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백화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백화점은 1944년 구본흥이 대구상회로 창업한 이후, 1969년 동성로에 본점을 개장하며 주식회사로 전환된 대한민국의 백화점이다. 1988년 포항 신라쇼핑을 인수하여 대백쇼핑으로 재개장하고, 1989년 대백프라자를 개점하는 등 확장을 거듭했다. 2021년 동성로 본점의 영업을 중단하고 프라자점만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JHB홀딩스에 매각되었다. 현재 프라자점과 대백아울렛 동대구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백문화센터, 대백프라자갤러리, 물류센터, 대백마트 체인점 등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해체된 기업 - 아메리칸 로코모티브 컴퍼니
아메리칸 로코모티브 컴퍼니(ALCO)는 1901년 미국 내 7개 철도 차량 제작 업체의 통합으로 설립되어 볼드윈 로코모티브 워크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증기 기관차를 생산했으나, 디젤 전기 기관차 시대에 제너럴 일렉트릭과의 경쟁 속에 쇠퇴하여 1969년 기관차 제조에서 철수했다. - 1969년 해체된 기업 - 귀뚜라미 (기업)
귀뚜라미는 1962년 창업한 대한민국 보일러 제조 기업으로, 가정용 보일러를 주력으로 생산하며 콘덴싱 보일러 기술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고, 경상북도 청도군에 본점을 두고 귀뚜라미 범양냉방을 통해 냉방기기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 1962년 해체된 기업 - 동화약품
동화약품은 1897년 설립되어 활명수를 개발, 판매한 대한민국 제약 회사로, 까스활명수, 판콜 등의 주요 제품을 발매하고 의약품 외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부채표 가송재단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한다. - 1962년 해체된 기업 - 영진약품
영진약품은 KT&G 계열의 KRX 300 지수 구성 종목으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생산 및 판매하며 엑스핀탄, 암스텔, 올비틸워터젤리, 위앤장더블액션 등의 제품과 YPL-001을 포함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이다. - 1944년 설립된 기업 - 긴키 닛폰 철도
긴키 닛폰 철도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501.1km의 최장 영업 거리를 가진 철도 회사로, 오사카, 교토, 나고야 등 주요 도시와 관광지를 연결하며 다양한 노선과 열차를 운행하고 여러 철도 회사와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 - 1944년 설립된 기업 - 오타이산
오타이산은 1879년 창업하여 위장약 오타이산을 주력 제품으로 판매하는 일본의 제약회사이며, 현재는 건강식품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마스코트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구백화점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대구백화점 |
원어 | DEBEC |
한문 | 株式會社 大邱百貨店 |
로고 | Symbol of Tokyo Metropolis.svg |
종류 | 유통업 |
창립 (대구상회) | 1944년 1월 10일 |
창립 (대구백화점) | 1969년 12월 26일 |
이전 회사 | 대구상회 |
창립자 | 구본흥 |
시장 정보 | (1988.10.10 상장) |
장소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 30 (동성로2가) |
대표 | 구정모 (대표이사) |
서비스 | 백화점 |
대표 제품 | 백화점 운영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54,129,465,000원 |
매출액 | 91,109,594,906원 |
영업이익 | -17,554,676,458원 |
순이익 | -17,803,714,379원 |
자산총액 | 508,655,892,815원 |
주주 정보 | |
주요 주주 | 구정모 외 특수관계인: 29.06% |
기타 정보 | |
자회사 | 주식회사 대백아울렛 |
종업원 | 193명 |
웹사이트 | 대구백화점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1944년 1월 10일 구본흥이 대구상회를 창업한 것을 시작으로,[2] 1962년 법인 전환, 1969년 대구백화점 본점 개점 및 주식회사 전환 등 여러 변화를 거쳤다. 1971년 대백갤러리 개관, 1973년 정찰제 시범업체 지정, 1977년 수퍼체인본부 회사 지정, 1979년 신용판매 제도 도입 등 성장을 이어갔다.[2]
1982년 대통령표창 수상 및 전국 최초 시범유통사업체 지정, 1984년 계열사 대백저축은행 신설, 1986년 CI 변경, 1987년 본점 신관 오픈, 1988년 포항 신라쇼핑 인수(대백쇼핑으로 재개장), 기업공개 및 주식 상장, 1989년 대백프라자 착공, 1993년 대백프라자 개점 등 확장기를 거쳤다.[2][3][4]
2002년 신세계백화점과 업무 제휴를 맺었으나, 2005년 대백쇼핑 폐점, 2009년 대구은행 제휴 직불카드 도입, 계열사 편입, 직영마트 개점 등의 변화가 있었다.[2][3][5][6] 이후 2011년 계열사 편입 및 2014년 분리, 2013년 신세계백화점과 제휴 종료, 2015년 계열사 편입, 2017년 대백아울렛 동대구점 개점, 2021년 본점 휴업, 2022년 모기업 매각 등 새로운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2. 1. 창업 초기 (1944년 ~ 1969년)
1944년 1월 10일 구본흥이 대구상회를 창업하였다.[2] 1962년 3월 5일 법인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대구상회는 폐업 처리하고, 합자회사 대구백화점으로 새로 설립하였다.[2] 1969년 12월 26일 대구 중구 동성로에 대구백화점 본점을 개점하고,[2] 주식회사 대구백화점으로 법인을 전환하였다.[2]2. 2. 성장 및 확장 (1970년대 ~ 1993년)
1971년 5월 13일 대백갤러리를 개관하였다.[2] 1973년 4월 9일에는 정찰제 시범업체(경북상정 제 1 호)로 지정되었다.[2] 1977년 3월 6일 상공부 제15호로 수퍼체인본부 회사로 지정되었다.[2] 1979년 8월 1일 신용판매(크레디트 카드제) 제도를 도입하였다.[2]1982년 3월 20일 상공의 날에 대통령표창을 수상하였고,[2] 같은 해 6월 1일 전국 최초의 시범유통사업체(상공부 제1호)로 지정되었다.[2] 1984년 11월 계열사 대백상호신용금고(현 대백저축은행)를 신설하였다.[2] 1986년 4월 현재의 CI로 변경하였다.[2] 1987년 3월 1일 본점 신관을 전관 오픈하였다.[2]
1988년 경상북도 포항시 죽도2동(현 북구 죽도동) 소재의 포항 신라쇼핑을 인수하여 대백쇼핑으로 재개장하였고,[3] 9월 15일 기업공개를 거쳐 10월 10일 주식을 상장하였다.[2] 1989년 1월 10일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1동에 대백프라자[4]를 착공하여 1993년 9월 15일 개점하였다.[2]
2. 3. 변화와 도전 (2000년대 ~ 현재)
2002년 신세계백화점과 업무 제휴를 맺었다.[2] 2005년 2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도동에 있던 대백쇼핑이 폐점하였다.[3] 2009년 대구은행 제휴 직불카드를 도입하였고,[5][6] 같은 해 7월 대구백화점 계열사인 아이에스제이커뮤니케이션을 편입하였다. 2009년9월 대구백화점 직영마트 1호점 디마켓 신매점, 2호점 디마켓 사월점을 개점하였다.2011년 짐매니아플러스(구 대백가구 범어점)를 계열사로 편입하였으나, 2014년 짐매니아 플러스를 다시 계열사에서 분리하였다. 2013년 9월 30일 신세계백화점과의 제휴가 종료되었다. 2015년 8월 1일 인성아이엔씨(대백아울렛)를 계열사로 편입하였고, 2017년 4월 14일 대백아울렛 동대구점을 개점하였다.
2021년 7월 1일 동성로 본점이 휴업에 들어갔으나, 프라자점은 유지되었다. 2022년 1월 대구백화점은 모기업인 ㈜JHB홀딩스에 매각되었다.
3. 지점 현황
점포명 | 개점일 | 비고 |
---|---|---|
프라자점 | 1993년 9월 15일 | 현 운영 중 |
동성로본점 | 1969년 12월 26일 | 폐점 |
아울렛 동대구점 | 2017년 4월 14일 | 폐점 |
3. 1. 현 운영 지점
1993년 9월 15일에 프라자점이 개점하였다.[1]3. 2. 과거 운영 지점
- 동성로본점 (1969년 12월 26일 개점, 폐점)
- 프라자점 (1993년 9월 15일 개점)
- 아울렛 동대구점 (2017년 4월 14일 개점, 폐점)
4. 부대 시설
대구백화점은 문화 공간, 물류센터, 대백마트 체인점을 부대 시설로 운영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동에 있는 물류센터에는 냉동·냉장차량 4대와 전동지게차 2대가 있다.[7]
4. 1. 문화 공간
4. 2. 물류센터
대구백화점은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동에 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다.[7] 이곳에는 냉동·냉장차량 4대와 전동지게차 2대가 있다.4. 3. 대백마트 체인점
경상북도|경상북도한국어
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한국어
구/군 | 점포명 |
---|---|
남구 | 봉덕점 |
달서구 | 대곡점, 한실점, 본리점, 상인점, 송현점, 진천점, 호산점 |
달성군 | 다사점, 유천점 |
동구 | 강촌점, 반야월점, 공항점, 신암점 |
북구 | 대현점, 칠곡동천점 |
서구 | 내당점, 평리점 |
수성구 | 시지점, 범어점, 파동점 |
참조
[1]
문서
유일한 향토 백화점으로 남아있다.
[2]
문서
일본 도쿄도의 CI는 1989년 6월부터 사용되고 있다.
[3]
뉴스
포항 신라쇼핑 인수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8-05-30
[4]
문서
대백은 대구백화점의 줄임말이다.
[5]
뉴스
대구백화점 대구은행
https://news.naver.c[...]
뉴시티
2009-07-29
[6]
문서
현재는 발행되지 않으며, 대신 대구은행 비씨카드로 대백플러스 체크카드가 나오고 있다.
[7]
뉴스
대구백화점 노원동 물류센터 개소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4-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