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학생군사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학생군사학교는 1960년대 초 국가 안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ROTC 제도를 도입하면서 설립되었다. 2011년 충청북도 괴산군으로 이전하였으며, 학군사관, 학사사관, 간부사관 등 다양한 장교 및 준사관 양성 교육을 담당한다. 2022년 육군본부 직할로 예속이 변경되었으며, 151만여 평의 부지에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관후보생 신분으로 군사 교육을 받으며, 임관 후에는 전투, 기술, 행정, 특수 병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괴산군의 교육 - 충청북도괴산증평교육지원청
충청북도괴산증평교육지원청은 충청북도 괴산군과 증평군의 교육을 지원하며, 초등학교, 중학교, 그리고 괴산교육도서관, 증평교육도서관 등의 직속기관을 산하에 둔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 장교와 부사관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1949년 창설되어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하며, 초급 보병 장교 양성을 주 임무로 한다. - 1961년 설립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 - 대한민국 조달청
대한민국 조달청은 정부 물품 구매, 공급 및 시설 공사 계약을 담당하며, 1961년 조달청으로 개편되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달 시스템 운영, 중요 물자 비축, 군수품 조달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을 운영하며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육군학생군사학교 |
원어 이름 | 陸軍學生軍事學校 |
![]() |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병과 | 보병 및 전 병과 |
종류 | 군사 학교 |
역할 | 교육훈련 |
명령 체계 | 육군본부 |
본부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문무로 177 |
별명 | 문무대(文武臺) |
표어 | 문무겸전 호국간성 |
군가 | 육군학생군사학교가 |
마스코트 | 호국이 |
지휘관 | |
학교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김동호 (학군 28기) |
2. 연혁
2011년 11월 1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현 위치인 충청북도 괴산군으로 학교를 이전하며 26년의 성남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 2012년 1월 1일 '학생중앙군사학교'에서 '육군학생군사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22년 4월 1일 육군교육사령부 예하에서 육군본부 직할로 예속이 변경되었다.[1]
2. 1. 제도 도입과 발전 (1960년대 ~ 2000년대)
1960년대 초, 당시 정부는 매우 불안정한 국가 안보 상황에 대처하고 자주 국방력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력을 시급히 증강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에 재학 중인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군사 교육을 실시하고, 졸업과 동시에 장교로 임관시켜 군의 초급 지휘자로 활용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는 군 지휘 체계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였던 초급 지휘자들의 자질 문제를 대학을 졸업한 엘리트 자원으로 단기간 내에 대거 충원하여 상비 전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현역 복무 후에는 이들을 예비군 지휘자로 편입시켜 예비 전력을 실질적으로 전력화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대규모 군 장교 충원에 소요되는 양성 교육 예산 부담을 현격히 경감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다면적인 정책 목표를 가지고 ROTC(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제도가 탄생하게 되었다.[1]ROTC 제도는 대학 재학생 중에서 우수자를 선발하여 2년간의 군사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대학의 전공 학문 완성과 더불어 소정의 군사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춘 문무겸전의 우수한 장교를 대규모로 양성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율성이 매우 높은 제도였다. 이는 미국의 ROTC 제도를 모델로 하여 시행되었다.[1]
2. 2. 육군학생군사학교 역할 확대 (2010년대 ~ 현재)
2011년 11월 1일, 육군학생군사학교는 경기도 성남시에서 충청북도 괴산군으로 이전하며 26년의 성남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1] 이듬해 2012년 1월 1일 '학생중앙군사학교'에서 '육군학생군사학교'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학군사관(ROTC)을 비롯하여 학사사관, 간부사관, 법무, 의무, 수의, 군종, 전문사관, 기술행정·항공운항준사관, 안보지원준사관, 통·번역준사관 등 총 10개 과정의 양성교육을 전담하게 되어 기능과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다.[1]2022년 4월 1일 육군교육사령부 예하에서 육군본부 직할로 예속이 변경되었다. 1992년 9월 1일 전국 학군단 예속 이후, 육군학생군사학교는 전국 111개 학군단을 지휘통제하며 학군사관후보생(ROTC)에 대한 교내교육과 하계 및 동계 입영 훈련을 통해 정예 초급간부 육성에 힘쓰고 있다. 2012년부터는 학군사관후보생 교육 외에도 학사사관, 간부사관, 특수사관, 준사관 등 10개 과정의 장교후보생 교육과, 예비군 지휘관 및 동원, 예비군 업무 담당자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육군학생군사학교는 151만여 평 부지에 교육시설, 훈련장, 체력단련장 등을 갖추고 있다. 후보생 생활관은 6개동 480실로 4,800여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야외훈련장은 127만 평 부지에 16개 과목 54개 교장이 설치되어 5,000여 명이 동시에 교육받을 수 있다.
3. 양성 과정
학군사관후보생 교육은 대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내교육과 방학 기간을 이용한 동·하계 입영훈련으로 구분된다.[1]
육군학생군사학교는 학군사관후보생, 학사사관후보생 외에도 간부사관, 전문사관, 법무사관, 의무사관, 수의사관, 군종사관, 기술행정·항공운항준사관, 안보지원준사관, 통·번역준사관 등 10개 과정의 양성교육을 담당한다. 각 과정별로 학력, 지원 자격 등 선발 기준과 교육 기간(3~16주)이 다르며, 별도의 교육 과정을 거쳐 임관한다.[1]
3. 1. 학군사관후보생 (ROTC)
학군사관후보생(ROTC) 교육은 대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내교육과 방학 기간을 이용한 동·하계 입영훈련으로 구분된다.[1]3. 1. 1. 선발
임관일 기준 만 20세 이상 27세 이하의 남자와 여자로서, 대학교 1·2학년(5년제는 2·3학년) 남학생과 대학교 2학년(5년제는 3학년) 여학생 중 졸업과 동시에 임관이 가능한 인원에게 지원 자격이 주어진다.[1]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는 여대 최초로 여자 학생군사교육단을 창설하여 각 기수당 30명씩 선발하고 있다.[1] 이 외에도 전국에서 여성 학군사관후보생을 선발하기 시작했다.[1] 2013년에는 첫 여군 학군사관후보생들이 소위로 임관하였다.[1]학군사관후보생 선발은 3단계로 진행된다.[1] 1단계에서는 필기고사와 대학 성적을 통해 선발 정원의 2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체력 검정과 면접을 실시한다.[1] 이후 최종 3단계에서 신원 조사와 신체검사를 거쳐 최종 합격자와 예비 합격자(1학년 제외)를 선발한다.[1]
2010년부터는 대학교 신입생(1학년)을 대상으로도 선발하기 시작하여 51기와 52기를 동시에 모집하였다.[1] 이는 1학년을 마치고 현역에 입대하는 인원 중 우수한 인재를 미리 확보하여 우수한 육군 장교 자원을 사전에 획득하기 위한 조치였다.[1]
3. 1. 2. 교육
학군사관후보생 교육은 평상시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내교육과 방학 기간을 이용한 동·하계 입영훈련으로 나뉜다.교내교육은 대학 내 학군단에서 전공 과목과 병행하여 군사적 기본 소양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군사적 기초 지식을 함양하고, 장차 소대장으로서 기본적인 지휘 및 관리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내교육 기간은 대학의 학사 일정을 고려하여 1, 2학기로 구분되며, 각 학기 간 12주 동안 실시된다.
3학년은 군인화 단계로서 군인 기본 자세 및 군인관 확립을 목표로 한다. 이 기간에는 후보생 생활에 대한 적응이 되지 않은 기간이므로 훈육관 및 자치 지휘 근무자에 의한 집중적인 지도를 받게 된다. 기본 자세, 규정 준수, 군대 예절 등의 교육이 집중적으로 실시된다.
4학년은 장교화 단계로서 '후보생 생활의 꽃'이라고 불린다. 4학년 1학기에는 장교로서의 창의적인 업무 능력을 배양하고, 4학년 2학기에는 후보생 생활을 마무리하며 소대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부하 지도 능력 배양을 생활 목표로 한다. 항상 솔선수범을 바탕으로 자치 지휘 근무를 통한 지휘 능력 배양, 소대장 업무 수행 연구와 같은 야전 즉응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초군사훈련은 매년 12월 말에서 다음 해 2월까지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가입단자들이 정식 학군사관후보생이 되기 위해 받는 훈련이다. 2주 동안 진행되며, 군인이 되기 위해 처음 받는 훈련이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군사 훈련과 후보생 생활 적응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1주차에는 제식 훈련 등 군인 기본 자세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2주차에는 개인화기 사격, 경계, 행군 등 기초 전기 훈련을 실습한다. 훈련 기간 동안 후보생 생활에 필요한 각종 행동 요령과 예절 등을 습득하여 후보생 생활에 대한 적응 훈련도 병행한다.
하계입영훈련은 매년 6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3학년 및 4학년 학군사관후보생들이 군인화와 장교화에 중점을 두고 받는 훈련이다. 병 기본 훈련, 분·소대 전술 훈련, 리더십 등을 교육받는다. 4주 동안 진행되며, 가입단 시기의 기초군사훈련과 교내교육을 통해 숙달된 군사 지식을 토대로 병 기본 훈련과 장교로서의 부대 지휘 능력 및 리더십 등을 집중적으로 교육받는다. 3학년은 병 기본 훈련을 숙달하여 지휘자로서의 기본적인 전투 기술을 배우며, 4학년은 분·소대 전술 훈련을 통해 소부대 지휘자로서의 지휘 능력을 극대화한다.
동계입영훈련은 매년 12월 말부터 다음 해 1월 말까지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3학년 후보생들이 장교화에 중점을 두고 받는 훈련이다. 바람직한 장교상 확립 및 기본 전투 기술 숙달에 중점을 두고 교육을 받는다. 2주 동안 진행된다. 교내교육과 하계입영훈련을 통해 습득한 이론 및 실기를 기초로 실기 실습 위주의 군사 지식 체득에 중점을 두고 집중적으로 교육을 받는다. 개인화기, K-201 유탄발사기, 편제 화기 등의 교육 내용을 습득하여 기본 전투 기술을 숙달하고, 지휘 및 훈육 교육을 통해 리더십을 갖춘 바람직한 장교상을 확립한다.
3. 1. 3. 학군단 설치 대학
지역 | 대학 |
---|---|
서울 | 서울대(101), 고려대(102), 성균관대(103), 연세대(107), 경희대(108), 중앙대(111), 동국대(112), 건국대(113), 한양대(115), 한국외대(119), 국민대(129), 서강대(131), 홍익대(133), 숭실대(136), 광운대(142), 서울시립대(143), 세종대(162), 한성대(196), 서울과학기술대(201), 상명대(202), 서경대(206), 대진대(208), 숙명여대(217), 성신여대(218), 이화여대(225) |
경기북부 | 인하대(120), 명지대(130), 인천대(132), 가천대(151), 경인교대(176), 강남대(205), 가톨릭대(207), 성균관대(자연과학)(1031), 경희대(국제)(1081), 한양대(ERICA)(1151) |
경기남부 | 단국대(125), 경기대(122), 아주대(139), 수원대(158), 용인대(203), 백석대(209), 평택대(216), 남서울대(222), 중앙대(안성)(1111), 단국대(천안)(1251), 상명대(천안)(2021) |
강원 | 강원대(127), 가톨릭관동대(147), 상지대(156), 강릉원주대(163), 한림대(171), 세명대(183), 경동대(220), 연세대(미래)(1071) |
충청북부 | 고려대(세종)(1021), 건국대(GLOCAL)(1131), 서원대(124), 세명대(183), 청주대(137), 충북대(123), 한국교원대(150), 홍익대(세종)(1331), 호서대(166) |
충청남부 | 충남대(116), 공주대(135), 한남대(146), 대전대(168), 목원대(169), 배재대(170), 건양대(200), 한밭대(210), 우송대(223) |
호남 | 전남대(105), 전북대(106), 조선대(118), 원광대(128), 전주대(144), 우석대(153), 군산대(155), 순천대(159), 목포대(160), 동신대(172), 호남대(193), 광주대(221), 전남대(여수)(1051) |
대구·경북 | 경북대(109), 영남대(121), 울산대(140), 대구대(145), 금오공대(152), 안동대(161), 대구한의대(198), 대구가톨릭대(212), 동양대(213), 계명대(138), 동국대(WISE)(1121) |
부산/경남 | 부산대(110), 동아대(117), 경상국립대(126), 경남대(141), 동의대(148), 경성대(149), 부경대(157), 창원대(165), 인제대(173), 부산외대(199), 동명대(215) |
※ 굵은 글씨는 여자 ROTC가 설치된 대학(2010년 9월 14일 설치.[1]) |
3. 2. 학사사관후보생
학사사관으로 임관하기 위한 후보생 과정이다. 4년제 대학교 졸업자(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 소지자(예정자) 중 임관일 기준 만 20~27세 남녀를 선발하며, 선발된 인원은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양성교육을 받는다. 국가고시 합격자와 박사과정 수료자는 만 29세까지 지원 가능하다.[1]3. 2. 1. 선발
학사사관은 4년제 대학교 졸업자(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 소지자(예정자) 중 임관일 기준 만 20~27세 남녀를 선발하며, 선발된 인원은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양성교육을 받는다. 국가고시 합격자와 박사과정 수료자는 만 29세까지 지원 가능하다.[1] 2015년 6월 1일 이전에는 학사사관과 여군사관으로 임관 구분이 달랐으나, 이후 여군사관은 학사사관으로 통합되었다. 여군 55기(2010년 임관)부터는 임관 구분을 학사사관으로 단일화했다.[1] 학사사관 선발 및 양성과정은 미국 OCS(Officer Candidate School)와 영국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와 유사하다.[1]3. 2. 2. 교육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는 학사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16주간의 장교 양성 교육을 실시한다. 이 교육 과정은 가입교 1주, 군인화 5주, 신분화 11주로 구성되어 있다.[2] 교육 목표는 올바른 가치관과 지휘력을 갖춘 장교를 양성하는 것이며,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둔다.[2]- 장교로서 올바른 가치관과 품성 배양
- 군인 기본 자세 확립
- 부하를 능가하는 강인한 체력 배양
- 리더십 배양 (자신감 넘치는 전투 지휘자 육성)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뉜다.
- 가입교 (1주): 보급품 및 각종 장비 지급, 기본 제식, 군가, 각종 법규 및 규정, 내무 교육 및 군대 예절 교육을 받는다.
- 군인화 단계 (5주): 정신교육, 기초군사학, 화기학, 일반학 등의 교육 과목을 통해 제식 훈련, 정신 교육, 각개전투, 화생방, 구급법 등 기초 군사 훈련과 체력 단련을 실시한다.
- 신분화 단계 (11주): 정신교육, 전술학, 개인화기, 리더십, 교수법, 부대 지휘 관리 등의 교육 과목을 통해 분·소대 전술, 독도법, 지휘 통솔 관련 훈련을 받는다.
임관 후에는 각 병과학교에서 16주간 직무보수교육을 추가로 받는다.[2]
3. 3. 간부사관, 전문사관 양성 교육
육군학생군사학교는 학군사관후보생, 학사사관후보생 교육 외에도 간부사관, 전문사관, 법무사관, 의무사관, 수의사관, 군종사관, 기술행정·항공운항준사관, 안보지원준사관, 통·번역준사관 등 총 10개 과정의 양성교육을 전담하고 있다. 각 과정별로 학력, 지원 자격 등 상이한 선발 기준과 교육 기간(3~16주)을 가지며, 별도의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임관한다.[1]4. 교육 중 신분
사관후보생은 장교가 되기 위해 군사교육을 받는 사람의 신분이다.[1] 군인사법 시행령은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및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 과정의 학생을 장교후보생으로 규정한다.[1] 병역법은 장교후보생의 임관 전·입영훈련 기간 중 법적 신분을 출신 구분 없이 무관후보생(현역의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준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과 제1국민역의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으로 규정한다.[1] 군인사법 시행령은 장교후보생의 서열을 준사관 다음으로 규정한다.[1]
군인보수법은 사관생도·사관후보생 등 장교후보생과 부사관후보생의 보수에 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 2017년 현재 각 과정별 사관후보생 및 입영훈련 중인 학생군사교육단 3학년 사관후보생은 248120KRW을, 입영훈련 중인 학생군사교육단 4학년 사관후보생은 463800KRW을 지급받고 있다.[2]
5. 임관 및 진급
육군학생군사학교는 문무를 겸비한 강한 초급장교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임관 후 장기 복무자로 선발될 경우 영관 및 장군까지 진급하여 복무할 수 있다.
5. 1. 임관
사관후보생 과정별 성적 우수자는 임관식에서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국방부장관상, 육군참모총장상, 육군교육사령관상, 육군학생군사학교장상을 받는다. 임관 시에는 주로 전공 분야와 본인의 지원을 고려하여 병과가 분류된다.구분 | 내용 |
---|---|
전투병과 | 보병, 포병, 기갑, 공병, 정보통신, 정보, 방공, 항공(임관 후 중위 복무 중 지원가능) |
기술병과 | 화생방, 병참, 병기, 수송 |
행정병과 | 인사, 군사경찰, 재정, 공보정훈 |
특수병과 | 의정 |
학군사관은 2년 4개월(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발 시 6년 4개월), 학사사관은 3년(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발 시 7년), 간부사관은 3년의 의무 복무 기간이 부여된다. 임관 후 장기 복무자로 선발될 경우 영관 및 장군까지 진급하여 복무할 수 있다.[1]
5. 2. 진급
학군사관은 2년 4개월(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발 시 6년 4개월), 학사사관은 3년(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선발 시 7년), 간부사관은 3년의 의무복무기간이 부여된다.[1] 임관 후 장기 복무자로 선발될 경우 영관 및 장군까지 진급하여 복무할 수 있다.[1]6. 저명한 동문 (예비역)
육군학생군사학교 출신 예비역 중 저명한 동문은 다음과 같다.
# | 이름 | 기수 | 주요 경력 | 출신대학 |
---|---|---|---|---|
1 | 박세환 | 학군 1기 | 2군사령관, 8군단장, 육군교육사령관 | 고려대 |
2 | 김진호 | 학군 2기 | 합동참모의장, 2군사령관, 1군단장 | 고려대 |
3 | 홍순호 | 학군 4기 | 2군사령관, 수도군단장, 국방정보본부장 | 서울대 |
4 | 조재토 | 학군 9기 | 2군사령관, 9군단장, 합참 인사군수본부장 | 전북대 |
5 | 이철휘 | 학군 13기 | 2작전사령관, 8군단장, 52사단장 | 명지대 |
6 | 박한기 | 학군 21기 | 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 제8군단장 | 서울시립대 |
7 | 남영신 | 학군 23기 | 지상작전사령관, 군사안보지원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 동아대 |
8 | 신희현 | 학군 27기 | 제2작전사령관, 제3군단장, 제2신속대응사단장 | 한남대 |
6. 1. 4성 장군(대장)
# | 이름 | 기수 | 주요 경력 | 출신대학 |
---|---|---|---|---|
1 | 박세환 | 학군 1기 | 2군사령관, 8군단장, 육군교육사령관 | 고려대 |
2 | 김진호 | 학군 2기 | 합동참모의장, 2군사령관, 1군단장 | 고려대 |
3 | 홍순호 | 학군 4기 | 2군사령관, 수도군단장, 국방정보본부장 | 서울대 |
4 | 조재토 | 학군 9기 | 2군사령관, 9군단장, 합참 인사군수본부장 | 전북대 |
5 | 이철휘 | 학군 13기 | 2작전사령관, 8군단장, 52사단장 | 명지대 |
6 | 박한기 | 학군 21기 | 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 제8군단장 | 서울시립대 |
7 | 남영신 | 학군 23기 | 지상작전사령관, 군사안보지원사령관, 육군특수전사령관 | 동아대 |
8 | 신희현 | 학군 27기 | 제2작전사령관, 제3군단장, 제2신속대응사단장 | 한남대 |
6. 2. 3성 장군(중장)
성명 | 주요 경력 | 출신 대학 | 기수 |
---|---|---|---|
서경석 | 6군단장 | 고려대 | 학군 3기 |
임재문 | 기무사령관 | 건국대 | 학군 3기 |
노연웅 | 11군단장 | 건국대 | 학군 5기 |
이선민 | 7군단장 | 부산대 | 학군 6기 |
조영호 | 9군단장 | 충북대 | 학군 7기 |
방판칠 | 8군단장 | 경상국립대 | 학군 8기 |
박창명 | 11군단장 | 경상국립대 | 학군 12기 |
이용광 | 6군단장 | 경상국립대 | 학군 16기 |
임국선 | 7군단장 | 원광대 | 학군 17기 |
이범수 | 6군단장 | 원광대 | 학군 18기 |
고현수 | 제1야전군 부사령관 | 광운대 | 학군 20기 |
김성진 | 6군단장 | 아주대 | 학군 22기 |
박상근 | 제3군단장 | 중앙대 | 학군 25기 |
최진규 |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전남대 | 학사 9기 |
소영민 | 특수전사령관 | 전주대 | 학사 11기 |
이상철 |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한양대 | 학군 28기 |
고현석 | 제7기동군단장 | 동아대 | 학군 29기 |
박정택 | 수도군단장 | 순천향대 | 학군 30기 |
참조
[1]
뉴스
여자대학도 ROTC‥숙명여대 시범학교로 선정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10-09-14
[2]
웹사이트
육군학생군사학교 - 사관후보생 유형에 따른 훈련 과정
http://www.armyoffi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제2 연평해전 영웅 딸, 해군 소위로…ROTC 2천758명 임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