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 모텐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일 모텐슨은 미국의 경제학자로, 1939년 오리건 주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했다. 윌래밋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노동 경제학, 거시 경제학, 경제 이론을 연구했으며, 특히 마찰적 실업에 대한 탐색 및 매칭 이론 연구로 유명하다. 모텐슨은 피터 다이아몬드,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와 함께 이룬 연구로 201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건주의 경제학자 - 윌리엄 니스카넨
윌리엄 니스카넨은 미국의 경제학자로서 예산 극대화 모형을 제시하고 저서 《관료제와 대의제 정부》를 통해 공공선택 이론에 기여했으며 케이토 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하다 2011년에 사망했다. - 오리건주의 경제학자 - 위노아 라두크
위노나 라두크는 오지브웨족 출신의 미국 환경 운동가, 경제학자, 작가로서, 원주민 권익 보호, 환경 문제 해결, 화이트 어스 인디언 보호구역의 토지 회복 운동, Honor the Earth 공동 설립,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는 대수기하학 및 대수적 위상수학 연구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스킴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 도입 및 모티빅 코호몰로지 공식화에 기여하고 밀너의 추측을 증명했으며, A¹-호모토피 이론 발표와 블로흐-카토 추측 증명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램 차란
인도 출신 경영 컨설턴트이자 작가인 램 차란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박사 출신으로 GE,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에 컨설팅을 제공했으며, 《실행》 등 베스트셀러 저술 및 비즈니스 감각 대중화에 기여하여 더 타임스 선정 세계 50대 경영 사상가이자 잭 웰치가 존경하는 컨설턴트로 알려져 있다. - 노동경제학자 - 앨런 크루거
앨런 크루거는 자연 실험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저임금과 고용 관계 등을 연구하고 오바마 행정부에서 경제 자문 역할을 수행했으며 뉴욕 타임즈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 노동경제학자 - 리처드 이스털린
리처드 이스털린은 '이스털린의 역설'을 제시하고 '이스털린 가설'을 발표하는 등 경제학과 인구학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인구학자이다.
데일 모텐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데일 T. 모텐슨 |
출생일 | 1939년 2월 2일 |
출생지 | 오리건주엔터프라이즈 |
사망일 | 2014년 1월 9일 |
사망지 | 일리노이주윌멧 |
학력 | |
모교 | 카네기 멜론 대학교 윌래밋 대학교 |
박사 학위 지도교수 | 마이클 C. 로벨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항구적 소득' 및 '생애 주기' 저축 가설의 거시 동적 함의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박사 학위 논문 년도 | 1967년 |
주요 지도 학생 | 로널드 G. 에렌버그 |
경력 | |
소속 기관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분야 | 노동경제학 |
수상 | |
수상 내역 | IZA 노동경제학 상 (2005년) 노벨 경제학상 (2010년) |
기타 | |
영향 |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 |
RePEc 식별자 접두사 | e |
RePEc 식별자 | pmo42 |
2. 생애 및 교육
모텐슨은 1939년 오리건 주 엔터프라이즈에서 태어났다.[1] 그는 1961년 윌래밋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67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모텐슨의 연구는 주로 노동 경제학, 거시 경제학, 경제 이론 분야에 집중되었다. 특히 마찰적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탐색 및 매칭 이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 이론을 노동 시장의 이직 및 재배치 문제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R&D) 및 개인 간의 관계 형성 과정 분석에도 적용하며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모텐슨의 연구는 노동 경제학, 거시 경제학, 경제 이론에 중점을 두었으며,[3] 특히 마찰적 실업을 설명하는 탐색 및 매칭 이론의 선구자로 유명하다. 그는 구직자와 기업 간의 정보 비대칭과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실업의 주요 원인임을 밝히고, 이 이론적 통찰을 노동 이직, 재배치, 연구 개발, 개인 관계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여 분석했다.
모텐슨은 2014년 1월 9일, 일리노이주 윌멧 자택에서 폐암 4기 투병 끝에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9][10][11]
2011년 2월, 오르후스 대학교는 데일 모텐슨의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데일 T. 모텐슨 빌딩'을 설립했다.[12] 이 건물은 대학의 모든 국제 활동과 박사 과정 활동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에는 새로운 박사 과정 하우스, 데일 카페, 대학 국제 센터, 그리고 국제 박사 과정 학생들을 위한 IC 기숙사 등이 마련되어 있다.[12]
3. 경력
2010년에는 "탐색 마찰이 있는 시장 분석"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크리스토퍼 A. 피사리데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피터 A. 다이아몬드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5][6]
주요 경력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연도 내용 1961 윌래밋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B.A.) 학위 취득. 1964–1965 카네기 멜론 대학교 전임 강사 역임. 1965–1971 노스웨스턴 대학교 조교수 역임.[3] 1967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Ph.D.) 학위 취득. 1971–1975 노스웨스턴 대학교 부교수 역임. 1975–1985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역임. 1979 계량경제학회 회원으로 선출. 1979 히브리 대학교 고등연구소 회원으로 선출. 1979–1982 노스웨스턴 대학교 경제학부장 역임. 1980–2014 켈로그 경영대학원 관리 경제학 및 의사 결정 과학 교수 역임.[3] 1985–2011 노스웨스턴 대학교 Ida C. Cook 경제학 교수 역임. 1988–1993 American Economic Review 편집 위원 역임. 2000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 2006–2010 오르후스 대학교 경제 경영 대학 닐스 보어 객원 교수 역임.[4] 2010 피터 A. 다이아몬드, 크리스토퍼 A. 피사리데스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 공동 수상.[5] 2011 모교인 윌래밋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 수여.[7] 2011–2014 노스웨스턴 대학교 이사회 교수(Board of Trustees Professor) 역임.
또한 경제 역학 학회(Society for Economic Dynamics) 회장을 역임했으며, 학술지 ''경제 역학 검토''(Review of Economic Dynamics)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그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동료 교수인 베벌리 모텐슨과 결혼했다.
4. 연구 업적
그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피터 다이아몬드,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와 공동으로 개발한 DMP 모델이다. 이 모델은 노동 시장에서 구직자와 고용주가 서로를 탐색하고 연결되는 과정(매칭)의 마찰을 수학적으로 분석한다. DMP 모델은 구직자와 고용주가 각자 더 나은 상대를 찾기 위해 탐색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최적의 매칭'이 즉시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러한 탐색 마찰이 일자리가 있음에도 실업자가 존재하는 현상의 핵심 원인임을 보여준다.[14][15]
또한 모텐슨은 실업 보험 제도가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그는 실업 보험이 잘 갖춰져 있을수록 실업자들이 당장의 생계 압박에서 벗어나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자신에게 더 잘 맞는 좋은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강해질 수 있으며, 이것이 결과적으로 평균적인 실업 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분석을 제시하기도 했다.[14][15]
이러한 "탐색 마찰이 있는 시장에 대한 분석"의 공로를 인정받아, 모텐슨은 2010년 피터 다이아몬드,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5][6]
학문 활동 측면에서는 경제 역학 학회(Society for Economic Dynamics)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학술지 ''경제 역학 검토''(Review of Economic Dynamics)의 창립 편집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
5. 수상 및 영예
연도 수상 내역 비고 1965년 알렉산더 헨더슨 상 1979년 계량경제학회 펠로우 2000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펠로우 2005년 노동경제학 IZA상 2010년 노벨 경제학상 피터 A. 다이아몬드, 크리스토퍼 A. 피사리데스와 공동 수상[6]
6. 사망
7. 데일 T. 모텐슨 빌딩
8. 주요 저서
참조
[1]
뉴스
Oregon native, Willamette University grad Dale Mortensen wins Nobel Prize in economics
http://www.oregonliv[...]
The Oregonian
2010-10-11
[2]
뉴스
Dale T. Mortensen {{!}} American economist
https://www.britanni[...]
2017-08-25
[3]
문서
Curriculum Vita of Dale T. Mortensen
http://www.dg.dk/fil[...]
[4]
웹사이트
Dale T Mortensen: Labor Research Group
http://www.econ.au.d[...]
Econ.au.dk
2010-10-11
[5]
웹사이트
Dale Mortensen: Department of Economics - Northwestern University
https://www.economic[...]
2017-08-25
[6]
문서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10 Peter A. Diamond, Dale T. Mortensen, Christopher A. Pissarides
http://nobelprize.or[...]
[7]
웹사이트
Willamette University | Commencement 2011
http://www.willamett[...]
[8]
뉴스
Dale T. Mortensen, Labor Economist and Nobel Laureate, Dies at 74
https://www.nytimes.[...]
2014-01-10
[9]
웹사이트
Dale Mortensen Obituary (1939 - 2014) Reading Eagle
http://www.legacy.co[...]
[10]
뉴스
Bloomberg Business
http://mobile.bloomb[...]
[11]
문서
DALE MORTENSEN, NOBEL LAUREATE, DIES AT 74
http://www.northwest[...]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entre
http://www.au.dk/en/[...]
[13]
뉴스
ノーベル経済学賞受賞の米学者デール・モーテンセン氏死去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4-01-10
[14]
뉴스
ノーベル経済学賞:米英3氏に 労働市場の理論構築
http://mainichi.jp/s[...]
毎日jp
2014-01-11
[15]
뉴스
ノーベル経済学賞の研究、米景気回復の鍵となるか
https://www.afpbb.co[...]
AFP BB NEWS
2014-01-11
[16]
뉴스
中国が安い労働力に頼る時代は続かない=ノーベル経済学賞受賞者が指摘―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4-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