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아몬드 힐 역은 홍콩 지하철 군통 선과 튄마 선의 환승역이다. 1979년 군통 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20년 튄마 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향후 동구룡선이 개통되면 3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역은 지하에 위치하며, 군통 선과 튄마 선 모두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역 내에는 상점과 ATM 등 편의 시설이 있으며, 여러 출구를 통해 주변 지역으로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튄마선 - 호만틴역
호만틴역은 췬통선과 툰마선 승강장 개통으로 운영을 시작한 지하철역으로, 대합실과 출구, 3호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6개의 출구와 인근 편의·문화 시설, 건설 과정에서의 논란, 열차 탈선 사고, 조형물 설치 및 문화 행사 개최 등의 특징을 가진다.
다이아몬드 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다이아몬드 힐 |
중국어 (번체) | 鑽石山 |
중국어 (간체) | 钻石山 |
병음 | Zuànshí shān Zhàn |
광동어 | ツィンセクサン ツァム |
광동어 병음 | zyun3 sek6 saan1 zaam6 |
일본어 | 鑽石山駅 (ツィンセクサン) |
영어 | Diamond Hill Station |
위치 | 홍콩 구룡웡타이신 구 다이아몬드힐 룽청 로 × 타이홈 로, 타이홈 빌리지 |
![]() |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MTR Corporation |
노선 |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4 (2개의 섬식 승강장) |
층 수 | 2 |
선로 수 | 4 |
개업일 | }} }} |
전기화 | (가공 전차선)}} |
접근성 | 지원 |
역 코드 | DIH |
소유주 | MTR Corporation |
운영자 | MTR Corporation |
이전 역 | 웡타이신 역 |
다음 역 | 초이훙 역 |
이전 역 | 카이탁 역 |
다음 역 | 힌겡 역 |
연결 | |
연결 교통 | 버스 미니버스 |
기타 정보 | |
주소 | 룽청 로 × 타이홈 로, 타이홈 |
자치구 | 웡타이신 구, 홍콩 |
부기 정보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모든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군통 선 개통 (1979년)
다이아몬드 힐역은 1979년 10월 1일 觀塘선의 일부로 개통되었다.[5] 이 역은 계약 207에 따라 폴 Y. 건설(현재 폴 Y. 엔지니어링)에서 건설되었다.[3]2. 2. 튄마 선 개통 (2020년)
튄마선(屯馬線) 승강장은 2020년 2월 14일에 개통하여 운영을 시작했다.[6]3. 역 구조
다이아몬드 힐역은 지하역이다.[7] 군통선과 튄마선 승강장 모두 각각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7] 튄마선 승강장은 군통선 승강장 아래층에 위치한다.[1] 과거 동구룡선을 위한 승강장 공간이 예비되어 있었으나 현재 사용되지는 않는다.[1] 출입구는 총 5곳이 있다.[7]
3. 1. 층별 구조



군통선 승강장인 1번과 2번 승강장은 하나의 섬식 승강장을 공유한다. 1979년 다이아몬드 힐 역 건설 당시 동구룡선 승강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확보해 둔 공간이 있으며, 이는 군통선 승강장의 광고판 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공간은 다듬지 않은 암반 상태로 남아있다.[1]
2021년 튄마선이 개통되면서 군통선 승강장 아래 L5층에 3번, 4번 승강장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이 승강장 역시 섬식 승강장 형태이다. 튄마선 승강장과 확장된 대합실 건설은 사틴-센트럴 링크 프로젝트의 일부로 진행되었다.[1]
층 | 구조 | 시설 및 승강장 정보 |
---|---|---|
G | 지상 | 출구, 대중교통 환승 시설 |
L2 | 대합실 | 고객 서비스 센터, MTR 상점, 자판기 |
항셍은행, ATM | ||
L3 | 상층 승강장 (군통선) | 1번 승강장 (군통선) → 티우겡렝 방면 (초이훙) |
섬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2번 승강장 (군통선) ← 웡보 방면 (웡다이신) | ||
L5 | 하층 승강장 (튄마선) | 4번 승강장 (튄마선) ← 우카이사 방면 (힌겡) |
섬식 승강장, 왼쪽 문 열림 | ||
3번 승강장 (튄마선) → 튄문 방면 (카이탁) |
3. 2. 역 내 시설
'''역 구내 상점'''- 세븐일레븐
- 미심시빙(美心西餅zho)
- 홍복당(鴻福堂zho) 건강쾌선
- 렁서우모유
- 쟁선 자가 스시
- 성안나병옥(聖安娜餅屋zho)
'''자동 서비스'''
- 항생은행 恒生銀行zho ATM
- 중국은행(홍콩) 中国銀行(香港)zho ATM 서비스 센터
- 자동판매기
4. 출구
5. 교통
다이아몬드 힐역은 홍콩 지하철 시스템의 중요한 교통 지점 중 하나이다. 역 주변에는 버스 터미널이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버스 노선을 통해 가우룽 및 신계의 여러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1. 버스 터미널 (C1/C2 출구)
- '''19''' - 다이아몬드힐 공동묘지 방면
- '''19A''' - 그랜드뷰 가든 방면
- '''33A''' - 힐탑 가든 방면
- '''11''' - 가우룽 역 방면
- '''84M''' - 체벌리어 가든 방면, 시티원 사틴 경유
- '''85M''' - 감잉 방면, 체벌리어 가든 / 마온산 중심가 경유
- '''286M''' - 마온산 중심가 방면
- '''82X''' - 라바나 가든 방면, 공윈 주택지구 / 시티원 사틴 경유
- '''74X''' - 다이보 중심가 방면
- '''75X''' - 다이보부신 주택지구 방면
- '''92''' - 사이궁 방면
- '''91''' - 칭서이완 방면, 홍콩과기대학 경유
- '''91M''' - 보람 방면, 홍콩과기대학 / 항하우 경유
- '''96R''' (일요일과 공휴일 전용노선) - 웡섹 페리 부두 방면, 사이궁 경유
- '''671''' - 압레이자우 (레이곡 가) 방면, 동구해저도로와 애버딘 터널 경유
6. 인접 역
홍콩 철로
참조
[1]
간행물
layout
dih
2014-07-26
[2]
웹사이트
Why are Hong Kong's MTR stations different colours? Central is red for a reason, and why Prince Edward is purple might surprise you
http://yp.scmp.com/n[...]
2016-11-17
[3]
서적
地下鐵路 首日通車紀念特刊
地下鐵路公司
1979
[4]
간행물
map
dih
2014-07-26
[5]
문서
p.17. 《地下鐵路首日通車記念特刊》
1979-09-30
[6]
웹사이트
港鐵 > 屯馬綫一期
http://www.mtr.com.h[...]
2021-06-09
[7]
웹사이트
鑽石山站位置圖
http://www.mtr.com.h[...]
港鐵
2020-02-18
[8]
뉴스
香港ドンキが東九龍に新店舗 食に特化した売り場に
https://hongkong.kei[...]
香港経済新聞
2023-05-29
[9]
웹인용
Why are Hong Kong's MTR stations different colours? Central is red for a reason, and why Prince Edward is purple might surprise you
http://yp.scmp.com/n[...]
2016-11-17
[10]
간행물
layout
dih
2014-07-26
[11]
간행물
map
dih
2014-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