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차세대 트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 차세대 트럭은 1995년 대우중공업에서 출시한 대한민국의 대형 트럭으로, 독자 기술로 개발되었다. 1990년 T-Project Team을 결성하여 개발을 시작, 1995년 10월 13종의 모델을 출시하며, 1996년에는 선대 차종을 대체하며 시장을 석권했다. 이후 다양한 모델을 추가하며 2001년에는 울트라 모델을 출시했으나, 2004년 타타대우 노부스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다양한 라인업과 특장차 모델을 갖추었으며, 현대 슈퍼트럭, 기아 그랜토, 쌍용 SY트럭 등과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화물자동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화물자동차 - 현대 포터
현대 포터는 1977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치며 대한민국 상용차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현대자동차의 1톤급 소형 트럭으로, 4세대 모델인 포터 II는 페이스리프트와 엔진 개선, 안전사양 강화, LPG 터보 및 전기차 모델 출시 등 다양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고 있으며 기아 봉고와 경쟁하고 있고 안전성 및 과적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마쓰다
마쓰다는 1920년 동양코르크공업으로 설립되어 3륜 트럭 생산을 시작, 로터리 엔진 기술을 통해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 스카이액티브 기술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대우 차세대 트럭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차종 | 보통 자동차 |
차명 | 대우 차세대 트럭 |
제조국 | 전라북도군산시소룡동 |
차명 보충 | 형식 무 |
차체 유형 | 2도어 캡오버형 대형트럭 |
승차 정원 | 2명 |
구동 방식 | 후륜 구동 |
엔진 위치 | 프론트 |
후속 차종 | 타타대우・노부스 |
선대 차종 | 대우・대형 트럭 |
디자인 | 베르토네 사 |
판매 기간 | 1995년10월 19일 - 2004년7월 |
파워트레인 | |
엔진 | 커민스・ISM |
엔진 | 대우종합기계・DV 시리즈 |
엔진 | DDC・시리즈 60 |
변속기 | 6단 MT |
변속기 | 10단 MT |
변속기 | 16단 MT |
변속기 | 12단 AMT (2003년 3월 이후) |
2. 역사
1990년 9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상용차 신제품 개발 및 신공장 건립을 위해 T-Project Team(티프로젝트팀)을 개설했다.[2] 1991년 10월에는 대형트럭 자체 개발 계획을 확정했다.[2] 1992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는 영국 MIRA의 풍동 시험을 통과하고, 이탈리아 베르토네사의 설계를 최종 확정지었다. 이후 영국 밀부룩의 고난이도 주행 테스트를 통과하여 최종 시판이 확정되었다.[2]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이 완공되었고, 대우 차세대 트럭의 사전계약이 시작되었다.[2] 1995년 6월에 대우자동차의 트럭사업부가 대우중공업으로 이관되면서, 회사명이 '''대우상용차'''로 변경되었다.[2] 1995년 9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에서 대우 차세대 트럭의 예약분 생산이 시작되었다.[1]
1995년 10월 19일, 대우중공업의 독자 기술이자 국산 트럭 최초로 독자 개발된 대우 차세대 트럭 13종이 출시 및 시판되었다.[2] 한국종합무역센터에서 신차 발표회를 개최하고 정식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8톤/11.5톤/19톤 카고차, 세미 트랙터, 15톤 덤프차, 6㎥ 믹서차, 11 - 15톤 암롤차, 11톤 쓰레기 수집차, 14kl 진공 청소차였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유려한 디자인과 편의성을 갖추었고, 부품 공급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부품 가격도 합리적이었다. 또한 부품 호환성,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도 뛰어나 경쟁 차종의 판매 대수를 넘어섰다. [1]
1995년 12월 15일, 대우 차세대 트럭은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아 대우기술상 대상을 수상하였다.[1] 현대 91A 및 아시아 그랜토와 비교하여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여, 많은 시장 점유율을 획득했다.[1]
1996년 1월, 선대 차종인 이스즈 뉴 파워를 기반으로 한 대우 대형 트럭이 생산 종료되었다. 이때부터 대우 차세대 트럭은 한국의 대형 트럭 시장을 석권하게 되었다.[1] 1996년 3월에는 19톤 덤프차, 8.5톤/14톤/19.5톤 카고차를 추가 출시했다.[2] 1996년 8월 6.5톤/11톤 윙바디, 6.5톤/11톤 냉동차, 7.5톤/11톤 레커차, 15톤 셀프 로더차, 8톤/11톤 특수 덤프, 8톤 쓰레기 수집차, 8kl 진공 청소차, 11톤 하수도 세정차, 탱크로리차 등을 추가로 출시하였다. 또한, 대우중공업과의 공동 생산 차종으로 28m/32m/36m/40m/43m/46m 콘크리트 펌프차, 12m/15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21톤 하이드로식 크레인차 등, 특수 자동차에 분류되는 차종을 추가 출시했다.
1997년 3월 8일, 23톤 덤프차와 24톤 카고차를 추가로 출시했다.[3] 1997년 12월, 쌍용자동차는 IMF 외환 위기로 경영난에 빠져 대우자동차에 인수되었고, 1998년에 경쟁 차종인 쌍용 SY 트럭은 대우 차세대 트럭에 통합되는 형태로 생산이 종료되었다. 쌍용 SY 트럭은 캐빈과 엔진을 제외한 부분에서 독자 개발을 시도했지만, 메르세데스-벤츠 제품을 탑재했기 때문에, 메르세데스-벤츠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했다. 반면, 대우 차세대 트럭은 완전 독자 개발이었기 때문에 타 메이커에 대한 로열티가 거의 없어, 생산이 우선시되었다.[1] 1998년 9월에는 국산 트럭 최초로 RHD 사양을 출시하여 수출 지역을 확대했다.[1] 1999년 9월 20일에는 24톤 덤프차, 25톤 카고차, 90톤 세미 트랙터를 추가 출시했다.[2]
2001년 1월에는 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전면부 디자인을 일부 변경한 차세대 트럭 울트라를 출시했다.[2] 2003년 3월에는 12단 AMT 선택 사양이 출시되었다.[2] 2004년 7월에는 생산이 종료되고, 타타대우 노부스가 출시되었다.[2]
2. 1. 개발 배경 (T-프로젝트)
1990년 9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상용차 신제품 개발 및 신공장 건립을 위한 T-Project Team(티프로젝트팀)을 개설하였다.[2]1991년 10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대형트럭 자체 개발 계획을 확정하였다.[2] 1990년대 초, 대우자동차는 상용차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형 트럭 독자 개발을 추진하였다.
2. 1. 1. T-프로젝트 팀 개설 (1990년 9월)
1990년 9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상용차 신제품 개발 및 신공장 건립을 위한 T-Project Team(티프로젝트팀)을 개설하였다.[2]2. 1. 2. 자체 개발 계획 확정 (1991년 10월)
1991년 10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대형트럭 자체 개발 계획을 확정하였다.[2]2. 2. 설계 및 테스트
1992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 대우 차세대 트럭의 설계 및 테스트가 진행되었다.[2] 영국 MIRA의 풍동 시험을 통과하여 최종 디자인이 확정되었고,[2] 이탈리아 베르토네 디자인[1] 과 영국 밀부룩의 고난이도 주행 테스트를 거쳐 최종 시판 모델이 확정되었다.[2]2. 3. 생산 및 출시
1990년 9월, 대우자동차 트럭사업부는 상용차 신제품 개발 및 신공장 건립을 위해 T-Project Team(티프로젝트팀)을 개설했다.[2] 1991년 10월에는 대형트럭 자체 개발 계획을 확정했다.[2] 1992년 10월부터 1995년 5월까지는 영국 MIRA의 풍동 시험을 통과하고, 이탈리아 베르토네사의 설계를 최종 확정지었다. 이후 영국 밀부룩의 고난이도 주행 테스트를 통과하여 최종 시판이 확정되었다.[2]1995년 5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이 완공되었고, 대우 차세대 트럭의 사전계약이 시작되었다.[2] 1995년 6월에 대우자동차의 트럭사업부가 대우중공업으로 이관되면서, 회사명이 '''대우상용차'''로 변경되었다.[2] 1995년 9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에서 대우 차세대 트럭의 예약분 생산이 시작되었다.[1]
1995년 10월 19일, 대우중공업의 독자 기술이자 국산 트럭 최초로 독자 개발된 대우 차세대 트럭 13종이 출시 및 시판되었다.[2] 한국종합무역센터에서 신차 발표회를 개최하고 정식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8톤/11.5톤/19톤 카고차, 세미 트랙터, 15톤 덤프차, 6㎥ 믹서차, 11 - 15톤 암롤차, 11톤 쓰레기 수집차, 14kl 진공 청소차였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유려한 디자인과 편의성을 갖추었고, 부품 공급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부품 가격도 합리적이었다. 또한 부품 호환성,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도 뛰어나 경쟁 차종의 판매 대수를 넘어섰다. [1]
1995년 12월 15일, 대우 차세대 트럭은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아 대우기술상 대상을 수상하였다.[1] 현대 91A 및 아시아 그랜토와 비교하여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여, 많은 시장 점유율을 획득했다.[1]
1996년 1월, 선대 차종인 이스즈 뉴 파워를 기반으로 한 대우 대형 트럭이 생산 종료되었다. 이때부터 대우 차세대 트럭은 한국의 대형 트럭 시장을 석권하게 되었다.[1] 1996년 3월에는 19톤 덤프차, 8.5톤/14톤/19.5톤 카고차를 추가 출시했다.[2] 1996년 8월 6.5톤/11톤 윙바디, 6.5톤/11톤 냉동차, 7.5톤/11톤 레커차, 15톤 셀프 로더차, 8톤/11톤 특수 덤프, 8톤 쓰레기 수집차, 8kl 진공 청소차, 11톤 하수도 세정차, 탱크로리차 등을 추가로 출시하였다. 또한, 대우중공업과의 공동 생산 차종으로 28m/32m/36m/40m/43m/46m 콘크리트 펌프차, 12m/15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21톤 하이드로식 크레인차 등, 특수 자동차에 분류되는 차종을 추가 출시했다.
1997년 3월 8일, 23톤 덤프차와 24톤 카고차를 추가로 출시했다.[3] 1997년 12월, 쌍용자동차는 IMF 외환 위기로 경영난에 빠져 대우자동차에 인수되었고, 1998년에 경쟁 차종인 쌍용 SY 트럭은 대우 차세대 트럭에 통합되는 형태로 생산이 종료되었다. 쌍용 SY 트럭은 캐빈과 엔진을 제외한 부분에서 독자 개발을 시도했지만, 메르세데스-벤츠 제품을 탑재했기 때문에, 메르세데스-벤츠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했다. 반면, 대우 차세대 트럭은 완전 독자 개발이었기 때문에 타 메이커에 대한 로열티가 거의 없어, 생산이 우선시되었다.[1] 1998년 9월에는 국산 트럭 최초로 RHD 사양을 출시하여 수출 지역을 확대했다.[1] 1999년 9월 20일에는 24톤 덤프차, 25톤 카고차, 90톤 세미 트랙터를 추가 출시했다.[2]
2001년 1월에는 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전면부 디자인을 일부 변경한 차세대 트럭 울트라를 출시했다.[2] 2003년 3월에는 12단 AMT 선택 사양이 출시되었다.[2] 2004년 7월에는 생산이 종료되고, 타타대우 노부스가 출시되었다.[2]
2. 3. 1. 군산공장 완공 및 사전계약 (1995년 5월)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이 완공되었고, 대우 차세대 트럭의 사전계약이 시작되었다.[2]2. 3. 2. 대우상용차 출범 (1995년 6월)
1995년 6월에 대우자동차의 트럭사업부가 대우중공업으로 이관되면서, 회사명이 '''대우상용차'''로 변경되었다.[2]2. 3. 3. 생산 개시 (1995년 9월)
1995년 9월, 대우중공업 군산공장에서 대우 차세대 트럭의 예약분 생산이 시작되었다.[1]2. 3. 4. 공식 출시 (1995년 10월 19일)
1995년 10월 19일, 대우중공업의 독자 기술이자 국산 트럭 최초로 독자 개발된 대우 차세대 트럭 13종이 출시 및 시판되었다.[2] 한국종합무역센터에서 신차 발표회를 개최하고 정식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8톤/11.5톤/19톤 카고차, 세미 트랙터, 15톤 덤프차, 6㎥ 믹서차, 11 - 15톤 암롤차, 11톤 쓰레기 수집차, 14kl 진공 청소차였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이고 유려한 디자인과 편의성을 갖추었고, 부품 공급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부품 가격도 합리적이었다. 또한 부품 호환성,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도 뛰어나 경쟁 차종의 판매 대수를 넘어섰다. [1]2. 3. 5. 대우기술상 대상 수상 (1995년 12월 15일)
1995년 12월 15일, 대우 차세대 트럭은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아 대우기술상 대상을 수상하였다.[1] 현대 91A 및 아시아 그랜토와 비교하여 내구성, 최고 출력, 연비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여, 많은 시장 점유율을 획득했다.[1]2. 4. 모델 라인업 확장
1996년 1월, 선대 차종인 이스즈 뉴 파워를 기반으로 한 대우 대형 트럭이 생산 종료되었다. 이때부터 차세대 트럭은 한국의 대형 트럭 시장을 석권하게 되었다.[1]1996년 3월, 19톤 덤프차, 8.5톤/14톤/19.5톤 카고트럭이 추가 출시되었다.
1996년 8월, 6.5톤/11톤 윙바디, 6.5톤/11톤 냉동차, 7.5톤/11톤 레커차, 15톤 셀프로더[6], 8톤/11톤 특수 덤프, 8톤 쓰레기 수집차, 8kl 진공 청소차, 11톤 하수도 세정차[15], 탱크로리차 등을 추가 출시되었다. 또한, 대우중공업과의 공동 생산 차종으로 28m/32m/36m/40m/43m/46m 콘크리트 펌프차, 12m/15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21톤 하이드로식 크레인차 등, 특수 자동차에 분류되는 차종을 추가 출시되었다.
1997년 3월 8일, 23톤 덤프차, 24톤 카고트럭이 시판되었다.[1]
1998년 9월, 한국산 트럭 최초로 RHD 사양을 출시했다.[1] 이를 통해 대우 차세대 트럭의 수출 지역이 확대되었다.[1] 이는 IMF 외환 위기로 어려움을 겪던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 인수된 이후, 쌍용 SY 트럭이 단종되고 대우 차세대 트럭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성과로, 대한민국 트럭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1999년 9월 20일, 24톤 덤프차, 25톤 카고차, 90톤 세미 트랙터를 추가 출시.[1]
2. 4. 1. 1996년 추가 모델 출시
1996년 1월, 선대 차종인 이스즈 뉴 파워를 기반으로 한 대우 대형 트럭이 생산 종료되었다. 이때부터 차세대 트럭은 한국의 대형 트럭 시장을 석권하게 되었다.[1]1996년 3월, 19톤 덤프트럭, 8.5톤/14톤/19.5톤 카고트럭이 추가 출시되었다.
1996년 8월, 6.5톤/11톤 윙바디, 6.5톤/11톤 냉동차, 7.5톤/11톤 레커차, 15톤 셀프로더[6], 8톤/11톤 특수 덤프, 8톤 쓰레기 수집차, 8kl 진공 청소차, 11톤 하수도 세정차[15], 탱크로리차 등을 추가 출시되었다. 또한, 대우중공업과의 공동 생산 차종으로 28m/32m/36m/40m/43m/46m 콘크리트 펌프차, 12m/15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21톤 하이드로식 크레인차 등, 특수 자동차에 분류되는 차종을 추가 출시되었다.
2. 4. 2. 1997년 추가 모델 출시
1997년 3월 8일, 23톤 덤프트럭, 24톤 카고트럭이 시판되었다.[1]2. 4. 3. 우핸들(RHD) 사양 출시 (1998년 9월)
1998년 9월, 한국산 트럭 최초로 RHD 사양을 출시했다.[1] 이를 통해 대우 차세대 트럭의 수출 지역이 확대되었다.[1] 이는 IMF 외환 위기로 어려움을 겪던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 인수된 이후, 쌍용 SY 트럭이 단종되고 대우 차세대 트럭으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성과로, 대한민국 트럭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2. 4. 4. 1999년 추가 모델 출시
1999년 9월 20일, 24톤 덤프차, 25톤 카고차, 90톤 세미 트랙터를 추가 출시.[1]2. 5. 차세대 트럭 울트라 (2001년)
2001년 1월, 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전면부 프론트 그릴 디자인을 변경한 신형 차세대 트럭 울트라를 출시 및 시판하였다.[1]2. 5. 1. 엔진 업그레이드 및 마이너체인지 (2001년 1월)
2001년 1월, 엔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면부 디자인을 변경한 '''차세대 트럭 울트라'''가 출시되었다.[1]2. 5. 2. 12단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옵션 추가 (2003년 3월)
2003년 3월, ZF제 12단 AMT가 세미 트랙터, 카고차에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탑재 엔진은 커민스 ISM, 대우종합기계 DV 시리즈, 그리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으로 정규 수입된 DDC 시리즈 60이었다.2. 6. 생산 종료 (2004년)
2004년 7월, 후속 모델인 타타대우 노부스가 출시되면서 대우 차세대 트럭은 생산이 종료되었다.[1] 차세대 트럭은 노부스와 유사한 설계를 가지고 있어 부품 호환성이 높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노부스가 현행 차종이기 때문에 중고차 시장에서 고가로 거래된다.[1]3. 특징
3. 1. 디자인
3. 2. 성능 및 내구성
3. 3. 변속기
2003년 3월부터 12단 자동화 수동변속기(AMT)가 적용된 것을 포함하여 6단, 10단, 16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4. 라인업
- 8톤 카고차
- 8.5톤 카고차
- 11톤 풀 트레일러[4]
- 11.5톤 카고차
- 14톤 카고차
- 16톤 카고차
- 19톤 카고차
- 19.5톤 카고차
- 20.5톤 카고차
- 22톤 카고차
- 24톤 카고차
- 25톤 카고차
- 8톤 덤프차
- 14.5톤 덤프차
- 15톤 덤프차
- 19톤 덤프차
- 21.5톤 덤프차[5]
- 23톤 덤프차
- 24톤 덤프차
- 6㎥ 믹서차
- 39톤 세미 트랙터
- 60톤 세미 트랙터
- 75톤 세미 트랙터
- 90톤 세미 트랙터
- 28m 콘크리트 펌프차
- 32m 콘크리트 펌프차
- 36m 콘크리트 펌프차
- 40m 콘크리트 펌프차
- 43m 콘크리트 펌프차
- 46m 콘크리트 펌프차
- 12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 15m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차
- 21톤 트럭 크레인차
- 15톤 셀프 로더차[6]
- 23톤 벌크차[7]
- 7.5톤 레커차[8]
- 11톤 레커차[9]
- 10kl 탱크로리차
- 12kl 탱크로리차
- 14kl 탱크로리차
- 16kl 탱크로리차
- 18kl 탱크로리차
- 20kl 탱크로리차
- 22kl 탱크로리차
- 24kl 탱크로리차
- 26kl 탱크로리차
- 28kl 탱크로리차
- 31kl 탱크로리차
- 10kl LPG 벌크 탱크로리차
- 12kl LPG 탱크로리차
- 15kl LPG 탱크로리차
- 6.5톤 윙바디차
- 11.5톤 윙바디차
- 6.5톤 냉동차
- 11톤 냉동차
- 8톤 특수 덤프차[10]
- 11톤 특수 덤프차[11]
- 8톤 암롤차[12]
- 11톤 암롤차
- 15톤 암롤차
- 8톤 쓰레기 수집차[13]
- 11톤 쓰레기 수집차
- 8kl 진공 흡입차[14]
- 14kl 진공 흡입차
- 11톤 배수구 청소차[15]
4. 1. 카고
대우 차세대 트럭의 카고 모델은 8톤, 8.5톤, 11톤, 11.5톤, 14톤, 16톤, 19톤, 19.5톤, 20.5톤, 22톤, 24톤, 25톤 등 다양한 적재 중량을 가진 모델이 있었다.[4] 11톤 풀카고 모델도 있었다.[4]4. 2. 덤프
대우 차세대 트럭의 덤프 모델로는 8톤, 14.5톤, 15톤, 19톤, 21.5톤[5], 23톤, 24톤 모델이 있었다.4. 3. 트랙터
대우 차세대 트럭의 트랙터 모델로는 39톤, 60톤, 75톤, 90톤 트랙터가 있었다.[4][5][6][7][8][9][10][11][12][13][14][15]4. 4. 특장차
대우 차세대 트럭은 다양한 특장차 모델을 갖추고 있었다. 6m3 믹서트럭, 콘크리트 펌프카,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트럭이 있었다.[4] 21톤 하이드로 트럭식 크레인,[6] 15톤 셀프로더, 23톤 BCC트럭,[7] 7.5톤 및 11톤 렉카[8][9]도 있었다. 또한, 10kl부터 최대 31kl까지 다양한 용량의 탱크로리와 LPG 벌크탱크로리, 6.5톤 및 11.5톤 윙바디, 6.5톤 및 11톤 냉동탑차[10][11]가 있었다. 이외에도 8톤 및 11톤 진개덤프,[12] 8톤, 11톤, 15톤 암롤,[13] 8톤 및 11톤 압축진개차, 8kl 및 14kl 버큠로리,[14] 11톤 하수도세정차[15] 등 다양한 용도의 특장차가 있었다.5. 경쟁 차종
- 현대 슈퍼트럭
- 기아 그랜토
- 쌍용 SY트럭 -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 제휴를 통해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 판매한 대형 트럭이다. 벤츠의 엔진을 탑재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8년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 인수되면서 대우 차세대 트럭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되었다.
5. 1. 현대 슈퍼트럭
현대자동차의 대형 트럭 모델이다.5. 2. 기아 그랜토
기아자동차의 대형 트럭 모델이다.5. 3. 쌍용 SY트럭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 제휴를 통해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 판매한 대형 트럭이다. 벤츠의 엔진을 탑재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8년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 인수되면서 대우 차세대 트럭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되었다.6. 미디어 속 등장
서울동작구 소방서의 구조 공작차로 등장한다. 촬영용 소품이 아닌 실제 소방차이다.
영웅시대 제67화에서 가라사와 터널 내 공사 현장의 15톤 덤프 트럭으로 2대가 등장한다.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 한국 배경 장면에서 등장한다.
하도영이 전재준을 교통사고로 기절시킬 때 믹서트럭으로 등장한다. 또한, 노브스의 데칼을 도색하고 있다.
김구남이 명정학 등으로부터 도주할 때 세미 트랙터로 등장한다. 또한, 정지해 있던 명정학 등의 차량에 충돌하여 제어를 잃고 전복되는 장면에서도 등장한다.
신철식이 증거품인 칼을 검찰에 넘기려는 김석을 제지하는 차량으로 등장한다.
긴급 구조 119에서 서울 동작소방서, 천안동남소방서, 전라남도순천소방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소방서 소속의 구조 공작차 및 사고 탱크로리 차량 재현으로 등장한다.
2006년 10월 3일에 발생한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의 재현 CG에서, 25톤 카고차가 안개 속에서의 추월 및 속도 위반으로 인해 추돌 및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6. 1. 그들은 멈출 수 없어
서울동작구 소방서의 구조 공작차로 등장한다. 촬영용 소품이 아닌 실제 소방차이다.6. 2. 영웅시대
영웅시대 제67화에서 가라사와 터널 내 공사 현장의 15톤 덤프 트럭으로 2대가 등장한다.6. 3.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 한국 배경 장면에서 등장한다.6. 4. 더 글로리
하도영이 전재준을 교통사고로 기절시킬 때 믹서트럭으로 등장한다. 또한, 노브스의 데칼을 도색하고 있다.6. 5. 비열한 거리 (2010년 영화)
김구남이 명정학 등으로부터 도주할 때 세미 트랙터로 등장한다. 또한, 정지해 있던 명정학 등의 차량에 충돌하여 제어를 잃고 전복되는 장면에서도 등장한다.6. 6. 피고인
신철식이 증거품인 칼을 검찰에 넘기려는 김석을 제지하는 차량으로 등장한다.6. 7. 긴급 구조 119
긴급 구조 119에서 서울 동작소방서, 천안동남소방서, 전라남도순천소방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소방서 소속의 구조 공작차 및 사고 탱크로리 차량 재현으로 등장한다.6. 8. KBS 스페셜
2006년 10월 3일에 발생한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의 재현 CG에서, 25톤 카고차가 안개 속에서의 추월 및 속도 위반으로 인해 추돌 및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는 장면에서 등장한다.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대우 차세대트럭 - 나무위키
https://namu.wiki/w/[...]
2024-01-22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