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한밭수목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한밭수목원은 1993년 세계 박람회 남문 광장 및 주차장 부지에 조성된 수목원이다. 2008년에 개장하여 동원, 서원, 열대식물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2005년 개원 이후 연평균 90만 명 이상이 방문한다. 식장산, 계룡산 등 대전 인근 지역의 식물을 중심으로 생태 숲을 조성하여 학술 연구, 식물 학습, 휴식 및 문화 공간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공원 - 엑스포과학공원
엑스포과학공원은 1993년 대전 엑스포 개최 후 과학기술 테마공원으로 조성되었지만 재개발을 거쳐 엑스포기념구역을 중심으로 일부 시설만 남았으며, 엑스포 재창조 사업으로 과학 및 문화 시설이 들어서고 한빛탑 등 일부 기념 시설이 보존되어 엑스포의 상징성을 유지하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공원 - 구봉산 (대전)
구봉산은 대전광역시에 있는 아홉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으로, 대전 시가지와 주변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다양한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다. - 수목원 - 천리포수목원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한 천리포수목원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다양한 기후대의 식물을 재배하며 60여 개국에서 수집한 16,347분류군의 식물을 보유하고, 특정 속 식물 집중 수집, 세계의 아름다운 수목원 인증, 식물 자원 이력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생태계 보전 프로젝트 수행 등으로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한다. - 수목원 - 물향기수목원
- 대전광역시청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대전광역시청 -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은 대전광역시의 대표적인 공연 시설로 아트홀과 앙상블홀을 갖추고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선보이며, 대전시립 예술단체의 상주 공연과 공연 기획 및 무대 기술 지원을 통해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한다.
대전광역시한밭수목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大田廣域市한밭樹木院 |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69 (만년동) |
운영자 | 대전광역시청 |
개장일 | 2005년 4월 28일 |
웹사이트 | 한밭수목원 공식 웹사이트 |
개요 | |
설명 |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수목원 |
특징 | 국내 최대의 인공 수목원 |
2. 역사
현재 한밭수목원이 자리한 곳은 본래 1993년 세계 박람회 당시 남문 광장과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던 부지이다. 박람회가 폐막된 후 유휴지로 남아있던 이 곳은 대전광역시의 녹지 및 생태공원 조성 계획에 따라 수목원으로 조성되었다. 주변에는 엑스포과학공원이 위치해 있다.
2. 1. 조성 과정
현재 한밭수목원이 위치한 부지는 본래 1993년 세계 박람회 당시 남문 광장 및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대전 엑스포 '93가 폐막하면서 이곳은 활용 방안이 정해지지 않은 유휴지가 되었고, 이후 넓은 부지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대전광역시는 이곳에 녹지 및 생태공원을 조성하기로 계획하고, 여러 시립 양묘장에서 10년 동안 적합한 식물을 재배하는 등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쳤다. 2001년에 본격적인 수목원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장하였다. 서원은 2005년에 먼저 문을 열었고, 동원은 2009년, 열대 식물원은 2011년에 각각 개장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 구성
대전광역시한밭수목원은 1993년 대전 엑스포가 열렸던 부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조성된 도심 속 인공 수목원이다. 크게 서원, 동원, 그리고 열대식물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엑스포 이후 10여 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1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05년 서원을 시작으로 2009년 동원, 2011년 열대식물원이 차례로 문을 열었다.
3. 1. 동원
대전 엑스포 '93이 끝난 후, 과거 엑스포 주차장으로 쓰였던 넓은 땅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여러 시립 양묘장에서 식물을 키우는 등 10년 간의 준비를 거쳐 2001년부터 수목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서원이 2005년에 먼저 개장했고, 동원은 2009년에 문을 열었다. 이후 열대 식물원은 2011년에 개장하였다.3. 2. 서원
대전 엑스포 '93 이후, 당시 엑스포 주차장으로 사용되던 넓은 부지의 활용 방안이 논의되었다. 여러 시립 양묘장에서 적합한 식물을 10년 동안 재배하는 등 장기간의 준비 과정을 거쳐, 2001년에 수목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는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서원은 2005년에 개장했다. 이후 동원은 2009년, 열대 식물원은 2011년에 각각 문을 열었다.3. 3. 열대식물원
주로 열대성 국가나 지방에서 자라는 특종 수목 및 식물을 전시하는 곳이다.[1] 대한민국은 여름과 겨울이 오가는 계절적 교차 때문에, 특히 겨울에는 열대 식물이 자생하기 어려워 별도의 온실형 건물을 통해 열대 수목과 식물을 전시하고 있다. 열대식물들은 대부분 열대성 기후에 속하는 국가와 지방에서 자라며, 온실의 온기와 창가에서 비치는 햇볕을 통해 자란다.[1]열대식물원은 수목원 동원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열대식물원 건물에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이다.[1]
대전 엑스포 '93 이후, 엑스포 주차장으로 사용되었던 넓은 부지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러 시립 양묘장에서 적합한 식물을 10년 동안 재배하는 등 오랜 기간의 계획을 거쳐, 2001년에 수목원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사는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서원은 2005년에 개장했고, 동원과 열대 식물원은 각각 2009년과 2011년에 개장했다.[2]
4. 이용 현황
2005년 개원 이래 연평균 90만여 명의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으며, 정부대전청사와 갑천을 연결하는 녹지, 생태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동원의 동쪽에는 천연기념물보호센터가 자리잡고 있어 자연을 학습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5. 보유 식물
한밭수목원은 식장산, 계룡산, 우성이산 등 대전 인근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식물 종을 중심으로 조성된 인공수목원이다. 이곳은 식물 관련 학술 연구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식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휴식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수목원은 크게 동원과 서원으로 나뉘어 다양한 주제의 식물원이 조성되어 있다.
구분 | 주요 식물원 및 숲 |
---|---|
동원 | 목련원, 약용식물원, 암석원, 유실수원, 단풍나무원, 소나무원, 관목원, 화밀원, 식이식물원, 특산식물원, 참나무원, 상록수원, 대나무원, 장미원 |
서원 | 감각정원, 습지원, 야생화원, 졸참나무숲, 상수리나무숲, 침엽수원, 소나무숲, 물오리나무숲, 단풍-신갈나무숲 |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9일 개장 국내 최대 인공 ‘대전 한밭수목원’ 가보니
https://www.seoul.co[...]
2009-05-12
[2]
웹사이트
인사말
https://www.daejeon.[...]
2021-08-20
[3]
웹사이트
소개
https://www.daejeon.[...]
2021-08-20
[4]
웹인용
대전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제68조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8-01-01
[5]
웹인용
대전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시행규칙 제51조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