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빈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빈묘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무덤으로, 정식 묘호는 옥산부대빈묘이다. 희빈 장씨는 신사옥사로 자진한 후 '희빈장씨묘'로 불렸으나, 경종이 즉위한 후 옥산부대빈으로 추존되면서 묘호가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양주 인장리에 조성되었으나, 1719년 광주 진해촌으로 이장되었고, 1969년에는 도로 건설로 인해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경내로 이전되었다. 묘는 봉분, 곡담, 장명등, 문인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적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문화유산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 고양시의 문화유산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 조선의 왕릉 - 태강릉
    태릉은 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의 단릉으로, 원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길 원했으나 침수 문제로 현재 위치에 안장되었으며, 제향은 태릉봉향회에서 주관하고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 인근에 강릉과 태릉선수촌이 있고 2014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 조선의 왕릉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 경기도의 사적 - 연천 전곡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 아슐리안 석기를 포함한 다양한 석기가 출토되었으며 전곡선사박물관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구석기축제가 개최된다.
  • 경기도의 사적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대빈묘
묘 정보
이름대빈묘(大嬪墓)
유형사적
지정 번호198
소재지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 30-1
제작 시기1701년
지정 연월일1970년 5월 26일

2. 묘호 및 추존

대빈묘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무덤이다. 정식 명칭은 옥산부대빈묘이다.[1] 경종이 즉위 후 어머니 장씨를 옥산부대빈으로 추존하면서 묘호가 변경되었다.[2]

2. 1. 묘호

조선 숙종후궁이자 계비이며,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무덤으로 정식 묘호는 옥산부대빈묘이다.

1701년 무고의 옥(=신사옥사)으로 자진한 희빈 장씨의 본래 묘호는 희빈장씨묘였으나, 경종 2년에 신임사화노론을 정계에서 축출한 경종이 어머니 장씨를 옥산부대빈으로 추존하여[1] 묘호가 옥산부대빈묘로 교체되었다.[2]

3. 조성 및 이장

1701년 음력 10월 8일 희빈가 사사된 후[14], 처음에는 무덤이 양주 인장리(현재의 경기도 구리시 일대[15])에 있었다[16][17]. 그러나 묘자리가 불길하다는 의견이 많아 1718년(숙종 44년) 음력 2월 20일 숙종이 천장을 명하였다[18]. 예조참의가 1년여 간 경기도 내에서 길지를 찾은 끝에, 그해 음력 12월 수원 청호촌과 광주 진해촌(현재의 경기도 광주시 문형동[19]) 두 곳으로 좁혀졌다. 최종적으로 수원보다 광주 진해촌이 좋겠다는 숙종의 결정에 따라 1719년(숙종 45년)에 천장하였다[20].

1969년[26] 묘소를 통과하는 도로가 생기는 바람에 희빈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로 이전되었다.[27]

3. 1. 조선 시대

1701년 음력 10월 8일 희빈가 사사된 후[14], 처음에는 무덤이 양주 인장리(현재의 경기도 구리시 일대[15])에 있었다[16][17]. 그러나 묘자리가 불길하다는 의견이 많아 1718년(숙종 44년) 음력 2월 20일 숙종이 천장을 명하였다[18]. 예조참의가 1년여 간 경기도 내에서 길지를 찾은 끝에, 그해 음력 12월 수원 청호촌과 광주 진해촌(현재의 경기도 광주시 문형동[19]) 두 곳으로 좁혀졌다. 최종적으로 수원보다 광주 진해촌이 좋겠다는 숙종의 결정에 따라 1719년(숙종 45년)에 천장하였다[20].

천장 당시 세자(경종)와 세자빈 어씨(선의왕후)는 망곡례를 거행하였다[21][22]. 한편, 희빈의 묘가 천장될 때는 희빈의 첫 며느리인 단의빈 심씨(단의왕후)의 상중이었는데, 세자가 상중에 생모의 묘를 옮기면서 생모의 복권을 시도하려 했다는 해석도 있다[23]. 실제로 희빈은 1722년(경종 2년) 음력 10월 10일 옥산부대빈(玉山府大嬪)으로 추존되고, 절기마다 제사를 받게 되었다[24].

3. 2. 현대

현대에 들어 희빈의 묘는 거의 폐허와 다름없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다.[25] 1969년[26] 묘소를 통과하는 도로가 생기는 바람에 지금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의 서오릉 경내로 이전하였다.[27] 서오릉에는 숙종의 정비 인경왕후 김씨의 능인 익릉,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민씨인원왕후 김씨가 함께 묻혀있는 명릉이 있는데, 여기에 희빈의 묘까지 들어오면서 숙종과 그 왕비 4명은 모두 같은 곳에 묻히게 되었다.[25]

4. 묘의 구성 및 특징

묘소는 봉분 주위를 곡담이 둘러싸고 있으며, 장명등과 문인석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26]. 보통 후궁들의 묘소 중 '원(園)'에는 문인석과 석마(石馬) 등이 갖춰져 있으나, 대빈묘에는 석마 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12]. 또 희빈의 묘는 서오릉 경내에서도 매우 구석진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규모도 작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석물이나 분위기 등이 사대부가의 묘보다도 못하다고 한다[28].

5. 기타

1970년 5월 26일 서오릉사적 제198호로 지정될 때 함께 포함되어 지정되었다.[28][29] 무덤의 면적은 1829.792m2이다.[28]

대빈묘 봉분에서 약 7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커다란 바위가 있는데, "바위로 묘역을 눌러야 희빈의 억센 기를 누를 수 있다."라며 가져다 놓은 바위라는 소문이 있었다.[27]

2008년대한민국인터넷 상에서, 대빈묘를 찾아가면 남자친구가 없는 여성에게 남자친구가 생긴다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다.[30]

경기도 광주시 문형동에 있는 원래 희빈의 묘자리는 현재 사유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별다른 시설물 없이 공터로 남아있다.[31]

숙종후궁이면서 희빈과 경쟁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던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의 무덤은 서오릉이 아닌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홀로 떨어져 있다. 숙빈의 무덤에는 소령원이라는 묘호가 붙었다.[32]

참조

[1] 조선왕조실록 경종 10권, 2년(1722 임인 / 청 강희(康熙) 61년) 10월 10일(임술) 4번째기사
[2] 조선왕조실록 경종 10권, 2년(1722 임인 / 청 강희(康熙) 61년) 10월 10일(임술) 4번째기사
[3] 조선왕조실록 영조 79권, 29년(1753 계유 / 청 건륭(乾隆) 18년) 6월 25일(기유) 3번째기사
[4] 조선왕조실록 영조 80권, 29년(1753 계유 / 청 건륭(乾隆) 18년) 7월 27일(경진) 2번째기사
[5] 조선왕조실록 영조 80권, 29년(1753 계유 / 청 건륭(乾隆) 18년) 9월 4일(병진) 3번째기사
[6] 문서 본래 무덤은 능·원·묘로 격을 두는데, 능은 황제와 황후의 무덤이고 원은 제후의 무덤이고 묘는 그 이하의 무덤이다. 조선에서는 제후국의 입장을 취했으나 원을 쓰지 않고 왕과 왕후의 무덤은 능으로 하였고 그 이하는 모두 묘를 썼다. 조선에서 원이 최초로 쓰인 것은 [[조선 인조|인조]]시대로, [[선조 (조선)|선조]]와는 달리 선왕의 양자로 입적하여 즉위한 형태가 아닌 선선왕인 [[선조 (조선)|선조]]의 손자로서 계승한 형태였던 [[조선 인조|인조]]는 어머니 구씨가 사망하자 부모자식의 의리가 끊기지 않았으니 장자로서 마땅히 상주가 되어 3년상의 예를 취하겠다고 고집을 피웠고, 이에 대신들이 반대하자 부모를 왕과 왕후로 추존하겠다고 선포하였다. 이를 절충하여 인조를 설득하였던 것이 [[한 선제]]가 죄인인 생부를 황제로 추존할 수 없자 생부의 무덤을 원으로 삼아 마음을 위로했던 고사를 빌어 이제 구성될 구씨의 무덤을 봉원하고 이후 정원대원군의 묘를 이장하여 구씨의 원에 합장하자는 것이었다. 이에 [[조선 인조|인조]]가 양보하여 이 건의를 받아들였고, 다만 정원대원군의 묘가 이장될 때까지 묘로 남아있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하여 정원대원군의 묘도 일시적으로 봉원되었다. 훗날 [[조선 인조|인조]]는 결국 부모를 왕과 왕후로 추존하였고, 이들의 무덤은 봉능되었다. 흔히 원은 세자의 무덤이라고 정의되고 있지만, 세자의 무덤이 봉원된 것은 고종시대부터이며, [[정조]]가 생부 [[사도세자]]의 시호를 장헌으로 교체하고 묘를 봉원한 것은 한 선제의 고사와 인조 때의 전례를 쓴 것으로, 세자가 아닌 왕의 사친 자격으로 봉원되었다. 출처: 《조선왕조실록》
[7] 조선왕조실록 영조 58권, 19년(1743 계해 / 청 건륭(乾隆) 8년) 6월 13일(갑자) 3번째기사
[8] 문서 사당을 아우르는 단어는 묘(廟)이며, 왕족의 사당은 지위에 따라 전·궁·방으로 격을 두었다. 왕과 왕후의 사당은 전(殿)으로 전호는 왕이나 왕후의 인산을 전후하여 시호와 함께 정해지며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다가 왕의 탈상 후에 태묘(=종묘)로 신주가 옮겨진다. 왕세자의 사당은 궁(宮)이며 그 외 왕자 혹은 왕의 친속의 사당은 방(房)이라 했는데, [[숙종 (조선)|숙종]] 때 왕자의 거처가 봉궁되었고 [[영조]] 때 왕녀의 거처도 봉궁되면서 자연스레 궁을 쓰게 되었으며, [[정조]] 때 후사가 없는 여러 왕녀와 후궁의 신주가 수정궁으로 옮겨지면서 정착되었다. 희빈 장씨의 사당은 정식으로 봉궁된 듯 보이진 않으나 《승정원일기》경종편에 궁으로 기록한 여러 기사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비공식적으로 호궁한 것이 정조시대 이후 자연히 정착된 듯 보인다.
[9] 조선왕조실록 영조 85권, 31년(1755 을해 / 청 건륭(乾隆) 20년) 6월 23일(을축) 1번째기사
[10] 조선왕조실록 영조 104권, 40년(1764 갑신 / 청 건륭(乾隆) 29년) 11월 5일(임자) 3번째기사
[11] 뉴스 (트래블)역사가 있는 능, 궁금증 풀어봐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6-26
[12] 뉴스 원비와 계비, 폐비까지 모두 모여 있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06-26
[13] 문서 [[소현세자]](1612년~1645년)가 사망했을 때 원이 아닌 묘로 조성되었던 것이 [[조선 인조|인조]]의 미움을 받은 증거로 알려지고 있지만, 세자의 무덤이 봉원된 것은 [[조선 고종|고종]]이 '세자와 세손은 사체가 자별한데 의절이 도리어 후궁보다 못하다.'는 이유를 들어 고종 14년(1870년) 음력 12월 6일부터 대대적으로 시행된 것이다.
[14] 조선왕조실록 숙종 27년(1701) 10월 8일 8번째 기사
[15] 네이버 네이버 백과사전 - 인창동 https://terms.naver.[...]
[16] 조선왕조실록 숙종 28년(1702) 1월 30일 2번째 기사
[17] 조선왕조실록 숙종 44년(1718) 2월 20일 3번째 기사
[18] 조선왕조실록 숙종 44년(1718) 2월 20일 3번째 기사
[19] 네이버 네이버 백과사전 - 문형리 http://100.naver.com[...]
[20] 조선왕조실록 숙종 44년(1718) 12월 23일 2번째 기사
[21] 조선왕조실록 숙종 45년(1719) 3월 8일 3번째 기사
[22] 조선왕조실록 숙종 45년(1719) 3월 12일 1번째 기사
[23] 뉴스 시어머니 장희빈 몰락… 고추보다 매웠던 구중궁궐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12-06-26
[24] 조선왕조실록 경종 2년(1722) 10월 10일 4번째 기사
[25] 네이버캐스트 네이버캐스트 - 조선왕릉 http://navercast.nav[...]
[26] 웹인용 문화재청 서오릉관리소 http://goyang.cha.go[...] 2012-06-26
[27] 뉴스 (수도권)장희빈의 억센 氣가 바위를 뚫었나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2-06-26
[28] 네이버 네이버 백과사전 - 희빈장씨묘 http://100.naver.com[...]
[29] 문화재청 문화재청 - 문화재검색 - 서오릉 http://www.cha.go.kr[...]
[30] 뉴스 (화제의 현장을 가다) 장희빈묘 찾아가면 남친생긴다? http://foto.sportsch[...] 스포츠조선 2012-06-26
[31] 뉴스 왕릉 근처엔 왜 숯불갈비집이 많을까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2-06-26
[32] 뉴스 자전거 타고 '악녀' 장희빈을 만나고 오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