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프니스와 클로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작가가 살았다고 추정되는 레스보스 섬을 배경으로 한 그리스 로맨스 소설이다. 버려진 소년 다프니스와 소녀 클로에가 양치기 부부의 손에서 자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소설은 목가적이고 수사학적인 문체로 묘사되며, 헬리오도로스의 《아이티오피카》보다 현대 소설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16세기 이후 유럽에서 목가적 소설 유행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의 영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 문학 -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는 기원전 15세기부터 구전되어 온 고대 그리스의 신, 영웅, 괴물에 대한 이야기로,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다양한 문학 작품,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서구 예술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 문학 - 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는 기원전 5세기의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로, 인간의 고뇌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 특히 여성 캐릭터에 대한 섬세한 묘사로 유명하며, 혁신적인 작풍과 현실성으로 현대까지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프니스와 클로에
기본 정보
롱고스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롱고스의 《다프니스와 클로에》
원제Δάφνις καὶ Χλόη (Daphnis kai Chloē)
저자롱고스
국가고대 그리스
언어고대 그리스어
출판 정보
출판년도2세기
장르 및 스타일
장르로맨스 소설, 아이딜
배경레스보스 섬의 시골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다프니스
클로에
기타 등장인물라몬
드리아스
필레타스
게타레스
에르모니
리케니온
메그릴레스
크나톤
에우드리오스
디온
도로콘
영향
영향을 받은 작품다프니스와 클로에 (모음곡) - 모리스 라벨
《폴과 버지니아》 - 자크 앙리 베르나르댕 드 생피에르
《아미앵의 신부》 - 쥘 베른
《다프니스와 클로에》 - 마르크 샤갈 삽화
영화
영화화《다프니스와 클로에》, 1931년 영화
《다프니스와 클로에》, 1962년 영화
《다프니스와 클로에》, 1995년 영화

2. 배경 및 문체

이 작품은 작가가 살았다고 추정되는 레스보스 섬을 배경으로 한다. 문체는 수사학적이며 전원적이다. 등장하는 양치기들과 양치기 소녀들은 전형적인 인물들이지만, 작가는 이 이상화된 세계에 인간적인 흥미를 불어넣었다.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등장인물 묘사보다는 줄거리에 중점을 둔 그리스 로맨스 소설의 주요 경쟁작인 헬리오도로스의 《아이티오피카》보다 현대 소설에 더 가깝다.

3. 줄거리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각각 태어날 때 버려진 소년(다프니스)과 소녀(클로에)의 이야기이다. 그들은 각자 몇 개의 신분증과 함께 버려진다. 염소치기 라몬은 다프니스를 발견하고, 드리아스라는 양치기는 클로에를 발견한다. 각자 자신이 발견한 아이를 자신의 아이로 키우기로 결심한다.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함께 자라나, 양부모를 위해 가축을 돌본다. 그들은 사랑에 빠지지만, 순진했기에 자신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현명한 늙은 소치기 필레타스는 그들에게 사랑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유일한 치료법은 키스라고 말한다.[2] 그들은 그렇게 한다. 결국, 도시에서 온 여성 리카에니온은 다프니스에게 사랑을 나누는 법을 가르친다. 하지만 다프니스는 새로 얻은 기술을 클로에에게 시험해 보지 않기로 결심하는데, 리카에니온이 다프니스에게 클로에가 "비명을 지르고 울며 피를 많이 흘릴 것[마치 살해된 것처럼]"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2] 책 전체에서 클로에는 구혼자들의 구애를 받는데, 그 중 두 명(도르콘과 람피스)은 다양한 정도의 성공으로 그녀를 납치하려 시도한다. 그녀는 또한 근처 도시의 약탈자들에게 납치당하지만 신 판의 개입으로 구출된다. 한편, 다프니스는 구덩이에 빠지고, 구타당하고, 해적에게 납치당하고, 술꾼에게 강간당할 뻔한다. 결국, 친부모에게서 신분을 인정받은 후,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결혼하여 시골에서 전원적인 삶을 살아간다.[2][3]

4. 등장인물


  • '''다프니스''' - 남주인공
  • '''클로에''' - 여주인공
  • '''라몬''' - 염소치기. 다프니스의 양아버지
  • '''드리아스''' - 클로에의 양아버지
  • '''도르콘''' - 클로에의 구혼자
  • '''필레타스''' - 늙은 소치기로, 다프니스와 클로에에게 사랑에 대해 조언한다.
  • '''뤼카이니온''' - 다프니스에게 사랑을 가르치는 여자
  • '''디오니소파네스''' - 미틸레네의 부호이자 다프니스의 아버지
  • '''클레아리스테''' - 디오니소파네스의 아내
  • '''아스틸루스''' - 디오니소파네스의 아들
  • '''그나톤''' - 디오니소파네스의 고용인이자 다프니스의 구혼자
  • '''람피스''' - 소치기. 클로에의 구혼자
  • '''메가클레스''' - 미틸레네의 부호, 클로에의 아버지
  • '''뮈르탈레''' - 다프니스의 양어머니
  • '''나페''' - 클로에의 양어머니
  • '''판''' - 양치기와 야생의 신
  • '''에로스''' - 사랑의 신
  • '''에우드로무스''' - 전령
  • '''로데''' - 클로에의 어머니[4]


루이즈 마리-잔 에르상-모두의 유화 ''다프니스와 클로에''

5. 텍스트 전승

폴 루이 쿠리에는 19세기 초까지 유실되었던 텍스트의 약 한 페이지를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에 있는 ''플루테이''(고대 로마의 필사본 보관대 또는 책상) 중 하나에서 발견했다. 그러나 텍스트를 복사하자마자 잉크병을 엎질러 원고 전체에 잉크를 쏟았다. 이탈리아의 고전문헌학자들은 격분했고, 특히 플루테이를 연구하여 "매우 정확한 묘사"(un'esattissima notiziait)를 제공한 학자들이 더욱 그러했다.[11]


  • '''F''' 또는 '''A''': 피렌체 로렌치아나 수도원 627 (13세기) — 완본, 1809년 P. L. 쿠리에에 의해 피렌체에서 발견됨.

  • '''V''' 또는 '''B''': 바티카누스 그라에쿠스 1348 (16세기) — 대부분 완본; 첫 번째 책의 12장부터 17장까지 공백이 존재함.

  • '''O''': 올로모우첸시스 M 79 (15세기) — 격언적인 구절.

6. 영향 및 각색

스위스-프랑스 화가 샤를 글레르가 그린 19세기 그림으로, ''다프니스와 클로에''의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클로에(c. 1895–98) 의상을 입은 에설 리드(Ethel Reed)의 사진 인쇄물, F. 홀랜드 데이 제작.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1559년 자크 아미요의 프랑스어 번역본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호르헤 데 몬테마요르의 ''디아나''와 함께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에서 목가적 소설 유행을 이끌었다.[5] 오노레 드 위르페의 ''라 시렌'', 토르콰토 타소의 ''아민타'', 앨런 램지의 ''온순한 양치기''의 모델이 되었으며, 자크-앙리 베르나르댕 드 생 피에르의 소설 ''폴과 비르지니''에도 영향을 주었다.

자크 아미요의 프랑스어 번역본은 원본보다 더 유명할 수 있다. 아리스티드 마이욜의 목판화가 포함된 1937년 한정판과 마르크 샤갈의 삽화가 포함된 1977년판 등 다양한 삽화판으로 출판되었다. 안니발레 카로의 번역본 또한 원본에 버금가는 훌륭한 번역으로 평가받는다.

1952년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는 그리스 방문 후 ''시오사이'' (''파도의 소리'')를 썼는데, 이는 다프니스와 클로에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레트의 1923년 소설 ''어린 밀'' 또한 이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5]

  • 각색:
  • 1747년 조제프 보댕 드 부아모르티에는 3막의 파스토랄 오페라 《다프니스와 클로에》를 작곡했다.
  • 1774년~1776년 장자크 루소는 같은 제목의 《파스토랄 에로이크》를 작업했지만 미완성으로 남았다.
  • 1860년 자크 오펜바흐는 고대 소설을 바탕으로 한 1막짜리 오페레타를 완성했다.
  • 1912년 모리스 라벨은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 뤼스를 위해 "무용 교향곡"이라 불리는 다프니스와 클로에를 작곡했다. 미하일 포킨이 안무를 맡았다. 약 60분 길이의 이 작품은 라벨의 가장 긴 작품이며, 여기서 파생된 두 개의 관현악 모음곡이 정기적으로 연주된다.
  • 1951년 4월 5일 프레데릭 애쉬턴은 코벤트 가든에서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현재 로열 발레단)의 공연을 위해 라벨의 작품을 안무했다. 마고 폰테인이 클로에, 마이클 소메스가 다프니스 역을 맡았고, 존 크랙스턴이 장식을 담당했다.[6]
  • 존 노이마이어는 프랑크푸르트 발레단을 위해 라벨의 작품을 안무했다.[7]
  • 2010년 장-크리스토프 마이요는 몽테카를로 발레단을 위해 라벨의 35분짜리 현대적이고 관능적인 안무를 만들었다. 예룬 베르브뤼겐이 다프니스, 안자라 바예스테로스-실라가 클로에, 버니스 코피에터스가 리세니온, 크리스 로엘란트가 도르콘 역을 맡았으며, 데니스 카이오치가 연출하고 텔몬디스와 메조가 제작했다. 2010년 4월 1일 모나코 그리말디 포럼에서 초연된 후 국제적으로 방송되었다.[8]
  • 마르크 샤갈은 다프니스와 클로에 이야기를 바탕으로 42점의 컬러 석판화 연작을 제작했다.
  • 아리스티드 마이욜(1861-1944)은 49점의 목판화가 포함된 [https://www.nga.gov/collection/art-object-page.11969.html ''다프니스 에 클로에''(1937)]를 출판했다.
  • 1931년 오레스티스 라스코스는 64분 분량의 무성 영화로 각색했다. 이 영화는 초기 그리스 영화 고전 중 하나이며, 일부 장면의 노출로 인해 충격적인 작품으로 여겨졌다.
  • 1963년 그리스 영화 제작자 니코스 쿤두로스가 각본을 쓰고, 바실리스 바실리코스가 각색하여 영화 Μικρές Αφροδίτες (''Mikres Afrodites'') 또는 ''어린 아프로디테''의 기초가 되었다.
  • 1993년 러시아 영화 제작자 유리 쿠즈멘코는 영화로 각색했다. 류보프 폴리슈크가 다프니스의 생모 역으로 출연했다.
  • 2006년 해티 네일러는 45분 분량의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했다.

  • 번역:
  • 안니발레 카로, 『다프니스와 클로에의 목가적 사랑』 (파르마, 1784, 1538년 이전 집필) — 이탈리아어 번역
  • 자크 아미요, 『목가 또는 다프니스와 클로에』 (파리, 1559); 폴 루이 쿠리에 (1810) 수정 — 프랑스어 번역

참조

[1] 문서 Λεσβιακῶν ἐρωτικῶν λόγοι δ
[2] 서적 Anthia and Habrocomes (translatio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Longus, Daphnis and Chloe http://people.uncw.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ilmington 2011-03-01
[4] 서적 The Novel in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Brill
[5] 학술지 Unity in Colette's ''Le Blé en Herbe''
[6] 서적 Gala Performance Collins
[7] 웹사이트 John Neumeier http://www.hamburgba[...] www.hamburgballett.de 2011-03-01
[8] 웹사이트 Les Ballets de Monte Carlo http://www.balletsde[...] 2013-07-27
[9] 웹사이트 IMDB page https://www.imdb.com[...]
[10] 서적 花と果実の美術館 名画の中の植物 八坂書房
[11] 문서 川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