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립발레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은 1962년 국립극장 전속 발레단으로 창단된 대한민국 대표 발레단이다. 임성남을 초대 단장으로 시작하여 최태지, 강수진 등 여러 단장을 거쳤으며, 현재 강수진이 단장직을 맡고 있다. 고전 발레, 현대 발레, 한국 창작 발레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해설이 있는 발레' 공연과 발레 아카데미 운영 등 발레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9년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발레 공연을 통해 공연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발레단 - 박소현 (배우)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난 배우 겸 방송인 박소현은 1993년 리포터로 데뷔하여 드라마, 라디오, TV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특히 《비디오스타》 MC로 활약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발레단 - 유니버설 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은 대한민국 발레단으로, 매년 12월 호두까기 인형을 공연하며 국내 최장 공연 기록을 보유하고, 발레 아카데미와 발레 스쿨을 운영한다. - 예술 단체 - 일본 예술원
일본예술원은 일본 예술 정책 자문 및 예술가 우대를 위한 문부과학성 특별기관이자 명예기관으로, 1907년 설립 후 제국미술원과 제국예술원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순수 학술 및 자문 기관으로 재편되어 일본예술원상 시상과 회원 선출 등의 활동을 한다. - 예술 단체 - 국제조형예술협회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설립된 조형예술가들의 국제 단체로서, 예술가들의 권익 보호와 예술적 자유를 위해 활동한다. - 발레단 - 샌프란시스코 발레단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은 1933년 설립되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발레단 중 하나이며, 윌리엄 크리스텐슨, 헬기 토마손을 거쳐 2022년 타마라 로호가 예술감독으로 활동하며, 전쟁 기념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하고 해외 투어와 방송 활동을 통해 발레를 알리고 있다. - 발레단 - 로열 발레단
로열 발레단은 니네트 드 발루아와 릴리안 베일리스의 협력으로 설립되어 왕실의 칙허를 받은 영국의 대표적인 발레단으로, 프레데릭 애쉬턴, 케네스 맥밀란 등 뛰어난 안무가들을 배출하며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본거지로 활동하고 로열 발레 학교와 연계하여 무용수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
영문 표기 | Korea National Ballet |
전신 | 대한민국 국립무용단 발레부문 |
창단 | 1962년 (국립무용단 발레부문) |
재창단 | 1974년 (국립발레단) |
설립 | 국립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예술의 전당 |
성격 | 발레 |
단장 | 강수진 |
홈페이지 | 대한민국 국립발레단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은 1962년 국립극장 전속단체로 창단되었다.[1] 이는 한국 전문 발레 역사에서 중요한 시작점으로 평가받는다.[2] 창단 당시 초대 단장은 임성남이 맡아 국립발레단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3] 국립발레단은 창단 이후 한국 발레의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발레단으로 자리매김했다.
2. 1. 발전 및 성장
국립발레단은 여러 단장을 거치며 발전해 왔다. 역대 단장과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이름 | 재임 기간 | 주요 활동 및 비고 |
---|---|---|
임성남 | 1962년–1992년[3] | 초대 단장 |
김해식 | 1993년–1995년[3] | |
최태지 | 1996년–2001년[3] 2008년–2013년[3] | 두 차례 단장을 역임하며 발레단 발전에 기여했다. |
김긍수 | 2002년–2004년[3] | |
박인자 | 2005년–2007년[3] | |
강수진 | 2014년–현재[4] | 대한민국 대표 발레리나 출신으로, 국립발레단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wikitext
wikitext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은 정기 공연을 통해 고전 발레를 중심으로 현대 발레와 한국 창작 발레 등 다채로운 레퍼토리를 선보인다. 특히 매년 12월에는 대표적인 호두까기 인형 공연을 무대에 올려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 발레 시어터 등과 함께 관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관객들이 발레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설이 있는 발레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방 공연 등을 통해 발레 대중화에도 힘쓰고 있다.
3. 단장
대수 임기 이름 1대 1962 - 1992 임성남[3] 2대 1993 - 1995 김혜식[3] 3대 1996 - 2001 최태지[3] 4대 2002 - 2004 김긍수[3] 5대 2005 - 2007 박인자[3] 6대 2008 - 2013 최태지[3] 7대 2014 - 현재 강수진[4]
4. 단원
직위 rowspan="7" width="1%" | 이름 수석무용수 박슬기 · 김리회 · 이재우 · 김기완 · 박예은 · 허서명 · 박종석 · 정은영 솔리스트1 이수희 · 송정빈 · 배민순 · 한나래 · 변성완 · 강효형 · 하지석 · 심현희 · 곽화경 · 김명규A · 이유홍 드미솔리스트1 임성철 · 김명규B · 선호현 · 김태석 · (故)김희선 · 김지현 · 구현모 · 전호진 · 조연재 · 김경림 · 김기령 · 민소정 · 심소연 · 김준경 코르드발레1 최지인 · 최미레 · 고혜나 · 서현이 · 이은서 · 김나연 · 강동휘 · 기수지 · 류제원 · 천정민 · 나대한 · 김재민 · 박서현 · 엄나윤 · 강경모 · 곽동현 · 박제현 · 이하연 · 허완 · 안성준 · 안수연 · 양준영 · 정은지 · 엄진솔 · 김별 · 최유정 · 정의진 · 정승아 · 류성우 · 정찬주 코르드발레2 신연규 · 진솔아 · 양희재 · 정지예 · 한다흰 · 김민정 · 이윤지 · 최솔지 · 한신형 · 고도식 · 박종선 · 이현규 연수단원
5. 공연
5. 1. 정기 공연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의 정기 공연은 고전 발레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현대 발레와 한국 창작 발레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인다. 특히 매년 12월에는 대표적인 연말 공연인 호두까기 인형을 무대에 올려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 발레 시어터 등 다른 발레단들과 함께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친다.
관객들이 발레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돕는 해설이 있는 발레는 전 예술감독 최태지에 의해 1997년 처음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당시 한국 댄스계에서 최초로 시도된 해설 형식의 공연이자, 연중 상시로 운영되는 최초의 무용 공연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국립발레단은 '찾아가는 해설이 있는 발레'를 통해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이나 군부대 등을 직접 방문하여 발레 공연 관람 기회를 넓히고 있다. 2010년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전막 해설 발레 형식으로 코펠리아를 선보이기도 했다.
국립발레단은 세계적인 안무가들의 명작들을 국내에 꾸준히 소개해왔으며, 이는 관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주요 레퍼토리는 다음과 같다.
안무가 | 작품명 |
---|---|
보리스 에이프만 (Борис Эйфман|보리스 에이프만ru) | 무사제트 Мусагет|무사게트ru, 레퀴엠 Реквием|레크비옘ru, 브라보 피가로 Браво Фигаро|브라보 피가로ru, 차이콥스키: 삶과 죽음의 미스터리 Чайковский: pro et contra|차이콥스키: 프로 엣 콘트라ru |
유리 그리고로비치 | 스파르타쿠스 Спартак|스파르타크ru,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로미오와 줄리엣 Ромео и Джульетта|로메오 이 줄리에타ru, 레일라 Лейли и Меджнун|레일리 이 메즈눈ru |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 (Jean-Christophe Maillot|장크리스토프 마요프랑스어) | 로미오와 줄리엣 Roméo et Juliette|로메오 에 쥘리에트프랑스어, 신데렐라 Cendrillon|상드리용프랑스어, 두 베 라 루나 Dov'è la Luna|도베 라 루나프랑스어 |
마츠 에크 (Mats Ek|마츠 에크sv) | 카르멘 Carmen|카르멘프랑스어 |
미셸 포킨 (Михаил Фокин|미하일 포킨ru) | '춘향 LEpreuve dmour, 레 실피드 Les Sylphides|레 실피드프랑스어 |
조지 발란신 (George Balanchine|조지 밸런친영어) | 심포니 인 C Symphony in C|심포니 인 C영어, 차이콥스키 파 드 두 Tchaikovsky Pas de Deux|차이콥스키 파 드 두영어 |
페르낭 노 (Fernand Nault|페르낭 노프랑스어) | 카르미나 부라나 Carmina Burana|카르미나 부라나la |
문병남 | 호동왕자 |
마리우스 프티파 (Marius Petipa|마리우스 프티파프랑스어) | 지젤 Giselle|지젤프랑스어, 해적 Le Corsaire|르 코르세르프랑스어, 라 바야데르 La Bayadère|라 바야데르프랑스어 |
알렉산드르 고르스키 (Александр Горский|알렉산드르 고르스키ru) | 돈 키호테 Don Quijote|돈 키호테es |
필립 알론소 (Philippe Alonso|필리프 알롱소프랑스어) | 라 필르 말 가르데 La Fille Mal Gardée|라 피유 말 가르데프랑스어 |
루돌프 누레예프 (Рудольф Нуреев|루돌프 누레예프ru) | 잠자는 숲 속의 미녀 La Belle au bois dormant|라 벨 오 부아 도르망프랑스어 |
5. 2. 주요 레퍼토리
대한민국 국립발레단은 세계적인 안무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한국 관객에게 소개해왔다. 주요 레퍼토리는 다음과 같다.안무가 | 작품명 |
---|---|
보리스 에이프만 (rus) | 무사제트 (Musagète), 레퀴엠 (Requiem), 브라보 피가로 (Bravo Figaro), 차이콥스키: 삶과 죽음의 미스터리 (Tchaikovsky: The Mystery of Life and Death) |
유리 그리고로비치 (rus) | 스파르타쿠스 (Spartacus),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 레일라 |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 (fra) |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 신데렐라 (Cinderella), 두 베 라 루나 (Do’ve La Luna) |
마츠 에크 (swe) | 카르멘 (Carmen) |
미셸 포킨 (rus) | '춘향 LEpreuve dmour, 레 실피드 (Les Sylphides) |
조지 발란신 (eng) | 심포니 인 C (Symphony in C), 차이콥스키 파 드 두 (Tchaikovsky Pas de Deux) |
페르낭 노 (fra) | 카르미나 부라나 (Carmina Burana) |
문병남 | 호동왕자 |
마리우스 프티파 (fra) | 지젤, 해적, 라 바야데르 |
알렉산드르 고르스키 (rus) | 돈 키호테 |
필립 알론소 (Philippe Alonso) | 라 필르 말 가르데 (La Fille Mal Gardée) |
루돌프 누레예프 (rus) | 잠자는 숲 속의 미녀 |
이러한 공연들은 관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또한, 예술감독 최태지가 창안한 해설이 있는 발레는 1997년에 시작되어 대한민국 무용계에서 많은 기록을 세웠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 무용계 최초의 해설 발레이자, 최초의 상설 무용 공연이었다. 현재 국립발레단은 '찾아가는 해설이 있는 발레'를 통해 발레를 접하기 어려운 작은 마을이나 군부대 등을 방문하여 공연하고 있다. 2010년에는 첫 전막 해설 발레인 ''코펠리아''를 선보이기도 했다.
5. 3. 대중화 노력
국립발레단은 관객들이 발레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해설이 있는 발레'''''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최태지 예술감독이 창안하여 1997년에 처음 선보였으며, 대한민국 댄스계 최초의 해설이 곁들여진 공연이자 영구적인 댄스 공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또한, 국립발레단은 '찾아가는 해설이 있는 발레'를 통해 발레 공연을 접할 기회가 적은 작은 마을이나 군부대 등을 직접 방문하여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2010년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국립발레단 최초로 전막 해설 발레인 ''코펠리아''를 공연하기도 했다.
6. 교육
국립발레단은 발레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부예술감독인 신무섭이 아카데미 교장을 맡고 있다. 아카데미는 무용수 양성을 위한 학생반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취미반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또한, 아이들이 필요한 공연이 있을 경우, 아카데미에서 우수한 실력을 보인 학생을 선발하여 국립발레단 공연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7. 법인
재단법인 국립발레단은 발레 공연을 통해 공연예술을 발전시키고 국민 정서 함양에 기여하기 위해 1999년 12월 30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사무실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700 예술의 전당 내에 있다.
7. 1. 주요 사업
참조
[1]
웹사이트
"[Editorial] Korea National Ballet: Embodying hypocrisy"
http://english.hani.[...]
2017-06-23
[2]
웹사이트
Top Ballerina Disciplined Over Naked Photos
https://www.koreatim[...]
2017-06-23
[3]
웹사이트
Milestone
http://www.korean-na[...]
2018-08-12
[4]
웹사이트
Kang Suejin: KNB PEOPLE-Artistic Staff
http://www.korean-na[...]
201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