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본산업보국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일본산업보국회는 1940년 11월 23일에 설립된 일본의 전시 체제 노동 통제 기구이다. 전국노동조합동맹과 일본노동총동맹의 해산 이후, 노동자를 전시 체제에 통합하여 전쟁 수행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내무성 및 후생성의 지도하에 활동했다. 총재는 후생대신 가나미쓰 쓰네오, 회장은 히라오 세이자부로, 이사장은 유자와 미치오가 맡았으며, 1945년 9월에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노총 -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 (1989년)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는 1989년 일본에서 사회당 좌파 성향의 노조들이 결성한 노동조합 연락협의회로, 특정 노선에 치우치지 않고 평화운동, 반해고 투쟁 등을 전개하며 대한민국의 민주노총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 일본의 노총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는 일본 최대 노동조합 중앙 조직으로, 총평의 우경화에 반발하여 결성되었으며, 전후 노동조합 운동의 흐름 속 4대 노총 통합의 결과로 탄생, 주요 가맹 산별 노조와 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정책 목표를 추구하지만, 타협적인 태도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소극적 대처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일본의 해산된 노동조합 - 일본노동총동맹
일본노동총동맹은 1921년 대일본노동총동맹유애회가 개칭되어 성립된 노동 단체로, 사회주의에서 사회민주주의 우파로 변화하며 현실주의, 반공주의, 노사 협조주의를 표방했으나 중일 전쟁 이후 일본 군국주의에 협력, 1940년 해산되었다. - 일본의 해산된 노동조합 - 국철동력차노동조합
국철동력차노동조합은 1951년 결성된 일본의 노동조합으로, 기관차 승무원 중심에서 동력차 조종사 전체로 확대되었으며, 국철 민영화 과정에서 분열과 합병을 겪었다. - 1940년 설립된 단체 -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은 1940년 일제가 중일 전쟁 수행을 위해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거주 일본인을 가입시켜 황민화 사상을 주입하고 징병, 징용, 공출 등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는 활동을 펼쳤으나, 1945년 해체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서 비판받는다. - 1940년 설립된 단체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대일본산업보국회 | |
---|---|
개요 | |
이름 | 대일본산업보국회 |
다른 표기 | }} (다이닛폰산교우호우코쿠카이) |
로고 크기 | (기본값 150px) |
그림 크기 | (기본값 300px) |
설립 | 1940년 11월 23일 |
해산 | 1945년 9월 |
전신 | 전국노동조합동맹, 일본노동총동맹 |
가맹 조직 | 대정익찬회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일본의 노동조합 노동조합 대정익찬회 |
2. 설립 배경 및 목적
전국노동조합동맹과 일본노동총동맹이 해산되면서, 노동조합을 산하에 두고 내무성·후생성의 지도 아래 노동자를 전시체제에 통합하게 되었다. 이는 노동조합을 대체하고 전시 체제에 노동자를 동원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노무 관리를 통해 전쟁 수행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2]
1940년 11월 23일 오전, 구단 군인회관에서 대일본산업보국회 중앙본부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같은 날 오후에는 각 부현 산업보국연합회 대표 1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기념식이 같은 장소에서 열렸다. 총회에서는 강령과 회칙이 결정되었다.[2] 중앙본부 사무국은 발족 당시 총무, 노무, 연성, 후생의 4국 체제였으나, 1941년 12월 2일에 총무, 업무의 2국 체제로 개편되고 상무이사제가 도입되었다.[3]
1938년 8월 30일, 대일본산업보국회와 비슷한 조직인 산업보국연맹이 결성되었다. 산업보국연맹은 각 부현 경찰의 특고 과장의 지도하에 각 공장마다 만들어졌으며, 각 부현 연합회 회장에는 도도부현 지사가, 지부장에는 각 관구의 경찰서장, 도쿄시에서는 경시총감이 취임했다. 사회대중당 간부들이 솔선하여 협력했다.[6]
[1]
서적
大日本產業報國會要覽
https://dl.ndl.go.jp[...]
大日本産業報国会
3. 조직 구조 및 활동
1941년, 후생성의 통첩에 따라 전국 26,000개의 단위 산업보국회 내부에 25세 이하 남성으로 구성된 "산보청년대"가 결성되었다.[4] 산보청년대의 예상 대원 수는 250만 명이었다.[5]
1942년 5월, 대일본산업보국회는 대정익찬회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4. 주요 임원
직책 이름 비고 총재 가나미쓰 쓰네오 후생대신 회장 히라오 세이자부로 귀족원 의원, 일본제철 회장 이사장 유자와 미치오 전 내무 차관 고문 내무대신 문부대신 상공대신 체신대신 철도대신 기획원 총재 대정익찬회 사무총장, 미즈노 렌타로 외 상임고문 히로세 히사타다 귀족원 의원 가와라다 가키치 귀족원 의원 요시다 시게루 귀족원 의원 나카가와 스에요시 후루카와 전기공업 사장 카타오카 야스시 만주 피혁 사장 고 겐노스케 귀족원 의원 심의원 내각서기관장 법제국 장관 내각 정보부장 각 성 차관 이사카 다카시 외 도쿄 가스 사장 오구라 마사츠네 주식회사 스미토모 본사 총이사 이사 기획원 제3부장 내무성 경보국장 문부성 사회교육국장 육군성 정비국장 해군 함정본부 총무부장 상공성 총무국장 상공성 광산국장 후생성 노동국장 후생성 직업부장 보험원 사회보험국장 하타노 사다오 일본능률연합회 이사장 오쿠라 구니히코, 다나카 미쓰기 외 오쿠라 정신문화연구소 소장 감사 후생 사무 차관 시라이시 겐지로 오바타 겐노스케 일본 페인트 사장
5. 산업보국연맹과의 관계
참조
[2]
뉴스
中央本部創立総会
大阪毎日新聞
1940-11-24
[3]
뉴스
機構改革、新たに常務理事制
朝日新聞
1941-12-03
[4]
뉴스
産報青年隊準則を決定、全国に示達
朝日新聞
1941-04-24
[5]
뉴스
青年隊の結成指示、二百五十万人動員
大阪毎日新聞
1941-03-04
[6]
서적
昭和史
岩波書店
[7]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8]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評議会
https://kotobank.jp/[...]
[9]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全国評議会
https://kotobank.jp/[...]
[10]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同盟
https://kotobank.jp/[...]
[11]
웹사이트
全日本産業別労働組合会議
https://kotobank.jp/[...]
[12]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評議会
https://kotobank.jp/[...]
[13]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連合会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