비초 3세 데스테
    오비초 3세 데스테는 14세기 페라라의 군주로서 공동 통치 후 단독 통치자가 되어 모데나와 파르마를 정복하며 데스테 가문의 영지를 확장했고,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알도브란디노 3세를 포함한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사후 아들이 뒤를 이었다.
니콜로 3세 데스테 디 페라라 변경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마디오 다 밀라노가 그린 페라라 후작 니콜로 3세 데스테, 1431년 또는 1441년경 디자인
1431년 이후 또는 1441년경 아마디오 다 밀라노가 그린 메달 초상화
가문에스테 가문
아버지알베르토 데스테
어머니이소타 알바레사니
출생일1383년 11월 9일
출생지페라라
사망일1441년 12월 26일
사망지밀라노, 밀라노 공국
작위
작위페라라 후작
재임 기간1393년 - 1441년
배우자
배우자 1질리올라 다 카라라
배우자 2파리시나 말라테스타
배우자 3리차르다 디 살루초
자녀
자녀우고 데스테
레오넬로 데스테
보르소 데스테
에르콜레 1세 데스테
시지스몬도

2. 생애

니콜로 3세 (''에스테 가문의 군주 계보'', 1470년대)


니콜로 3세는 최소 열한 명의 여성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1397년 6월 파도바의 영주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인 질리오라 다 카라라와 처음 결혼했으나, 1416년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둘 사이에 알려진 자녀는 없었다.

이후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재혼했으나, 1425년 5월 21일 파리시나가 자신의 사생아 아들인 우고 데스테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혐의로 둘 다 처형했다. 니콜로 3세는 세 번째로 결혼을 했지만, 그 부인 역시 파리시나의 망령에 시달리다 목을 매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니콜로 3세의 자녀
배우자자녀
질리오라 다 카라라없음
파리시나 말라테스타기네브라 데스테 (1419년 – 1440년).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와 결혼.
루치아 데스테 (1419년 – 1437년). 카를로 곤차가와 결혼.
알베르토 카를로 데스테 (1421년 출생 및 사망).
살루초의 리치아르다에르콜레 1세 데스테 (1431년 – 1505년)
시지스몬도 데스테 (1433년 – 1507년)
그 외 사생아: 우고 데스테, 레오넬로 데스테, 보르소 데스테 등 11명


2. 1. 초기 생애와 통치

페라라에서 알베르토 데스테와 이소타 알바레사니(Isotta Albaresani)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볼로냐의 보호를 받으며 10살 때 도시의 지배권을 계승하였다. 그는 페라라 통치의 적법성을 두고 사생아였던 니콜로와 경쟁했던 오비초 2세 데스테의 후손,[2] 밀라노 공작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의 장군이자 친척인 아초 10세 데스테의 침입을 받았다. 하지만 아초는 뒤이은 전쟁에서 아스토레 1세 만프레디에게 포로로 붙잡혔고 더 이상의 니콜로 통치에 위협은 없어졌다.

1397년 그는 파도바의 군주인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인 질리올라 다 카라라와 혼인했다.

1403년에 그는 밀라노 공작을 상대로 대항하는 동맹군에 참여했고, 교황 보니파시오 9세에 의해 교회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405년 그는 에스테 인근의 조상들의 영지를 베네치아에게 넘겨줬다. 1410년 검술가 피오레 데이 리베리는 니콜로 3세에게 그의 논문 피오르 디 바탈리아를 바쳤다. 이 필사본은 서구 무술을 복원하려는 현대의 시도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413년에 성지 순례를 다녀왔다. 1418년 그는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재혼하였다.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의 야망을 두려워하여, 2년 뒤 파르마의 소유권을 그에게 넘겨준다.

1425년에 니콜로 3세는 그의 아내 파리시나와 그의 사생아 우고(Ugo)를 간통으로 처형시켰다. 그해에 그는 다시 한번 반-비스콘티 가문 동맹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1429년 그의 사생아를 변경백작위 후계자로 임명한다.

1438년 그의 도시에서 공의회를 주최하면서 이탈리아 내에서 명망 있는 지도자로서의 니콜로 역할이 확인되었다.

2. 2. 결혼과 동맹

1397년 니콜로 3세는 파도바의 군주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 질리올라 다 카라라와 혼인했다.[2] 1403년에는 밀라노 공국에 대항하는 동맹에 가담하여 교황 보니파시오 9세에 의해 교황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

1418년 그는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재혼하였다.[2] 1425년, 니콜로 3세는 아내 파리시나와 사생아 아들 우고(Ugo)를 간통 혐의로 처형했다.[2]

2. 3. 파리시나와의 비극

1418년 니콜로 3세는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재혼하였다. 1425년에 니콜로 3세는 그의 아내 파리시나와 그의 사생아 우고(Ugo)를 간통으로 처형시켰다.[1] 니콜로 3세의 첫 번째 부인은 파도바 영주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 질리올라였는데, 그녀는 당시 연대기 작가들이 입을 모아 묘사할 정도로 못생겼고 성격도 뒤틀려 있었다. 니콜로는 그녀에게 매력을 느낄 리 없었고, 국내외에 무수히 많은 애인을 두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그가 사랑한 것은 시에나의 호족 딸 스테라 트로메이였다. 스테라는 세 아들을 낳았지만, 갑작스러운 병으로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그 후 35세에 체세나 영주의 딸 파리시나와 재혼했지만, 이번에는 그녀가 스테라와의 사이에서 태어나 백작 지위를 부여하고 후계자로 지명했던 장남 우고 데스테와 간통했다. 니콜로 3세는 그들을 참수형에 처했다.

2. 4. 후기 통치와 페라라 공의회

1425년, 니콜로 3세는 자신의 아내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사생아 아들 우고(Ugo)를 간통 혐의로 처형했다.[1] 같은 해, 그는 다시 한번 반(反) 비스콘티 가문 동맹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1429년, 그의 사생아를 변경백작위 후계자로 임명했다.

1438년, 이탈리아 내에서 명망 있는 지도자로서 니콜로의 역할은 그의 도시에서 공의회를 주최하면서 확인되었다.

3. 결혼과 자녀



니콜로 3세는 최소한 11명의 여성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그는 세 번 결혼했으며, 여러 명의 첩을 두어 자녀를 낳았다.

그는 1397년 6월 파도바의 군주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인 질리올라 다 카라라와 처음으로 결혼했으나,[1] 1416년 질병으로 사망했다.[1] 이들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1]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두 번째 결혼을 했으나,[1] 1425년 5월 21일, 자신의 사생아인 우고 데스테와 파리시나가 간통을 했다는 이유로 두 사람을 처형했다.[1]

1429년에 살루초의 리차르다와 세 번째로 혼인했다.[1] 톰마소 3세 디 살루초의 딸이다.

니콜로 3세는 스텔라 데 톨로메이를 포함한 여러 여성에게서 사생아를 두었다.

3. 1. 첫 번째 결혼: 질리올라 다 카라라

니콜로 3세는 1397년 6월 파도바의 군주 프란체스코 2세 다 카라라의 딸인 질리올라 다 카라라와 처음으로 결혼했다.[1] 그녀는 1416년 질병으로 사망했다.[1] 이들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1]

3. 2. 두 번째 결혼: 파리시나 말라테스타

니콜로 3세는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1] 1425년 5월 21일, 니콜로 3세는 자신의 사생아인 우고 데스테와 파리시나가 간통을 했다는 이유로 두 사람을 처형했다.[1] 파리시나와 니콜로 3세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지네브라 데스테1419년모계쪽 친척인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와 혼인.[1]
루치아 데스테1419년 3월 24일1437년 6월 28일사비오네타의 군주인 밀라노의 카를로 곤차가와 혼인.[1]
알베르토 카를로 데스테1421년1421년출생 직후 사망


3. 3. 세 번째 결혼: 리차르다 디 살루초

니콜로 3세는 1429년에 살루초의 리차르다와 세 번째로 혼인했다.[1] 톰마소 3세 디 살루초의 딸이다. 슬하에 두 자녀를 두었다.

3. 4. 사생아

니콜로 3세는 최소 11명의 여성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다. 다음은 그가 낳은 사생아들이다.

이름출생-사망생모비고
우고 데스테1405년–1425년스텔라 데 톨로메이1425년 5월 21일, 계모인 파리시나 말라테스타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혐의로 아버지에 의해 처형됨.
멜리아두세 데스테1406년–1452년카테리나 디 타데오폼포사 수도원장 및 페라라
레오넬로 데스테1407년–1450년스텔라 데 톨로메이
마르게리타 데스테1411년–1452년?갈레오토 로베르토 말라테스타 (1411년–1432년)와 결혼, 이후 갈라시오 2세 피오와 결혼.
보르소 데스테1413년–1471년스텔라 데 톨로메이
알베르토 데스테1415년 – 1502년 4월 8일필리파 델라 타볼라
이소타 데스테1425년–1456년필리파 델라 타볼라우르비노 공작인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와 결혼, 이후 크르크, , 모드루시의 왕자인 스테판 3세 프랑코판 모드루슈키와 결혼.
베아트리체 데스테1427년–1497년?코레조의 니콜로와 결혼, 이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아들인 트리스타노 스포르차와 결혼.
리날도 데스테1435년 경 – 1535년안나 데 로베르티오스텔라토 영주
비앙카 마리아 데스테1440년 12월 18일 – 1506년 1월 12일안나 데 로베르티미란돌라 영주인 갈레오토 1세 피코와 결혼.
구로네 데스테1484년 사망?수도원장
카밀라 데스테??카메리노의 로돌포 다 바라노와 결혼


참조

[1] 서적 The Renaissance Simon and Schuster
[2] 문서 그럼에도 니콜로는 그의아버지에게서 적출 인정을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