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기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기철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순교한 한국의 목사이다. 1897년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나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평양신학교를 졸업했다. 부산 초량교회, 마산 문창교회에서 목회했으며, 평양 산정현교회 목사로 재직하며 신사참배 강요에 저항했다. 그는 일사각오의 신념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1944년 평양감옥에서 순교했다. 사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국가보훈처는 그의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여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기독교 순교자 - 탁명환
    탁명환은 한국의 종교 연구가이자 저술가로, 신흥종교 및 기독교 이단 연구와 비판 활동, 특히 오대양 집단자살사건 진실 규명에 힘썼으나 평강제일교회 신도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종교 문제와 진실 규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20세기 기독교 순교자 - 신석구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신석구는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일제에 저항했으며, 광복 후에는 북한에서 반공주의 운동을 펼치다 체포되어 한국 전쟁 중 총살당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일제강점기의 장로교도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장로교도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주기철
기본 정보
주기철
이름주기철
출생 이름주기복
로마자 표기Ju Gicheol
한자 표기朱基徹
출생일1897년 11월 25일
출생지창원, 경상남도, 한국
사망일1944년 4월 21일
사망 장소한국
사망 원인고문
국적한국
종교기독교
교단장로교
소속 교회조랑 교회
문창 교회
산정현 교회
직업목사
배우자오정모
부모아버지 주현성
친척4형제 중 넷째
교육
모교오산학교
연희전문학교
평양신학교
활동
목사 안수일1926년 1월 10일
저서나의 오중 기도
소속 노회평양노회
관련 인물김익두
이달의 독립운동가이 달의 독립운동가
기타

2. 생애

주기철은 1897년 11월 25일 경상남도 창원시 웅천읍 북부리에서 태어났다.[1] 1910년 12월 25일 웅천교회에서 기독교에 입교했다. 1912년 오산학교에 진학하여 이승훈, 조만식 등으로부터 민족주의와 기독교 사상을 배웠다.[1] 1916년 졸업 후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백내장 진단을 받고 중퇴하여 고향으로 돌아갔다.[1]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고 웅진청년운동단을 대표하여 조선청년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3] 1920년 5월 27일 김익두 목사의 부흥회에서 시력을 회복하는 경험[1]을 한 후,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목회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2]

1926년 목사 안수를 받은 후,[4] 초량교회(1926-1931), 문창교회(1931-1936)를 거쳐[4] 1936년 산정현교회에 부임하였다.[4]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1931년 경상남도에서 신사참배 반대 시위를 조직하고[1] 산정현교회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반대 운동을 이끌었다.[1]

2. 1. 학창 시절 및 청년기

1897년 11월 25일 경상남도 웅천군 읍내면 백일리(현 창원시 진해구 북부동)에서 아버지 주현성(朱炫聲)의 4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11] 원래 이름은 주기복(福)이었으나, 세례 후 '기독교를 철저히 믿는다'는 뜻의 주기철(朱基徹)로 바꾸었다.[10]

웅천개통학교(현 웅천초등학교)를 졸업하고,[12] 평안북도 정주군 오산학교(현 서울 오산고등학교)에서 유학하였다. 1910년 12월 25일, 웅천교회에서 기독교에 입교했다. 1916년 오산학교 졸업 후, 1917년 아버지의 권유로 조선기독대학(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에 2기생으로 입학했으나 안질로 1년 만에 중퇴하고 고향인 웅천으로 귀향한다.[10]

1920년 5월 27일, 마산 문창교회에서 열린 김익두의 부흥회에 참석하여 깊은 성령 체험을 얻었는데, 이는 평생에 걸친 신앙적 전환점이 되었다.[12] 이후 교회활동을 열심히 하여 웅천교회의 집사로 추천받기도 했다. 1919년에는 남학회(南學會)를 조직, 3·1 운동에 참가하였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평양장로신학교에서 수학하고 1926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여 목사가 되었다.

2. 2. 신사참배 반대와 투옥

주기철은 일제강점기 일제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신앙을 지키고자 노력했다. 1936년 평양 산정현교회에 부임한 그는 '일사각오(一死覺悟)' 설교[14]를 통해 신앙 실천과 독립 정신을 강조하며 신사참배를 거부했다.

1938년 4월, 신사참배 반대로 1차 검속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으나[12] 같은 해 6월 풀려났다.[12] 이후에도 주기철은 신사참배에 대한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 1938년 8월 2차 검속,[12] 1939년 10월 3차 검속[12]으로 여러 차례 체포와 석방을 반복했다. 1939년 12월, 불법 총회로 결의된 조선예수교장로회 평양노회는 신사참배 결의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주기철을 목사직에서 파면했다.

1940년 2월, 주기철은 산정현교회에서 '다섯 종목의 나의 기원'이라는 마지막 설교를 남겼다.[13] 같은 해 9월, 4차 검속으로 체포된[12] 그는 1944년 복역 중 고문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48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4]

주기철은 1938년 9월 "순교의 결의"라는 설교에서 자신의 신념을 변호했다.[3] 그는 자신의 유죄 판결이 민족주의가 아닌 신앙에 근거한다고 설명했다.[4] 그의 반대는 우상숭배를 반대하는 보수적인 신학에 근거했다. 그는 신사참배를 모세의 십계명에 위배되는 죄악으로 여겼다.

1940년 8월, 일본 목사가 산정현교회에서 신사참배가 죄가 아니라고 주장하자, 주기철은 그와 맞서며 신사참배는 우상숭배라고 반박했다. 일본은 보복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에 그의 목회 직무를 해임하고 가족을 교회 재산에서 추방하도록 명령했다. 주기철은 마지막으로 투옥되었고, 혐의는 반역죄와 치안유지법 위반이었다.[2] 그의 사후 산정현교회는 일본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다.[4] 그는 고문으로 쇠약해져 1944년 4월 21일 평양감옥 의료실에서 사망했다.[4] 그의 마지막 말은 "나의 영혼의 하나님, 나를 굳게 잡으소서"였다.[4]

3. 신념과 신학

주기철은 목회에서 하나님의 말씀 설교, 예배, 교리를 엄격하게 행했으며, 설교에서는 성령을 받는 것을 강조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으므로 자신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일사각오”할 뿐이라고 말했다.[8]

1910년 12월 25일 웅천교회에서 기독교에 입교한 주기철은 1920년 5월 27일 마산 문창교회에서 열린 김익두의 부흥회에서 깊은 성령 체험을 얻었다. 이는 그의 평생에 걸친 신앙적 전환점이 되었고, 1922년부터 1925년까지 평양장로신학교에서 수학하고 1926년부터 목사로 일하게 되었다.[8]

1929년 신사 참배가 우상숭배에 해당한다고 하여 경남노회에 신사참배 반대안을 제출했다. 1938년 6월, “신사참배는 종교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일본기독교 총회장 후타다 미츠루(富田満)에게 신사참배는 우상숭배이며, 신앙과 영혼과 관련된 문제라고 비판했다. 주기철은 신사참배를 모세의 십계명에 위배되는 죄악으로 여기고, 신사참배를 하는 자들은 지옥에 떨어진다고 믿었다. 그는 후타다 미츠루에게 “후타다 목사님, 당신은 풍부한 신학 지식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러나 당신은 성경을 모릅니다. 신사참배는 분명히 첫째 계명을 어기는 것인데, 어떻게 죄가 되지 않는다고 말씀하십니까?”라고 말했다. 그 후 다섯 차례에 걸쳐 감옥에 갇혔고, 1944년 4월 21일 평양감옥에서 순교했다.[8]

3. 1. 일사각오(一死覺悟)

주기철은 자기 희생을 통한 신앙 실천을 강조하는 일사각오(一死覺悟) 설교[14]기독교 신앙 실천과 배일사상, 그리고 독립 정신을 고취하면서 일제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였다. 그는 목회에서 하나님의 말씀 설교, 예배, 교리를 엄격하게 행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설교에서는 성령을 받는 것을 강조했다. 주기철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으므로 자신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일사각오”할 뿐이라고 말했다.

1935년, 주기철은 약 200명의 목사들을 향한 설교에서 헤로데 안티파스의 죄를 고발한 세례 요한, 다윗에게 회개를 촉구한 예언자 나단, 종교 개혁마르틴 루터, 존 녹스 등은 “일사각오”의 정신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3. 2. 신사참배 비판

주기철은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신앙을 지키려 노력했다. 1936년 평양 산정현교회에 부임한 그는 '일사각오(一死覺悟)' 설교[14]를 통해 기독교 신앙 실천과 배일사상, 독립정신을 강조하며 신사참배를 거부했다.

1938년 4월, 신사참배 반대로 1차 검속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6월에 풀려났다.[12] 이후에도 여러 차례 체포와 석방을 반복했다.[12] 1939년 12월, 조선예수교장로회 평양노회는 불법 총회 결의를 통해 신사참배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주기철을 목사직에서 파면했다.

1940년 2월, 산정현교회에서 '다섯 종목의 나의 기원'이라는 주제로 마지막 설교를 했다.[13] 같은 해 9월, 제4차 검속으로 체포되었고,[12] 1944년 고문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48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주기철은 1938년 9월 "순교의 결의"라는 설교에서 자신의 신념을 변호했다.[3] 그는 신사참배 반대가 민족주의가 아닌 신앙에 근거한 것이며, 우상숭배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1940년 8월, 일본에서 파견된 목사가 신사참배가 죄가 아니라고 주장하자 주기철은 그와 맞섰다. 평양 장로회는 주기철의 목회 직무를 해임하고 가족을 교회 재산에서 추방하도록 명령받았다. 주기철은 마지막으로 투옥되었고, 혐의는 반역죄와 치안유지법 위반이었다.[2] 그의 사후 산정현 교회는 일본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다.[4]

주기철은 신사 참배가 우상숭배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1929년, 경남노회에 신사참배 반대안을 제출했다.[8] 1935년 설교에서는 헤로데 안티파스의 죄를 고발한 세례 요한, 다윗에게 회개를 촉구한 예언자 나단, 종교 개혁마르틴 루터, 존 녹스 등을 언급하며 “일사각오”의 정신을 강조했다. 1938년 6월, 일본기독교 총회장 후타다 미츠루(富田満)에게 신사참배는 우상숭배이며, 신앙과 영혼과 관련된 문제라고 비판했다. 주기철은 신사참배를 모세의 십계명에 위배되는 죄악으로 여겼다.[8]

4. 사후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3] 1990년에는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대한민국 건국훈장 3등급)을 추서 받았다. 2007년에는 국가보훈처에서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그의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는 것이었다.[3] 서울의 국립묘지와 그의 고향인 창원에도 주기철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4]

5. 평가

주기철은 1990년에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대한민국 건국훈장 3등급)을 추서받았다.[3] 2007년에는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여 국가보훈처에서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3] 서울 국립묘지와 고향 창원에는 주기철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4]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formed Churches Scarecrow Press
[2] 웹사이트 Pastor Joo Remembered https://www.koreatim[...] 2007-11-15
[3] 웹사이트 Independence Patriot of the Month-November http://english.mpva.[...]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2007-11-08
[4] 백과사전 Chu Ki-Chol https://www.britanni[...] 2016-02-24
[5] 웹사이트 (52)신안 주씨(新安朱氏)-151,227명 http://www.newsfc.co[...] 2014-09-11
[6] 웹사이트 [역사속 부산사람] ⑪ 주기철 (1897~1944) https://mobile.busan[...] 2003-07-02
[7] 웹사이트 [진해문화원 - 인물] 문화로 행복한 진해문화원입니다. http://jinhaeculture[...]
[8] 서적 『敬虔に威厳をもって』 いのちのことば社 2000-02
[9] 웹인용 주기철 http://people.empas.[...] 엠파스 인물검색 2007-11-11
[10] 웹인용 ‘주기철 목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14-06-05
[11] 서적 신안주씨 족보
[12] 웹사이트 [허명섭 칼럼] 신사참배 반대와 주기철 목사 http://www.christian[...]
[13] 웹사이트 주기철 목사의 일사각오(一死覺悟) http://news.chosun.c[...]
[14] 서적 예수의 양(蘇羊) 주기철 홍성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