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자레 보르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자레 보르자는 1474년에서 1476년 사이에 태어난 인물로,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아들이자 보르자 가문의 일원이다. 그는 어린 나이에 교회 내 요직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고, 추기경직을 거쳐 군인의 길을 걸었다. 발렌티노 공작으로 불리며 군사적 경력을 쌓았으며, 로마냐 지역에 자신의 국가를 건설했다. 그의 삶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저서 《군주론》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문학, 만화, 게임, 영화 등 대중문화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사로의 영주 -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알레산드로 스포르차는 콘도티에로 무치오 아텐돌로 스포르차의 사생아로 태어나 페사로와 파르마의 영주가 되었으며, 형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와 함께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피오르디몬테 전투에서 승리했고,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을 건설하고 로디 조약을 통해 파르마 영주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교황 비오 2세로부터 그라다라의 영주권을 얻어 말라테스타 가문의 침략을 막았다.
  • 페사로의 영주 - 코스탄초 1세 스포르차
    코스탄초 1세 스포르차는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페사로와 그라다라의 영주였으며, 알레산드로 스포르차의 아들이고 조반니 스포르차는 그의 동생이며, 카밀라 다라곤과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 발렌시아 대교구장 - 교황 갈리스토 3세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스페인 발렌시아 출신으로 알폰소 데 보르자라는 본명을 가졌으며, 1455년부터 1458년까지 재임하면서 오스만 제국에 맞선 십자군 결성 노력, 잔 다르크 복권 재판 지시, 연고주의 정책 등의 활동을 펼친 제209대 교황이다.
  • 발렌시아 대교구장 - 교황 알렉산데르 6세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1492년부터 1503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로드리고 보르자라는 본명으로 교회 내에서 빠르게 승진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족벌주의적 행태, 외교적 노력, 예술 후원, 교육 진흥, 신대륙 문제에 대한 역할 수행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리미니의 영주 - 카를로 1세 말라테스타
    카를로 1세 말라테스타는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리미니의 영주로서, 교황령의 곤팔로니에레와 밀라노 총독을 역임하며 곤자가 가문과의 동맹 강화, 콘스탄츠 공의회에서의 그레고리오 12세 사임 서한 낭독 등 정치·군사적으로 활동했다.
  • 리미니의 영주 -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리미니의 영주로서 용병 대장으로 활약하며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를 건설했지만, 잦은 배신과 폭력적인 행적으로 교황에게 파문당하는 등 논란이 많았던 인물이며 현대에는 문학과 예술 작품을 통해 재조명된다.
체자레 보르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의 [[팔라초 베네치아]]에 있는 체자레 보르자의 프로필 초상, 1500-1510년경
로마의 팔라초 베네치아에 있는 체자레 보르자의 프로필 초상, 1500-1510년경
출생일1475년 9월 13일
출생지이탈리아 라치오주 수비아코 (교황령)
사망일1507년 3월 12일 (31세)
사망지스페인 나바라 왕국 비아나
매장지스페인 비아나 산타 마리아 교회
칭호발랑티누아 공작
배우자샬롯 달브레
자녀루이자 보르자
지롤라모 보르자 (사생아)
카밀라 루크레치아 보르자 (사생아)
9명의 다른 사생아
부모교황 알렉산데르 6세
바노차 데이 카타네이
가문보르자 가문
종교 지도자 정보
유형추기경
이름체자레 보르자
직함발렌시아 추기경
추기경 임명1493년 9월 20일
기타 직책팜플로나 주교
발렌시아 대주교
발렌티노 공작
왕족 정보
문장Blason César Borgia (1475-1507).svg
작위로마냐 공작
재위1501년–1503년
전임자(신설)
후임자(폐지)
군주교황 알렉산데르 6세
작위2발랑티누아 공작
재위21498년–1507년
전임자2(신설)
후임자2루이즈 보르지아 드 발랑티누아 여공작
군주2루이 12세
작위3우르비노 공작
재위31502년–1503년
전임자3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
후임자3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
작위4교회군 총사령관
재위41492년–1498년
전임자4후안 보르자 데 간디아 공작
후임자4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군주4교황 알렉산데르 6세
작위5교회의 기수
재위51500년–1503년
전임자5??
후임자5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
군주5교황 알렉산데르 6세
작위6발렌시아 추기경
작위7발렌시아 대주교
재위71492년–1498년
전임자7로드리고 보르자
후임자7후안 데 보르자

2. 생애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귀족, 콘도티에로(용병대장), 정치인이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사생아로 태어나 아버지의 막강한 권력을 배경으로 성장했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계획에 따라 교회법을 공부하고 팜플로나 주교, 발렌시아 대주교를 거쳐 18세에 추기경에 서임되는 등[4] 교회 내에서 고위직을 역임했으나, 그의 관심은 세속 권력과 군사 활동에 더 있었다.

1497년 그의 형이자 교황군 총사령관이었던 후안이 암살되자[41], 체사레는 군인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역사상 최초로 추기경직을 자발적으로 반납했다.[10] 이후 프랑스 국왕 루이 12세와의 동맹을 통해 발렌티노 공작 작위를 받았고[11], 나바라의 공주 샤를로트 다르브레와 결혼하여 프랑스와의 관계를 공고히 했다.[44]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교황군 총사령관으로서 로마냐 지방 정복에 나서 여러 도시를 점령하고 자신의 공국을 건설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냉혹한 정치적 수완을 보여주었으며, 때로는 배신과 무자비한 숙청도 서슴지 않았다. 특히 1502년 자신에게 반기를 든 용병대장들을 세니갈리아로 유인하여 처형한 사건은 그의 단호함과 기만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4]. 이 시기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으로 파견된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체사레의 통치 방식과 리더십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훗날 그의 저서 《군주론》에서 체사레를 이상적인 군주의 한 모델로 제시하기도 했다.[59]

그러나 그의 권력은 전적으로 아버지인 교황의 후원에 의존하고 있었다.[16] 1503년 알렉산데르 6세가 갑자기 사망하자 그의 세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16] 보르자 가문의 정적이던 교황 율리오 2세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되면서 체사레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는 체포되어 로마냐의 영지를 모두 빼앗기고 스페인으로 추방되어 투옥되었다.[17] 1506년 극적으로 탈옥하여 처남인 나바라의 후안 3세에게 의탁했으나[18], 1507년 비아나 성 전투 중 매복에 걸려 31세의 나이로 전사했다.[18] 그의 짧지만 강렬했던 삶은 후대에 많은 논쟁과 영감을 남겼다.

2. 1. 출생과 가문

어린 시절의 체사레 보르자, 핀투리키오 그림


체사레 보르자의 삶의 여러 측면처럼 그의 출생 연도 역시 논란의 대상이다. 그는 1475년 또는 1476년 이탈리아 라치오주수비아코에서 태어났다는 설[1]과, 1474년1476년 사이 로마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공존한다. 그는 당시 추기경이었던 로드리고 보르자(훗날의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그의 오랜 정부(애인)였던 반노차 데이 카타네이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다. 체사레의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는 혼외 관계에서 태어난 자녀들을 공공연히 자신의 친자식으로 인정한 첫 번째 교황이었다.

스테파노 인페수라는 추기경 보르자가 체사레를 반노차 데이 카타네이의 명목상 남편인 도메니코 다리냐노의 적자로 거짓 주장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교황 식스토 4세가 1480년 10월 1일 발표한 교황 칙서를 통해 체사레에게 그의 출생을 증명할 필요가 없도록 면제해 주었다는 것이 더 유력한 설명이다.[5]

보르자 가문은 원래 스페인 발렌시아 왕국 출신으로, 15세기 중반에 가문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이는 체사레의 종조부이자 발렌시아 교구장이었던 알폰소 보르자(1378–1458)가 1455년 교황 갈리스토 3세로 선출된 덕분이었다.[4] 체사레의 동복 형제로는 후안, 루크레치아, 호프레가 있으며, 이복 형으로는 페드로 루이스 등이 알려져 있다.

체사레는 회색 눈과 오렌지색 머리카락을 가진 미남이었다고 전해진다. 훗날 마키아벨리는 체사레에 대해 "용모가 매우 아름답고 당당하며, 무기를 들면 용맹과감했다"고 기록했다.[39] 그는 아버지 로드리고의 후원으로 어린 시절부터 교회 내 여러 요직을 맡았다.[40]

연도직위
1483년 3월교황청 서기장
1483년 7월발렌시아 대성당 주교좌 성당 참사 회원
1483년 8월간디아 사제
1484년 9월카르타헤나 대성당 관재관, 타라고나 대성당 주교좌 성당 참사 회원 등
1491년 9월팜플로나 주교


2. 2. 초기 경력과 교회

로드리고 보르자와 그의 정부 바노차 카타네이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체사레는 갈색 눈과 검은 머리를 가진 아름다운 아이였으며, 성장하면서 아버지를 닮아 훤칠한 외모와 빠른 걸음, 큰 키, 그리고 끝없는 야심을 가진 인물로 자라났다. 마키아벨리는 훗날 체사레에 대해 "용모가 매우 아름답고 당당하며, 무기를 들면 용맹과감했다"고 기록했다.[39]

아버지 로드리고 보르자는 체사레를 교회에서 경력을 쌓게 할 생각이었다. 체사레는 페루자피사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로마의 ''Studium Urbis''(현재의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도 법학을 수학했다. 그는 어린 나이부터 교회 내 요직을 맡기 시작했다. 1483년 교황청 서기장, 발렌시아 대성당 참사회원 등을 시작으로[40], 15세였던 1491년에는 팜플로나주교로 임명되었고[40], 1492년 아버지가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 즉위하자 17세의 나이로 발렌시아 대교구 대주교가 되었다. 1493년에는 카스트르 대교구와 페르피냥-엘네 교구 주교로도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8세의 나이로 추기경에 서임되었다.[4] 1494년에는 생 미셸 드 퀴사 수도원의 수도원장 직함도 받았다.[6]



알렉산데르 6세는 가문의 영달을 위해 아들들에게 기대를 걸었으며, 특히 체사레의 형인 조반니(후안)를 교황청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1497년 6월, 조반니가 로마에서 의문의 암살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1] 당시 많은 사람들은 체사레가 조반니의 암살 배후에 있다고 의심했다.[7][42] 조반니의 죽음으로 체사레는 오랫동안 원했던 군사적 경력을 쌓을 기회를 얻게 되었고, 또한 동생 조프레 보르자의 아내이자 조반니와 체사레 모두의 정부였던 아라곤의 산차를 둘러싼 질투 문제도 해결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8] 하지만 체사레가 형의 죽음에 직접 관여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9], 조반니가 다른 이유, 예를 들어 성적인 문제로 살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9]

형 조반니의 사후, 보르자 가문의 군사적 공백을 메울 인물로 체사레가 부상했다. 결국 1498년 8월 17일, 체사레는 군사 경력을 추구하기 위해 추기경직을 사임했는데, 이는 역사상 추기경이 자발적으로 직위를 반납한 첫 사례였다.[10] 같은 날, 프랑스 국왕 루이 12세는 체사레에게 발렌티노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 이 작위명은 체사레의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가 발렌시아 왕국 출신인 점과 체사레 자신이 발렌시아 추기경이었던 점을 고려하여 선택되었으며, 이후 그는 '발렌티노'(Il Valentino|일 발렌티노it)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11]

앙부아즈 성


1499년 5월, 체사레는 나바라 왕 후안 3세의 여동생인 샤를로트 다르브레와 앙부아즈 성에서 결혼하여 프랑스와의 동맹을 공고히 했다.[44] 이후 그는 프랑스 왕가와의 관계를 강조하며 '''체사레 보르자 디 프랑시아'''(César Borgia de Francia|세자르 보르자 드 프랑시아프랑스어)라고 칭하기도 했다. 1499년 9월 6일, 그는 모든 교회 직무에서 공식적으로 해방되었고 성직 면직되었다 (그는 1494년 3월 26일에 부제로 서품되었을 뿐, 사제나 주교 서품과 같은 다른 주요 서품은 받지 않았다).[12][13] 이로써 그의 교회 경력은 완전히 마무리되고 새로운 군사적, 정치적 경력이 시작되었다.

2. 3. 군사적 경력과 로마냐 공국

멜로네의 작품으로 전통적으로 체자레 보르자로 여겨지는 어떤 신사의 초상화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의 전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체사레는 군사적 경력을 쌓아나갔다. 1492년 8월, 아버지가 교황이 되자 체사레는 발렌시아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1493년 9월에는 추기경 회의를 통해 발렌시아 추기경이 되었다. 이는 알렉산데르 6세가 교회 내에서 보르자 가문의 후계 구도를 염두에 둔 조치였다.

1494년,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나폴리 왕국의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당시 체사레는 교황 특사로 샤를 8세와 교섭하기도 했다. 1495년 협정에 따라 체사레는 프랑스군과 함께 남하했으나, 곧 프랑스군 진영에서 탈출했다.

1497년 6월, 체사레의 형이자 교황군 총사령관이었던 후안 보르자가 로마에서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1]. 이 사건의 범인으로 체사레를 지목하는 소문이 돌았으며[42], 이로 인해 보르자 가문의 군사 및 정치적 리더십에 공백이 생겼다.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체사레가 아버지가 후안을 편애하는 것에 질투심을 느껴 살해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후안의 죽음 이후, 체사레는 성직을 버리고 군인의 길을 걷게 된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교황군 총지휘관으로 임명되어 교황청의 권위를 회복하고, 교황에게 복종하지 않는 이탈리아의 군소 도시들을 정복하는 임무를 맡았다. 당시 이탈리아의 소참주들은 이론상 교황의 대리인이었으나, 실제로는 교황령으로부터 독립하거나 다른 강대국에 의존하는 상태였다.

체사레의 군사적 성공은 아버지의 후원과 프랑스와의 동맹에 크게 의존했다. 그는 나바라 여왕 요안나 3세의 여동생인 샬롯 달브레와 결혼하여 프랑스와의 관계를 공고히 했다. 1499년, 프랑스 국왕 루이 12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했고, 체사레는 루이 12세와 함께 밀라노에 입성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이 기회를 이용해 체사레를 위한 영지를 로마냐마르케 지역에 마련하기로 결정하고, 해당 지역의 교황 대리인들을 모두 해임했다. 수 세대 동안 사실상 독립 상태였던 이 지역 통치자들은 주민들에게 잔인하고 탐욕스럽게 비춰졌기에, 체사레가 권력을 잡자 주민들은 그를 더 나은 통치자로 여겼다.

교황군 사령관이 된 체사레는 프랑스 기병 300명과 스위스 보병 4,000명, 그리고 이탈리아 용병들을 이끌고 로마냐 정복에 나섰다. 그는 먼저 카테리나 스포르차가 다스리던 이몰라포를리를 공격했다. 1499년 11월, 15,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진군한 체사레는 이몰라를 비교적 쉽게 함락시켰다. 포를리에서는 카테리나 스포르차가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두 달간의 공방 끝에 1500년 초 체사레 군에게 함락되고 카테리나는 포로로 잡혔다[46].

1500년 2월, 체사레는 로마로 개선하여 아버지로부터 교황 기수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 7월, 여동생 루크레치아의 남편이었던 비셰리에 공작 알폰소 다라곤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프랑스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나폴리 왕가 출신인 알폰소의 죽음으로 이득을 볼 수 있는 체사레가 배후로 의심받았으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알렉산데르 6세가 12명의 새로운 추기경을 임명하면서 확보한 자금으로 체사레는 비텔로초 비텔리, 잔 파올로 발리오니, 오르시니 가문의 줄리오와 파올로, 올리베로토 에우프레두치 등 유명 용병대장들을 고용하여 로마냐 전역을 재개했다.

그는 먼저 내분 상태였던 체세나를 군대 없이 장악했다. 이후 리미니의 판돌포 4세 말라테스타와 페사로의 조반니 스포르차(체사레의 여동생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전 남편)를 몰아내고 두 도시를 무혈 점령했다. 파노 역시 항복시켰다. 파엔차는 젊은 영주 아스토레 3세 만프레디의 지휘 아래 격렬히 저항했으나, 1501년 4월 결국 항복했다. 아스토레 3세는 목숨을 보장받았지만, 후에 로마로 보내져 1502년 1월 산탄젤로 성에서 암살되었다. 파엔차 함락 후, 알렉산데르 6세는 체사레를 로마냐 공작으로 임명했다.

1501년 5월, 체사레는 피렌체 공화국 국경까지 진군했으나, 루이 12세의 중재와 자금 지원을 조건으로 화약을 맺었다. 이후 그는 피옴비노 영지를 정복하여 자신의 공국에 편입시켰다[49]. 같은 해 6월, 루이 12세의 요청으로 프랑스군과 함께 나폴리 왕국 공략에 참여하여 카푸아를 함락시키는 데 기여했다. 나폴리 왕국이 몰락하자, 체사레는 로마 근교에서 나폴리 왕가와 연계되어 있던 콜론나 가문과 사벨리 가문의 영지를 공격하여 교황령에 편입시켰다. 또한, 여동생 루크레치아와 페라라 공작 알폰소 1세 데스테의 결혼(1501년 12월)을 통해 페라라와의 관계를 안정시켰다[50].

체사레는 한때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자신의 군사 건축가 겸 기술자로 고용하기도 했다.

1502년 6월, 체사레는 우르비노 공국을 기습 공격하여 공작 귀도발도 다 몬테펠트로를 몰아내고 점령했다[51]. 동시에 카메리노도 함락시키고, 저항한 영주 줄리오 체사레 다 바라노와 그의 아들들을 처형했다. 이 무렵 피렌체 공화국의 사절로 온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체사레와 회담했다. 우르비노 정복 후 산마리노 공화국도 체사레에게 항복했다. 체사레는 다음 목표로 볼로냐를 염두에 두고 로마냐 공국의 수도 기능을 이몰라로 옮겼다.

그러나 체사레의 세력 확장에 위협을 느낀 용병대장들이 반기를 들었다. 1502년 10월, 비텔로초 비텔리(치타 디 카스텔로의 시뇨레), 파올로 오르시니(오르시니 가문), 프란체스코 오르시니(그라비나 공작, 오르시니 가문), 잔 파올로 발리오니(페루자의 시뇨레), 올리베로토 에우프레두치(페르모의 시뇨레) 등 5명의 핵심 용병대장이 마조네에서 회합하여 반란을 모의했다("마조네의 난")[53]. 이들은 체사레의 끊임없는 야심과 자신들의 영지가 다음 목표가 될 것을 두려워했다[54]. 반란군은 우르비노와 카메리노를 일시적으로 탈환하고[55], 볼로냐와 연계하여 이몰라로 진격했다. 우르비노에는 귀도발도가, 카메리노에는 조반니 마리아 다 바라노가 복귀했다.

하지만 반란군 내부의 결속은 약했고, 프랑스 왕 루이 12세는 체사레를 지지했다[56]. 체사레는 외교적 수완과 군사력 증강을 통해 반란군을 분열시켰다. 파올로 오르시니 등이 개별적으로 체사레와 화해하면서 반란 동맹은 와해되었다[57]. 귀도발도는 다시 우르비노에서 망명해야 했고, 조반니 마리아 다 바라노는 카메리노에서 퇴거하는 조건으로 체사레와 합의했다. 볼로냐 역시 체사레와 개별 계약을 맺고 반란군과 거리를 두었다.

1502년 12월 31일, 체사레는 화해를 명분으로 반란 주모자들(비텔로초 비텔리, 오르시니 형제, 올리베로토 다 페르모)을 세니갈리아로 유인하여 모두 체포한 뒤 처형했다. 역사가 파올로 조비오는 이를 "놀라운 기만(meraviglioso inganno)"이라고 묘사했다[14]. 이 사건 직전인 12월 26일, 체사레의 측근이자 로마냐 행정을 담당했던 라미로 데 로르카가 체세나 광장에서 처형된 채 발견되었다. 마키아벨리는 이를 로르카의 가혹한 통치에 대한 민중의 불만을 달래고, 모든 책임이 로르카 개인에게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체사레의 계산된 행동으로 분석했다[59].

반란을 진압한 후, 체사레는 1503년 산마리노를 정복하며 로마냐 공국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15].

2. 4. 몰락과 죽음

체사레는 유능한 군인이자 정치가였으나, 교황의 후원이 없이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어려웠다.[16]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체사레가 아버지인 교황의 호의에 지나치게 의존한 것을 그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했다. 마키아벨리는 체사레가 새로운 교황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면 성공적인 통치자가 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16]

1503년 8월,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가 말라리아로 추정되는 병으로 갑자기 사망하면서 체사레의 권력 기반은 급격히 무너졌다.[16][63] 일설에는 독살 시도가 잘못되어 부자 모두 독이 든 음식을 먹었다는 이야기도 있다.[63] 당시 체사레 역시 같은 병으로 산탄젤로 성에서 요양 중이었기에[16]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었다. 그의 군대는 1503년 9월 교황 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16] 후임으로 선출된 교황 비오 3세는 체사레에게 우호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즉위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사망했다.[15]

이후 알렉산데르 6세의 오랜 정적이자 보르자 가문의 강력한 반대파였던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가 교황으로 선출되어 교황 율리오 2세가 되었다. 율리오 2세는 선출 전에는 체사레에게 로마냐 영지에 대한 지배권 유지와 재정 지원을 약속하며 그의 지지를 얻어냈으나, 교황으로 즉위하자마자 약속을 뒤집었다.[15] 율리오 2세는 체사레를 산탄젤로 성 지하 감옥에 투옥하고 그의 영토를 교황청으로 회수했다.[15][17] 마키아벨리는 체사레가 율리오 2세를 지지한 것을 그의 파멸을 초래한 결정적인 실수였다고 평가했다.[59]

1504년 체사레는 스페인으로 추방되었고, 그곳에서 포로 신세가 되었다.[17] 처음에는 라 만차의 친칠라 데 몬테아라곤 성에, 이후 탈출 시도 후에는 메디나 델 캄포의 라 모타 성에 감금되었다.[17] 2년간의 수감 생활 끝에 1506년 10월, 그는 극적으로 라 모타 성 탈출에 성공했다.[18] 그는 산탄데르, 두란고, 기푸스코아를 거쳐 1506년 12월 3일 팜플로나에 도착하여, 그의 처남인 나바라의 후안 3세 국왕에게 의탁했다.[18]

주세페 로렌초 가테리의 1877년 작품, ''체사레 보르자, 바티칸을 떠나다''


나바라 국왕은 숙련된 군사 지휘관이었던 체사레를 환영하며 군 지휘를 맡겼다. 체사레는 1507년 3월,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결탁한 레린 백작 루이 드 보몽 세력이 점령하고 있던 비아나 성 탈환 작전에 참여했다.[18] 3월 11일 새벽, 폭풍우 속에서 성을 빠져나온 적 기사들을 추격하던 중 매복에 걸려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18] 그의 나이 31세였다. 그의 시신은 값비싼 의복과 장신구를 모두 빼앗긴 채 발견되었으며, 얼굴에는 매독으로 인한 변형을 가리기 위해 착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가죽 가면이 벗겨져 있었다고 전해진다.[18]

체사레의 유해는 비아나의 산타 마리아 교회에 안장되었으나, 죄인을 교회에 묻을 수 없다는 반발로 인해 무덤이 파헤쳐져 길가에 다시 묻혔다. 그러나 2007년, 스페인의 한 대주교는 그의 유해를 다시 교회로 이장하는 것을 허락했다.[74]

3. 결혼과 자녀

1499년 5월 10일, 체사레는 알브레 백작의 여동생이자 나바라의 요한 3세의 누이인 샤를로트 달브레(1480년 ~ 1514년 3월 11일)와 결혼하였다. 이 결혼은 나바라 군주들이 새로 즉위한 프랑스 국왕 루이 12세와의 긴장을 완화하고 성좌와의 관계에서 왕족 신부감을 제공하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28]

체사레는 샤를로트와의 사이에서 딸 루이즈 보르자(1500년–1553년) 한 명을 두었다. 또한, 그는 최소 11명의 사생아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는 이사벨라 콘테사 디 카르피와 결혼한 지롤라모 보르자, 그리고 체사레 사후 페라라에 있는 숙모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궁정으로 보내진 카밀라 루크레치아 보르자 등이 있다.

4. 평가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체사레 보르자를 새로운 군주가 본받아야 할 인물로 제시하며 높이 평가했지만[59], 그의 성공이 아버지인 교황의 권력에 크게 의존했다는 한계도 지적했다. 마키아벨리의 이러한 평가는 후대에 많은 논쟁을 낳았으며, 그의 평가를 둘러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24][25]

레오나르도 다 빈치1502년부터 약 8개월간 체사레의 건축 기술 감독 겸 군사 고문으로 활동하며 이몰라 등 로마냐 지역의 방어 체계 구축에 참여했다. 체사레는 레오나르도를 "가장 친한 친구"로 대우하며 통행 허가증을 발급해주기도 했으나, 레오나르도는 체사레 개인에 대한 평가는 남기지 않았다.[68]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이몰라 시가지 지도


알렉상드르 뒤마는 그의 저서 《유명한 범죄》에서 보르자 시대에 그려진 일부 예수의 초상화가 체사레 보르자를 모델로 삼았으며, 이것이 후대 예수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6세기 시인 Ercole Strozzi|에르콜레 스트로치it는 체사레를 추모하는 시에서 그를 신에게 약속된 인물이었으나 결국 파멸했다고 묘사했다.[69] 스트로치는 체사레의 여동생 루크레치아 보르자와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체사레가 죽은 지 1년 후 암살당했다.

프란체스코 기차르디니는 체사레를 "배신과 육욕, 엄청난 잔혹함을 가진 인물"이라고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지배자로서 유능하며 병사들에게 사랑받았던 인물"이라고 평가하여 그의 양면성을 지적했다.[71]

19세기 역사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체사레가 '칸타렐라'라는 독약을 사용하여 정적과 교회 인사들을 제거하고 재산을 몰수했다는 의혹과 세니갈리아에서의 학살 등을 근거로 그를 "대범죄자", "음모자"[72], "피에 굶주려 만족할 줄 모르고, 사람을 파멸시키는 데 악마적인 기쁨을 느끼는 성질"을 가졌다고 혹평했다.[73]

존 콜리어의 1893년 작품 ''체사레 보르자의 와인 한 잔''. 왼쪽부터 체사레 보르자, 루크레치아 보르자, 교황 알렉산데르 6세, 그리고 빈 잔을 든 젊은이. 이 그림은 보르자 가문의 배신적인 본성에 대한 대중적인 견해를 나타낸다. 즉, 젊은이는 와인에 독이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

4. 1. 마키아벨리와의 관계

니콜로 마키아벨리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으로서 체사레를 만나 협상을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이 만남 이후 체사레를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

마키아벨리는 1502년 10월 7일부터 1503년 1월 18일까지 체사레 보르자의 궁정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피렌체에 있는 상관들에게 정기적으로 상세한 보고서를 보냈는데, 이 문서들은 대부분 현재까지 남아 마키아벨리의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마키아벨리는 자신의 대표 저서인 《군주론》에서 체사레의 업적과 전략을 여러 차례 인용하며, 그를 군주가 본받아야 할 인물로 제시하기도 했다.

특히 마키아벨리는 체사레의 두 가지 행적에 깊은 인상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체사레가 로마냐 지역을 효과적으로 장악하고 통치 기반을 다진 과정으로, 이는 마키아벨리가 《군주론》 제7장에서 설명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1502년 새해 전야에 세니갈리아에서 자신의 장군들을 제거한 사건이다.[23] 마키아벨리는 체사레를 다른 사람의 덕으로 공국을 얻는 것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사용한다. 체사레 보르자의 아버지가 그에게 권력을 주었지만, 체사레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로마냐를 기술과 재치로 통치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죽고 보르자 가문의 경쟁자가 교황 자리에 오르자, 체사레는 몇 달 만에 전복되었다. 마키아벨리는 체사레가 아버지의 통제하에 있던 교황의 호의에 의존한 것을 그의 통치의 주요 단점으로 꼽았다.

체사레 보르자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평가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논쟁을 낳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마키아벨리가 묘사한 체사레의 모습이 20세기 국가 범죄의 전조로 본다.[24] 반면, 토머스 배빙턴 매콜리나 애크턴 경과 같은 다른 학자들은 마키아벨리의 보르자를 역사화하여 그러한 폭력에 대한 찬사를 당시의 일반적인 범죄 행위와 부패의 결과로 설명했다.[25]

5. 대중문화 속 체사레 보르자

체자레 보르자는 그의 극적인 삶과 권모술수에 능한 마키아벨리적 인물상으로 인해 후대의 많은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는 소설, 영화, 드라마,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매체에서 주요 인물 또는 중요한 모티브로 자주 등장하며, 작품에 따라 영웅적인 면모나 악당의 모습 등 다채롭게 묘사된다.

5. 1. 문학

체자레 보르자를 다룬 주요 문학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저자 (역자)작품명출판사/문고출판 연도
라파엘 사바티니『체자레 보르자 평전』1912
카를로 뵈프『체자레 보르자: 마키아벨리적 군주』1942
진 플레이디『독살범 삼부작』1958
사라 브래드퍼드『체자레 보르자』1976
사라 브래드퍼드, 존 프레블『보르자 가문』1981
폴 스트래선『예술가, 철학자, 전사』2009
G. J. 마이어『보르자 가문: 숨겨진 역사』2013
사만다 모리스『한눈에 보는 체자레 보르자』2016
시오노 나나미『체사레 보르자 혹은 우아한 냉혹』신초샤 (후에 신초 문고)
프랑수아즈 사강 (와시미 요이치 역)『보르자 가문의 황금의 피』신초샤 (후에 신초 문고)
서머싯 몸 (아마노 다카시 역)『옛날에도 지금에도』치쿠마 문고


5. 2. 만화

5. 3. 게임

2010년 출시된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에서 주요 악당이자 주인공의 최대 적으로 등장한다. 안드레아스 아페르기스가 목소리를 연기했으며, 게임 내에서는 여동생 루크레치아와 아버지 알렉산데르 6세도 함께 등장한다. 이 게임은 유비소프트 몬트리올이 주 개발하고, 유비소프트의 앤시, 싱가포르, 부쿠레슈티, 퀘벡 시티 등 4개 지사가 제작에 참여했다.

5. 4. 기타


  • 새뮤얼 쉘라바거의 1947년 역사 소설 ''여우의 왕자''에 등장인물로 나온다. 1949년 이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에서는 오손 웰스가 체자레를 연기했다.
  • 1953년 프랑스·이탈리아 합작 영화 ''보르자 가문의 독약''에서 페드로 아르멘다리스가 체자레를 연기했다.
  • 1981년 BBC TV 시리즈 ''보르지아''에서 올리버 코튼이 체자레를 연기했다.
  • 끔찍한 역사 시즌 4에서는 아담스 패밀리를 패러디하여 보르자 가문의 삶을 다루었으며, 매튜 베인턴이 체자레 보르자를 연기했다.
  • 2010년 유비소프트의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에서 주요 악당으로 등장하며, 안드레아스 아페르기스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이 게임은 유비소프트 몬트리올이 주 개발하고, 유비소프트의 앤시, 싱가포르, 부쿠레슈티, 퀘벡 시티 등 4개의 지사에서 제작에 참여했다.
  • 2011년 미국 쇼타임 TV 시리즈 ''보르지아''에서 프랑수아 아르노가 체자레를 연기했다.
  • 2011년 유럽 합작 TV 시리즈 ''보르지아''에서 마크 라이더가 체자레를 연기했다.
  • WhiteFlame이 작곡하고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와 KAITO가 부른 노래 ''칸타렐라''는 체자레 보르자와 그의 누이 루크레치아 보르자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뮤지컬, 소설, 만화로도 만들어졌다.
  • 유 히구리의 만화 ''칸타렐라''는 체자레의 삶을 다룬 다크 판타지 역사 소설로, 초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한다.
  • 소료 후유미의 만화 ''체자레: 파괴의 창조자'' (원제: チェーザレ 破壊の創造者|체자레 하카이노 소조샤일본어)는 체자레의 15세부터의 삶을 연대기적으로 그린다. 2023년 뮤지컬로 각색되어 초연되었으며, 오리지널 캐스트에서 나카가와 아키노리가 체자레 역을 맡았다.
  • 대부의 작가 마리오 푸조가 창작한 역사 소설 ''더 패밀리''에 등장인물로 나온다.
  •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체자레 보르자 - 야망의 궤적 -''이라는 제목의 공연을 올렸다.

참조

[1] 웹사이트 Cesare Borgia, detto Il Valentino https://www.studiara[...] 2014-09-05
[2] 서적 Cesare Borgia. La sua vita, la sua famiglia, i suoi tempi Rizzoli
[3] 간행물 The Pri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5-15
[4] 문서 Lexikon der Renaissance Beck
[5] 문서
[6] 서적 66 petites histoires du Pays Catalan Ultima Necat 2014
[7] 문서 La saga dei Borgia
[8] 문서 I capitani di ventura
[9] 문서 The Meddlesome Friar and the Wayward Pope
[10] 웹사이트 Today in Catholic History http://catholicunder[...] Catholic Under the Hood 2010-08-17
[11] 문서 Alexander VI Pontifex Maximus Borgia Valentinus
[12] 문서 Mister César de Borja (Borgia) 2022-08-06
[13] 웹사이트 Consistory of Friday September 20, 1493 (II) Celebrated at the Apostolic Palace, Rome https://cardinals.fi[...]
[14] 문서
[15] 문서 The SAGE Encyclopedia of War: Social Science Perspectives: Volume IV
[16] 서적 The Borgias: The Hidden History Bantam
[17] 서적 Guía de la conquista de Navarra en 12 escenarios Txertoa Argitaletxea
[18] 문서
[19] 서적 Anales del reino de Navarra https://books.google[...] E. Lopez 1891
[20] 웹사이트 Borgia 3 – The Quest For Cesare's Tomb https://vimeo.com/10[...] 2014-07-09
[21] 뉴스 The rehabilitation of Cesare Borgia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7-01-23
[22] 뉴스 César Borgia no descansa en paz https://elpais.com/d[...] 2007-01-27
[23] 문서 A Description of the Method Used by Duke Valentino in Killing Vitellozzo Vitelli, Oliverotto da Fermo, and Others
[24] 문서 The Myth of the State Yale University Press
[25] 문서 Machiavelli's Virtu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 Second Florentine period (1500–08) https://www.britanni[...]
[27] 문서 The Life of Cesare Borgia Stanley Paul
[28] 서적 Juan de Albret y Catalina de Foix o la defensa del Estado navarro (1483–1517) Pamiela
[29] 웹사이트 Cesare Borgia {{!}}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30] 문서 Cesare Borgia, detto Il Valentino https://www.studiara[...]
[31] 문서 Cèsar Borja cinc-cents anys després (1507-2007)
[32]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33] 문서 World Book Encyclopedia
[34] 웹사이트 Death of Cesare Borgia {{!}} History Today https://www.historyt[...]
[35] 뉴스 The Notorious Cesare Borgia Is Born {{!}} History Channel on Foxtel https://www.historyc[...] 2016-06-20
[36] 문서 Fusero, Clemente.
[37] 서적 The Prince https://books.google[...]
[38] 문서 カトリック百科事典
[39] 서적 マキアヴェリ、イタリアを憂う
[40] 간행물 チェーザレ 破壊の創造者
[41] 문서 先代のガンディア公爵であったペドロ・ルイスは[[1488年]]に死去
[42]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43]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44]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45]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46]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47]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48]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49] 서적 イタリア史
[50] 서적 イタリア史
[51] 서적 イタリア史
[52] 서적 イタリア史
[53]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54]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55] 서적 イタリア史
[56]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57]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58] 서적 マキャヴェッリの生涯 その微笑の謎
[59] 서적 君主論
[60] 서적 イタリア史
[61] 문서 セニガリア顛末記
[62]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63]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64] 서적 フィレンツェ史
[65] 서적 イタリア史
[66] 서적 イタリア史
[67]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68]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芸術と生涯
[69]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70] 서적 君主論
[71] 서적 グイチャルディーニ「フィレンツェ史」第21章
[72]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73]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の文化
[74] 서적 체사레 보르자(마키아벨리를 사로잡은 『군주론』의 모델) 사이 2008-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