량주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량주 문화는 기원전 3300년에서 기원전 2300년 사이에 번성했던 중국 신석기 문화로, 현재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벼농사를 기반으로 도시 문명을 이루었으며, 옥기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통해 당시 사회의 분업과 계층화를 보여준다. 량주 문화는 1000년가량 번성했지만, 홍수로 인해 쇠퇴하였으며,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하나라를 건국하거나 쓰촨 분지로 이동하여 삼성퇴 문화를 이루었다고 전해진다. 량주 유적은 2019년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강 문명 - 월나라
기원전 6세기 후반부터 기원전 306년까지 저장성 지역에 존재했던 월나라는 오나라와의 전쟁, 구천의 와신상담 고사로 유명하며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중원 패권을 다투었으나 멸망 후 일부는 남하하여 민월을 건국, 구리 생산 기술과 해군력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 장강 문명 - 오 (춘추)
주 문왕의 맏형 태백이 세운 오나라는 장쑤성 남부를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 합려왕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하며 춘추오패 중 하나가 되었으나, 월나라와의 경쟁에서 패하여 기원전 473년에 멸망하였다. - 장강 삼각주 - 사오싱시
사오싱시는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로, 월나라 수도였으며, 황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이름에서 유래했고, 법률 전문가 네트워크 중심지이자 주요 인물들의 고향이며, 특산물과 관광 산업이 발달한 지급시이다. - 장강 삼각주 - 항저우시
항저우시는 저장성의 성도이자 부성급시로,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남송 시대 수도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개혁개방 이후 경제 성장과 국제 행사를 통해 국제적인 도시로 발돋움한 곳이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룽산 문화
룽산 문화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 황하 유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로, 흑색 도기, 도시 출현, 사회 계층화 심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중국 문명 기원과 발달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양사오 문화
황하 유역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번성한 양사오 문화는 채색 도기, 움집, 수수 경작을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농업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논쟁이 있다.
량주 문화 | |
---|---|
개요 | |
![]() | |
![]() | |
![]() | |
위치 | 중국 장쑤성, 상하이시, 저장성의 장강 삼각주 |
시기 | 중국 신석기 시대 |
연대 | 기원전 3300년 ~ 2300년 |
이전 문화 | 쑹쩌 문화, 허무두 문화 |
명칭 | |
한자 | 良渚文化 |
로마자 표기 | Liángzhǔ Wénhuà |
영어 | Liangzhu culture |
특징 | |
추가 정보 | |
설명 | 장강 삼각주의 신석기 시대 옥 문화 |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 등재됨 |
2. 역사
량주 문화는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송저 문화 등을 계승하고 있으며,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와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기둥형, 송곳형, 삼차형 등 다양한 옥기와 비단 등이 출토되었다. 순장이 이루어진 무덤 등을 통해 당시 사회에 분업과 계층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장강 문명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량주 문화는 하나라나 은나라와 비교되기도 한다. 황제의 삼묘정복(三苗征服) 전설은 황하 유역의 중원 부계 집단인 룽산 문화가 삼묘(먀오족)를 정복한 흔적이며,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 간의 세력 다툼을 보여준다는 견해도 있다.
량주 문화는 벼농사를 기반으로 도시 문명을 이루었으며, 약 1000년 동안 번영했지만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 왕조를 세웠다고 한다. 이후 하 왕조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족 후예(后羿) 부족에 의해 멸망했고, 하 왕조 유족 일부는 북서쪽 쓰촨 분지로 이동하여 삼성퇴 문화를 건설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 1. 기원과 발전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송저 문화 등을 계승하고 있어,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와의 관련도 지적되고 있다. 기둥형(柱形), 송곳형(錐形), 삼차형(三叉形) 등 다양한 옥기 외에 비단 등도 출토되었다. 순장을 시킨 무덤 등에서 분업이나 계층화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최근 장강 문명에 대한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량주 문화는 하나라나 은나라 왕조에 비교되고 있다. 황제의 삼묘정복(三苗征服) 전설을 황하 유역의 중원 부계 집단의 룽산 문화에 의한 삼묘(먀오족) 정복의 흔적으로 간주하며,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의 세력 다툼을 그린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량주 문화는 벼농사를 하며 도시 문명을 형성하고 있었다. 1000년 정도 번영을 누렸으나,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 왕조를 일으켰다. 이후 하 왕조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족의 후예(后羿) 부족에 의해 전복되었다. 하 왕조의 유족 일부는 북서쪽으로 피해 쓰촨 분지로 이주하여 삼성퇴 문화를 이룩하였다고 한다.
2. 2. 쇠퇴와 멸망
량주 문화는 벼농사를 기반으로 도시 문명을 형성하고 약 1000년 동안 번영하였으나, 홍수로 인해 쇠퇴하였다.[29] 기원전 2500년경에 번성했지만, 기원전 2300년경 이후 타이호 지역에서 사라졌으며, 이후 수년간 이 문화의 흔적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6]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지역의 수위 상승으로 인해 인간 정착지의 발달이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 연구자들은 량주 문화의 쇠퇴가 홍수와 같은 극심한 환경 변화로 인해 발생했다고 결론지었다. 문화층은 일반적으로 진흙, 습지, 모래-자갈층에 의해 중단되며 고대 나무가 묻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7]
또 다른 시나리오는 이 기간 동안 극심한 몬순 강우로 인해 댐과 문화 유적이 파괴되는 대규모 홍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8] 2021년 연구에서는 엘니뇨-남방진동 조건의 빈도 증가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수십 년 동안의 높은 강수량(4345 ± 32년과 4324 ± 30년 사이 B.P.)이 량주 문화의 소멸과 일치한다고 밝혔다.[9][10] 연구자들은 "양쯔강 중하류 전체의 대규모 강우는 양쯔강 플룸에 의해 운반된 하천 범람 및/또는 제방 해양 범람을 유발하여 인간의 거주와 벼농사를 방해했을 수 있다. 배수가 잘 되지 않는 저지대에서의 대규모 홍수와 침수는 량주 사람들이 타이후 평원의 수도와 거주지를 버리도록 강요하여 결국 량주 문명 전체의 붕괴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9][10]
이러한 사건은 4.2킬로년 사건 기간 또는 그 이전 1세기 동안 발생했을 수 있으며, 이 사건은 인더스 문명, 고대 이집트, 수메르의 아카드 제국을 포함한 최초의 인류 문명 대부분을 붕괴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학자들은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 왕조를 일으켰다고 주장한다.[29] 이후 하 왕조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족의 후예 부족에 의해 전복되었고, 하 왕조 유족의 일부는 북서쪽으로 피신하여 쓰촨 분지로 이주, 산싱두이 문화를 건설했다고 한다.[29]
3. 특징
량주 문화는 발전된 농업 기술과 정교한 수공예 기술을 보유하고, 종교 의례를 중시했던 사회였다.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기둥형(柱形), 송솟형(錐形), 삼차형(三叉形) 등 다양한 옥기가 발굴되었다. 특히 도철 문양이 새겨진 정교한 대형 의례용 옥기가 특징적이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무게 3.5kg의 총(원통형 옥기)이 있으며, 벽(원반 모양 옥기), 월(의례용 도끼)도 발견되었다. 량주 옥기는 트레몰라이트나 액티노라이트, 사문석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중국의 다른 신석기 문화와 후대 옥기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도기:

량주 문화의 도기는 끈으로 무늬를 새기거나 깎아서 장식한 도기 받침이 특징적이며, 붉은색 칠을 한 경우가 많다. 일부는 산둥의 룽산 흑도(검은 간토기)와 유사하지만, 대부분은 부드럽게 구운 회색 바탕에 검은색 또는 붉은색 칠을 한 형태였다.[16] 량주 문화와 다원커우 유적의 도자기 제작 과정이 유사하여 두 문화 간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 종교: 저장성 요산진에서 발굴된 량주 문화의 제단은 정교한 구조와 돌 벽 배치 등을 통해 당시 종교가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일부 학자들은 량주 문화에서 노예 순장 풍습이 있었다고 주장한다.[24]
량주 문화는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龍山文化)와의 관련성도 제기되며, 장강 문명 연구가 진전되면서 하나라나 은나라 왕조에 비견되기도 한다.
3. 1. 도시 건설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2007년 11월 29일, 저장성 정부는 고대 도시 성벽 기저 유적의 새로운 발견을 발표했다. 이 유적지는 량주 문화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량주 고대 도시는 톈무산맥의 다슝산과 다저산 사이의 강 네트워크 평원에 있는 습지 환경에 위치해 있다. 이 고대 도시는 이 시대의 가장 큰 도시라고 한다. 내부 면적은 290헥타르이며, 6개의 성문이 있는 흙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북쪽, 동쪽, 남쪽 벽에 두 개의 문이 있었다. 중심에는 30헥타르에 걸쳐 있는 궁궐 유적이 있었고, 도시 내부에 인공적인 홍수 방지 설계의 흔적도 있었다. 이 두 구조물은 당시 량주에서 발전하고 있는 사회적 복잡성의 지표라고 한다. 최대 15000kg의 쌀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곡물 창고가 있었을 수 있다.
도시 안팎에는 수많은 수로 입구가 있어 강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 안에는 인공 흙 언덕과 자연 언덕이 있었다. 성벽 밖에는 700헥타르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거주지는 도시 계획 시스템으로 건설되었다고 한다. 북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서 다양한 댐과 같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고대 홍수 방지 시스템으로 추정된다. 또한 도시 안팎에서 생산, 생활, 군사 및 의례 목적의 수많은 도구가 발견되었으며, 유적에는 성벽, 대형 구조물의 기초, 무덤, 제단, 주거지, 부두 및 작업장이 포함된다. 이 도구들은 정교한 량주 옥기를 대표한다. 량주 도시 유적지는 이 지역이 이전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특정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정착하고 개발되었다고 한다.[11]
지금까지 300개 이상 발견된 전형적인 량주 공동체는 강 근처에 살기를 선택했다. 배와 노가 회수되었으며, 이는 배와 수공예품에 대한 숙련도를 나타낸다. 량주 유적지에서는 홍수 방지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나무 부두와 제방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3. 2. 농업 기술
량주 문화는 관개, 논농사 및 양식업을 포함한 발전된 농업 기술을 보유했다. 주거지는 종종 강이나 해안선에 말뚝 위에 건설되었다.[11] 300개 이상 발견된 전형적인 량주 공동체는 강 근처에 살기를 선택했으며, 배와 노가 회수되어 배와 수공예품에 대한 숙련도를 나타낸다. 량주 유적지에서는 홍수 방지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나무 부두와 제방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집은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나무 위에 세워졌지만, 높은 지대의 집에는 초가 지붕이 있는 반 지하 가옥이 포함되었다.[12] 이 기간 동안 먀오첸 유적지의 우물 기술은 이전 허무두 시대의 기술과 유사했다.[13] 량주 문화는 한 계곡의 북쪽 동시대 사람들보다 사회적으로 더 발전되고 복잡했다고 한다.[14]3. 3. 공예 기술
량주 문화는 옥기와 도기 등 다양한 공예 기술이 발달하였다.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기둥형(柱形), 송솟형(錐形), 삼차형(三叉形) 등 다양한 옥기와 비단 등이 발굴되었다. 량주 유적의 거주민들은 "구부러진 무릎" 모양의 자귀 자루, 돌로 된 얽히지 않은 자귀, 소용돌이와 원을 사용한 예술 양식을 보였다.[15] 또한 슬레이트 수확 칼, 창끝 등도 제작하였다.
3. 3. 1. 옥기
량주 문화의 옥기는 정교하게 가공된 대형 의례용 옥이 특징이며, 도철 문양이 새겨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문화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무게가 3.5kg에 달하는 총(원통형 옥기)이 있다. 그 외에도 벽(원반 모양 옥기)과 월(의례용 도끼)도 발견되었다. 새, 거북이, 물고기 등을 새긴 작은 옥 펜던트도 출토되었다.량주 옥 공예품은 트레몰라이트 계열 암석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매장 환경의 영향으로 흰색의 뼈와 같은 외관을 가진 경우가 많다. 액티노라이트나 사문석으로 만든 옥기도 발견된다.
량주 유적에서 출토된 옥 공예품은 중국의 다른 신석기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산둥성의 룽산 문화, 산시성의 타오쓰 유적, 간쑤성과 칭하이성의 치자 문화 등에서 량주 문화와 유사한 옥기가 발견되었다.[20][21] 량주 옥 공예 기술은 이후 중국의 의례용 옥기 제작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1]
량주의 "고대 도시"는 최고의 옥 제품을 통제했지만, 덜 중요한 유적에서도 옥 공예품이 생산되었다. 이를 통해 량주 문화가 단순한 피라미드 구조 사회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량주는 옥을 활발하게 수출했지만, 수입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22]
3. 3. 2. 도기
량주 유적 거주민들은 유물 디자인에 끈으로 표시한 도자기, 잘라낸 장식이 있는 도자기 받침대를 사용했다.[15] 도자기는 종종 붉은색 슬립으로 장식되었다. 량주 도자기 중 일부는 산둥의 룽산 흑색 "난각" 스타일을 연상시키지만, 대부분은 달랐으며 부드럽게 구운 회색에 검은색 또는 붉은색 슬립이 있었다.[16] 또한 일부 흑색 "난각" 도자기 제작에 트레몰라이트 입자가 사용된 증거도 있다. 도자기의 검은색은 탄소화 및 소성 과정의 유사한 발전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량저우 문화와 다원커우 유적인 량청전의 도자기 제작 과정 간의 유사성이 주목되었으며, 이로 인해 연구자들은 두 문화 간에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믿게 되었다. 광푸린 유적은 북부 문화의 영향을 보여주었지만, 전형적인 량주 유적과 매우 유사한 도자기 제작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17]
3. 4. 종교
저장성 요산진에서 발굴된 량주 문화의 신석기 제단은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며, 돌과 암석 벽을 신중하게 배치하여 종교가 상당한 중요성을 가졌음을 시사한다. 제단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높은 층은 다짐토로 만든 플랫폼이다. 3개의 추가 플랫폼은 조약돌로 포장되어 있었다. 돌담의 유적도 존재한다. 제단에는 두 줄로 12개의 무덤이 있다.[23] 일부 학자들은 노예를 제물로 바치는 의식이 량주 문화의 일부였다고 주장한다.[24]4. 유전학적 연구
2007년, 양쯔강 유역의 선사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골의 DNA를 분석한 결과, 마차오와 신딜리 량주 문화 유적에서 O1-M119 하플로그룹(Y-DNA)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을 오스트로네시아 및 크라-다이 민족과 연결시켜준다.[25][26] 량주 문화는 양쯔강 하구 주변의 해안 지역에 존재했다. O1-M119 하플로그룹은 내륙의 다른 량주 문화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 저자들은 이것이 동아시아 인구 형성 과정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간 이주 경로, 즉 해안 경로와 내륙 경로가 있었으며, 이들 간에는 유전자 교류가 거의 없었다는 증거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25][26]
5. 량주 문화와 다른 문명과의 관계
량주 문화는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와의 관련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나라나 은나라와 비교되기도 한다. 벼농사를 기반으로 도시 문명을 형성한 량주 문화는 약 1000년 동안 번영하다가 홍수로 붕괴되었다. 이후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하 왕조를 일으켰고, 하 왕조가 멸망한 후에는 유족들이 쓰촨 분지로 이주하여 삼성퇴 문화를 건설했다는 견해가 있다.[29][30]
5. 1. 룽산 문화와의 관계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 량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송저 문화 등을 계승하고 있어,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와의 관련도 지적되고 있다. 기둥형(柱形), 송솟형(錐形), 삼차형(三叉形) 등 다양한 옥기와 비단 등도 출토되었다. 분업이나 계층화가 진행되고 있었던 것은 순장을 시킨 무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황제의 삼묘정복(三苗征服) 전설은 황하 유역의 중원 부계 집단의 룽산 문화가 삼묘(먀오족)를 정복한 흔적으로 간주하며, 황하 문명과 장강 문명의 세력 다툼을 그린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5. 2. 하(夏)나라와의 관계
최근 장강 문명에 대한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량주 문화는 하나라나 은나라 왕조에 비교되고 있다.[28]쉬차오룽에 따르면[29], 량주 문화는 벼농사를 하며 도시 문명을 형성하고 있었다. 1000년 정도 번영을 한 후, 홍수로 인해 이 문화는 붕괴되었다.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쪽으로 올라가서,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 왕조를 일으켰다. 이윽고 하 왕조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족의 후예(后翠) 부족에 의해 전복되었다. 하 왕조의 유족 일부는 북서쪽으로 피해, 쓰촨 분지로 이주하여, 삼성퇴 문화를 이룩하였다고 한다.[30]
5. 3. 삼성퇴 문화와의 관계
량주 문화는 벼농사를 기반으로 도시 문명을 형성하였다. 약 1000년 동안 번영을 누린 후, 홍수로 인해 붕괴되었다. 량주 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나라를 세웠다. 이후 하나라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족의 후예 부족에게 멸망당했다. 하 왕조 유족의 일부는 북서쪽으로 피신하여 쓰촨 분지로 이주, 삼성퇴 문화를 건설하였다고 한다.[29]6. 량주 유적
1936년 저장성 항저우시에서 량주 유적이 발굴되었다. 량주 유적은 송저 문화(崧沢文化) 등을 계승하고 있어, 황하 문명의 산둥 룽산 문화(龍山文化)와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기둥형(柱形), 송곳형(錐形), 삼차형(三叉形) 등 다양한 옥기와 비단 등이 출토되었다. 순장을 시킨 무덤 등을 통해 분업과 계층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궁전과 그 주변을 둘러싼 성곽 도시, 묘지, 공방 등이 출토된 량주 유적은 중국 최고(最古)급의 도시 유적으로, 초기 도시 문명을 보여준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아 2019년에 '량주 고성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27]
참조
[1]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2013
[2]
웹사이트
The height of China's history
https://web.archive.[...]
2015-07-14
[3]
뉴스
The mysterious ancient figure challenging China's history
http://www.bbc.com/c[...]
2019-10-10
[4]
뉴스
Liangzhu: the 5,000-year-old Chinese civilisation that time forgot
https://amp.scmp.com[...]
2020-04-18
[5]
웹사이트
Seven cultural sites inscribed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https://en.unesco.or[...]
2019-07-06
[6]
웹사이트
Migration of the Tribe and Integration into the Han Chinese
https://web.archive.[...]
Qingpu Museum
2014-01-29
[7]
간행물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its impacts on human settlement in the Shanghai Area, East China
[8]
웹사이트
Steinzeit-Venedig ging im Starkregen unter
https://www.spektrum[...]
2011-11-25
[9]
간행물
Collapse of the Liangzhu and other Neolithic cultures in the lower Yangtze reg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2021-11-26
[10]
웹사이트
Mysterious Vanishing of Advanced Chinese Civilization 4,000 Years Ago Finally Solved
https://www.sciencea[...]
2021-11-29
[11]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2013
[1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2009
[13]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2013
[14]
간행물
The Neolithic of Southern China–Origin, Development, and Dispersal
2008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1999
[16]
서적
A Handbook of Chinese Ceramics
1988
[17]
간행물
Analysis of the potteries from ancient Liangzhu city-site
2013
[18]
웹사이트
In China, gems used as tools millennia earlier than thought
https://web.archive.[...]
Harvard
2015-07-03
[19]
서적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Psychology Press
[20]
웹사이트
Searching for a Lost Civilization: New Findings from the Liangzhu Archaic City From:Chinese Archaeology Writer:
http://www.kaogu.cn/[...]
IA CASS
2015-07-03
[21]
웹사이트
Liangzhu Archaeological Site
https://whc.unesco.o[...]
2019-12-26
[22]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2013
[23]
서적
Chinese Architecture -- The Origins of Chinese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Psychology Press
[25]
간행물
Y chromosomes of prehistoric people along the Yangtze River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New paths to old worlds
http://the.honolulua[...]
2015-06-28
[27]
웹사이트
Archaeological Ruins of Liangzhu City
https://whc.unesco.o[...]
2023-05-17
[28]
서적
図説 中国文明史1 文明への胎動
創元社
2006
[29]
서적
長江文明の発見
https://1000ya.isis.[...]
角川書店
1998
[30]
간행물
Y chromosomes of prehistoric people along the Yangtze Ri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