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륙밭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륙밭쥐는 북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인 쥐의 일종이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우랄 산맥, 북한, 사할린 섬, 일본, 내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해발 1170m에서 2700m까지의 고도에서 서식한다. 붉은색을 띤 등과 회색 옆구리를 가지며, 풀, 열매 등을 먹고 산다. 툰드라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4~5년 주기로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며, 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과거에는 밭쥐속에 속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대륙밭쥐속으로 분류되었다. 조림 수목을 갉아먹는 해수로 간주되기도 하며, 일본에서는 에키노코쿠스증의 중간 숙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6년 기재된 포유류 - 점박이돌고래
    점박이돌고래는 얼룩범고래의 아종으로, 서식 지역에 따라 형태와 유전적 특징이 다르며, 동태평양 원해, 하와이 섬 주변 해역 등에서 발견된다.
  • 1846년 기재된 포유류 - 꼬마긴수염고래
    꼬마긴수염고래는 수염고래목에 속하는 가장 작은 종으로, 남반구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크릴과 요각류를 먹고, 긴수염고래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우며, 해양 오염 및 기후 변화가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일본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일본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한국의 포유류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대륙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타이리크야치네즈미
타이리크야치네즈미
학명Craseomys rufocanus
명명자(Sundevall, 1846)
이명Hypudaeus rufocanus Sundevall, 1846
Neoaschizomys sikotanensis Tokuda, 1935
한국어 이름타이리크야치네즈미
영어 이름Grey red-backed vole (회색 붉은등밭쥐)
멸종 위기 등급 (IUCN)LC (최소 관심)
타이리크야치네즈미의 분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비단털쥐과
아과물밭쥐아과
대륙밭쥐족
타이리크야치네즈미속
대륙밭쥐 (C. rufocanus)

2. 분포

회색등밭쥐는 북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분포 지역은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 북러시아를 거쳐 캄차카 반도까지 이어진다. 우랄 산맥, 알타이 산맥, 북한, 사할린 섬, 일본, 내몽골 및 중국을 포함한다.[1] 고도 범위는 스칸디나비아에서는 해발 1170m에서 몽골의 항가이 산맥에서는 2700m까지이다. 전형적인 서식지는 침엽수림이나 자작나무 숲의 빽빽한 덤불이나 바위 지역으로, 종종 강 근처에서 발견되지만, 숲의 개간지, 거친 초원, 아북극 관목 황무지 및 건조한 이탄 습지에서도 발견된다.[1]

3. 형태

회색등밭쥐는 붉은색을 띤 등과 회색 옆구리를 가지고 있다. 머리와 몸통 길이는 약 11.43cm에서 약 13.34cm이며 꼬리 길이는 약 2.54cm에서 약 4.45cm이다. 들쥐와는 더 큰 크기와 독특한 붉은색 등으로 구별되며, 북부등밭쥐와는 더 큰 크기, 더 긴 다리, 상대적으로 더 긴 꼬리로 구별된다.[4] 성체의 어금니는 턱에 뿌리내리고 있다.[5]

몸길이는 11-12.6cm, 꼬리길이는 4.4-5.6cm이다.[14] 등면의 털은 짙은 갈색, 배면의 털은 흰색이나 옅은 흰색이다.[14] 뒷발길이는 1.9-2.1cm이다.[14] 젖꼭지 수는 8개이다.[14]

4. 생태

대륙밭쥐는 풀과 작은 풀, 관목의 잎과 줄기, 열매를 먹고 산다.[1] 맛없는 페놀 성분을 함유한 검은열매까마귀밥나무(''Empetrum nigrum ssp. hermaphroditum'')보다 월귤(''Vaccinium myrtillus'')을 더 선호한다.[6] 아종 에조밭쥐는 초원이나 관목림 등 풀이 밀생하고 낙엽이 두껍게 퇴적된 환경을 선호한다.[14][16]

식성은 식물성 경향이 강한 잡식성으로, 풀, 과실, 종자, 동물성 등을 먹는다.[14] 하계 이외에는 주로 벼과사초과의 풀을 먹는다.[14] 번식 형태는 태생이며, 1-11마리의 어린 개체를 낳는다.[14] 홋카이도 중부 및 남부의 개체군은 춘계나 추계(하계나 동계의 번식 예도 있음)에, 홋카이도 북부나 동부, 산지의 개체군은 주로 하계에 번식한다.[14][16]

4. 1. 개체 수 변동

툰드라 지역에서 대륙밭쥐는 개체 수가 상당히 증가할 때 급증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4~5년 주기로 발생하며[1] 그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특정 전문 포식자의 개체 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7] 나그네쥐 역시 이와 유사하지만 더욱 격렬한 개체 수 폭발을 겪는다. 이러한 현상은 밭쥐 급증과 같은 해에 발생하지만 빈도는 더 적다. 이는 부분적으로 나그네쥐가 겨울에도 번식을 계속하는 반면, 대륙밭쥐의 개체 수는 겨울 동안 감소하기 때문이다.[8]

5. 분류

회색등밭쥐는 IUCN에 의해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는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지고 특별한 위협에 직면하지 않는 흔한 종이기 때문이다. 개체수는 주기적으로 변동하지만 페노스칸디아에서는 산림 관리 방식의 변화로 인해 다소 감소하고 있을 수 있다.[1] 과거에는 밭쥐속(''Clethrionomys'') 또는 ''Myodes''에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밭쥐속에서 대륙밭쥐속 ''Craseomys''가 분리되어 본 종은 후자에 속하게 되었다.[10]

5. 1. 아종

과거 밭쥐속 ''Clethrionomys'' 또는 ''Myodes''에 분류되었으나[15],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밭쥐속에서 대륙밭쥐속 ''Craseomys''가 분리되어 본 종은 후자에 속하게 되었다[10]。홋카이도 본섬 개체군 등을 아종 에조밭쥐로 보는 설이 있다[11]

;''Craseomys rufocanus bedfordiae'' (Thomas, 1905) 에조밭쥐

:일본 (홋카이도,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오다이코쿠섬, 테우리섬, 야기시리섬, 리시리섬, 레분섬), 러시아 (사할린)[14][16]

오다이코쿠섬, 리시리섬, 레분섬의 개체군을 별종 시코탄밭쥐 ''C. sikotanensis''로 보는 설도 있었지만[14][16], 에조밭쥐의 동종이명으로 여겨진다[11]

6. 인간과의 관계

대륙밭쥐는 조림(造林)한 수목을 갉아먹는 해로운 동물로 간주되기도 한다. 에키노코쿠스증의 중간 숙주로도 알려져 있다.[17]

6. 1. 일본

일본에서는 조림한 수목을 갉아먹는 해수로 간주되기도 한다. 홋카이도에서는 주로 낙엽송을 갉아먹는 해수로, 1950년대부터 덫을 이용한 생식 수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16]

에키노코쿠스증의 중간 숙주로도 알려져 있다.[17]

참조

[1] 간행물 "''Myodes rufocanus''" 2016
[2] 웹사이트 "SPECIES ''Myodes rufocanus'' (Gray red-backed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https://www.uniprot.[...] 2014-05-18
[3] 논문 Mammal Diversity Database (Version 1.11) [Data set] https://www.mammaldi[...]
[4] 서적 Mammals Collins & Co.
[5] 웹사이트 "''Myodes rufocanus''" http://www.vertebrat[...]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5-18
[6] 논문 "Plant defences at no cost? The recovery of tundra scrubland following heavy grazing by grey-sided voles, ''Myodes rufocanus''" http://pub.epsilon.s[...]
[7] 논문 Vole Stranglers and Lemming Cycles
[8] 논문 Determinants of lemming outbreaks
[9] 간행물 "Myodes rufocan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4974A22373004" https://doi.org/10.2[...] 2016
[10] 문서 "Illustrated Checklist of the Mammals of the Worldにおける日本産哺乳類の種分類の検討" https://doi.org/10.1[...] 日本動物分類学会 2022
[11] 문서 "日本産齧歯類(野鼠及び家鼠)の分類学史的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6
[12] 웹사이트 世界哺乳類標準和名リスト2021年度版 https://www.mammalog[...] 日本哺乳類学会 2021-12-24
[13] 문서 "分類と形態からみたビロードネズミ属とヤチネズミ属"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98
[14] 서적 日本の哺乳類【改訂2版】 東海大学出版会 2008
[15] 문서 "日本産哺乳類の最近の分類体系 ―阿部(2005)とWilson and Reeder(2005)の比較―"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06
[16] 문서 "日本の哺乳類 (10) げっ歯目 ヤチネズミ属 エゾヤチネズミ"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971
[17] 뉴스 "野生哺乳類におけるエキノコックス流行の現状と対策" 日本哺乳類学会 2007
[18] 간행물 Myodes rufocanus
[19] 서적 한국의 포유동물 (Hangugui poyudongmul,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