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로열 발레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로열 발레단은 1931년 런던에서 시작된 영국의 대표적인 발레단으로, 1956년 왕실 칙허를 받아 로열 발레단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창립자 니네트 드 발루아의 지도 아래 프레데릭 애쉬턴, 케네스 맥밀란 등 개성적인 안무가들을 배출했으며, 연극적 전통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198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국적의 무용수를 영입하여 국제적인 발레단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케빈 오헤어가 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본거지로 하며, '백조의 호수', '지젤' 등 다양한 작품을 레퍼토리로 공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단 - 샌프란시스코 발레단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은 1933년 설립되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발레단 중 하나이며, 윌리엄 크리스텐슨, 헬기 토마손을 거쳐 2022년 타마라 로호가 예술감독으로 활동하며, 전쟁 기념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하고 해외 투어와 방송 활동을 통해 발레를 알리고 있다.
  • 발레단 - 발레 뤼스
    발레 뤼스는 세르게이 디아길레프가 설립한 발레단으로, 20세기 초 혁신적인 작품들을 통해 발레를 예술의 최첨단으로 이끌었으며, 디아길레프 사망 후 후계 단체들이 그 유산을 이었다.
로열 발레단
기본 정보
로열 발레단 로고
로열 발레단 로고
이전 이름빅-웰스 발레단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
창단1931년
창립자데임 니네트 드 발루아
창립자 유형후원자
후원자HM 국왕
장소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 영국
웹사이트www.roh.org.uk
단장케빈 오헤어
발레 스태프 유형대표
발레 스태프 이름레이디 세라 채토
음악 감독쿤 케셀스
배리 워즈워스 (수석 객원 지휘자)
안무가웨인 맥그리거
크리스토퍼 휠던
자매 회사버밍엄 로열 발레단
관련 학교로열 발레 학교

2. 역사

니네트 드 발루아는 아일랜드 출신의 무용가로, 1926년 소녀들을 위한 무용 학교인 안무예술 아카데미를 설립했다.[2] 릴리안 베일리스와의 협력을 통해 올드 빅 극장과 새들러스 웰스 극장에서 무용 공연을 기획했다.

1931년 새들러스 웰스가 재개관하면서 빅-웰스 발레단과 빅-웰스 발레 학교가 설립되었다. 이들은 오늘날 로열 발레단, 버밍엄 로열 발레단, 로열 발레 학교의 전신이다. 드 발루아는 발레 뤼스의 단원이었으며, 발레 뤼스 해산 후 알리시아 마르코바, 안톤 돌린, 타마라 카르사비나 등 발레 뤼스 출신 스타들을 영입했다. 초대 음악 감독은 컨스턴트 램버트였다.[3]

1939년 올드 빅 극장과의 관계가 끊어진 후, 발레단과 학교는 각각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 새들러스 웰스 발레 학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 1946년 데이비드 웹스터의 지휘 아래 로열 오페라 하우스 상주 발레단으로 초청받아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첫 공연으로 올렸다.

1947년 학교는 자체 부지로 이전했고, 새들러스 웰스에서 공연을 계속하기 위해 존 필드 지휘 아래 새들러스 웰스 극장 발레단이 설립되었다. 1955년 이 발레단은 로열 오페라 하우스로 돌아가 본 발레단의 순회 공연단으로 활동했다.

1956년 두 발레단과 학교에 로열 헌장이 부여되어 로열 발레단, 새들러스 웰스 로열 발레단, 로열 발레 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1970년 새들러스 웰스 로열 발레단은 새들러스 웰스 극장으로 돌아갔고, 1987년 버밍엄 히포드롬의 상주 발레단으로 초청받았다. 1990년 버밍엄으로 이전하여 버밍엄 로열 발레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1997년 피터 라이트 경을 예술 감독으로 하여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독립했다. 버밍엄 로열 발레단은 로열 발레 학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64년 피터 브린슨의 지휘 아래 "모두를 위한 발레"가 설립되어 1979년까지 전국 순회공연을 통해 발레 대중화에 기여했다. 1976년 로열 오페라 하우스는 학교들을 위한 매티니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오늘날 로열 발레단은 로열 오페라 하우스 상주 발레단으로 국제 순회공연을 하고 있으며, 로열 발레 학교의 모체 발레단이다.

2. 1. 창단과 초기 역사 (1931-1945)

1931년, 아일랜드 출신 발레리나 닌네트 드 발루아는 런던에서 빅 웰스 발레(Vic Wells Ballet)를 창단했다.[6] 당시 영국에는 국립 발레단이 없었기 때문에, 빅 웰스 발레는 완전한 사립 발레단으로 시작했다. 1942년까지 이 발레단은 런던의 새들러스 웰스 극장을 본거지로 하는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으로 불렸다.[6]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은 먼저 설립한 발레 학교에서 마고 폰테인, 모이라 시어러 등 자체 무용수를 육성했다.

초창기에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은 마리우스 프티파와 레프 이바노프의 발레 작품을 소련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전체 공연으로 무대에 올린 발레단 중 하나였다.[6] 이 작품들은 러시아 제국 발레단의 핵심 레퍼토리였다. 드 발루아는 새로 창단한 발레단을 위해 제국 발레단의 전직 연출가인 니콜라스 세르게예프를 고용했다. 그는 프티파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프티파와 이바노프의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프티파와 체케티의 ''코펠리아'', 그리고 프티파의 ''지젤''을 연출했다.[6] 20세기 초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작성된 안무 표기법을 바탕으로 창작된 이 작품들은 이후 로열 발레단의 레퍼토리에 포함되었다. 현재 로열 발레단은 세르게예프의 표기법을 일부 사용한 피터 라이트의 1984년 ''호두까기 인형'' 프로덕션을 사용하고 있다.[6] 런던에서 세르게예프가 부활시킨 이 발레 작품들은 전통적인 고전 발레 레퍼토리의 토대가 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재연되는 계기가 되었다. 세르게예프는 발레의 세계적인 인기에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6] 그의 안무 표기법과 관련된 자료들은 세르게예프 컬렉션에 보존되어 있으며, 이 컬렉션은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의 극장 컬렉션의 일부이다.

초기 작품에는 드 발루아의 안무 작품도 있었지만, 이윽고 무용수 출신인 프레데릭 애쉬턴이 안무를 시작하여 수많은 명작을 만들어 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유럽 각국으로의 공연, 주둔군 위문 공연 등을 적극적으로 행하며 관객과 인지도를 높여갔다.

2. 2. 로열 오페라 하우스 이전과 왕실 칙허 (1946-1956)

1946년, 전쟁으로 폐쇄되었던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는 재개와 함께 새들러스 웰스 발레단을 산하에 두었고, 발레단은 코벤트 가든으로 본거지를 옮겼다. 구 본거지인 새들러스 웰스 극장은 그 대가로 분파시킨 발레단의 일부를 자매 컴퍼니로 남겨두었고, 그 명칭은 새들러스 웰스 시어터 발레단이 되었다 (이전한 쪽의 명칭은 종전과 동일하다).

1956년, 왕실 칙허에 의해 마거릿 공주를 명예 총재로 하는 왕립 발레단이 되었다. 두 발레단은 각각 '''로열 발레단''', 새들러스 웰스 로열 발레단의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2. 3. 버밍엄 로열 발레단 분리 (1957-현재)

1956년, 왕실 칙허에 의해 마거릿 공주를 명예 총재로 하는 왕립 발레단이 되었다. 기존의 두 발레단은 각각 '''로열 발레단'''과 새들러스 웰스 로열 발레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1991년에 새들러스 웰스 로열 발레단은 버밍엄으로 이전하여 버밍엄 로열 발레단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8]

2. 4. 모두를 위한 발레 (1964-1979)

캐나다 국립 발레 학교
ABT 스튜디오 컴퍼니잉글리시 국립 발레프란체스카 헤이워드로열 발레 학교히라노 료이치세츠코 히라노 발레 학교후미 카네코지누시 카오루 발레 학교지누시 카오루 발레단사라 램보스턴 발레 학교보스턴 발레마야라 마그리프티 댄스 학교
로열 발레 학교스티븐 맥레이힐러리 카플란
로열 발레 학교바딤 문타기로프로열 발레 학교잉글리시 국립 발레야스민 나흐디로열 발레 학교마리아넬라 누녜스콜론 극장 발레 학교
로열 발레 학교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라 스칼라 극장 발레안나 로즈 오설리번로열 발레 학교나탈리아 오시포바모스크바 국립 무용 아카데미볼쇼이 발레단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미하일로프스키 극장캘빈 리처드슨로열 발레 학교마르셀리노 삼베리스본 국립 음악원
로열 발레 학교조셉 시센스로열 발레 학교타카다 아카네히로미 타카하시 발레 스튜디오
볼쇼이 발레 아카데미멜리사 해밀턴제니퍼 불릭 발레 학교
엘름허스트 발레 학교드레스덴 젬퍼 오페라 발레


2. 5. 로스 스트레튼의 임명과 사임 (2001-2002)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1952년에 태어난 로스 스트레튼은 오스트레일리아 발레 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가 되었다.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 조프리 발레단과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에서 수석 무용수로 활동하다 1990년에 은퇴했다. 1993년에는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의 부감독이 되었고, 호주로 돌아와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발레단의 예술 감독을 맡았다.

2001년 앤서니 도웰 경이 로열 발레단의 예술 감독에서 은퇴하자, 로열 오페라 하우스 이사회는 스트레튼을 후임으로 임명하고 3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스트레튼은 2002년 9월, 13개월 만에 사임했다. 그의 임명과 사임은 단체 운영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로열 발레단에 전례 없는 수준의 언론 주목을 받았다. 스트레튼은 호주로 돌아가 2005년 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교사이자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스트레튼의 사임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논란, 혐의, 조직 변화에 대한 저항이 있었다.

2. 6. 케빈 오헤어 시대 (2012-현재)

전 버밍엄 로열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이자 로열 발레단의 행정 이사였던 케빈 오헤어는 2012년 8월 모니카 메이슨의 뒤를 이어 로열 발레단의 예술 감독이 되었다. 2009년부터 로열 발레단의 행정 이사를 맡았던 오헤어는 2000년 무용계를 은퇴한 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에서 일했으며, 버밍엄 로열 발레단의 컴퍼니 매니저로 활동했다.[19]

오헤어는 예술 감독 취임사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모니카 메이슨의 영감 넘치는 리더십 아래 로열 발레단은 지난 10년간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저는 로열 발레단과 무용계 전체에 대한 야심을 품고 있습니다. 21세기의 가장 재능 있는 예술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세계적인 수준의 무용수, 안무가, 디자이너, 음악가들이 같은 무대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전통적이고 새로운 플랫폼을 활용하여 우리 관객들이 로열 발레단의 고전 레퍼토리와 독특한 유산을 접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새로운 작품과 떠오르는 재능을 통해 관객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고 싶습니다. 세계 최고의 안무가 중 두 명인 웨인 맥그리거와 크리스토퍼 휠던이 저와 함께 수석 예술팀의 일원이 되기로 동의한 것에 매우 기쁩니다. 웨인과 크리스토퍼는 로열 발레단에 대한 저의 흥미진진한 야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19]

3. 특징

로열 발레단은 마린스키 발레단이나 파리 오페라 발레단과 달리 왕실의 명령이나 후원 없이 개인에 의해 설립되어, 초창기부터 연극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을 제작했다. 존 크랑코, 케네스 맥밀란 등 개성적인 안무가들이 배출되었으며, 『리즈의 결혼』, 『마농』, 『가희』, 『파고다의 왕자』 등 연극성이 높은 작품이 탄생했다.[1]

1980년대 후반부터는 타국에서 발레 교육을 받고 높은 수준으로 성장한 무용수를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일본의 구마가와 데쓰야, 요시다 미야코 등이 대표적이다.[1] 그러나 자국 무용수 육성에는 소홀하다는 비판과 함께, W. 포사이스 등 컨템포러리, 모던 계열의 레퍼토리를 늦게 도입하여 레퍼토리가 구태의연하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3. 1. 연극적 전통과 프린시펄 캐릭터 아티스트

로열 발레단은 마린스키 발레단이나 파리 오페라 발레단이 왕실의 명령으로 설립되어 왕실의 후원을 받은 것과는 달리, 개인이 설립하여 초창기부터 연극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을 제작했다. 로열 발레단이 된 후에는 존 크랑코, 케네스 맥밀란 등 개성적인 안무가들이 배출되었으며, 『라 피유 말 가르데(리즈의 결혼)』, 『마농』, 『가희』, 『파고다의 왕자』 등 연극성이 높은 작품이 탄생했다. 연극 전통의 색채가 짙은 영국의 발레단답게, 고전 작품에서도 마임(판토마임)을 많이 남기는 안무를 공연하는 외에, 연기에 중점을 두는 프린시펄 캐릭터 아티스트라는 계급을 무용수 최고위인 프린시펄과 나란히 두고 있는 점도 특히 특징적이다.[1]

3. 2. 다양한 국적의 무용수

로열 발레단은 마린스키 발레단이나 파리 오페라 발레단처럼 왕실 후원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이 아니라, 개인에 의해 설립되어 대중적인 작품을 제작했다. J. 크랑코, K. 맥밀란 등 개성적인 안무가들이 배출되었고, 연극성이 높은 작품들이 탄생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타국에서 발레 교육을 받고 높은 수준으로 성장한 무용수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그 결과, 일본의 구마가와 데쓰야, 요시다 미야코, 프랑스의 S. 기옘, 스페인의 T. 로호, 쿠바의 C. 아코스타, 루마니아의 A. 코조카루, 아르헨티나의 M. 누녜스 등 국제적으로 다양한 인재들이 모였다.

다음은 다양한 국적의 무용수 목록이다.

무용수
소피 올넛
리암 보스웰
미카 브래드버리
올리비아 코울리
애슐리 딘
데이비드 도넬리
테오 두브뢰유
트리스탄 다이어
벤자민 엘라
한나 그레넬
이카라시 다이치
조슈아 융커
가쓰라 치사토
나카오 다이스케
로마니 파작
자코모 로베로
프란시스코 세라노
데닐슨 알메이다
베서니 바틀렛
마틴 디아즈
올리비아 핀들리
루크 포스켓
시에라 글래신
스칼렛 하비
제임스 라지
카스파 렌치
엘라 뉴턴 세베르니니
한나 박
매디슨 프리차드
이사벨라 셰이커
블레이크 스미스
지네브라 잠본
C. 아코스타
리앤 벤자민
스베틀라나 베리오소바
데이비드 블레어
페데리코 보넬리
데임 다시 버셀
알렉산더 캠벨
호세 마누엘 카레뇨
A. 코조카루
레슬리 콜리어
마이클 콜먼
조나단 코프
존 크랑코
로렌 커스버트슨
헨리 댄턴
안톤 돌린 경
앤서니 도웰 경
비비아나 두란테
알레산드라 페리
존 필드
데임 마고 폰테인
크리스토퍼 게이블
마라 갈레아치
존 길핀
알렉산더 그랜트
데임 베릴 그레이
S. 기옘
프란체스카 헤이워드
로버트 헬프만 경
로웨나 잭슨
콜린 존스
요한 코보르
구마카와 데쓰야
사라 램
질리안 린
나탈리아 마카로바
데이비드 마하텔리
데임 알리샤 마르코바
로베르타 마르케스
데임 모니카 메이슨
스티븐 맥레이
로라 모레라
이레크 무하메도프
바딤 문타기로프
나디아 네리나
M. 누녜스
루돌프 누레예프
나탈리아 오시포바
데임 멀 박
조지나 파킨슨
루퍼트 페네파더
세르게이 폴루닌
이반 푸트 로프
사만다 레인
T. 로호
린 시모어
데임 안투아네트 시블리
모이라 시어러
웨인 슬립
치아고 소아레스
졸탄 솔로모시
마이클 소메스
데이비드 월
에드워드 왓슨
요시다 미야코
제나이다 야노프스키
알렉산드라 안사넬리



다만, 자국 무용수 육성에는 소홀하다는 비판도 있다.

3. 3. 한국과의 관계

로열 발레단은 1980년대 후반부터 타국에서 발레 교육을 받고 이미 높은 수준으로 성장한 무용수를 적극적으로 입단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일본의 구마가와 데쓰야, 요시다 미야코 등 국제적으로 다양한 인재들이 모이게 되었다.[1]

4. 구조

제공된 소스는 로열 발레단의 '구조' 섹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소스는 일본 무용수 고바야시 아이리에 대한 링크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구조' 섹션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맞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주요 레퍼토리

6. 주요 인물

로열 발레단에는 창립 안무가 프레데릭 애쉬턴, 예술 감독 케네스 맥밀란, 상주 안무가 웨인 맥그리거 등 주요 인물들이 있었다.

프레데릭 애쉬턴 경은 발레 람베르에서 안무가 경력을 시작하여 1931년 로열 발레단 창단 시 부안무가로 합류했다. 1946년 잠자는 숲속의 미녀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초연하는 등 로열 발레단의 초기 작품 대부분을 만들었다. 1963년부터 1970년까지 로열 발레단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케네스 맥밀란 경은 1970년부터 1977년까지 로열 발레단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그는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1956–7) 및 베를린 도이치 오퍼(1966–69)와도 함께 작업했다. 1992년 사망할 때까지 로열 발레단의 수석 안무가로 활동했다.

웨인 맥그리거는 2006년에 로열 발레단의 상주 안무가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16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며 현대 무용계에서 선택된 최초의 인물이었다.

로열 발레단을 거쳐간 주요 무용수들은 다음과 같다.

무용수설명
카를로스 아코스타CBE[13]
리앤 벤자민OBE
스베틀라나 베리오소바
데이비드 블레어
페데리코 보넬리
데임 다시 버셀DBE[14]
알렉산더 캠벨
호세 마누엘 카레뇨
알리나 코조카루
레슬리 콜리어CBE
마이클 콜먼
조나단 코프CBE
존 크랑코
로렌 커스버트슨
헨리 댄턴
안톤 돌린 경
앤서니 도웰 경CBE
비비아나 두란테
알레산드라 페리
존 필드
데임 마고 폰테인DBE
크리스토퍼 게이블
마라 갈레아치
존 길핀
알렉산더 그랜트
데임 베릴 그레이DBE
실비 기옘CBE
프란체스카 헤이워드
로버트 헬프만 경CBE
로웨나 잭슨MBE
콜린 존스
요한 코보르
구마카와 데쓰야
사라 램
질리안 린CBE
나탈리아 마카로바
데이비드 마하텔리
데임 알리샤 마르코바DBE
로베르타 마르케스
데임 모니카 메이슨DBE
스티븐 맥레이
로라 모레라
이레크 무하메도프
바딤 문타기로프
나디아 네리나
마리아넬라 누네즈
루돌프 누레예프
나탈리아 오시포바
데임 멀 박DBE
조지나 파킨슨
루퍼트 페네파더
세르게이 폴루닌
이반 푸트 로프
사만다 레인
타마라 로호
린 시모어
데임 안투아네트 시블리DBE
모이라 시어러레이디 케네디
웨인 슬립OBE
치아고 소아레스
졸탄 솔로모시
마이클 소메스CBE
데이비드 월CBE
에드워드 왓슨MBE
요시다 미야코
제나이다 야노프스키
알렉산드라 안사넬리



로열 발레단은 1961년 이후 수년에 한 번씩 일본 공연을 하고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도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 출신 무용수로는 히라노 료이치, 타카다 아카네, 카네코 후유미 등이 있다.

6. 1. 프리마 발레리나 아솔루타

로열 발레단에는 '프리마 발레리나 아솔루타'라는 직급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6개의 직급이 있다.

직급설명
아티스트단체 내 가장 낮은 직급으로, 군무를 이룬다. 발레 학교 졸업생이 입단하면 보통 이 직급으로 시작한다.
퍼스트 아티스트군무에서 더 비중 있는 역할을 맡을 기회를 얻는다. 백조의 호수어린 백조들의 춤과 같은 역할이 그 예시이다. 승진을 고려할 경우 가끔 작은 솔리스트 역할을 맡기도 한다.
솔리스트단체 내 15~20명 정도의 무용수가 이 직급을 맡으며, 로미오와 줄리엣머큐시오나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요정 중 한 명과 같은 솔로 및 작은 역할을 대부분 수행한다.
퍼스트 솔리스트수석 무용수로 승진을 고려하는 무용수들의 직급이다. 가장 비중 있는 솔리스트 역할을 다양하게 소화하는 동시에 수석 무용수를 대신하여 주역을 맡기도 한다.
수석 캐릭터 아티스트발레에서 중요한 캐릭터 역할을 수행하는 단원에게 주어지는 직급이다. 이 역할들은 보통 매우 연극적이며 종종 성격 춤과 발레 마임을 포함한다.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카라보스호두까기 인형의 드로셀마이어가 그 예시이다. 로열 발레단의 대부분의 수석 캐릭터 아티스트는 더 이상 신체적으로 어려운 역할을 소화할 수 없는, 오래 근속한 고참 단원들이다.
수석 무용수로열 발레단 내 최고 직급이다. 단체의 주역 무용수이며, 일반적으로 발레에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많은 무용수들이 이 단체의 수석 무용수였다.



로열 발레단은 "'''객원 아티스트'''" 및 "'''수석 객원 아티스트'''"라는 특별 직급도 두고 있다. 객원 아티스트는 특정 발레 또는 제한된 시즌 동안 배역을 맡은 방문 무용수에게 주어지며, 수석 객원 아티스트는 때때로 더 장기적으로 단체와 함께 공연하는 객원 아티스트에게 주어진다.

일본 출신 무용수로는 히라노 료이치, 타카다 아카네, 카네코 후유미 (이상 수석 무용수), 최유희, 아쿠리 루카 (이상 퍼스트 솔리스트), 카츠라 치사토 (이상 퍼스트 아티스트), 마에다 사에, 나카오 타이료, 사사키 마리코, 사사키 스미나 (이상 아티스트) 등이 소속되어 있다. 과거에 소속되었던 무용수로는 구마가와 테츠야, 요시다 미야코, 사사키 요헤이, 쿠라 켄타, 코바야시 히카루 등이 있다.

2016년 9월에는 퍼스트 솔리스트였던 히라노 료이치와 타카다 아카네가 수석 무용수로 승격했다.[29] 2021년 5월에는 2018년부터 퍼스트 솔리스트를 맡고 있던 카네코 후유미가 수석 무용수로 승격했다.[30]

6. 2. 폰테인-누레예프 파트너십

1962년 2월 21일, 마고 폰테인루돌프 누레예프는 로열 발레단과 함께 《지젤》을 처음 공연하며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레 파트너십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파트너십은 두 무용수 모두 역사상 가장 유명한 발레 무용수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알리게 했으며, 현재 로열 발레단의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로 널리 여겨지는 시기에 정점을 찍었다.[29]

1963년 3월 12일, 이들은 프레데릭 애쉬턴 경의 《마르게리트와 아르망》을 초연했는데, 이 작품은 그들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발레 작품이자 그들의 대표작이 되었다. 프란츠 리스트의 피아노 음악에 맞춰 공연되는 이 발레는 마르게리트가 죽음을 앞두고 침대에 누워 있는 장면으로 시작되며, 아르망이 마지막으로 그녀를 안기 위해 도착하는 순간까지 회상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애쉬턴은 이 작품을 폰테인을 위해 특별히 계획했으며, 폰테인의 드라마적 기량의 정점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드레스 리허설에는 50명의 사진 작가가 참석했고, 초연 공연에서는 21번의 커튼콜이 있었다. 폰테인과 누레예프가 출연한 이 발레의 마지막 공연은 1977년 런던 콜로세움에서 열린 갈라 행사에서 열렸으며, 2003년까지 다시 공연되지 않았다. 폰테인과 누레예프 외에는 다른 무용수들이 공연하는 것을 원치 않았던 프레데릭 애쉬턴의 바람과는 달리, 이 작품은 로열 발레단의 3중 공연의 일부로 부활되었으며, 누레예프의 제자인 실비 길렘과 로열 발레단의 스타 조나단 코프가 출연했다.[29]

폰테인-누레예프 파트너십은 폰테인이 1979년 로열 발레단에서 60세의 나이로 은퇴할 때까지 수년간 지속되었다. 1970년 프레데릭 애쉬턴이 로열 발레단의 예술 감독에서 은퇴한 후, 누레예프를 그의 후임으로 발표하라는 요구가 많았다. 그러나 케네스 맥밀란이 그 자리를 차지했고, 누레예프는 곧 수석 무용수로서 로열 발레단을 떠나 국제적으로 객원 무용수로 활동했으며, 이후 1983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예술 감독이 되었다. 폰테인과 누레예프는 무대 안팎에서 평생 관계를 유지했으며, 1991년 폰테인이 사망할 때까지 가까운 친구였다. 누레예프는 이 파트너십에 대해 "하나의 몸, 하나의 영혼"으로 함께 춤을 췄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29]

6. 3. 역대 예술 감독

7. 로렌스 올리비에 상 수상 내역

로렌스 올리비에 상을 수상한 로열 발레단과 그 구성원들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종류수상자작품
1978발레 부문 올해의 프로덕션프레데릭 애쉬턴 경A Month in the Country
1980발레 부문 올해의 뛰어난 업적Gloria
1981발레 부문 올해의 뛰어난 신인상브라이오니 브린드Dances of Albion
1983신규 무용 프로덕션 부문 올해의 뛰어난 개인 공연상알레산드라 페리Valley of Shadows
올해의 뛰어난 신규 무용 프로덕션케네스 맥밀란Requiem
1992무용 부문 올해의 뛰어난 업적윌리엄 포사이드In The Middle, Somewhat Elevated
런던 극장 협회 특별상니네트 드 발루아 데임무용 분야 업적
1993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케네스 맥밀란The Judas Tree
1995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Fearful Symmetries
무용 부문 뛰어난 업적피터 멈포드(조명 디자이너)Fearful Symmetries
2007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웨인 맥그리거Chroma
2008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조지 발란신Jewels
무용 부문 뛰어난 업적Jewels
2010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Brandstrup-Rojo 프로젝트골드버그 (안무가 킴 브란트스트럽과 무용수 타마라 로호의 협업)
2013무용 부문 뛰어난 업적마리아넬라 누네즈
2016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웨인 맥그리거Woolf Works
무용 부문 뛰어난 업적알레산드라 페리Chéri와 Woolf Works
2018최고 신규 무용 프로덕션크리스탈 피트Flight Pattern


참조

[1] 웹사이트 Royal Opera House Collections Online http://www.rohcollec[...] 2010-07-17
[2] 서적 Legacies of twentieth-century danc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3] 서적 Frederick Ashton and his Ballets A & C Black Ltd, London
[4] 웹사이트 The Royal Ballet School – a brief history http://www.royal-bal[...] 2009-08-22
[5] 간행물 Royal Ballet –British ballet company http://www.britannic[...] 2009-08-22
[6] 웹사이트 Yvette Chauviré : France's Prima Ballerina Assoluta - 48900 https://www.russiand[...]
[7] 웹사이트 Happy Birthday Nina Ananiashvili https://dancetabs.co[...] 2013-03-28
[8] 웹사이트 The Royal Ballet: Artists http://www.roh.org.u[...] Royal Opera House 2017-11-21
[9] 웹사이트 The Royal Ballet: Staff http://www.roh.org.u[...] Royal Opera House 2017-01-05
[10] 웹사이트 on ballet.co.uk http://www.ballet.co[...] 2009-12-12
[11] 웹사이트 Wayne McGregor To Become Resident Choreographer at the Royal Opera House http://www.huliq.com[...] Huliq News 2009-09-19
[12] 웹사이트 The Royal Ballet's Steven McRae gives a ballet masterclass http://balletnews.co[...] 2012-11-13
[13] 간행물 London Gazette 2013-12-31
[14] 간행물 London Gazette 2017-12-30
[15] 뉴스 Royal Ballet shocked as Wildor quits https://www.telegrap[...] 2010-05-25
[16] 뉴스 Double whammy that toppled ballet boss https://www.telegrap[...] 2010-05-25
[17] 뉴스 Ross Stretton https://www.telegrap[...] 2005-06-17
[18] 웹사이트 Ross Stretton's royal downfall https://www.theage.c[...] 2002-09-27
[19] 웹사이트 Kevin O'Hare appointed new Director of The Royal Ballet http://www.roh.org.u[...] Royal Opera House 2012-01-09
[20] 뉴스 Disharmony over Royal Opera's plan to go north https://www.theguard[...] 2008-10-28
[21] 뉴스 Northern opera proposal evaluated http://news.bbc.co.u[...] BBC 2008-10-31
[22] 뉴스 Deal over Royal Opera move https://www.manchest[...] Reach plc 2021-08-08
[23] 뉴스 ROH shelves its plans to move north https://www.thestage[...] The Stage Media Company Ltd 2016-08-06
[24] 뉴스 Royal Opera House shelves move north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Print Ltd 2010-10-27
[25] 뉴스 Royal Opera House shelves move North https://www.placenor[...] 2021-08-08
[26] 웹사이트 The Royal Ballet http://www.roh.org.u[...]
[27] 웹사이트 Dancers https://www.roh.org.[...]
[28] 문서 『オックスフォード バレエダンス辞典』
[29] 뉴스 平野亮一と高田茜、英国ロイヤル・バレエ団のプリンシパルに昇進 https://natalie.mu/s[...] 2016-06-13
[30] 웹사이트 金子扶生さん「最高位」に 英の名門・ロイヤルバレエ団 https://www.fnn.jp/a[...]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1-05-19
[31] 기타 吉田都 NHK人物録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