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버턴오크스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덤버턴오크스 회의는 1944년 미국 워싱턴 D.C.의 덤버턴 오크스에서 열린 회의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설립될 국제 연합(UN)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소련의 참여를 고려하여 두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주도하여 진행되었다. 회의에서는 새로 창설될 국제기구 내 소련의 지위 문제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논의되었다. 넬슨 록펠러는 공식적인 역할은 없었지만, 회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덤버턴오크스 회의의 결과로 '일반 국제기구 설립 제안'이 합의되었고, 이는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채택된 유엔 헌장의 기초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회의 - 브레턴우즈 회의
브레턴우즈 회의는 1944년 브레턴우즈에서 IMF와 IBRD 설립 협정을 체결하여 전후 세계 경제 질서의 기틀을 마련하고 조정 가능한 고정 환율 시스템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국제 경제 협력을 논의했으며, 국제 무역 기구 설립 제안은 미국의 비준 거부로 GATT로 대체되었다. - 1944년 회의 - 제2차 퀘벡 회담
제2차 퀘벡 회담은 1944년 9월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등이 참석하여 무기 대여법에 따른 경제 원조, 독일 점령 통치에 관한 모겐소 플랜, 태평양 전쟁에 대한 영국 해군의 관여 등을 논의하고 일본에 대한 원자 폭탄 투하를 예정한 회담이다. - 1944년 미국 -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민주당 후보로, 토머스 E. 듀이가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루스벨트가 4선 연임에 성공했으며, 해리 S. 트루먼을 러닝메이트로 지명하여 부통령으로 선출시킨 선거로, 주요 정당 후보가 모두 뉴욕주 출신이었고 민주당이 남부 주를 모두 석권한 마지막 선거이다. - 1944년 미국 - 브레턴우즈 회의
브레턴우즈 회의는 1944년 브레턴우즈에서 IMF와 IBRD 설립 협정을 체결하여 전후 세계 경제 질서의 기틀을 마련하고 조정 가능한 고정 환율 시스템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국제 경제 협력을 논의했으며, 국제 무역 기구 설립 제안은 미국의 비준 거부로 GATT로 대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회담 - 테헤란 회담
테헤란 회담은 1943년 11월에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총서기가 모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의 협력 강화 및 전후 세계 질서 구축을 논의한 회담으로, 오버로드 작전 개시 결정, 소련의 대일전 참전 약속, 국제연합 설립 기반 마련 등의 결과를 낳았으나 폴란드 국경 문제, 독일 암살 계획설 등의 논란도 있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회담 - 카사블랑카 회담
카사블랑카 회담은 1943년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처칠 영국 총리가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만나 제2차 세계 대전 전략을 논의하고 추축국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카사블랑카 선언을 발표한 회담이다.
| 덤버턴오크스 회의 | |
|---|---|
| 개요 | |
| 회의 명칭 | 덤버턴오크스 회의 |
| 다른 명칭 | 정식 명칭: 국제 연합 조직에 관한 제안 협의 영어: Dumbarton Oaks Conference |
| 시기 | 1944년 8월 21일 ~ 10월 7일 |
| 장소 | 미국 워싱턴 D.C. 덤버턴오크스 |
| 목적 | 국제 연합 창설을 위한 기본 구상 마련 |
| 주요 참가국 | 미국 영국 소련 중국 |
| 결과 | 국제 연합 헌장 초안 작성의 기초 마련 |
| 배경 | |
| 제2차 세계 대전 중 | 전후 세계 질서 재편 논의 필요성 대두 |
| 연합국 |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새로운 국제 기구 창설 논의 |
| 회의 진행 | |
| 1단계 | 1944년 8월 21일 ~ 9월 28일 (미국, 영국, 소련 참가) |
| 2단계 | 1944년 9월 29일 ~ 10월 7일 (미국, 영국, 중국 참가) |
| 소련 불참 이유 | 소련은 중국 국민당 정부와 협상하는 것을 거부 |
| 주요 의제 | 국제 연합의 목적과 원칙 회원국의 자격 요건 주요 기관의 구성 및 권한 (총회, 안전 보장 이사회, 사무국 등) 국제 분쟁 해결 절차 지역 기구와의 관계 |
| 주요 합의 사항 | |
| 국제 연합 창설 원칙 합의 | 주권 평등, 분쟁의 평화적 해결, 무력 사용의 제한 등 |
|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결정 | 미국, 영국, 소련, 중국, 프랑스 (프랑스는 추후 합의) |
| 안전 보장 이사회 거부권 설정 | 상임 이사국은 안건에 대한 거부권 행사 가능 |
| 총회 구성 및 권한 합의 |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며, 국제 문제에 대한 토의 및 권고 가능 |
| 사무국 설치 합의 | 국제 연합의 행정 업무 담당 |
| 한계점 | |
| 거부권 문제 | 거부권 남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 제기 |
| 식민지 문제 | 식민지 독립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합의 부재 |
| 소규모 국가 참여 제한 | 강대국 중심의 의사 결정 구조에 대한 비판 |
| 영향 | |
| 국제 연합 헌장 초안 작성 | 샌프란시스코 회의 (1945년)에서 국제 연합 헌장 채택 |
| 전후 국제 질서 형성 | 국제 연합을 중심으로 국제 협력 체제 구축 |
|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전 유지 노력 | 국제 분쟁 해결 및 평화 유지 활동 전개 |
2. 회의 배경
모스크바 선언 4개국 선언 제4항에 따라, 국제 연맹을 대체할 전후 국제기구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덤버턴오크스 회의가 개최되었다.[1] 회의에서 4대 강국인 중국, 소련, 미국, 영국 대표단은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 설립에 대한 제안을 논의했다.[1]
4개국 선언 제4항에 따라 국제 연맹을 대체할 전후 국제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덤버턴오크스 회의는 이를 위한 첫 번째 중요한 단계였다. 4대 강국인 중국, 소련, 미국, 영국 대표단은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 설립에 대한 제안을 논의했다.[1]
로버트 우즈 블리스는 아내 밀드레드 반스 블리스와 함께 1940년 덤버턴 오크스를 하버드 대학교에 기증하여 비잔틴 연구를 위한 학술 연구소와 박물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5][6] 이 회의를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2년 6월, 그는 하버드 대학교 이사회를 대신하여 코델 헐 국무장관에게 덤버턴 오크스 시설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1944년 6월, 국무부가 덤버턴 오크스가 대표단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환경이 이상적"이라고 판단하자, 제임스 B. 코난트 하버드 대학교 총장은 이 제안을 다시 전달했다.
회담은 소련이 중국과 직접 만나는 것을 꺼렸기 때문에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4] 워싱턴 D.C. 교외에 있는 덤버턴 오크스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1차 회의는 미국, 소비에트 연방, 영국 3개국 간에, 2차 회의는 미국, 영국, 중화민국 3개국 간에 열렸다.[16] 첫 번째 단계에서는 8월 21일부터 9월 28일까지 소련, 영국, 미국의 대표들이 회담을 가졌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9월 29일부터 10월 7일까지 중화민국, 영국, 미국의 대표들이 회담을 가졌다.
미국 국무 차관 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가 의장을 맡았다.[17] 영국 대표단은 외무 차관 Alexander Cadogan|알렉산더 커도건영어이 이끌었으며, 소비에트 대표단은 주미 대사 안드레이 그로미코가 이끌었다.[18]
3. 회의 진행 과정
소련이 중국과의 직접 만남을 꺼렸기 때문에 회의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4] 1944년 8월 21일부터 9월 28일까지는 소련, 영국, 미국 대표들이 회담을 가졌고, 9월 29일부터 10월 7일까지는 중화민국, 영국, 미국 대표들이 회담을 가졌다.
각 대표단은 다음과 같다.국가 대표 미국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국무부 차관, 회의 의장)[1], 코델 헐 (국무장관, 개회사)[3] 영국 알렉산더 캐도건 경 (외무부 차관)[1], 에드워드 우드, 핼리팩스 1대 백작 (워싱턴 주재 영국 대사, 캐도건 경 소환 후)[2] 소련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국 주재 소련 대사)[1] 중국 고유균(Wellington Koo) (영국 주재 중국 대사)[1]
미국은 회의를 완전히 통제했는데, 여기에는 대표단 간의 전신 내용에 대한 미국 군사 정보부의 감시와 도시 내 대표단의 움직임에 대한 연방 수사국(FBI)의 감시가 포함되었다.[7]
회의는 사교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스티티니우스는 영국 및 소련 협상자들을 다이아몬드 호스슈 나이트클럽과 넬슨 록펠러와의 칵테일 파티에 데려갔고, 도시에서는 할리우드 영화가 매일 무료로 상영되었다.[8]
이 회의에서 채택된 "덤버턴 오크스 제안"(정식 명칭: "일반적 국제 기구의 설립에 관한 제안")은 1944년 10월 9일에 공표되었다.[16] 이 제안은 이후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채택된 유엔 헌장의 토대가 되었지만, 안보리 결의 표결 절차, 소비에트 연방 구성 공화국의 유엔 가입, 비자치 지역, 신탁 통치, 자위권에 관한 규정은 덤버턴 오크스 회의에서 합의되지 못했다.[16]
3. 1. 주요 쟁점
회의 진행 과정에서 두 가지 핵심 쟁점이 부각되었다. 첫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구상대로 미국의 세계적 영향력을 반영할 경우, 새롭게 창설될 국제기구 내에서 소련이 어떤 지위를 가질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둘째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문제였다. "스탈린은 손짓 한 번으로 미국의 거부권 제안에 대한 반대를 철회하고 이를 사소한 문제로 치부했다... 그는 거부권이 모든 위험을 무력화할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에, 유엔 건설에 대한 독자적인 지분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9]
3. 2. 넬슨 록펠러의 역할
넬슨 록펠러는 덤버턴오크스 회의에서 공식적인 역할은 없었지만, 연방수사국(FBI)에 자신이 에드워드 스티티니우스 국무장관에게 보고서를 전달할 사람이라고 요청했고, 실제로 FBI는 모든 보고서를 록펠러에게 전달했다.[10]
록펠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르헨티나가 친(親) 파시스트 정부였음에도 불구하고[11] 아르헨티나가 UN에 가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 대표단을 자기 편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미국 국무부 라틴 아메리카 연구국 책임자인 니콜로 투치의 분노를 샀다. 투치는 이에 사임하면서 "우리 국은 남아메리카에서 나치와 파시스트 선전을 무너뜨려야 했지만, 록펠러는 최악의 파시스트와 나치들을 워싱턴으로 초대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12]
4. 회의 결과 및 영향
1944년 10월 7일, 대표단은 '일반 국제기구 설립 제안'에 합의했다.[1] 이 제안은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채택된 유엔 헌장의 기초가 되었다. 회의에서 합의된 국제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평화에 대한 위협 예방 및 제거, 침략 행위나 기타 평화 위반 행위 억제를 위한 효과적인 집단 조치, 평화를 위협할 수 있는 국제 분쟁의 평화적인 수단에 의한 조정 또는 해결.
- 국가 간의 우호 관계 발전 및 보편적인 평화 강화를 위한 기타 적절한 조치.
- 국제 경제, 사회 및 기타 인도주의적 문제의 해결에 있어 국제 협력 달성.
- 이러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들의 행동을 조화시키는 중심지 제공.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구성,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등 일부 문제는 얄타 회담 등 추가 협상을 통해 해결되었다.[14] 덤버턴오크스 회담에서는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에 5개의 상임 이사국 자리가 할당되었으며, 소련은 프랑스 회원 가입에 대한 반대를 철회했고 다른 국가들은 브라질 회원 가입에 대한 미국의 제안을 거부했다.[15]
4. 1. 대한민국에 대한 영향
덤버턴오크스 회의에서 논의된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 국가 간 협력 등의 원칙은 전후 한국의 독립과 국제사회 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 특히 6.25 전쟁 당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신속한 결의와 유엔군 파병은 대한민국을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4]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유엔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며,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반면,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유엔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기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유엔의 결정이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좌우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익에 항상 부합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14]
참조
[1]
Youtube
Video: Allies Study Post-War Security Etc. (1944)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1
[2]
뉴스
China Takes Place in Security Talks; Soviet Phase Ends
[3]
웹사이트
Stettinius, Edward Reilly, Jr.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http://www.bartleby.[...]
2001-07
[4]
뉴스
World Plan Talks Will Start Today
1944-08-21
[5]
간행물
Various articles
1941-03-01
[6]
서적
The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1940–1950
[7]
문서
Act of Creation: The Founding of the United Nations
Basic Books
[8]
문서
Dumbarton Oaks: The Origins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Search for Postwar Security
Chapel Hill
[9]
서적
A Calculus of Power
Verso
[10]
문서
[11]
웹사이트
How South America Became a Nazi Haven
https://www.history.[...]
History
[12]
문서
The Rockefellers. An American Dynasty.
New York
[13]
문서
[14]
서적
Witness to History, 1929–1969
https://archive.org/[...]
[15]
서적
Dumbarton Oaks: The Origins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Search for Postwar Security
UNC Press Books
2001
[16]
문서
筒井(2002)
[17]
웹사이트
Stettinius, Edward Reilly, Jr. The Columbia Encyclopedia, Sixth Edition.
http://www.bartleby.[...]
2001-07
[18]
서적
Dumbarton Oa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