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릉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릉로는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을 지나며, 한신대 교차로에서 덕릉터널관리사무소까지 이어진다. 주요 시설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도봉문화정보도서관, 녹천역, 서울상천초등학교, 상명중·고등학교, 상계3,4동주민센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청록운수
청록운수는 1993년에 설립되어 도봉구 일대에서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 은곡운수를 인수하고 강남06번을 분사하는 등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 도봉 01, 02, 03, 04번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 남양주시의 도로 - 경춘로
경기도 구리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이어지는 경춘로는 1922년 개설 후 확장되어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망우로와 직결되고 춘천로와 연결되며, 일부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된다. - 남양주시의 도로 - 덕내로
덕내로는 서울 노원구와 경기 남양주시를 연결하는 도로로, 덕릉터널을 포함한 광역도로와 고속화도로의 일부이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통행료가 징수된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덕릉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도로 정보 |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남양주시도 |
| 노선명 | 덕릉로 |
| 노선 번호명 | 서울특별시도 제2811호선 |
| 총 연장 | 11.419km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서울특별시 도봉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남양주시 |
| 종점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
| 주요 교차 도로 | 삼양로 도봉로 마들로 동부간선도로 동일로 한글비석로 |
| 도로 정보 (관리용 노선) | |
| 노선명 | 수유 ~ 상계선 |
| 노선 번호명 | 서울특별시도 제2811호선 |
| 총 연장 | 9.82km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한신대 |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강북구 서울특별시 도봉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시계 |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3호선 (동일로) 서울특별시도 제02호선 (동부간선도로) 서울특별시도 제28호선 (도봉로) 서울특별시도 제32호선 (동일로) 서울특별시도 제0301호선 (오패산로) 서울특별시도 제2803호선 (삼양로, 해등로) 서울특별시도 제2805호선 (한글비석로) 서울특별시도 제2809호선 (인수봉로) 서울특별시도 제2813호선 (노해로) 서울특별시도 제2817호선 (노원로) 서울특별시도 제3209호선 (상계로) 서울특별시도 제5003호선 (한천로) 서울특별시도 제5203호선 (마들로) |
2. 연혁
(내용 없음)
2. 1. 도로 지정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덕릉로'''를 고시
3. 주요 경유지
(내용 없음)
3. 1. 서울특별시
3. 2. 경기도
4. 노선
덕릉로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신대 교차로 부근에서 시작하여 도봉구, 노원구를 거쳐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덕릉터널관리사무소 앞 순화궁로에서 끝나는 도로이다.[1] 강북구에서는 삼양로, 도봉로, 한천로 등과 만나고, 도봉구에서는 우이천로, 마들로와 교차한다. 노원구 구간에서는 동부간선도로, 동일로, 노원로, 한글비석로, 상계로 등 주요 도로와 연결된다.
4. 1. 상세 정보
wikitext| 이름[1]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한신대 교차로 | 인수봉로 화계사길 | 서울특별시 | 강북구 | |
| 화계사입구 교차로 | 삼양로 | |||
| (수유동) | 수유로 | |||
| 수유사거리 | 도봉로 | |||
| 번동삼거리 | 오패산로 | |||
| 번동사거리 | 한천로 오현로31길 | |||
| 우이3교 | 덕릉로51길 덕릉로52길 | rowspan=2| | ||
| 도봉구 | ||||
| 우이3교 교차로 | 우이천로 | |||
| 도봉문화정보도서관삼거리 | 해등로 | |||
| 녹천지하차도 | 노해로66길 | |||
| 녹천지하차도삼거리 (녹천역) | ||||
| 녹천역입구사거리 | 노해로70길 덕릉로66길 | |||
| 녹천교 사거리(녹천교 서단) | 마들로 | |||
| 녹천교 | rowspan=2| | rowspan=2| | ||
| 노원구 | ||||
| 녹천교 교차로 | 동부간선도로 | |||
| 당현3교 | 덕릉로70길 동일로211길 | |||
| 어린이교통공원 교차로 | 섬밭로 | |||
| 중계역 교차로 | 동일로 | |||
| 대진여고 교차로 | 공릉로 | |||
| 노해근린공원 교차로 | 노원로 | |||
| 청암고교 교차로 | 중계로 | |||
| 원광초교 교차로 | 덕릉로76길 | |||
| 삿갓봉근린공원 교차로 | 한글비석로 | |||
| 당고개입구오거리 | 상계로 수락산로 | |||
| (상계4동) | 상계로 덕릉로126길 | |||
| 수락 교차로(수락 삼거리) | 덕내로 | |||
| 덕릉고개 | rowspan=2| | rowspan=2| | ||
| 남양주시 | 별내동 | |||
| 덕흥대원군묘 | ||||
| 덕릉터널관리사무소 | 순화궁로 | 종점 | ||
5. 주요 시설
덕릉로 주변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를 거쳐 경기도 남양주시까지 이어지는 이 도로변에는 주민 편의를 위한 복지 시설, 강북구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행정 기관,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도봉문화정보도서관 등의 문화 시설, 서울상천초등학교, 상명고등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 그리고 1호선 녹천역 등이 위치해 있다. 각 행정구역별 상세한 시설 목록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서울특별시
덕릉로는 서울특별시의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를 차례로 통과하는 도로이다. 각 자치구별 주요 경유지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5. 1. 1. 강북구
- 늘푸른재가복지센터 (덕릉로 13)
- 강북여성인력개발센터 (덕릉로 108)
- 강북구 선거관리위원회 (덕릉로 113)
5. 1. 2. 도봉구
wikitext| 기관/시설명 | 주소 |
|---|---|
|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257 |
| 도봉문화정보도서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315 |
| 창동종합사회복지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329 |
| 녹천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 376 |
5. 1. 3. 노원구
wikitext| 기관명 | 주소 (덕릉로) |
|---|---|
| 서울상천초등학교 | 443 |
| 노원구 견인차량보관소 | 450 |
| 상명초등학교 | 541 |
| 상명중학교, 상명고등학교 | 553 |
| 을지중학교 | 580 |
| 노원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 744 |
| 노원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 777 |
| 상계3,4동주민센터 | 859 |
5. 2. 경기도
(내용 없음)5. 2. 1. 남양주시
참조
[1]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2]
보고서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3]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4]
문서
안내용은 도로이정표에 표기되는 번호이며, 도로법에 의한 노선과는 별도로 지정된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