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사영어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영어학교는 대한민국의 저명한 군인들을 배출한 학교이다. 백선엽, 이형근, 정일권, 김종오, 민기식, 장창국, 김용배, 김계원 등이 이 학교 출신으로, 이들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등을 역임하며 국군 발전에 기여했다.

2. 저명한 동문

군사영어학교는 대한민국 국군 대장(4성 장군)을 다수 배출하는 등 저명한 군인들을 배출했다.

#성명출신주요 보직진급일비고
1백선엽평남 강서육군참모총장, 1야전군사령관, 연합참모본부총장1953. 1. 31.봉천군관학교 출신, 2군단장 역임
2이형근충남 공주시연합참모본부총장, 육군참모총장1954. 2. 17.일본 육사 출신, 1군단장 역임
3정일권함경북도 경원군육군참모총장, 연합참모본부총장1954. 2. 17.봉천군관학교, 일본 육사 출신, 2사단장, 2군단장 역임
4김종오충청북도 청원군육군참모총장, 연합참모회의/합동참모회의 의장1962. 1. 24.1군단장, 5군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5민기식충북 청원군육군참모총장1963. 6. 1.2군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6장창국서울합동참모회의 의장1965. 4. 1.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 1야전군사령관 역임
7김용배서울육군참모총장1965. 4. 1.육군본부 정보참모부장, 육사교장, 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 역임
8김계원경북 영주시육군참모총장1966. 9. 2.5군단장, 6군단장, 국방부 운영차관보, 육군참모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2. 1. 대장(4성 장군)

#성명출신주요 보직진급일비고
1백선엽평남 강서육군참모총장, 1야전군사령관, 연합참모본부총장1953. 1. 31.봉천군관학교 출신, 2군단장 역임
2이형근충남 공주시연합참모본부총장, 육군참모총장1954. 2. 17.일본 육사 출신, 1군단장 역임
3정일권함경북도 경원군육군참모총장, 연합참모본부총장1954. 2. 17.봉천군관학교, 일본 육사 출신, 2사단장, 2군단장 역임
4김종오충청북도 청원군육군참모총장, 연합참모회의/합동참모회의 의장1962. 1. 24.1군단장, 5군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5민기식충북 청원군육군참모총장1963. 6. 1.2군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6장창국서울합동참모회의 의장1965. 4. 1.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 1야전군사령관 역임
7김용배서울육군참모총장1965. 4. 1.육군본부 정보참모부장, 육사교장, 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 역임
8김계원경북 영주시육군참모총장1966. 9. 2.5군단장, 6군단장, 국방부 운영차관보, 육군참모차장, 1야전군사령관 역임


2. 1. 1. 백선엽

백선엽(白善燁)은 평남 강서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 최초의 4성 장군이다.[1] 한국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 1952년 7월 23일부터 1954년 2월 13일까지 육군참모총장(7대)을, 1954년 2월 14일부터 1957년 5월까지 1야전군사령관(1대)을 역임했다. 이후 1957년 5월 18일부터 1959년 2월 22일까지 육군참모총장(10대)을, 1959년 2월 23일부터 1960년 5월 31일까지 연합참모본부총장(4대)을 역임했다. 1952년 1월 12일 중장으로 진급했고, 1953년 1월 31일 대장으로 진급했다.[1] 봉천군관학교 출신으로, 백 야전전투사령관과 2군단장을 역임했다.

2. 1. 2. 이형근

이형근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기여한 충남 공주시 출신 군인으로,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과 제9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2] 1954년 2월 17일에 대장으로 진급하였으며, 일본 육사를 졸업하고 1군단장을 지냈다.

2. 1. 3. 정일권

정일권함경북도 경원군 출신으로, 1951년 중장으로 진급하였다.[3] 1954년 2월 17일 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참모총장(8대, 1954. 2. 14. ~ 1956. 6. 26.)과 연합참모본부총장(2대, 1956. 6. 27. ~ 1957. 5. 17.)을 역임하였다. 봉천군관학교와 일본 육사를 졸업하였으며, 육군총참모장 겸 육해공군총사령관, 2사단장, 미 9군단 부군단장, 2군단장을 지냈다.

2. 1. 4. 김종오

김종오는 충청북도 청원군 출신으로, 육군에서 육군참모총장(15대), 연합참모본부총장(6대), 합동참모회의 의장(7·8대)을 역임했다.[4] 1962년 1월 24일 대장으로 진급했으며,[5] 1군단장, 5군단장, 1야전군사령관을 거쳤다.

2. 1. 5. 민기식

민기식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16대)을 역임하였다.[6] 1961년 1월 중장으로 진급하였고,[6] 1963년 6월 1일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2군단장, 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하였다.

2. 1. 6. 장창국

장창국은 서울 출신으로, 1961년 중장으로 진급하였으며, 1965년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 1야전군사령관을 거쳐 1965년 4월 10일부터 1967년 4월 9일까지 합동참모회의 의장(9대)을 역임하였다. 張昌國|장창국중국어

2. 1. 7. 김용배

육군참모총장(17대, 1965년 4월 1일 ~ 1966년 9월 1일)을 역임하였다.[7] 육사교장을 지내며 후진 양성에 힘썼다. 육군본부 정보참모부장, 육군참모차장, 2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하였다. 1961년 1월 중장으로 진급하였고 1965년 4월 1일에 대장으로 진급하였다.[7]

2. 1. 8. 김계원

김계원은 경상북도 영주시 출신으로, 육군참모총장(18대, 1966. 9. 2. ~ 1969. 8. 31.)을 역임하였다. 1962년 2월 24일 중장으로 진급하였으며, 1966년 9월 2일 대장으로 진급하였다.[7] 5군단장, 6군단장, 국방부 운영차관보, 육군참모차장, 1야전군사령관을 거쳤다.[7]

참조

[1] 서적 백선엽(白善燁) 장군 http://www.army.mil.[...] 선양사 2000
[2] 웹사이트 육군대장 이형근 http://wmk.kr/ko/nod[...]
[3] 웹사이트 육군대장 정일권 http://wmk.kr/ko/nod[...]
[4] 웹사이트 육군대장 김종오 http://wmk.kr/ko/nod[...]
[5] 간행물 김종오 육군 대장과 이주일 육군 중장 진급식 후 악수 http://www.archives.[...] 국가기록원 1962-01-24
[6] 웹사이트 육군대장 민기식 http://wmk.kr/ko/nod[...]
[7] 웹사이트 육군대장 김용배 http://wmk.kr/ko/n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