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스는 자동차 시트 및 시트 프레임 등을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 회사로, 1987년 설립되어 2015년 매출액 2조 원을 돌파했다. 경상북도 경주시에 본사를 두고 현대자동차에 납품하며, 연구 개발에 투자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2018년 법원은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이고 비자금 조성을 지시한 점을 인정했다. 다스는 횡령 및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았으며,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해 사회공헌활동과 윤리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기업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2015년 삼성탈레스가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2018년 한화S&C와 합병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및 IT 서비스 기업으로, 레이다, 지휘 통제 체계, 위성 통신 체계 등 방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장비 개발과 IT 서비스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기업 -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는 1969년 설립되어 대한민국 고속도로망 건설, 운영, 관리를 주 사업으로 하며,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네트워크 확장 등을 통해 교통 발전에 기여해왔으나 환경 파괴, 통행료 인상 등의 논란에 직면하기도 한 공기업이다. - 이명박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이명박 -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는 747 성장 공약으로 출범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고, 시장 중심 경제 성장, 저탄소 녹색 성장, 자원 외교, 실용주의 외교를 추진하며 4대강 사업, 세종시 수정 논란 등 여러 논란과 비판을 받았으며, 강경한 대북 정책과 한미동맹 강화 외교를 펼쳤으나 주변국 관계가 악화되는 등 경제 성장과 국민 통합에 실패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제조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제조 기업 - 현대위아
현대위아는 1976년 기아산업의 일부로 시작하여 현대그룹 계열사를 거쳐 현재 기계, 자동차 부품, 방위 산업,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4년 주차 로봇을 상용화했다.
다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다스 |
원어 | DAS Corporation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87년 7월 10일 |
창립자 | 김재정 후지기공 |
이전 상호 | 대부기공㈜ (1987 ~ 2003)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외동농공단지길 14 (구어리 12-34) |
대표자 | 이명박 |
인물 | 이상은 (대표이사) 이시형 (내부회계관리자) |
산업 | 제조 |
서비스 | 자동차부품 제조업 운송장비용 의자 제조업 |
자본금 | 2,954,000,000원 (2016.12.31 기준) |
매출액 | 837,963,997,285원 (2016.1.1 ~ 2016.12.31 기준) |
영업 이익 | 3,438,555,520원 (2016.1.1 ~ 2016.12.31 기준) |
순이익 | 31,837,468,003원 (2016.1.1 ~ 2016.12.31 기준) |
자산 총액 | 577,017,878,703원 (2016.1.1 ~ 2016.12.31 기준) |
주주 | 이상은: 47.26% 권영미: 23.60% 기획재정부: 19.91% 김창대: 4.20% 재단법인 청계: 5.03% (2016.1.1 ~ 2016.12.31 기준) |
웹사이트 | 다스 공식 웹사이트 |
자회사 |
2. 회사 소개
다스는 1987년 대부기공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이듬해부터 현대자동차에 자동차 부품 납품을 시작했고, 2003년에 현재의 이름(DAS)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다.[1] 이명박 대통령의 맏형 이상은이 대주주인 비상장회사이며,[1] 약 4%의 지분은 이명박의 고교 동창이자 후원회 '명사랑' 회장을 지낸 김창대가 갖고 있다.[1]
2. 1. 사업 현황
자동차 시트, 시트 프레임 등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2015년 기준 매출액은 213억원이고 경주 본사를 포함하여 전 세계 13개의 사업장을 운영 중이다.[1]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이 현대자동차에 대한 납품 거래에서 발생한다.[1]3. 이명박 차명 소유 의혹 및 법적 문제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명박 후보와 관련된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 제기되었다.[4] 이는 이명박의 비리 의혹 중 도곡동 땅 의혹과 BBK 주가 조작 사건 의혹을 연결하는 고리로 평가받기도 한다.[5]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2007년 12월 5일 BBK 주가 조작 사건의 주범으로 김경준을 기소하면서, 다스가 이명박의 소유라는 점을 인정할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7] 그러나 이명박이 차명으로 회사를 등록해 실소유주는 이명박이라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었다.[8]
2018년 10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에서 "피고인이 다스 실소유자이고 비자금 조성을 지시한 점이 넉넉히 인정된다"고 판결했다.[9]
3. 1. 실소유주 논란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한나라당 후보로 이명박이 선출되면서,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다스의 실소유주 문제는 이명박의 비리 의혹 중 도곡동 땅 의혹과 BBK 주가 조작 사건 의혹을 연결하는 고리로 평가받기도 한다.[5]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한나라당 후보자 선출 선거 과정에서 이러한 의혹이 제기되자, 이명박 측은 다스 설립 시기가 이명박이 현대그룹 계열사 사장을 맡고 있던 시기이므로 다스 소유주가 이명박일 수 없다고 해명했다.[6]
BBK 주가 조작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 (최재경 부장검사)은 2007년 12월 5일 이 사건의 주범인 김경준을 기소하면서, 다스가 이명박의 소유임을 인정할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7]
이명박이 차명으로 회사를 등록하여 실소유주는 이명박이라는 주장이 계속해서 제기되었다.[8]
2018년 10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7부 (재판장 정계선)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에서 "피고인이 다스 실소유자이고 비자금 조성을 지시한 점이 넉넉히 인정된다"고 밝혔다.[9]
3. 2. 검찰 수사 및 법원 판결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명박 후보와 관련된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 제기되었다.[4] BBK 주가 조작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2007년 12월 5일 다스가 이명박의 소유라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으나,[7] 이명박이 차명으로 회사를 등록해 실소유주라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었다.[8]이후 2018년 10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1심 선고에서 "피고인이 다스 실소유자이고 비자금 조성을 지시한 점이 넉넉히 인정된다"고 판결했다.[9]
3. 2. 1. 횡령 및 비자금 조성 의혹
2012년 11월 9일 한겨레는 정호영 특별검사팀이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다스에서 130억~150억원의 부외자금이 조성된 사실과 다스 경리 간부가 이 돈에서 3억원을 빼내 아파트를 구입한 사실 등을 확인하고도 수사 결과 발표 당시 공개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10]2017년 10월 27일 JTBC는 다스가 12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11]
2017년 12월 7일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은 다스의 횡령, 범죄수익 은닉, 조세회피 혐의 등 의혹과 정호영 전 특별검사의 직무유기 의혹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고발했다. 검찰은 해당 사건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1부에 배당했으나, 12월 22일 대검찰청 반부패부는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 별도 수사팀을 편성했다.[12][13]
2018년 2월 19일 검찰은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검찰 수사 결과, 다스 경리직원 조모씨는 2002년 6월부터 2007년 10월 무렵까지 다스 외환은행 법인계좌에서 출금 업무를 처리하면서 허위출금 전표를 삽입하거나 출금액을 과다 기재하는 수법으로 매월 1억~2억원을 수표나 현금으로 빼돌려 80억원을 횡령하였고, 이를 다스 협력업체인 세광공업의 경리 이모씨에게 전달하였다. 이씨는 시중은행 3곳, 보험회사 1곳, 투자신탁회사 1곳 등 5개 금융기관에 17명 명의의 차명 계좌 40여개를 개설해 5년간 보유하며 120억 4300만원으로 불렸다. 다스 경리 조씨는 이 중 자신의 어머니 명의 계좌에 보유한 돈을 주택 구입 자금 용도로 사용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회사 자금을 반환하지 않고 은닉하였다. 또한 김성우 전 사장, 권승호 전 전무가 경리 조씨와 공모하여 다른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 회사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 다스 경영진이 납품 대가를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사실도 확인되었다. 특수직무유기로 고발된 정호영 전 특별검사에 대해서는 무혐의 처리하였다.[14][15][16][17]
참조
[1]
뉴스
검찰이 밝힌 다스 30년사…MB 설립부터 아들 사업승계 추진까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3-20
[2]
보고서
주식회사 다스 재무제표에대한 감사보고서
http://dart.fss.or.k[...]
금융감독원
2017-04-03
[3]
보고서
주식회사 다스와 그 종속기업 연결재무제표에대한 감사보고서
http://dart.fss.or.k[...]
금융감독원
2017-04-03
[4]
뉴스
'김종률 "이명박 당선돼도 다스 실소유주 확인땐 당선무효"'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1-17
[5]
뉴스
"[COVER STORY ①|5년 추적 기자의 'BBK 의혹' 총정리] - 다스 투자금 190억 '진실과 거짓 사이'"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2007-11-20
[6]
뉴스
둘째 형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다스' 해명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11-20
[7]
뉴스
'李 BBKㆍ㈜다스 관련 의혹' 모두 무혐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8-07-01
[8]
뉴스
"다스 前 사장, 회삿돈 횡령... 40억 상당 건물을 내연녀 명의로"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8-10-24
[9]
뉴스
법원 “MB가 다스 실소유자”…11년 논란 마침표 찍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10-28
[10]
뉴스
"[단독] “4년전 BBK특검, 다스 100억대 비자금 알고도 덮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11-09
[11]
뉴스
"[단독] 다스 '120억 비자금' 차명 관리 의혹…문건 입수"
http://news.jtbc.joi[...]
JTBC
2017-10-27
[12]
뉴스
"[속보] 檢,'다스 120억 횡령 의혹' 수사팀 별도 편성"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12-22
[13]
뉴스
"검찰 '다스 120억 의혹' 수사팀 별도 편성…"신속 수사"(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2-22
[14]
뉴스
"[종합]'말단직원 횡령'이라는 다스 120억…특검과 같은 결론 왜?"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02-19
[15]
뉴스
"'다스 자금 120억' 검찰도 10년 전 특검처럼 개인횡령 결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2-19
[16]
뉴스
"[종합]檢, 다스 120억 '직원 횡령' 결론…정호영 특검 '무혐의'"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02-19
[17]
뉴스
"[일문일답]다스 수사팀 \"정호영 면죄부 아냐…법리적 판단\""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8-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