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봉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구이다. 1973년 성북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1988년 노원구 분구, 1989년 도봉동 및 창동 환원, 1995년 강북구 분구를 거쳐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 도봉산, 중랑천 등 자연환경을 포함하며, 14개의 행정동과 4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4호선, 7호선이 있으며, 덕성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도봉구의 행정 구역 - 방학동
방학동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속한 지역으로, 1466년부터 1914년까지 경기도 양주군에 속했다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이 위치한다. - 서울 도봉구의 행정 구역 - 창동 (서울)
창동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지역으로,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군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쳐 서울특별시 도봉구로 편입되었으며, 창동역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했다. - 서울 도봉구 - 도봉도서관
- 서울 도봉구 - 응답하라 1988
응답하라 1988은 1988년 서울 도봉구 쌍문동을 배경으로 다섯 가족의 이야기와 주인공들의 성장, 사랑, 우정을 그린 드라마이며, 1980년대 시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높은 시청률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도봉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도봉구 |
한자 표기 | 道峰區 |
로마자 표기 | Dobong-gu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수도권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행정동 | 14개 |
설치일 | 해당 정보 없음 |
설립자 | 해당 정보 없음 |
명칭 유래 | 해당 정보 없음 |
행정 | |
자치구 | 자치구 |
구청 | 마들로 656 |
구청장 | 오언석(국민의힘) |
의회 | 도봉구의회 |
국회의원 | 김재섭 (정치인)(국민의힘) 오기형(더불어민주당) |
면적 | |
총 면적 | 20.8 km² |
면적 정보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 |
총 인구 | 304,255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통계 | 306,948명 (2023년 기준) |
남성 인구 | 148,796명 (2023년 기준) |
여성 인구 | 158,152명 (2023년 기준) |
세대수 | 138,439세대 (2022년 기준)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정보 | 해당 정보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9 |
서머타임 | 해당 정보 없음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 |
우편 번호 | 01300~01599 |
지역 번호 | 02-9xx,2000~ |
웹사이트 | 도봉구 공식 웹사이트 |
구목 | 소나무 |
구화 | 장미 |
구조 | 비둘기 |
상징 동물 | 학 |
2. 역사
도봉구는 조선 초까지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에 속했다. 1914년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관할이었다가, 1963년 1월 1일 성북구 노해출장소 지역으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성북구에서 분리되어 도봉구가 설치되었고[9], 1988년 1월 1일 노원구가 분리 신설되었으나[10], 1989년 1월 1일 도봉동과 창동이 도봉구로 다시 편입되었다. 1995년 3월 1일에는 강북구가 분리 신설되면서[11] 현재의 도봉구가 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조선 초까지 도봉구의 모든 법정동(쌍문동, 창동, 방학동, 도봉동)은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에 속했다. 당시 도봉동은 상루원리, 무수동, 영국리였고, 방학동은 암회리, 원당리, 도당리였으며, 쌍문동은 소라리, 계성리, 우이리 일부(현재의 쌍문1동 일대), 창동은 창동리, 마산리, 유만리였다. 1914년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관할이 되어 도봉리, 방학리, 쌍문리, 창동리가 되었다. 단, 현재 쌍문1동의 우이천 서부 지역은 1914년 이전에는 경성부 숭신방(숭인면) 우이리에 속했다.-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지역(현 도봉구 창동, 쌍문동, 도봉동, 방학동)이 성북구 노해출장소 지역으로 편입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성북구로부터 미아동·번동·수유동·우이동·창동·월계동·쌍문동·상계동·중계동·도봉동·방학동·공릉동·하계동을 분리하여 도봉구가 설치되었다.[9]
- 1988년 1월 1일: 도봉구 중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을 관할로 노원구가 설치되었다.[10]
- 1989년 1월 1일: 노원구 중 도봉동, 창동이 다시 도봉구 관할로 바뀌었다.
- 1995년 3월 1일: 도봉구 중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을 관할로 강북구가 설치되었다.[11]
3. 지리
도봉구는 서울특별시 북부에 위치하며, 도봉산과 북한산국립공원이 있다.[4]
3. 1. 자연 환경
도봉구는 서울시청으로부터 약 12km 동북부에 있는 방학동이 구의 중심이며, 구 전체 면적은 20.84km2로 서울특별시 면적의 3.4%를 차지하고 있다. 도봉구 면적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북한산국립공원을 비롯한 공원으로, 구 면적의 48.2%인 10.05km2에 달한다. 서울시의 최북단에 있는 도봉구는 동쪽으로 노원구 상계동과, 서쪽은 강북구 수유동·우이동과, 남쪽은 노원구 월계동 및 강북구 번동과, 북쪽은 의정부시 호원동 등과 접하고 있는 서울 동북부의 관문 지역이다.도봉구의 지형은 서남부는 강북구와 경계를 이루는 우이천이 흐르고, 북부는 의정부시와 경계를 이루는 도봉산이 있다. 동부는 낮은 지대로 함경남도 원산의 영흥만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거쳐 서해안까지 뻗어 내린 좁고 긴 골짜기인 추가령 지구대 남단에 해당되는데, 이 골짜기를 따라 한강 상류 지류인 중랑천이 흐르고 있다. 이 동부 저지대를 사이에 두고 노원구 쪽에 불암산(508m), 수락산(637.7m)이 있다. 도봉구의 상징인 도봉산은 서울의 진산이라 불리는 북한산과 연접해 있으며, 최고봉인 자운봉(739.5m)을 비롯하여 만장봉(718m), 선인봉(708m), 오봉(625m) 등이 깎아지른 듯 솟아 있고, 그 사이로 계곡의 맑은 물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고 있다.[12] 도봉산은 북한산국립공원에 있는 산으로, 도봉구 관할 지역 일부에 속해 있으며, 도봉구 주민들에게 인기 있는 휴식 장소이다.
또한 도봉산에는 천축사, 원통사, 만어람 등 크고 작은 사찰들이 많이 있다.[4]
4. 행정 구역
도봉구는 1973년 성북구에서 분리된 이후 몇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3]
4. 1. 법정동
도봉구는 4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시 14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각 행정동과 법정동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4. 2. 행정동
도봉구의 행정 구역은 14개의 행정동, 385통 2,92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봉구의 면적은 20.70km2로 서울시의 3.42%에 해당한다. 2019년 1월 1일 기준 도봉구의 인구는 138,087세대, 339,413명이다.[13]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쌍문제1동 | 雙門第1洞 | 1.24 | 8,655 | 22,303 |
쌍문제2동 | 雙門第2洞 | 0.54 | 8,508 | 21,541 |
쌍문제3동 | 雙門第3洞 | 0.50 | 7,589 | 18,505 |
쌍문제4동 | 雙門第4洞 | 0.52 | 7,369 | 21,563 |
방학제1동 | 放鶴第1洞 | 0.69 | 12,577 | 32,315 |
방학제2동 | 放鶴第2洞 | 0.74 | 9,792 | 23,723 |
방학제3동 | 放鶴第3洞 | 2.64 | 10,818 | 31,883 |
창제1동 | 倉第1洞 | 0.88 | 11,035 | 28,703 |
창제2동 | 倉第2洞 | 1.07 | 11,753 | 31,502 |
창제3동 | 倉第3洞 | 0.67 | 6,672 | 16,013 |
창제4동 | 倉第4洞 | 0.96 | 10,858 | 30,760 |
창제5동 | 倉第5洞 | 0.70 | 10,040 | 27,863 |
도봉제1동 | 道峰第1洞 | 8.72 | 10,390 | 24,310 |
도봉제2동 | 道峰第2洞 | 0.83 | 11,795 | 30,925 |
도봉구 | 道峰區 | 20.70 | 137,851 | 361,909 |
도봉구는 4개의 법정동,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동은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법정동은 여러 행정동으로 나뉜다.
5. 인구
2019년 1월 1일 기준 도봉구의 인구는 138,087세대, 339,413명이다.[13] 도봉구의 면적은 20.70km2로 서울시의 3.42%에 해당한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쌍문제1동 | 雙門第1洞 | 1.24 | 8,655 | 22,303 |
쌍문제2동 | 雙門第2洞 | 0.54 | 8,508 | 21,541 |
쌍문제3동 | 雙門第3洞 | 0.50 | 7,589 | 18,505 |
쌍문제4동 | 雙門第4洞 | 0.52 | 7,369 | 21,563 |
방학제1동 | 放鶴第1洞 | 0.69 | 12,577 | 32,315 |
방학제2동 | 放鶴第2洞 | 0.74 | 9,792 | 23,723 |
방학제3동 | 放鶴第3洞 | 2.64 | 10,818 | 31,883 |
창제1동 | 倉第1洞 | 0.88 | 11,035 | 28,703 |
창제2동 | 倉第2洞 | 1.07 | 11,753 | 31,502 |
창제3동 | 倉第3洞 | 0.67 | 6,672 | 16,013 |
창제4동 | 倉第4洞 | 0.96 | 10,858 | 30,760 |
창제5동 | 倉第5洞 | 0.70 | 10,040 | 27,863 |
도봉제1동 | 道峰第1洞 | 8.72 | 10,390 | 24,310 |
도봉제2동 | 道峰第2洞 | 0.83 | 11,795 | 30,925 |
도봉구 | 道峰區 | 20.70 | 137,851 | 361,909 |
연도 | 총인구 |
---|---|
1975년 | 631,484명 |
1980년 | 753,181명 |
1985년 | 846,644명 |
1990년 | 671,649명 |
1995년 | 355,846명 |
2000년 | 352,098명 |
2005년 | 367,998명 |
2010년 | 347,220명 |
2015년 | 340,095명 |
6. 정치
도봉구의 구청장은 이동진이다.[1]
도봉구의 치안 및 소방을 담당하는 기관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 | 내용 |
---|---|
서울도봉경찰서 | 도봉구의 치안 담당 |
도봉소방서 | 도봉구의 소방 담당 |
6. 1. 역대 구청장
현재 구청장은 이동진이다.6. 2. 경찰
서울도봉경찰서6. 3. 소방
도봉소방서7. 경제
도봉구는 강북구와 함께 서울에서 경제적으로 중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어, 단순히 중하위권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창동역에 GTX 노선이 건설되는 등 개발 호재로 주변 아파트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강남이나 압구정처럼 서울의 부유한 지역에 비하면 아직 낮은 편이지만, 서울대학교병원과 창동 아레나 같은 시설들이 들어설 예정이라 앞으로 부동산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1]
7. 1. 산업
강북구와 함께 도봉구는 서울 내 경제적 지위 측면에서 중하위권 지역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도봉구를 엄격하게 중하위권으로 분류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부동산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창동역 GTX 노선 건설과 같은 개발로 인해 인근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2022년 2월 16일 기준 북한산 아이파크 아파트 가격은 약 14억원이었다.[1] 강남이나 압구정과 같은 서울의 부유한 지역에 비해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계획된 서울대학교병원과 창동 아레나와 같은 인프라 개선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곧 유사한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또한 도봉구는 전국에서 양말 제조 시설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대부분 대규모 공장은 아니고, 건물 지하실이나 심지어 가정집에 위치한 소규모 작업장이 주를 이룬다. 대부분의 공장은 창동에 집중되어 있으며, 방학동과 상문동에도 상당수가 위치해 있다.
8. 관광
- '''도봉산'''은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북한산 국립공원의 한 부분이다. 백두대간에서 뻗어나온 한북정맥이 운악산, 불곡산을 지나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으로 이어진다.
- '''연산군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무덤이다.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이라고 하지만, 연산군은 왕의 지위를 잃었기 때문에 묘라고 하였다.
- '''중랑천'''은 경기도 양주시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 둘리뮤지엄
8. 1. 명소
- '''도봉산'''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북한산 국립공원의 한 부분이다. 백두대간의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한북정맥의 연봉을 따라 운악산·불곡산을 거쳐 남서쪽으로 내려오다가 서울 동북쪽에서 우뚝 솟아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으로 이어진다. 최고봉인 자운봉(739.5m), 남쪽으로 만장, 선인봉, 서쪽으로 오봉, 여성봉이 있다.[14] 도봉산에는 천축사, 원통사, 만어람 등 크고 작은 사찰들이 많이 있다.[4]
- '''연산군묘'''
조선 제10대 연산군(재위 1495∼1506)과 거창군부인 신씨( 1476 ∼ 1537)의 무덤이다. 1513년에 조성되어,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2호로 지정되었다. 왕 또는 왕비의 무덤을 능(陵)이라고 하지만 연산군은 그 지위가 군으로 강봉되었기 때문에 묘라 하였다. 중종 7년(1512) 12월 부인 신씨가 상소하여 묘를 강화에서 능성구씨의 선영이며 연산군의 사위와 딸의 무덤이 있는 양주군 해등면 원당리(현 도봉구 방학동)로 이장하기를 청하여, 이듬해(1513) 2월 왕자군의 예로 이장하고 양주군의 관원으로 하여금 제사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 '''중랑천'''
한강의 여러 지류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원해 의정부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경기도 부분의 중랑천은 지방하천으로 분류되며 서울특별시에 접어들면 국가하천으로 등급이 바뀐다.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이 서울특별시 구간부터 중랑천과 나란히 뻗어있다. 총 길이는 45.3 km으로 서울특별시 내의 하천 중에서 제일 길다.
8. 2. 문화재
- '''도봉산'''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한 부분이다. 백두대간의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한북정맥의 연봉을 따라 운악산·불곡산을 거쳐 남서쪽으로 내려오다가 서울 동북쪽에서 우뚝 솟아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으로 이어진다. 최고봉은 자운봉(739.5m)이며, 남쪽으로 만장, 선인봉, 서쪽으로 오봉, 여성봉이 있다.[14]
- '''연산군묘'''
조선 제10대 연산군(재위 1495∼1506)과 거창군부인 신씨(1476 ∼ 1537)의 무덤이다. 1513년(중종 8년)에 조성되어,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2호로 지정되었다. 왕 또는 왕비의 무덤을 능(陵)이라고 하지만 연산군은 그 지위가 군으로 강봉되었기 때문에 묘라 하였다. 그 후 1512년(중종 7년) 12월 부인 신씨가 상소하여 묘를 강화에서 능성구씨의 선영이며 연산군의 사위와 딸의 무덤이 있는 양주군 해등면 원당리(현 도봉구 방학동)로 이장하기를 청하여, 이듬해(1513년) 2월 왕자군의 예로 이장하고 양주군의 관원으로 하여금 제사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 '''중랑천'''
한강의 여러 지류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원해 의정부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경기도 부분의 중랑천은 지방하천으로 분류되며 서울특별시에 접어들면 국가하천으로 등급이 바뀐다.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이 서울특별시 구간부터 중랑천과 나란히 뻗어있다. 총 길이는 45.3km으로 서울특별시 내의 하천 중에서 제일 길다.
- 서울 연산군묘 - 사적 제362호
- 양효공안맹담과정의공주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
- 전주이씨영해군파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6호
- 만월암석불좌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1호
- 충정공 목서흠 묘역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
- 도봉서원과 각석군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8호
-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 등록문화재 제521호
9. 교육 기관
도봉구에는 대학교로 덕성여자대학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로는 누원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외국어고등학교, 선덕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자운고등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 창동고등학교, 효문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서울인강학교가 있다.
9. 1. 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9. 2. 고등학교
누원고등학교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외국어고등학교
선덕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자운고등학교
정의여자고등학교
창동고등학교
효문고등학교
9. 3. 특수학교
서울인강학교10. 교통
도봉구에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본선)은 도봉산역에서 창동역까지,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창동역과 쌍문역을, 서울 지하철 7호선은 도봉산역을 거쳐 간다.
10. 1.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원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기도 의정부시)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창동역 → (노원구)
서울교통공사
: 수도권 전철 4호선
:: (노원구) ← 창동역 - 쌍문역 → (강북구)
: 서울 지하철 7호선
:: (경기도 의정부시) ← 도봉산역 → (노원구)
11. 자매 도시
도봉구는 대한민국과 다른 나라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경기도 양주시, 전라남도 무안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동해시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국외에서는 일본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와 요코하마, 대만 타이베이시, 중국 베이징시 창핑구와 자매 도시 관계이다.
11. 1. 국내
- 수정사항
- 표의 양식을 좀더 직관적으로 수정했습니다.
- `` 템플릿을 `` 템플릿으로 변경했습니다.
- `colspan="2" align="center"` 속성을 제거하고, 각 셀에 `align="center"`를 적용했습니다.
- 빈 셀에 내용을 채워 표를 완성했습니다.
- 마지막 행에 있던 대한민국 동해시를 표 안으로 통합했습니다.
- 이미지 관련 태그를 모두 제거했습니다. (표 안에서는 이미지 태그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11.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https://jumin.mois.g[...]
2024-09
[2]
웹사이트
Dobong District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09-20
[3]
웹사이트
Nowon District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09-25
[4]
웹사이트
DOBONG-GU OFFICE
http://eng.dobong.go[...]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기타
[9]
법률
서울특별시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0]
법률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1]
법률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12]
웹사이트
도봉구의 위치 및 자연환경
http://www.dobong.go[...]
2012-08-26
[13]
간행물
제28회 도봉통계연보(2013)
도봉구청
2013
[14]
웹사이트
산사랑
http://www.sanlov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