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양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주시는 1995년 미금시와 남양주군의 통합으로 도농복합 형태로 출범한 도시로, 서울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다. 과거 양주군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 실학자 정약용이 출생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현재 6개의 읍, 3개의 면, 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 70만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상업 및 서비스업이며, 조선왕릉, 남양주종합촬영소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교통 시설로는 수도권 외곽순환고속도로, 중앙선, 경춘선 등이 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8호선 연장 노선도 운행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 - 모란공원
    모란공원은 1966년 사설묘지로 조성되어 민주화 운동 관련 인사들이 안장되면서 한국 민주주의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 잡은 경기도 남양주시의 묘지공원이다.
  • 남양주시의 행정 구역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남양주시의 행정 구역 - 진접읍
    진접읍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읍으로, 과거 풍양현이라 불리던 지역이 1914년 진접면으로 통합된 후 198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진접선 개통과 교육 및 상업 시설 발달로 남양주시 북부 생활권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남양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남양주시
한글 표기남양주시
한자 표기南楊州市
로마자 표기Namyangju-si
맥큔-라이샤워 표기Namyangju-si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면적458.03 km²
인구 (2024년 9월)732,783 명
인구 밀도1445.66 명/km²
방언서울
행정 구역6읍, 3면, 7동
정치
시장조광한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상징
시목소나무
시화개나리
시조크낙새
기타
공식 웹사이트남양주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80년 이전에는 양주군에 속했으며,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지역에 한때 풍양현이 설치된 적이 있었다. 1980년 4월 1일 양주군에서 분리되어 '''남양주군'''이 설치되었고,[25] 1995년 1월 1일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남양주시'''가 설치되었다.[31]

남양주시의 역사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80년 4월 1일양주군에서 구리읍, 미금읍, 진접면, 진건면, 수동면, 화도면, 와부면, 별내면(고산리, 산곡리는 의정부시로 편입)을 관할로 남양주군 설치.[25]
1980년 12월 1일와부면이 와부읍으로 승격.[26]
1983년 2월 15일진건면 양지리·오남리·팔현리가 진접면으로 편입.[27](→ 현 오남읍)
1986년 1월 1일구리읍 일원을 관할로 구리시 설치(군에서 분리).[28]
1986년 4월 1일와부읍 조안출장소가 조안면으로 승격(와부읍에서 분리).[29]
1989년 1월 1일미금읍 일원을 관할로 미금시 설치.[30]
1989년 4월 1일별내면 퇴계원출장소 관할 퇴계원면(3.26 km2,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면) 신설, 진접면이 진접읍으로 승격.
1991년 12월 1일화도면이 화도읍으로 승격.
1992년 4월 1일진접읍에 오남출장소 설치.
1995년 1월 1일미금시와 남양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남양주시 설치.[31]
1995년 5월 6일오남출장소가 오남면으로 승격.[32]
2001년 9월 12일진건면, 오남면이 읍으로 승격.[33]
2006년 1월 20일퇴계원면에 진접·오남·별내·퇴계원을 관할하는 풍양출장소 설치.[34]
2006년 11월 20일화도읍에 동부출장소 설치.[35]
2008년 10월 7일남양주시 인구 50만명 돌파.
2012년 1월 2일별내면 덕송리와 화접리가 별내동으로 전환.
2013년 1월 7일남양주시 인구 60만명 돌파.
2016년 1월 4일3개 행정복지센터(와부·조안, 화도·수동, 호평·평내) 개청.[36]
2017년 2월 6일5개 행정복지센터(별내, 진접·오남, 진건·퇴계원, 금곡·양정, 도농·지금) 개청.[37]
2017년 12월 18일가운동을 다산동으로 개칭하고, 도농동, 지금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진건읍 배양리의 각 일부를 병합. 지금동, 가운동, 이패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금동으로 함. 행정동 도농동은 다산1동으로 개칭하여 다산동 중 국도 제6호선 이북 지역을 관할하게, 지금동은 다산2동으로 개칭하여 이남 지역을 관할.[38][39][40]
2018년 3월남양주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안산시 추월.
2019년 10월남양주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70만 명 돌파.
2019년 10월 21일퇴계원면이 퇴계원읍으로 승격.
2022년 1월 2일화도읍에 남부출장소 설치.
2022년 3월 19일진접선 개통.
2024년 8월 10일별내선 개통.


2. 1. 남양주시 성립 이전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유학자인 다산 정약용경기도 남양주시에서 태어나 생을 마감했다.[2] 그는 조선의 형식적인 성리학 철학을 실용적인 문제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한 실학 사상가 중 가장 위대한 인물로 널리 여겨진다.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은 초기 한국 천주교 신자이기도 했다.

1950년 10월부터 1951년 초까지 남양주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2]

1980년까지 남양주시는 양주군에 속해 있었다.[10]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은 일시적으로 풍양현에 속해 있었다. 1980년 4월 1일, 양주군 구리읍, 미금읍, 진접면, 진건면, 수동면, 화도면, 와부면 및 별내면의 일부를 가지고 '''남양주군'''이 설치되었다.[10]

2. 2. 남양주군 시대 (1980년~1995년)


  • 1980년 4월 1일: 양주군 구리읍, 미금읍, 진접면, 진건면, 화도면, 수동면, 와부면, 별내면을 관할하는 남양주군이 설치되었다.(2읍 6면)[10]
  • 1980년 12월 1일: 와부면이 와부읍으로 승격되었다.(3읍 5면)[11]
  • 1983년 2월 15일: 진건면 양지리, 오남리, 팔현리가 진접면에 편입되었다.(3읍 5면)[12]
  • 1986년 1월 1일: 구리읍이 구리시로 승격되어 남양주군에서 분리되었다.(2읍 5면)[13]
  • 1986년 4월 1일: 와부읍 조안출장소가 조안면으로 승격되었다.(2읍 6면)[14]
  • 1989년 1월 1일: 미금읍이 미금시로 승격되어 남양주군에서 분리되었다.(1읍 6면)[15]
  • 1989년 4월 1일: 진접면이 진접읍으로 승격되었다.(2읍 6면)
  • 1991년 12월 1일: 화도면이 화도읍으로 승격되었다.(3읍 5면)
  • 1992년 4월 1일: 진접읍에 오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95년 1월 1일: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되어 남양주시가 되었다. 이로써 남양주군은 폐지되었다.(3읍 5면)[16]

2. 3. 남양주시 시대 (1995년~현재)

1995년 1월 1일,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되어 남양주시가 되었다.[16] 같은 해 5월 6일, 오남출장소가 오남면으로 승격되었다.[17] 2001년 9월 12일에는 진건면이 진건읍으로, 오남면이 오남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18]

2006년 1월 20일, 풍양출장소(오남읍, 진접읍, 도농면, 별내면 관할)가 설치되었고,[19] 11월 20일에는 화도읍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20] 2008년 10월 7일, 남양주시 인구는 50만 명을 돌파했다. 2011년 9월에는 세계 최초의 유기농업 박물관인 남양주 유기농 박물관이 개관하였다.[3]

2016년 1월 4일, 3개의 행정복지센터(와부·조안, 화도·수동, 호평·평내)가 개설되었고, 2017년 2월 6일에는 5개의 행정복지센터(별내, 진접·오남, 진건·퇴계원, 금곡·양정, 도농·지금)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2017년 12월 18일, 가운동, 도농동, 지금동, 수석동, 일패동, 이패동, 진건읍의 각 일부를 합쳐 차산동이 설치되었고, 지금동, 가운동의 나머지 부분 및 이패동의 일부 지역을 합쳐 지금동이 다시 설치되었다. 행정동 도농동은 차산1동으로, 지금동은 차산2동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1][22][23]

2018년 3월, 남양주시의 주민등록인구는 안산시를 넘어섰다. 2019년 10월에는 주민등록인구가 70만 명을 돌파했고, 같은 해 10월 21일 퇴계원면이 퇴계원읍으로 승격되었다. 2022년 1월 2일, 화도읍에 남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3. 행정 구역

남양주시는 6, 3, 7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도읍에는 동부출장소와 남부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41] 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58.1km2이며,[41]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70만 1830 명, 27만 6656 가구이다.[42]

3. 1. 읍·면·동

남양주시의 행정 구역은 6, 3, 7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도읍에는 동부출장소와 남부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41] 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58.1km2이다.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70만 1830 명, 27만 6656 가구이다.[42]

남양주시 행정지도


남양주시에는 단독 시 승격 기준인 인구 5만 명을 초과하는 읍이 화도읍, 진접읍, 와부읍, 오남읍으로 4개가 있다. 또한,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읍인 퇴계원읍이 있는데, 퇴계원읍은 읍 전체가 아파트 등 주거 밀집 지역으로 남양주시 관할 중 다산1동 다음으로 인구밀도가 높다.

남양주시는 인구가 50만 명이 넘기 때문에 지방자치법 175조에 따라 특정시로서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으나, 구를 설치하는 대신 2016년부터 두 개의 읍면동을 묶은 행정복지센터를 개청하여 전 지역에서 책임읍동제를 실시하고 있다.

읍·면·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와부읍瓦阜邑49.86km264,33824,035
진접읍榛接邑65.96km293,89336,683
화도읍和道邑73.12km2114,73346,641
진건읍眞乾邑31.23km224,95211,097
오남읍梧南邑25.25km253,64820,961
퇴계원읍退溪院邑3.27km230,36212,208
별내면別內面22.15km220,1158,382
수동면水洞面71.08km29,0784,736
조안면鳥安面50.69km24,2752,045
호평동好坪洞9.15km250,70918,812
평내동坪內洞7.25km234,58512,497
금곡동金谷洞6.93km219,5088,940
양정동養正洞12.35km24,6622,565
다산1동茶山1洞5.54km274,49726,752
다산2동茶山2洞5.61km231,90312,086
별내동別內洞18.63km270,57228,216
남양주시南楊州市458.1km2701,830276,656


  • 인구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5년 12월 31일 기준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호평동호평동
평내동평내동
금곡동금곡동
양정동일패동, 이패동, 삼패동
다산1동다산동
다산2동다산동, 도농동, 지금동, 수석동
별내동별내동
와부읍덕소리, 도곡리, 팔당리[24], 월문리, 율석리
진접읍장현리, 내각리, 내곡리, 연평리, 부평리, 팔야리, 진벌리, 금곡리
화도읍마석우리, 먹갓리, 가곡리, 구암리, 금남리, 묵현리, 월산리, 창현리, 녹촌리, 차산리
진건읍사릉리, 배양리, 진관리, 신월리, 용정리, 송능리
오남읍양지리, 팔현리, 오남리
퇴계원읍퇴계원리
수동면운수리, 지둔리, 수산리, 내방리, 외방리, 입석리, 송천리
조안면능내리, 조안리, 진중리, 송촌리, 삼봉리, 시우리
별내면청학리, 용암리, 광전리


4. 인구

남양주시의 인구는 1990년 약 20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1998년 30만 명, 2003년 40만 명, 2008년 50만 명을 돌파했다.[43] 서울특별시의 베드타운으로 기능하며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다.

연도총인구비고
1980년191,479명남양주군
1985년234,805명
1990년200,312명남양주군(125,617), 미금시(74,695)
감소 원인: 구리시 승격·분리 (1986년 1월 1일)
1995년229,060명남양주시
2000년340,932명
2005년426,087명
2010년529,898명
2015년629,061명
2019년681,077명



2010년 기준 외국인 인구는 5,615명으로, 이 중 중국인이 약 2,2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인은 190명이었다. 남양주시는 몽골과의 교류가 활발하여 시내에 몽골문화마을이 있으며, 시 공식 홈페이지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외에 몽골어 버전도 제공한다.[43]

5. 지리

남양주시는 산으로 둘러싸인 여러 분지들로 이루어진 지형이어서 일핵(一核) 구조가 아니라, 미금(호평, 평내, 금곡, 양정, 다산)·진건을 중심으로 동(화도·수동), 서(별내·퇴계원), 남(와부·조안), 북(진접·오남)의 5개 권역으로 분산된 다핵도시(多核都市)이다.[44]

경기도를 남북으로 나눴을 때 한강 이북에 위치해 있어 경기북부로 분류되지만 일반적인 경기북부랑은 조금 다르며, 경기 '동부'라고 보는 편이 훨씬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일단 남양주시에 위치해 있는 군부대는 전방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진접, 오남, 수동을 제외한 인구의 75%는 서울 최북단인 도봉구보다 위도상 남쪽에 있고 시의 최남단인 조안도 서울 한강이남인 강동구와 위도가 같다. 구 미금시 지역(도농, 지금 지역)도 중랑구, 강북구와 비슷한 위도이다. 즉 행정상으로는 경기북부이지만 실제론 서울 강북지역과 비슷하다. 시내 버스 교통도 한강 이남인 잠실역, 강남역행 노선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 이는 반대편 서부권인 고양시와도 유사하며 위도상 고양시도 비슷한 위치에 있다.

남양주는 서울을 둘러싼 고리 도시 중 북동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중앙선이 남양주를 통과한다. - 도농역, 양정역, 덕소역, 도심역, 팔당역, 운길산역

2010년 말에 개보수된 경춘선이 다시 개통되었다. - 별내역, 도농역, 사릉역, 금곡역, 평내호평역, 마석역이 남양주에 있다.

대한민국 국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을 당고개역에서 남양주 진접까지 연장했다.

서울시청에서 남양주시청 제1청사는 동북동쪽으로 22km 떨어져 있다.

6. 기후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한랭건조하고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남양주시는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를 가지고 있다.[5]


  • 천기일수를 보면 맑은 날이 평균 119일, 흐린 날이 평균 129일, 비 오는 날 평균 97일, 눈 오는 날이 평균 20일이다.
  • 연평균 기온은 12.1°C이며, 12월이 -4.2°C로 가장 춥고 7월이 25°C로 가장 덥다.
  • 연 강수량은 778.3mm이며 이중 여름철인 7월의 강수량이 216.3mm로서 강수 집중률을 보이며 평균습도는 64%이다.


1993~2020년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은 아래 표와 같다.[5]

최고 기온 (℃)평균 기온 (℃)최저 기온 (℃)강수량 (mm)강수일수 (0.1 mm)
1월2.7°C-3.8°C-9.8°C16mm3.3
2월6°C-0.7°C-6.9°C25.5mm3.9
3월12.1°C5.1°C-1.6°C29.7mm4.9
4월18.8°C11.4°C4.3°C64.6mm6.6
5월24.5°C17.3°C10.4°C91.8mm7.1
6월28.4°C21.9°C16.2°C133.6mm8.5
7월29.5°C24.8°C21°C414.7mm13.6
8월30.4°C25.2°C21°C333.5mm13.1
9월26.4°C20°C14.8°C131.7mm6.8
10월20.5°C12.7°C6.5°C53.1mm4.6
11월12.3°C5.5°C-0.3°C45.9mm7.1
12월4.5°C-1.7°C-7.2°C18.3mm4.4
연평균18°C11.5°C5.7°C1358.4mm-


7. 산업

2014년 남양주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35,583명으로 경기도 전체의 3.0%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산업) 종사자는 55명으로 비중이 매우 낮다.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27,932명(20.6%),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107,596명(79.4%)이다. 2차산업 비중은 경기도 전체(27.1%)보다 낮고, 3차 산업 비중은 경기도 전체(72.9%)보다 높다.[45]

3차 산업 중에서는 도소매업(19.5%), 숙박 및 음식점업(12.0%), 교육서비스업(10.0%),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45]

남양주에서는 배를 재배하여 미국, 일본, 캐나다로 수출하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유기농 채소를 재배한다.

고로쇠는 남양주 지역 특산물로,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한 약수이다. "고로쇠"라는 이름은 "뼈에 좋은 물"이라는 뜻의 "골리수"에서 유래했다. 수동면, 주금산, 천마산, 오남읍에서 고로쇠 수액을 채취한다.[7]

7. 1.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2010년 기준 남양주시의 상주인구는 521,666명이고 주간인구는 441,872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85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5,868명, 유출인구는 100,719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496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17,439명 더 많다.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46] 그러므로 남양주시 역시 다른 수도권 위성도시와 마찬가지로 서울에 의존한 베드타운이라 일컬어진다.

8. 교통

남양주시의 버스전용차로


남양주시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로, BS090 차량을 개조시킨 트롤리버스이다.


남양주는 서울을 둘러싼 고리 도시 중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중앙선 (도농역, 양정역, 덕소역, 도심역, 팔당역, 운길산역)과 경춘선 (별내역, 퇴계원역, 사릉역, 금곡역, 평내호평역, 마석역)이 남양주를 통과한다. 2010년 말에 경춘선이 개보수되어 다시 개통되었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을 당고개역에서 남양주 진접까지 연장했다. (별내별가람역, 오남역, 진접역)

수도권 전철 8호선 (별내선)이 구리시에서 별내역을 거쳐 차산역까지 연결된다.

8. 1. 철도

한국철도공사KORAIL영어

중앙선과 경춘선은 모두 일반 열차와 수도권 전철 열차가 각각 운행된다. 경춘선은 2012년 운행을 시작한 ITX-청춘이 운행되며, 평내호평역에는 1회 왕복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용산역까지 소요 시간은 37분이다. 그 외 퇴계원역, 사릉역은 일부 열차만 정차한다. 중앙선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철 외에 일부 무궁화호가 덕소역에 정차하며, 청량리역까지 소요 시간은 14분이다.

서울교통공사

8. 2. 버스

시내에 시외버스터미널은 없지만, 춘천과 수도권 남부·서부를 잇는 노선이 도농시외버스정류장을 경유한다.[1] 공항버스는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에서 도농·금곡을 경유하여 마석으로 가는 노선, 태계원을 경유하여 광릉내(진접읍)로 가는 노선 등이 운행된다.[1] 시내버스는 시내 노선 외에도, 서울특별시왕십리역, 강변역, 잠실역, 탄고게역이나, 양평군, 가평군, 의정부시 등을 잇는 타 지역 시내버스 노선도 운행된다.[1]

8. 3. 도로

9. 관광

남양주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홍릉과 유릉이 있는 곳으로, 20세기 황제인 고종과 순종 및 그 가족들의 묘가 있다.[6] 또한 사릉, 광릉, 광해군릉 등 조선왕릉도 위치해 있다.

2011년 9월에는 세계 최초로 유기농업의 역사와 발전을 다루는 남양주유기농업박물관이 개관했다. 이 박물관은 서울 서쪽, 한강변에 위치하며, 유기농업 발전 연표와 24절기를 기반으로 한 전통 한국 농업 관행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 개관은 남양주가 제17회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IFOAM) 세계대회를 개최한 시기와 일치한다.[3]

그 외에도 영화 JSA 촬영지인 남양주종합촬영소, 몽골문화촌, 피아노폭포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9. 1. 축제

다산 정약용 선생의 학문적 사상을 기리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문화제인 다산문화제에서는 헌화, 헌다례, 다산서예대전, 다산문예대회, 다산학술논문대전, 공연·체험·전시 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된 광릉숲에서 개최되는 광릉숲축제는 1년에 단 한 차례, 축제 기간에만 개방되며 숲속공연과 숲속체험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9. 2. 문화재


마현 다산마을은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용의 생가와 묘소가 있는 곳이다. 능내역 뒤쪽의 북한강변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로서 다산 유적지로 지정되어 있다. 유물관에는 다산의 영정 및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등 다산의 실학사상이 담긴 저서와 집필기록, 산수화 등을 비롯해 거중기녹로 등 그가 만들었던 역사적인 물건들까지 재현해 놓았을 뿐 아니라, 다산초당, 천일각 등 그가 유배살이 하던 곳을 섬세한 모형으로 만들어 전시해 두었다. 또한 다산 문화관에서는 강당에서 다산 영상물 및 교육자료를 상영하며, 다산학 무료강좌와 최첨단 자료를 이용하여 다산에 관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홍유릉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 황제와 그의 비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과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인 순종과 그의 비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의 능인 유릉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금곡동에 위치해 있다.
광릉은 조선의 제7대 왕인 세조와 그의 비 정희왕후 윤씨의 왕릉으로 진접읍에 위치해있다.
광해군묘는 조선의 제15대 왕인 광해군과 문성군 부인 유씨의 무덤이다. 진건읍에 위치해있다.
흥원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 황제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묘로 화도읍에 위치해있다.
사릉은 조선의 제6대 왕인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의 무덤으로 진건읍에 위치해있다.
조선왕릉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남양주시에는 홍릉과 유릉이 있다. 이곳은 20세기 황제인 고종과 순종 및 그 가족들의 최종 안식처이다.

2015년 삼패동에서는 조선시대 공주인 화혜옹주의 능이 발견되었다. 2016년 발굴 조사에서 영조, 사도세자, 정조가 쓴 묘지명이 새겨진 비석이 발굴되었다.[6]

  • 기타
  • * 남양주종합촬영소: 영화 JSA의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당시 세트를 관람할 수 있다.
  • * 몽골문화촌
  • * 피아노폭포

9. 3. 천연기념물


  • 광릉크낙새 서식지

천연기념물 제11호로, 면적은 2.305km2이다. 남양주시 진접읍, 의정부시 일부, 포천시 소흘읍·내촌면 일대에 걸쳐 있으며, 동서 길이 3997m, 남북 길이 8024m이다. 1468년에 개장된 광릉이 530여 년간 주변 숲을 보존하여 원시림에 가까울 정도로 상록수와 활엽수의 거목들이 많아 크낙새 서식 환경에 알맞은 곳이었다.

  • 양지리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232호로, 면적은 7.695km2이며 수령은 약 500년이다. 조선 초기에 거창 신씨(居昌 愼氏)가 선조의 묘를 쓰고서 기념 식수한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나무 높이는 13m에 이르며 이 나무는 땅 위 2m 높이쯤 되는 곳에서 줄기가 다섯 갈래로 갈라지면서 사방으로 수관(樹冠)을 뻗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아랫부분의 둘레가 1.8m에 이르고 돋아난 가지는 아래로 처져 있다. 가슴높이 둘레는 3.25m에 이르고, 가지는 동쪽으로 5.7m, 서쪽으로 5.7m, 남쪽으로 7.5m, 북쪽으로 8.5m로 퍼져 있다.

9. 4. 관광지


  • '''산림청 국립수목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조선의 제7대 왕인 세조와 그의 비 정희왕후 윤씨의 왕릉인 광릉에 위치한 수목원이다. 주변 산림도 보호하라는 세조의 명에 따라 500년 넘게 자연이 보존되어 왔으며, 한국 전쟁도 견뎌냈다. 천연기념물크낙새의 서식지로도 유명하며, 포천시에도 걸쳐있다.

  •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


조안면에 위치한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는 2011년 9월 26일에 개관하였다. 2011년 남양주시가 세계유기농대회를 연 기념으로 설립한 테마파크이다.

  • '''남양주한강공원'''


남양주한강공원은 수석동, 도농동, 삼패동, 와부읍, 조안면한강변과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다. 특히 삼패지구 시민공원에서는 벼룩시장 행사[47], 여러 축제 행사와 함께 아영장과 분수대를 제공한다.

  • '''다산길'''


다산길은 남양주시에 조성된 장거리 걷기 코스로, 총 13개 코스, 169.3km에 달한다. 2010년에 8개 코스가 먼저 개통되었고, 2011년에 나머지 5개 코스까지 완전 개통되었다.

팔당댐은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배알미동)과 남양주시 조안면을 잇는 다목적댐이다. 높이 29m, 제방길이 510m, 총저수량 2억 4400만t이다.

  • '''남양주역사박물관'''[48]


남양주역사박물관 외부에는 야외공연장과 석조전시장이, 내부에는 전시실, 교육실 등이 있다. 역사·문화실에서는 구석기 유물부터 조선, 근대의 다양한 민속 유물 등이 전시되고, 금석문실에서는 신도비문과 자연을 담은 여러 문양 등 탁본 유물이 전시된다.

능 이름
사릉
광릉
광해군릉
홍릉
유릉


  • '''기타 관광지'''
  • * i우주교실남양주천문대
  • * 별내어린이천문대[49]
  • * 산들소리수목원[50]
  • * 축령산자연휴양림
  • * 수동국민관광지
  • * 비금계곡
  • * 다산생태공원
  • * 물의정원
  • * 남양주종합촬영소: 영화 JSA 촬영 세트 관람 가능.
  • * 몽골문화촌
  • * 피아노폭포

10. 교육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관할 하에 유치원을 비롯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특수학교가 있다.

와부고등학교


남양주시에는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경복대학교 남양주캠퍼스,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특수학교 경은학교가 있다.

10. 1. 대학교

10. 2. 고등학교



남양주시에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를 합쳐 총 15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학교명위치비고
가운고등학교가운동
광동고등학교진접읍
금곡고등학교금곡동
덕소고등학교와부읍
도농고등학교다산동
동화고등학교지금동
마석고등학교화도읍
심석고등학교화도읍사립
오남고등학교오남읍
와부고등학교와부읍
진건고등학교진건읍
진접고등학교진접읍
청학고등학교별내면
퇴계원고등학교퇴계원읍
평내고등학교평내동
호평고등학교호평동
별내고등학교별내동
별가람고등학교별내동
판곡고등학교호평동
남양주공업고등학교진접읍특성화고
남양주다산고등학교다산동


10. 3. 중학교


10. 4. 초등학교


10. 5. 도서관

11. 군사

제73동원보병사단, 제75동원보병사단, 제7포병여단이 주둔하고 있다. 과거 방위병 제도가 있었을 때에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 혹은 경기도 구리시 거주자 중 일부가 남양주시로 출퇴근하는 경우가 있었다.

12. 출신 인물


  • 한그루 – 배우 겸 가수
  • 허찬미 – 가수, 무용수 겸 배우, 전 걸스데이파이브돌스 멤버
  • 전혜빈 – 배우, 가수 겸 모델, 전 러브 멤버
  • 김병선 (게임명 플레타) – 프로 오버워치 리그 선수
  • 김채연 - 피겨 스케이터
  • 이광수 – 배우, 예능인 겸 모델
  • 김유겸 – 가수 겸 래퍼, 갓세븐 멤버
  • 권보아 (예명 보아) – 가수, 작사가, 음반 프로듀서 겸 배우
  • 권순영 (예명 호시) – 가수, 무용수 겸 세븐틴 멤버
  • 오현규 – 축구 선수
  • 성훈 – 가수 겸 전 피겨 스케이터, 엔하이픈 멤버
  • 여훈민 – 가수, 무용수 겸 배우, K팝 보이 밴드 유키스 멤버

13. 자매 도시



남양주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8]

14. 교류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Children 'executed' in 1950 South Korean killings http://www.utsandieg[...] 2012-08-30
[3] 간행물 A Postcard from Korea: Worldʼs First Organic Agriculture Museum http://orgprints.org[...] 2011
[4] 웹사이트 Lee Joon-gi, Shin Mina reveal behind-scene footages for new TV series' 1st shooting http://10.asiae.co.k[...] 2012-10-15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6] 웹사이트 Tomb of Joseon princess discovered http://www.korea.net[...] 2017-07-27
[7] 웹사이트 Welcome to the official Namyangju City Web site http://english.nyj.g[...]
[8] 웹사이트 Sister City https://www.nyj.go.k[...] Namyangju 2020-04-13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법률 南楊州郡設置及び郡の管轄区域等変更に関する法律 1979-12-28
[11] 법률 京畿道始興郡儀旺邑等35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80-10-21
[12] 법률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などに関する規定 1983-01-10
[13] 법률 九里市等11個市設置及び管轄区域の調整及び錦城市名称変更に関する法律 1985-12-28
[14] 법률 大統領令第11874号
[15] 법률 烏山市等12個市と泰安郡の設置及び郡の名称変更に関する法律 1988-12-31
[16] 법률 京畿道南楊州市等33個都農複合形態の設置などに関する法律 1994-08-03
[17] 법률 南楊州市条例第140号 1995-05-06
[18] 법률 南楊州市条例第454号 2001-09-12
[19] 법률 南楊州市条例第618号 2006-01-05
[20] 법률 南楊州市条例第637号 2006-05-18
[21] 법률 南楊州市邑・面・洞と里の名称と管轄区域に関する条例 http://www.law.go.kr[...] 2017-10-30
[22] 법률 남양주시 리·통 및 반 설치 조례 http://www.law.go.kr[...] 2017-10-30
[23] 웹사이트 茶山洞 구역도 http://www.nyj.go.kr[...] 2017-11-19
[24] 기타
[25] 법률 남양주군설치와군관할구역등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26] 법률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7] 법률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8] 법률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29] 법률 대통령령 제11874호
[30] 법률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31]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2] 법률 남양주시 조례 제140호 1995-05-06
[33] 법률 남양주시 조례 제454호 2001-09-12
[34] 법률 남양주시 조례 제618호 2006-01-05
[35] 법률 남양주시 조례 제637호 2006-05-18
[36] 뉴스 남양주시 '책임 읍면동제' 시행…행정복지센터 3곳 개청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1-02
[37] 뉴스 남양주시, 행정복지센터 8개 권역 전면 시행 눈앞…조례안 통과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7-01-24
[38] 간행물 남양주시 읍·면·동 및 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http://www.law.go.kr[...] 남양주시 2017-10-30
[39] 간행물 남양주시 리·통 및 반 설치 조례 http://www.law.go.kr[...] 남양주시 2017-10-30
[40] 웹인용 다산동 구역도 http://www.nyj.go.kr[...] 2017-11-17
[41] 웹사이트 남양주 소개 > 남양주의 현황 > 자연환경 https://www.nyj.go.k[...] 2020-03-19
[42] 웹사이트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03-19
[43]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44] 뉴스 남양주시, 화도·수동 와부·조안 호평·평내 올해 책임읍면동제로 전환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5-04-15
[45]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46]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47] 뉴스 한강 시민공원서 '남양주점프벼룩시장' 대성황!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48] 기타
[49] 웹사이트 홈페이지 starryriver.net/
[50] 웹사이트 홈페이지 www.sandulsori.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