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표권 제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표권 제한은 법적 권한의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 영미법, 헌법 및 행정법에서 다르게 적용된다. 대한민국 민법은 법인의 목적 범위 내에서 권리를 제한하며,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는 정관 및 이사회 결의 등으로 대표권이 내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영미법에서는 기업의 설립 문서에 의해 부여된 권한을 벗어난 행위를 ultra vires로 정의하며, 무효 또는 취소 가능성을 논한다. 헌법에서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권한, 아일랜드 및 영국의 헌법적 권한을 벗어나는 경우를 월권 행위로 간주한다. 행정법에서는 행정 행위가 권한을 벗어났을 경우 사법 심사를 받을 수 있으며,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ultra vires를 구분하여 판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법 - 제명
    제명은 정치, 종교, 스포츠 등에서 구성원의 자격을 박탈하는 징계 수단으로, 일본 국회법, 정당의 당헌·당규, 스포츠 단체의 규정 등에 따라 절차가 진행되며, 셀프 제명은 탈당을 통해 의원직 유지를 시도하는 것이다.
  • 상법 - 주식
    주식은 회사의 자본 단위로서 주주에게 경영 참여와 이익 배분 권리를 부여하며, 액면 유무, 종류, 명의, 발행 시점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주주의 책임은 유한하며, 주가는 주식의 가치를 나타내고, 투자 이익은 배당과 매매 수익으로 구성되며, 관련 과정 및 권리가 법률 및 제도적으로 규율되는 금융 상품이다.
  • 민법 - 유언
    유언은 사망 후 재산 상속 및 개인적 의사를 반영하는 법률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유언자의 사망 시 효력이 발생하고 생전에는 철회 가능하며, 유언의 무효 또는 취소 사유가 존재한다.
  • 민법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대표권 제한
법률 개념
정의권한 초과
설명어떤 행위 주체가 법률, 규정, 계약 또는 기타 법적 권한에 의해 부여된 권한을 넘어선 행위를 하는 것
로마자 표기Ultra vires
반대 개념권한 내 (Intra vires)
상세 내용
회사법에서의 의미회사가 정관에 명시된 목적 범위를 넘어선 행위를 하는 경우
현대적 추세회사법에서 울트라 비레스 법리의 적용을 제한하거나 폐지하는 추세
예외회사의 행위가 주주 또는 채권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울트라 비레스 법리가 적용될 수 있음
관련 판례
Boddington v British Transport PoliceBoddington v British Transport Police (1998) UKHL 13
같이 보기
관련 개념권한 내

2. 대한민국 법리

대한민국 민법 제34조는 법인이 정관 등에 명시된 목적 범위 내에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고 규정한다.[18] 이는 법인의 권리 능력을 정관에 기재된 목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대표권 제한의 법리적 근거가 된다.

2. 1. 회사에 대한 적용

과거에는 회사에 대한 울트라 비레스(ultra vires) 법리 적용 여부에 논란이 있었다. 회사법(2005년 개정 이전에는 상법)에 따라 설립된 회사에 대해서는 이 법리의 적용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판례는 야하타 제철 사건 판결 등에서 회사에 대해서도 당시 민법 43조(현재 34조에 해당)의 규정이 유추 적용된다고 판시하였다.[18] 그러나 법 개정으로 법인 일반에 관한 규정으로 자리 잡게 되어, 회사에 대해서도 울트라 비레스의 법리가 적용되는 것으로 명확히 되었다.

다만, 어떤 행위가 정관에 규정된 목적의 범위 내에 속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은 법인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야하타 제철 사건 참조). 실무상으로는, 정관의 목적을 열거한 말미에 "이상의 업무와 관련된 일체의 업무" 또는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체의 업무" 등의 포괄 조항(바스켓 조항)을 두어, 목적 외 행위가 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다.

또한, 법령에 따라 설립되어 가입이 의무화된 세무사회에 대해서도, 민법 구 43조의 유추 적용을 전제로 하는 판결이 내려졌다 (남규슈 세무사 회 사건 참조).

3. 영미법

기업법에서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는 기업이 정관의 목적 조항, 설립 정관 등 설립 문서나 기업 설립 인가 법률에 의해 부여된 권한 범위를 벗어난 행위를 말하며, 이러한 행위는 무효 또는 취소 가능하다.


  • 주주들이 비준을 원하더라도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거래는 주주에 의해 비준될 수 없다.
  • 금반언 원칙은 거래가 한 당사자에 의해 완전히 이행된 경우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방어에 대한 의존을 일반적으로 배제했다.
  • ''A fortiori'', 양 당사자에 의해 완전히 이행된 거래는 공격할 수 없었다.
  • 계약이 완전히 미이행된 경우, 양 당사자 모두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방어를 제기할 수 있었다.
  • 계약이 부분적으로 이행되었고, 이행이 금반언 원칙 적용에 불충분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공된 이익 회수를 위한 준계약 소송이 가능했다.
  • 기업 대리인이 고용 범위 내에서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경우, 기업은 해당 행위가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라는 이유로 방어할 수 없었다.


기업 설립 관련 현대적 발전으로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행위 발생 가능성은 제한되었으며, 비영리 기업 (지방 자치 단체 포함)을 제외하고 이 법적 원칙은 퇴화되고 있다.

3. 1. 영국

역사적으로 영국의 모든 회사는 ultra vires|권한 밖의 행위la 교리에 따라 적용되었으며, 회사의 정관에 명시된 목적 외의 행위는 ultra vires|권한 밖의 행위la가 되어 무효가 되었다.[6] 이러한 결과는 상업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 이는 회사가 모든 종류의 상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매우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목적 조항을 가진 형태로 이어졌다.[7]

이러한 입장은 상업 회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리를 본질적으로 폐지한 1985년 회사법에 의해 법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이 입장은 2006년 회사법의 31조 및 39조에 의해 규제되며, 이는 기업법에서 ultra vires|권한 밖의 행위la의 적용 범위를 상당히 줄인다. 그러나 여전히 자선 단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주는 ultra vires|권한 밖의 행위la라고 주장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금지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울트라 바이러스 법리는 영국법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영국에서는 1989년 회사법에서 이사가 정관의 목적 외의 행위를 하려고 할 경우 그 금지 청구가 인정되지만, 실제로 행위를 한 경우에는 거래는 유효하다고 규정하여, 종전의 울트라 바이러스 법리의 대외적 효력을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3. 2. 미국

미국 법에서 ultra viresla(권한 밖의 행위) 개념은 일부 주에서 여전히 다음 종류의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다.[1]

종류
자선 또는 정치 기부
타인의 채무 보증
임원 또는 이사에 대한 대출
연금, 보너스, 스톡옵션, 퇴직금 및 기타 부가 급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
파트너십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



모델 기업법은 "기업 행동의 유효성은 기업이 행동할 권한이 없거나 없었다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 이 원칙은 대학교나 자선 단체와 같이 특정 공공 목적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기업 또는 주가 설립한 법인체에서 살아있다.[1]

4. 헌법

헌법에서 월권 행위|울트라 비레스la는 연방 정부나 주 정부가 부여받은 권한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4. 1. 캐나다 및 미국

캐나다와 미국의 헌법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에 다양한 권한을 부여한다. 이러한 권한을 벗어나는 것은 월권 행위|울트라 비레스la가 된다. 예를 들어, ''미국 대 로페즈'' 사건에서 법원은 의회의 헌법적 권한을 초과했다는 이유로 연방법을 무효화하면서 해당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대법원은 해당 법률이 월권 행위|울트라 비레스la라고 선언했다.[10]

4. 2. 아일랜드

아일랜드 헌법 제15조 2항에 따르면, 오이어크타스(의회)는 아일랜드 공화국의 유일한 입법 기관이다. 그러나 ''시티뷰 프레스 대 앤코'' 사건에서 아일랜드 대법원은 오이어크타스가 1차 법률을 통해 하위 기관에 특정 권한을 위임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단, 위임된 권한은 1차 법률에서 오이어크타스가 규정한 원칙과 정책을 발전시키는 데에만 국한되어야 하며, 하위 기관이 새로운 원칙이나 정책을 스스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오이어크타스 이외의 기관에 공공 정책 수립 권한을 부여하는 1차 법률은 위헌이다. 그러나 아일랜드 헌법은 오이어크타스가 헌법의 범위 내에서 행동한다는 추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이어크타스가 통과시킨 모든 법률은 가능한 한 헌법적으로 유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10]

따라서 오이어크타스 이외의 기관이 1차 법률에 의해 부여받은 권한을 사용하여 공공 정책을 수립한 여러 사례에서, 해당 1차 법률은 하위 기관이 공공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허용하는 효력을 갖지 않도록 해석되었다. 이러한 경우, 1차 법률은 합헌으로 판결되었다. 하지만 공공 정책 수립에 해당하는 하위 또는 2차 법률은 1차 법률의 월권 행위|울트라 비레스la로 간주되어 무효가 되었다.

4. 3. 영국

영국 헌법에서 월권 행위la는 왕실의 고유 권한에 따라 제정된 특허, 조례 등이 여왕과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위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현대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지만, 왕실 또는 그 종속 기관의 월권 행위la는 과거에 법치주의에 대한 주요 위협이었다.

''보딩턴 대 영국 교통 경찰''은 1962년 운송법 제67조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넘어선 조례라는 주장을 다룬 상원 항소 사건의 예이다.[5]

5. 행정법

행정법에서 행위는 좁은 의미 또는 넓은 의미의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에 대해 사법 심사를 받을 수 있다. 좁은 의미의 울트라 비레스는 행정가가 결정을 내릴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거나 절차적 결함이 있는 경우이다. 넓은 의미의 울트라 비레스는 권한 남용(예: Wednesbury 불합리성 또는 악의), 행정적 재량 불행사(예: 다른 사람의 지시에 따르거나 정부 정책을 불법적으로 적용) 또는 재량권의 비합리적 적용 등이다.[11] 이 두 가지 교리 모두 청구인이 만족하면 다양한 특별 명령, 형평법상 구제 또는 법정 명령을 받을 수 있다.

5. 1. 영국

Anisminic v Foreign Compensation Commission 사건[12]에서 로드 리드가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교리를 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는 불합리성과 함께, Kruse v Johnson 사건[13]에서 로드 러셀이 이미 훨씬 이전에 제정법과 기타 규칙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과 관련하여 언급했다. ''Anisminic''은 법률이 명시적으로 사법 심사를 금지하더라도 법원이 결정을 무효로 선언할 수 있는 관할권을 박탈하지 않는 것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Bromley LBC v Greater London Council[14]과 Council of Civil Service Unions v Minister for the Civil Service[15]와 같은 추가적인 사건들은 이 교리를 다듬으려고 시도했다.

Hammersmith and Fulham London Borough Council v Hazell[16]에서 상원은 지방 자치 단체가 체결한 이자율 스왑 (당시 지방 자치 단체의 자금 차입에 대한 법적 제한을 우회하는 데 널리 사용된 방법)이 모두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이며 무효라고 판결하여 일련의 관련 소송을 촉발했다.

마크 엘리엇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은 행정법에 대한 수정된 ultra vires|울트라 비레스la 교리를 제안하며 이를 올바른 헌법적 틀에 확고히 자리 잡게 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Top 5 US States For Company Formations https://www.incplan.[...] Inc Plan (USA) 2014-11-25
[2] 웹사이트 Abolishment of Ultra Vires Doctrine with Exceptions https://www.delaware[...] 2012-09-04
[3] 문서 Hazell v Hammersmith and Fulham LBC
[4] 문서 Woolwich Equitable Building Society v IRC
[5] Bailii
[6] 문서 Ashbury Railway Carriage and Iron Co Ltd v Riche
[7] 문서 Rolled Steel Products (Holdings) Ltd v British Steel Corp
[8] 웹사이트 Sn 124 Legal capacity and powers of a Company http://www.austlii.e[...] 2006-05-15
[9] 웹사이트 Sn 125 Constitution may limit powers and set out objectives http://www.austlii.e[...] 2006-05-15
[10] USSC United States v. Lopez
[11] 간행물 The Liability of administration in England and main principles applied in judicial review Fakulteler Matbaasi
[12] 문서 Anisminic v Foreign Compensation Commission
[13] 문서 Kruse v Johnson
[14] 문서 Bromley LBC v Greater London Council
[15] 문서 Council of Civil Service Unions v Minister for the Civil Service
[16] 문서 Hammersmith and Fulham London Borough Council v Hazell
[17] 논문 The Ultra Vires Doctrine in a Constitutional Setting: Still the Central Principle of Administrative Law
[18] 서적 株式会社法 第2版 有斐閣
[19] 문서 平成5年改正商法において株主代表訴訟が提起しやすくなってからは、バスケット条項による抗弁は強権的な嫌いがある(または、目的外行為として揚げ足を取られかねない)と目されるようになり、できる限り目的を詳細に列挙することが経済界において一般的になっている。これを示す好例として、ともに国営企業(公社)から株式会社化した日本電信電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NTT)と東日本旅客鉄道|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JR東日本)の対比が挙げられ、NTTの上場当時(1989年|昭和62年)の定款における目的が「電気通信業務及びこれに付帯する業務」1項目であったのに対し(持株会社となった現在では異なる)、JR東日本の上場(1993年|平成5年)時の目的は約30項目にのぼっている。
[20] 서적 イギリス会社法における能力外の理論の改正 中央大学出版部
[21] 문서 97다18059
[22] 문서 2005다36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