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은 한국 장로교의 한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통해 형성되었다. 1946년 고려신학대학을 설립하고, 1952년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를 결성했다. 개혁교회 신학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등을 신앙의 기준으로 삼는다. 현재 34개의 노회, 1,577개의 교회, 23만 명의 세례교인, 35만 명의 교인 및 비교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신대학교, 고려신학대학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을 운영한다. 해외 46개국에 220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으며, 국제개혁교회회의 회원으로 활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컴패션
컴패션은 한국 전쟁 고아를 돕기 위해 설립된 기독교 기반의 국제 어린이 양육 및 구호 단체로, 개인 후원을 통해 빈곤 지역 아동들에게 교육, 의료, 식량, 영적 지원 등을 제공하고 긴급 구호 활동도 수행한다. - 1952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천주교 화롄 교구
천주교 화롄 교구는 대만 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로, 1950년 지목구로 신설되어 1952년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교구장은 필립 황자오밍 주교이고 2021년 기준 신자 수는 약 37,355명이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 |
---|---|
교단 정보 | |
![]() | |
주요 분류 | 개신교 |
교파 | 칼뱅주의 |
신학 | 개혁주의, 복음주의 |
정치 체제 | 장로교 |
설립일 | 1952년 |
설립 장소 | 대한민국 |
분리 교단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분리된 교단 | 대한예수교장로회 |
지역 | 대한민국, 미국, 전 세계 |
관련 단체 | 국제개혁교회협의회 |
교회 수 | 2,056개 (2017년) |
교인 수 | 473,497명 (2017년) |
목사 수 | 3,753명 (2017년) |
명칭 | |
한글 명칭 |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
한자 명칭 | 大韓예수敎長老會(高神) |
로마자 표기 | Daehan yesugyo jangnohoe Gosin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고신대학교 |
2. 역사
H. N. 앨런 선교사에 의해 한국에서 장로교 선교가 시작되었다. 1885년 4월 5일, H.G. 언더우드 선교사가 한국에 도착하면서 장로교 선교는 번성하기 시작했다. 1893년 1월, 장로교 선교사 협의회가 설립되었고, 1901년 5월 15일에는 평양 장로교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907년 9월 17일,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가 조직되었다.
1910년, 일본은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고 "일본과 한국은 하나"라는 구호를 내세워 식민지화 정책을 펼쳤다. 일본어 강요, 신사 참배 강요, 일본 천황 신격화, 일본 문화 강요 등을 통해 한국인을 "일본화"하려 했다. 기독교 학교는 탄압의 첫 대상이었고, 많은 학교가 신사 참배를 거부하며 자진 폐쇄했다. 1935년부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감리교, 구세군, 성결교, 성공회, 로마 가톨릭 교회 등 많은 교단이 신사 참배를 수용했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는 평안북도 지역 노회가 신사 참배를 처음 수용했고, 다른 노회들도 따랐다. 주기철 목사, 한상동 목사, 주남선 목사 등은 신사참배에 저항하다 평양 감옥에 수감되어 고문을 받았고, 주기철 목사는 순교하였다.[3]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감옥에서 풀려난 목사들은 개혁 신앙에 기초한 신학교 설립을 결심했다. 1946년, 한상동 목사와 주남선 목사 주도로 고려신학대학이 개교했다.[3] 그러나 장로교는 이 신학교를 인정하지 않았고, 1952년 9월 11일 고려신학대학 설립자들과 부평동 노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를 설립하였다.[3]
1960년 12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과 통합했으나, 1963년 연합에서 탈퇴하여 원래 형태로 돌아갔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에는 150개 교회만 남았다. 1976년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파)가 분리되었으나, 일부는 고신 교회와 재결합했다. 고신 교단은 꾸준히 성장하여, 교단 본부는 서울특별시에 있으며 총회 사무국, 출판사, 교회 교육부, 선교 훈련원 등이 있다.[4] 2002년에는 교단 창립 50주년을 기념했다.[5]
이후 분열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65년: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파) 형성
- 1976년: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류-반고소파) 분리
- 1980년: 한국예수교장로회 분리
2. 1. 한국 장로교 선교의 시작과 일제강점기
미국 장로교회의 의료 선교사인 H. N. 앨런에 의해 한국에서 장로교 선교가 시작되었다. 1885년 4월 5일, H.G. 언더우드 선교사가 한국에 도착하면서 한국에서의 장로교 선교는 번성하기 시작했다. 1893년 1월, 장로교 선교사 협의회가 설립되었고, 1901년 5월 15일에는 평양 장로교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몇 년 후인 1907년 9월 17일,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가 조직되었다.1910년, 일본은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하고 군국주의적 제국주의 사상을 이용하여 한국 및 다른 아시아 국가를 식민지화하려는 시도로 "일본과 한국은 하나"라는 구호를 내세웠다. 이 구호는 일본어 강요, 신사 참배 강요, 일본 천황의 신격화, 일본 문화 강요 등을 통해 사람들을 "일본화"하려는 데 사용되었다. 기독교 학교는 일본 식민지화의 첫 번째 희생자였다. 일본은 "신사 참배는 종교 의식이 아니라 국가 의식"이라고 주장했지만, 많은 기독교 학교는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쇄했다. 한국의 교회는 다음 목표가 되었고, 1935년부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감리교, 구세군, 성결교, 성공회, 로마 가톨릭 교회를 포함한 많은 기독교 교단이 신사 참배를 수용했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의 경우, 평안북도 지역 노회가 신사 참배를 처음 수용했고, 다른 많은 노회들이 이를 따르기 시작했다.
2. 2. 신사참배 반대 운동과 고신 교단의 설립
일제강점기, 기독교 신앙과 복음을 지키려는 목사들을 중심으로 신사참배 거부 운동이 일어났다. 평양 장로교 신학교의 많은 목사들이 쫓겨났고, 결국 신학교는 문을 닫게 되었다. 주기철 목사, 한상동 목사, 주남선 목사 등은 평양 감옥에 수감되어 고문을 받았다. 한국 교회는 일제의 압박 속에서 제 기능을 잃었고, 1945년 8월 1일에는 모든 교회가 일본-조선 기독교 교회로 통합되었다. 주기철 목사는 이러한 강요와 신사참배에 저항하다가 순교하였다.[3]1945년 8월 15일, 한국이 해방되면서 일본 감옥에서 고통받던 목사들이 석방되었다. 이들은 한국 기독교의 현실을 직시하고, 개혁 신앙의 기초 위에 순수하고 보수적인 신학교를 세우기로 결심했다. 1946년, 한상동 목사와 주남선 목사가 주도하여 고려신학대학을 개교했다.[3]
그러나 장로교는 이 신학교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고려신학대학 설립자들과 부평동 노회는 1952년 9월 11일,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총회를 설립하였다.[3]
1960년 12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과 통합했지만, 1963년 교회는 연합에서 탈퇴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갔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에는 150개 교회만이 남았다. 1976년 교회 내에서 분열이 일어나,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파)가 창립되었지만, 이 중 일부는 고신 교회와 재결합했다. 고신 교단은 꾸준히 성장하여, 교단 본부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해 있으며 총회 사무국, 출판사, 교회 교육부, 선교 훈련원과 같은 다양한 부서가 있다.[4]
2002년에는 교단 창립 50주년을 기념했다.[5]
2. 3. 분열과 성장
- 1965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파)가 형성되었다.
- 1976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류-반고소파)가 분리되었다.
- 1980년에 한국예수교장로회가 고신교회에서 분리되었다.
3. 신학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은 개혁교회이며,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장로교 신앙고백을 지지한다.
-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1647)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 사도신경[6]
4. 조직 및 기관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단은 34개의 노회와 총회로 구성되어 있다. 1,577개의 교회, 23만 명의 세례교인, 그리고 35만 명의 교인 및 비교인을 포함하며, 2,300명의 안수받은 목사가 있다. 여성 안수는 없다.[7]
5. 선교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는 해외 및 국내 선교에 힘쓰고 있다. 해외에는 46개국에 220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전도위원회를 통해 대한민국 전역에 교회를 개척하고, 한국 군에 군종 목사를 파송하며, 농어촌 전도위원회를 통해 농어촌 지역 교회 개척을 담당하고 있다.
5. 1. 해외 선교
46개국에 220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다.5. 2. 국내 선교
전도위원회는 대한민국 전역에 교회를 개척하는 데 힘쓰고 있으며, 한국 군에 30명의 군종 목사를 파송하고 있다.[1] 농어촌 전도위원회는 농어촌 지역 교회 개척을 담당하고 있다.[1]6. 국제 협력
고신은 국제개혁교회회의의 회원이다. 선교지에서 미국 정통 장로교회와 긴밀히 협력한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는 다음과 같은 교회들과 자매 교회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교세현황
http://kosin.org/pag[...]
[2]
웹사이트
Home
http://www.kosin.org[...]
[3]
웹사이트
▒▒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
http://pck.or.kr/Eng[...]
2013-06-25
[4]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http://www.reformier[...]
[5]
웹사이트
BBK.GKV » Korea
http://www.bbk.gkv.n[...]
[6]
웹사이트
Address data base of Reformed churches and institutions
http://www.reformier[...]
[7]
웹사이트
constituency
http://www.kosin.org[...]
[8]
웹사이트
고려신학대학원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https://www.kts.ac.k[...]
2013-03-08
[9]
웹사이트
www.kosin.org/kosin/htmls/pck.htm
http://www.kosin.org[...]
2013-02-16
[10]
뉴스
http://www.newsnjo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