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원커우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원커우 문화는 기원전 4100년에서 기원전 2600년 사이에 존재했던 중국 신석기 문화로, 산둥성 다원커우 유적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이 문화는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모계 씨족 사회, 중기에는 부계 사회로의 변화를 보인다. 다원커우 문화는 흑도와 란각도(알 껍질과 같이 얇은 도기)를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로 이어진다. 다원커우 사회는 "군장국가" 형태로, 기장과 쌀을 재배하고 돼지를 주요 가축으로 길렀으며, 두개골 변형과 치아 절제와 같은 신체 변형 풍습이 있었다. 이들은 양사오 문화와 교류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신석기 문화 - 얼리터우 문화
    얼리터우 문화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중국 허난성 중서부 지역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문화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을 갖춘 유적에서 다양한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하 왕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중국의 신석기 문화 - 페이리강 문화
    페이리강 문화는 기원전 7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 사이 허난성 중부에서 조 농업과 축산업을 기반으로 번성한 신석기 문화로, 고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자기 제작 문화 중 하나이며 주거지와 묘지를 분리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원커우 문화
문화 개요
이름다원커우 문화
다원커우 문화 지도
다원커우 문화 분포도
위치중국 북부
시기신석기 시대 중국
연대기원전 4300년경 – 기원전 2600년경
대표 유적지다원커우 유적지 (미지정)
이전 문화베이신 문화
이후 문화룽산 문화
중국어 (간체)大汶口文化
병음Dàwènkǒu Wénhuà
일본어다이분코우 분카 (だいぶんこう ぶんか)
특징
설명중국 신석기 문화
참고 문헌
도서 정보Maisel, Charles Keith (1999).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Psychology Press. ISBN 978-0-4151-0975-8.
Lee, Christine; Burnett, Scott E.; Irish, Joel D.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al Dental Ablation and Hereditary Agenesis in Late Neolithic to Early Bronze Age China". A World View of Bioculturally Modified Teeth. University Press of Florida. ISBN 978-0-8130-5297-7. doi:10.5744/florida/9780813054834.003.0007.

2. 역사

르자오시(日照市) 쥐현(莒縣)에서 출토된 다원커우 문화의 토기


다원커우 문화는 1959년 산둥성 타이안 시 다이웨 구 다원커우(大汶口)진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유래한다. 1962년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1964년 다원커우 문화로 명명되었으나, 이후 출토품을 통해 양사오 문화와 동시대이거나 그보다 더 오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1974년1978년에도 발굴이 진행되었는데, 다원커우 문화와 관련된 유물은 유적 층의 중간 부분에서만 발견되었다. 깊은 층에서는 베이신 문화(기원 전 5300년 ~ 기원 전 4100년), 얕은 층에서는 룽산 문화(기원 전 3000년 ~ 기원 전 2000년)와 관련된 특징이 나타났다. 다원커우 문화 유적에서는 터키석, 비취, 상아 등으로 만든 가공품과 도기가 많이 출토되었다.[2]

2. 1. 시기 구분

다원커우 문화는 초기(기원 전 4100년 ~ 기원 전 3500년), 중기(기원 전 3500년 ~ 기원 전 3000년), 후기(기원 전 3000년 ~ 기원 전 2600년)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사회가 모계 씨족 공동체였으며, 성별 등에 따른 계급 차이는 크지 않았다고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삼족토기나 솥 등 다양한 형태의 도기가 특징적이며, 후기에는 흙으로 만든 분묘가 많아진다.[2]

중기에는 홍도에서 회도, 흑도로 만들어진 도기가 증가하며, 크기, 문양, 형태가 다양해진다. 또한, 사회가 부계 씨족 공동체로 바뀌면서 부계 사회가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2]

후기에는 분묘 안에 목제 관이 나타나고, 사회 계층화가 진행되어 부장품의 양에 차이가 나타난다. 회도와 흑도가 주류를 이루며, 그릇의 두께는 얇고 정교해져 룽산 문화로 이어진다.[2]

다원커우 문화 시기 구분
시기연대특징
초기기원전 4100년 ~ 기원 전 3500년모계 씨족 공동체, 다양한 형태의 도기, 흙으로 만든 분묘
중기기원전 3500년 ~ 기원 전 3000년회도, 흑도 증가, 부계 사회 확립
후기기원전 3000년 ~ 기원 전 2600년목제 관, 사회 계층화, 얇고 정교한 회도 및 흑도


3. 사회

다원커우 사회는 일종의 "군장국가" 형태로, 지배적인 씨족 집단이 마을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 권력은 강압보다는 종교적 권위를 통해 나타났을 가능성이 크다. 베이신 문화와는 달리 다원커우 사람들은 폭력적인 충돌에 자주 연루되었으며, 학자들은 이들이 토지, 작물, 가축, 명예 상품 등을 얻기 위해 약탈을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7]

당시 이 지역은 온난 습윤한 기후로 다양한 작물 재배에 적합했을 것이나, 대부분 지역에서는 기장을 재배했다. 남부 지역에서는 이 더 중요한 작물이었으며, 상류층은 주로 쌀을, 일반 사람들은 주로 기장을 섭취했다는 분석 결과가 있다. 이들은 닭, 개, 돼지, 소를 키웠으나 말을 길들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으며, 특히 돼지가 주요 가축이었다. 해산물도 중요한 식량원 중 하나였다.

유해에서는 두개골 변형이나 치아를 뽑는(발치) 풍습이 흔하게 발견되며, 기원전 3천년 경의 두개골에서는 천두술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치아는 시노돈트에 해당한다.[18]

3. 1. 농업과 식생활

다원커우 문화 지역의 따뜻하고 습한 기후는 다양한 작물 재배에 적합했지만, 대부분의 유적지에서는 주로 기장을 재배했다. 기장 생산은 상당히 성공적이었으며, 부패를 고려했을 때 최대 2000kg의 기장을 보관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저장 용기가 발견되었다.[4] 다원커우 후기에는 일부 남부 다원커우 유적지에서 이 더 중요한 작물이었다. 산둥 남부 다원커우 유적에서 발견된 인골에 대한 분석 결과, 상류층 다원커우 사람들의 식단은 주로 쌀로 구성된 반면, 일반 사람들은 주로 기장을 먹었다.[4]

다원커우 사람들은 닭, 개, 돼지, 소를 성공적으로 가축화했지만, 말의 가축화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돼지 유해가 압도적으로 많아 전체의 약 85%를 차지하며, 가장 중요한 가축으로 여겨진다. 돼지 유해는 다원커우의 매장지에서도 발견되어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해산물 또한 다원커우 식단의 중요한 주식이었다. 초기 시대에는 물고기와 다양한 조개류 무덤이 발견되어 중요한 식량원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더미는 후기 단계에서는 덜 빈번해졌지만, 해산물은 식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4]

3. 2. 신체 변형 풍습

다원커우 사람들은 시노돈트 치아 패턴을 보였다.[14] 이들은 치아를 뽑거나(발치) 두개골 형태를 변형시키는 신체 변형 풍습을 따랐다.[2] 다원커우 유적지의 매장지에서는 두개골 변형과 치아 발치가 흔하게 발견되었지만, 이러한 풍습은 청동기 시대 초기에 중국 본토에서 사라졌다.[2] 다원커우인들의 치아 발치 빈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60–90%), 주로 위쪽 앞니와 송곳니를 뽑았고, 그 다음으로는 아래쪽 앞니를 뽑았다. 대부분의 치아는 13세에서 15세 사이에 뽑힌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원커우 유적에서 치아 발치를 한 사람의 비율은 50%로 감소했다.[2] 기원전 3000년경 다원커우 사람의 두개골에서는 천두술 흔적도 발견되었다.[18]

4. 문화

다원커우 사회는 일종의 "군장국가" 형태로, 유력한 씨족 집단이 마을을 지배했지만, 그 권력은 강제력보다는 종교적 권위를 통해 행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17] 베이신 문화를 직접적인 조상으로 둔 다원커우 사람들은 폭력적인 분쟁에 자주 가담했으며, 토지, 작물, 가축, 명품 등을 약탈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당시 이 지역은 온난 습윤한 기후 덕분에 다양한 작물 재배에 적합했지만, 대부분 지역에서는 기장을 재배했다. 그러나 남부 다원커우 문화권에서는 이 더 중요한 작물이었으며, 이는 후기로 갈수록 더욱 뚜렷해졌다. 산둥성 남부에서 발견된 유해 분석 결과, 상류층은 주로 쌀을, 일반 사람들은 주로 기장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닭, 개, 돼지, 소를 길렀지만, 말을 길들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돼지 유해가 85%로 가장 많이 발견되어 돼지가 주요 가축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해산물 역시 중요한 식량 자원 중 하나였다. 초기에는 생선과 다양한 조개 껍데기가 발견되어 주식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후기에는 덜 빈번해졌지만 여전히 식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다원커우인들은 두개골 변형이나 치아를 갈아내는 인체 변형 풍습을 흔하게 행했다. 기원전 3천 년경 다원커우인의 두개골에서는 천두술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치아는 시노돈트에 해당한다.[18] 다원커우 문화 사람들은 선사 시대 중국에서 두개골 절제술을 가장 먼저 시행한 사람들 중 하나였다. 기원전 3000년경 다원커우인의 두개골에서 심각한 머리 부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원시적인 수술로 치료된 것으로 보인다.[5] 다원커우 유적지에서는 악어 가죽으로 만든 북도 발견되었다.

투각 디자인의 상아 빗

4. 1. 예술과 공예


  • -|]]
  • -|]]

4. 2. 다른 문화와의 교류

다원커우 문화는 양사오 문화와 광범위하게 교류했다. "2천 5백 년 동안 다원커우는 양사오 문화와 역동적인 교류를 해왔으며, 이러한 상호 작용 과정에서 때로는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룽산 문화를 생성하는 데 기여했다."[1] 학자들은 또한 다원커우 문화와 량주 문화, 그리고 양쯔강 유역의 관련 문화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했다.[6]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다원커우 문화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전 언어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7][8][9] 다른 연구자들은 다원커우 거주자와 현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사이의 문화적 관습(예: 치아 발치)과 건축에서 유사성을 언급하기도 했다.[10] 그러나 다원커우는 남쪽에 있는 오스트로네시아 이전 문화와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보인다.[16][15]

개 모양의 용기

4. 3. 기원과 언어

다원커우 문화는 양사오 문화와 활발하게 교류하였으며, 룽산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학자들은 다원커우 문화가 량주 문화 및 양쯔강 유역의 다른 문화들과 유사성을 가진다고 보았다.[6]

일부 학자들은 다원커우 문화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전 언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7][8][9] 다른 연구자들은 치아 발치와 같은 문화적 관습에서 다원커우 거주자와 현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사이의 유사성을 언급하기도 했다.[10] 그러나 다원커우인들은 남쪽에 있던 오스트로네시아 이전 문화와는 유전적으로 구별된다.[16][15]

자후 문화 사람들과의 신체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다원커우 문화가 화이허와 한수이의 중·하류를 따라 이동하며 자후 문화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11] 하지만, 다원커우 문화가 남쪽 인근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주장도 있다.[12] 다원커우 문화는 베이신 문화에서 파생되었지만, 양쯔강과 화이허 사이에 위치한 룽추주앙 문화의 북쪽 확장에 큰 영향을 받았다.[13]

다원커우 사람들은 시노돈트 치아 패턴을 보였으며,[14] 치아 발치와 두개골 변형을 시행했다. 다원커우 유적지에서는 두개골 변형과 치아 발치가 발견되었지만, 이러한 풍습은 청동기 시대 초기에 중국 본토에서 사라졌다. 치아 발치는 주로 위쪽 앞니와 송곳니에서 행해졌으며, 13세에서 15세 사이에 발치된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원커우에서 치아 발치를 한 사람의 비율은 50%로 감소했다.[2]

다원커우인들은 허무두 문화, 중국 남부, 타이완의 신석기 시대 거주자들과는 신체적으로 달랐다.[15] DNA 검사 결과, 산둥성의 신석기 시대 거주자들은 고대 북동아시아인과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16]

5. 갤러리


  • -|]]
  • -|]]

참조

[1] 서적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Psychology Press
[2] 서적 A World View of Bioculturally Modified Teeth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7
[3] 서적 Encyclopedia of Prehistory: Volume 3: East Asia and Oceania 2001
[4]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2013
[5] 논문 THE ARCHAEOLOGICAL EVIDENCE OF TREPANATION IN EARLY CHINA 2007
[6] 서적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Psychology Press
[7] 서적 Quests of the Dragon and Bird Clan https://books.google[...] 2006-10
[8] 논문 The expansion of Setaria farmers in East Asia https://www.academia[...] 2014-07-31
[9] 서적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5
[10] 서적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11] 논문 Oldest playable musical instruments found at Jiahu early Neolithic site in China https://ccrma.stanfo[...] 2014-02-19
[12]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Correlating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hypotheses https://archive.org/[...] 1997
[13] 논문 Northward Expanding of the Longqiuzhuang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Dawenkou Culture https://xueshu.baidu[...] 2011
[14] 논문 Dental morphology of the Dawenkou Neolithic population in North Chin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Sinodonty 2003
[15] 서적 Prehistoric Settlement of the Pacific, Volume 86, Part 5 1996
[16] 논문 Ancient DNA indicates human population shifts and admixture in northern and southern China 2020
[17] 서적 Encyclopedia of Prehistory: Volume 3: East Asia and Oceania 2001
[18] 논문 Dental morphology of the Dawenkou Neolithic population in North China: implications for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Sinodonty. 2003
[19] 서적 Prehistoric Settlement of the Pacific, Volume 86, Part 5 1996
[20] 논문 Ancient DNA indicates human population shifts and admixture in northern and southern China.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