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육군제2작전사령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육군제2작전사령관은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사령부의 업무를 통할하고 예속 또는 배속된 부대를 지휘·감독하는 직위이다. 합동참모의장의 작전지휘·감독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육군참모총장의 지휘를 받으며, 2007년 11월 1일부터 제2작전사령부령이 시행되어 제2군사령부령은 폐지되었다. 국군조직법에 따라 전투를 주 임무로 하는 작전부대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 대장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 육군 대장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대한민국의 육군제2작전사령관
육군제2작전사령관 정보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30px]] 대한민국
명칭육군제2작전사령관
육군제2작전사령부 마크
육군제2작전사령부의 마크
현직[[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김봉수 육군 중장 (직무대리)
취임일2024년 12월 12일
초대강문봉 중장
성립1954년

2. 역할

제2작전사령관은 작전사령부령에 따라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사령부 업무를 통할하고 예하 부대를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국군조직법 제9조제3항에 의거하여 합동참모의장의 작전지휘·감독을 받는 경우는 예외이다.

2. 1. 작전사령부령

작전사령부령 제3조 제1항에 따르면, 제2작전사령관은 국군조직법 제9조제3항에 따라 합동참모의장의 작전지휘·감독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사령부의 업무를 총괄하며, 사령부에 소속되거나 배속된 부대를 지휘하고 감독한다.

이 작전사령부령은 2007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부칙 제1조), 이에 따라 기존의 제2군사령부령은 폐지되었다(부칙 제2조). 또한, 국군조직법 제9조제3항에 따른 전투를 주 임무로 하는 부대 지정 규정에 따라, 기존의 '제2군사령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어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작전부대로 규정되었다(부칙 제3조 제2항).

3. 역대 사령관

wikitext

정부대수성명계급출신임관임기
제1공화국초대강문봉(姜文奉)중장함북 부령군영1954.10.31 ~ 1956.9.27
2대최영희(崔榮喜)중장서울군영1956.9.27 ~ 1959.2.28
3대장도영(張都暎)중장평북 용천군영1959.2.28 ~ 1961.2.27
제2공화국4대최경록(崔慶祿)중장충북 음성군영1961.2.27 ~ 1961.5.22
국가재건최고회의5대민기식(閔耭植)중장충북 청원군영1961.5.22 ~ 1962.5.7
6대장창국(張昌國)중장서울군영1962.5.7 ~ 1963.6.1
7대김용배(金容培)중장서울군영1963.6.1 ~ 1965.3.30
제3공화국8대박경원(朴璟遠)중장전남 영광군영1965.3.30 ~ 1966.12.28
9대정래혁(丁來赫)중장전남 곡성육사 7특기1966.12.28 ~ 1968.2.16
10대문형태(文亨泰)중장전남 화순육사 2기1968.2.16 ~ 1968.8.8
11대한신(韓信)중장함남 영흥육사 2기1968.8.8 ~ 1969.5.1
12대채명신(蔡命新)중장황해 곡산육사 5기1969.5.1 ~ 1972.6.1
13대박원근(朴元根)중장인천육사 2기1972.6.1 ~ 1974.12.26
제4공화국14대이병형(李秉衡)중장함남 북청육사 4기1974.12.26 ~ 1976.7.7
15대박희동(朴熙東)중장경남 밀양육사 3기1976.7.7 ~ 1977.12.27
16대김종수(金鍾洙)중장경남 김해육사 3기1977.12.27 ~ 1979.3.7
17대진종채(陳鍾埰)대장경북 포항육사 8기1979.3.7 ~ 1981.3.7
제5공화국18대차규헌(車圭憲)대장경기 송탄육사 8기1981.3.7 ~ 1983.1.18
19대이기백(李基百)대장충남 연기육사 11기1983.1.18 ~ 1983.6.2
20대김홍한(金烘漢)중장부산육종 9기1983.6.2 ~ 1984.7.12
21대오자복(吳滋福)대장경기 개성갑종 3기1984.7.14 ~ 1986.7.8
22대이종구(李鍾九)대장경북 칠곡육사 14기1986.7.8 ~ 1988.6.10
노태우 정부23대민경배(閔庚培)대장강원 홍천육사 14기1988.6.10 ~ 1990.1.17
24대이필섭(李弼燮)대장충남 당진육사 16기1990.1.17 ~ 1991.12.4
25대김연각(金淵珏)대장경북 상주육사 17기1991.12.4 ~ 1993.4.12
김영삼 정부26대김진선(金鎭渲)대장충북 괴산육사 19기1993.4.12 ~ 1993.5.27
27대박세환(朴世煥)대장경북 영주학군 1기1993.5.27 ~ 1995.3.30
28대조성태(趙成台)대장충남 천안육사 20기1995.3.30 ~ 1996.10.21
29대김진호(金辰浩)대장서울학군 2기1996.10.21 ~ 1998.3.28
김대중 정부30대조영길(曺永吉)대장전남 영광갑종 172기1998.3.28 ~ 1999.10.28
31대김인종(金仁鍾)대장제주육사 24기1999.10.28 ~ 2001.10.11
32대홍순호(洪淳昊)대장충남 아산학군 4기2001.10.11 ~ 2003.4.4
노무현 정부33대양우천(梁宇千)대장경남 남해육사 26기2003.4.4 ~ 2005.3.31
34대권영기(權泳基)대장경남 합천갑종 222기2005.3.31 ~ 2006.11.17
35대박영하(朴永夏)대장경북 청도3사 1기2006.11.17 ~ 2008.3.21
이명박 정부36대조재토(趙在土)대장전북 김제학군 9기2008.3.21 ~ 2009.9.18
37대이철휘(李哲徽)대장경기 포천학군 13기2009.9.18 ~ 2011.4.15
38대조정환(曺晶煥)대장강원 인제육사 33기2011.4.15 ~ 2012.10.10
39대김요환(金曜煥)대장전북 부안육사 34기2012.10.10 ~ 2014.8.11
박근혜 정부40대이순진(李淳鎭)대장경북 군위3사 14기2014.8.11 ~ 2015.9.16
41대박찬주(朴贊珠)대장충남 천안육사 37기2015.9.16 ~ 2017.8.8
문재인 정부42대박한기(朴漢基)대장충남 부여학군 21기2017.8.9 ~ 2018.10.5
43대황인권(黃仁權)대장전남 보성3사 20기2018.10.5 ~ 2020.9.24
44대김정수(金政秀)대장전남 무안육사 42기2020.9.23 ~ 2022.5.25
윤석열 정부45대신희현(申熙鉉)대장충남 예산학군 27기2022.5.26 ~ 2023.10.29
46대고창준(高昌俊)대장충북 영동3사 26기2023.10.29 ~ 2024.12.12[1]
직무대리김봉수(金鳳收)중장육사 47기2024.12.12 ~ 현재[2]


3. 1. 비고

역대 사령관 중 일부는 퇴역 후 주요 직위를 맡기도 하였다. 이기백, 김진호, 조영길, 이순진, 박한기 전 사령관은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하였다. 박세환과 김진호 전 사령관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을 지냈으며, 박영하 전 사령관은 재향군인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박세환 전 사령관은 군복을 벗은 후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의정 활동을 하였다. 이철휘 전 사령관은 예편 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여 최고위원을 역임하는 등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한편, 박찬주 전 사령관은 재임 기간 중 공관병에 대한 갑질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고 불명예스럽게 퇴진하였다. 이 외에도 과거 국보위국보위에 참여했거나 신군부, 하나회 등 특정 정치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사령관직을 거쳐 가기도 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