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발가락뛰는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은 뛰는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사막 환경에 적응하여 야행성을 띤다. 이들은 굴을 파고 숨어 더위를 피하며, 밝은 모래색 털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인 동물로, 굴에서 다른 개체와 함께 생활하며, 종에 따라 식물이나 곤충을 섭취한다.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은 13종의 현존하는 종과 여러 화석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속 분류가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뒷다리에 5개의 발가락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섯발가락뛰는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llactaga |
명명자 | F. 퀴비에, 1836 |
모식종 | Mus jaculus |
화석 범위 | 후기 마이오세 - 현재 |
하위 분류 | |
종 | 알락타가 발리쿠니카 알락타가 불라타 알락타가 피로우지 알락타가 호트소니 알락타가 마요르 알락타가 세베르트조비 알락타가 시비리카 알락타가 토우시 |
학명 정보 | |
속명 (한국어) | 이츠유비토비네즈미속 |
속명 (일본어) | イツユビトビネズミ属 |
속명 (로마자 표기) | Itsu yubi tobi nezumi zoku |
속명 (한국어) | 다섯발가락뛰는쥐속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뛰는쥐상과 |
과 | 뛰는쥐과 |
아과 | 다섯발가락뛰는쥐아과 |
이명 |
2. 사막 환경에 대한 적응
다섯발가락뛰는쥐는 사막의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적응 방식을 진화시킨 대표적인 사막 동물이다. 이들은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낮 동안의 극심한 더위를 피하기 위해 모래 속에 굴을 파고 숨어 지낸다.[11] 굴 내부는 외부보다 시원하고 습도가 높아 탈수를 예방하고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유리하다.[8] 또한, 햇빛을 반사하여 체온 상승을 막는 밝은 모래색 털[12] 등 생리적, 행동적 적응을 통해 척박한 사막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2. 1. 생리적 적응
다섯발가락뛰는쥐는 사막 환경에 잘 적응한 사막 동물이다. 이들은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낮 동안의 극심한 더위를 피하기 위해 모래 속에 굴을 파고 그 안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11] 굴 속은 지표면보다 시원하고 습도가 높아, 뜨거운 햇볕을 피하고 몸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낮 동안 활동을 줄이는 것은 물 섭취 필요성을 낮추는 데에도 기여한다.이들이 만드는 굴은 단순한 구덩이가 아니라 때로는 터널처럼 복잡한 구조를 이루기도 한다. 굴 내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를 유지하여 건조한 사막 공기로부터 몸의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8] 일부 종은 굴 입구를 흙으로 막아 내부의 습한 공기를 보존하고 뜨거운 바깥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7]
또한, 다섯발가락뛰는쥐의 털 색깔 역시 사막 환경에 대한 적응의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밝은 모래색을 띠는 털은 강렬한 햇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몸이 과도하게 뜨거워지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12]
2. 2. 행동적 적응
사막쥐는 사막 동물로서 사막 환경에 적응한 행동 양식을 보인다. 이들은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낮 동안의 극심한 더위를 피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모래 속에 굴을 파고 그 안에서 보낸다.[11] 굴 속은 지표면보다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아, 햇볕의 뜨거운 열기를 피하고 몸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8] 또한 낮 동안 활동량을 줄임으로써 물 섭취의 필요성 자체를 줄인다. 사막쥐는 낮 시간을 보내기 위해 터널과 같이 연결된 복잡한 형태의 굴 시스템을 만들기도 한다.[8] 일부 종들은 굴 입구를 흙으로 막아 굴 내부의 습기를 보존하고 뜨거운 바깥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유지한다.[7]3. 사회적 습성
저보아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다른 저보아와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다. 밤이 되면, 그들은 큰 굴에 모여 격렬한 활동을 보인다. 굴 입구에서 각 수컷 저보아는 자신이 그 굴에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배설물을 남긴다.[13]
4. 먹이
사막의 뜨거운 기온 때문에 다섯발가락뛰는쥐는 주로 기온이 더 시원한 해 질 녘에 먹이를 찾는다. 먹이는 종에 따라 다르며, 어떤 종은 거의 식물만 먹고 다른 종은 곤충을 먹는다. 이들은 주로 싹이 트는 식물, 뿌리, 마른 곡물 등을 찾아서 먹는다. 가을에는 겨울잠을 대비하여 먹이를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체중이 가장 많이 나간다.[9] 농업 해충으로는 간주되지 않는다.[14]
5. 번식
다섯발가락뛰는쥐의 생식 활동은 계절에 따라 다르다. 다른 동면 동물과 마찬가지로, 짝짓기 시기는 봄에서 여름이다.[15]
6. 사육 상태
사육된 다섯발가락뛰는쥐는 자연 서식지 밖에서 최대 2년까지 생존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사육 환경에서는 수명이 현저히 줄어든다. 다섯발가락뛰는쥐는 다른 개체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 의존하는 동물이다. 또한, 본래 모래 속에서 굴을 파는 습성이 있어, 사육 환경이나 애완동물로 키울 때 모래가 없으면 스트레스로 인해 죽을 수 있다.
7. 분류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은 전통적으로 ''Allactaga'' 아속, ''Orientallactaga'' 아속 등으로 분류되어 왔다. ''Allactaga toussi''는 분류가 불확실한 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3년에 발표된 핵 DNA의 4개 유전자 좌를 이용한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은 카라쿰뛰는쥐속(''Allactodipus'') 및 오브토뛰는쥐속(''Pygeretmus'')을 포함하지 않는 곁계통군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19] 이 연구에서는 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종을 포함하여, 다섯발가락뛰는쥐속을 ''Allactaga'', ''Microallactaga'', ''Orientallactaga'', ''Paralactaga'', ''Scarturus''의 5개 속으로 분할하는 설을 제안하기도 했다.[19]
2008년에는 형태 비교를 통해 ''A. toussi''가 신종으로 기재되었다.[20]
화석 종으로는 ''A. anderssoni'', ''A. fru'', ''A. irgizensis'', ''A. suni'', ''A. varians'' 등이 알려져 있다.[21]
7. 1. 하위 종
다음 분류는 별도 언급이 없는 한 Holden & Musser(2005)에 따른다[16]. 한국명은 카와다 등(2018)에 따른다[17].- 바리쿤뛰는쥐 (''Allactaga balikunica'')
- 고비뛰는쥐 (''Allactaga bullata'')
- 작은다섯발가락뛰는쥐 (''Allactaga elater'')
- 유프라테스뛰는쥐 (''Allactaga euphratica'')
- 이란뛰는쥐 (''Allactaga firouzi'')
- 홋슨뛰는쥐 (''Allactaga hotsoni'')
- 큰뛰는쥐 (''Allactaga major'')
- 세베르초프뛰는쥐 (''Allactaga severtzovi'')
- 몽골다섯발가락뛰는쥐 (''Allactaga sibirica'')
- 네발가락뛰는쥐 (''Allactaga tetradactyla'')
- 투시뛰는쥐 (''Allactaga toussi'')[20]
- 비노그라도프뛰는쥐 (''Allactaga vinogradovi'')
- 윌리엄스뛰는쥐 (''Allactaga williamsi'')
8. 인간과의 관계
9. 형태
참조
[1]
MSW3
[2]
서적
Family Dipodida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3]
서적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Yale University Press
2004
[4]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5]
웹사이트
Jerboa
Columbia UP
2000
[6]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7]
웹사이트
Jerboa (roden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
[8]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9]
논문
Trends of Specialisation in Rodents: The Five-Toed Jerboas, Subfamily Allactaginae (Dipodoidea, Rodentia).
http://www.tandfonli[...]
Taylor & Francis Online
2008
[10]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11]
간행물
Unusual Creatures: A Mostly Accurate Account of Some of the Earth's Strangest Animals
2012
[12]
서적
Adaptations of Mojave Desert Ani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30
[13]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14]
웹사이트
Ecology and Biology of Allactaga Elater, Allactaga Euphratica and Allactaga Williamsi (Rodentia: Dipodidae) in Turkey.
https://web.archive.[...]
1996
[15]
간행물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 in Hypothalamic RF-amide Peptides in a Semi-Desert Rodent, the Jerboa.
2013
[16]
서적
Family Dipodidae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7]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8]
서적
イランイツユビトビネズミ
講談社
2000
[19]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Dipodoidea: a test of morphology-based hypotheses
https://doi.org/10.1[...]
2013
[20]
논문
New Species of Five-Toed Jerboa (Rodentia: Dipodidae, Allactaginae) from North-East Iran
2008
[21]
논문
A new species of jerboa (Mammalia, Rodentia, Allactaga) from the late Miocene of Ukraine
2017
[22]
서적
Family Dipodida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3]
서적
Mammals of the World A Checklist
Yale University Press
2004
[24]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25]
웹사이트
Jerboa
Columbia UP
2000
[26]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27]
웹사이트
Jerboa (roden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
[28]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29]
논문
Trends of Specialisation in Rodents: The Five-Toed Jerboas, Subfamily Allactaginae (Dipodoidea, Rodentia).
http://www.tandfonli[...]
Taylor & Francis Online
2008
[30]
서적
Adaptation to Desert Environment; A Study on the Jerboa, Rat and Man
Butterworths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