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진 산성 (오카야마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진 산성은 무로마치 시대에 우라가미 무네카게가 축조한 일본의 산성으로, 현재 오카야마현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센고쿠 시대에 우라가미 가문이 세력을 다투는 과정에서 중요한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1575년 덴진 산성 전투에서 함락되었다. 덴진 산성은 야마지로 양식으로,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 등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구루와, 토루, 석축 등의 유적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케정의 역사 - 와케군
와케군은 일본 오카야마현에 788년에 설치되어 와케씨의 세력 하에 있었으며, 1878년에 행정 구역으로 발족했으나 2005년과 2006년에 주변 자치체와의 합병으로 소멸되었다. - 와케정 - 사에키정 (오카야마현)
사에키정은 오카야마현 동부에 위치했던 정으로, 2006년 와케정과 합병하여 소멸되었으며, 요시이강을 통한 교통의 요지였고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다. - 와케정 - 혼조정 (오카야마현)
혼조정은 1950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1953년 와케정, 후지노촌, 히카사촌과 합병되어 와케정에 흡수된, 과거 오카야마현에 존재했던 정이다. - 우키타씨 - 오카야마성
오카야마성은 일본 오카야마현에 위치하며, 남북조 시대에 축성되어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 이케다 씨의 거성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시대에 폐성령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에 재건되어 현재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천수각은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우키타씨 - 우키타 히데이에
우키타 히데이에(1572-1655)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신임을 얻어 고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유배된 인물이다.
| 덴진 산성 (오카야마현)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덴진야마 성 |
| 원어 이름 | 天神山城 |
| 로마자 표기 | Tenjinyama-jō |
| 위치 | 와케, 오카야마현, 일본 |
| 종류 | 야마지로 양식 성 |
| 현재 상태 | 유적 |
| 좌표 | 34°50′57.67″N 134°7′33.58″E |
| 소유 및 관리 | |
| 소유 | 우라카미 씨, 우키타 씨 |
| 역사 | |
| 건설 | 1554년 |
| 건설자 | 우라카미 무네카게 |
| 해체 | 16세기 |
| 과거 지휘관 | 우라카미 무네카게, 우키타 나오이에 |
| 구조 | |
| 구조 형식 | 연곽식 산성 |
| 천수각 구조 | 없음 |
| 문화재 정보 | |
| 문화재 지정 | 오카야마현 사적 |
| 유적 | 구루와, 도루이, 석벽, 해자, 사무라이 저택 터 |
| 기타 정보 | |
![]() | |
2. 역사
덴진 산성의 성주였던 우라가미 가문은 무로마치 시대에 하리마, 비젠, 미마사카를 다스리던 슈고(守護) 아카마쓰 가문의 슈고다이(守護代, 슈고 대리)였다. 덴진 산성을 축성한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아버지 우라가미 무라무네는 주군 아카마쓰 요시무라를 능가하는 세력을 키워 슈고다이에서 센고쿠 다이묘로 성장했다.
우라가미 무네카게는 1551년 형 우라가미 마사무네와 아마고 하루히사에 대한 대응 문제로 대립한 이후, 1554년경 자신의 새로운 거점으로 덴진 산성을 축성했다. 이후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를 거치며 덴진 산성은 우라가미 가문의 흥망성쇠와 관련된 주요 무대가 되었다.
덴진 산성 터는 1982년(쇼와 57년) 오카야마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 1. 센고쿠 시대
1551년 (덴분 20년), 우라가미 무라무네의 아들인 우라가미 마사무네와 그의 동생 우라가미 무네카게는 비젠 지역을 침공한 아마고 하루히사에 대한 대응 방식을 두고 의견 충돌을 빚었다. 마사무네는 아마고 가문과 화해하거나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무네카게는 이에 반대하며 격퇴를 주장했고, 아키의 모리 모토나리와 동맹을 체결했다. 이 대립으로 인해 비젠 지역의 여러 호족(구니슈)들도 마사무네파와 무네카게파로 나뉘어 패권을 다투게 되었다.이러한 갈등 속에서 우라가미 무네카게는 1554년 (덴분 23년) 무렵 자신의 새로운 거점으로 덴진 산성을 축성하기 시작했다. 덴진 산성을 거점으로 삼은 무네카게는 모리 가문의 지원을 등에 업고 형 마사무네의 세력을 점차 몰아내며 비젠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2] 또한, 이 시기에 무네카게는 과거 우라가미 가문의 가신이었던 우키타 요시이에의 손자로 당시 방랑하던 우키타 나오이에를 등용했다. 나오이에는 뛰어난 능력으로 무네카게의 신임을 얻어 그의 오른팔 역할을 수행했으며, 나오이에의 활약 덕분에 무네카게는 미마사카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지배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
1564년 (에이로쿠 7년), 형 마사무네는 무로쓰 성에서 자신의 차남 우라가미 기요무네의 혼례식 당일, 아카마쓰 마사히데의 기습 공격을 받아 아들 기요무네와 함께 목숨을 잃었다. 마사무네의 뒤를 이어 삼남 우라가미 세이무네가 가문을 계승했지만, 3년 후인 1567년 (에이로쿠 10년)에 무네카게 측근에 의해 암살당했다. 이 사건으로 마사무네를 잇는 우라가미 가문의 본가(宗領)는 사실상 멸망했으며, 무네카게는 이들의 영지를 흡수하여 자신의 세력을 더욱 키웠다.
1573년 (덴쇼 원년), 무네카게는 서쪽으로 세력을 넓히고 있던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고, 비젠, 하리마, 미마사카 세 지역에 대한 자신의 지배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 2.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덴쇼 원년(1573년) 우라가미 무네카게는 주고쿠 지방으로 세력을 확장하던 오다 노부나가와 손을 잡고 비젠, 하리마, 미마사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가신이었던 우키타 나오이에는 점차 세력을 키워 이에 반대하며 아키의 모리 씨와 결탁했다.덴쇼 2년(1574년) 나오이에는 결국 주군인 무네카게에게 반기를 들었다. 그는 과거 우라가미 마사무네의 삼남 우라가미 세이무네의 아들로 자신이 오카야마 성에서 보호하고 있던 우라가미 히사마츠마루를 내세워, 우라가미 가문의 정통성을 되찾는다는 명분으로 덴진 산성의 무네카게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덴진 산성 전투).
덴쇼 3년(1575년) 무네카게의 가신 중 나오이에에게 동조하는 이들이 생겨나면서, 무네카게는 결국 성을 포기하고 하리마로 도망쳤다.[4] 덴진 산성의 함락 시기는 오랫동안 비젠 지역 군기록을 바탕으로 덴쇼 5년(1577년)으로 알려졌으나, 1991년 역사학자 테라오 카츠나리(寺尾克成) 등의 연구를 통해 1차 사료를 근거로 덴쇼 3년(1575년)에 함락되었다는 설이 제기되었고, 현재는 이 설이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성이 함락된 후 나오이에가 불태웠다는 이야기도 전해지지만, 성터 본성에서 1580년경 히메지에서 제작된 것과 유사한 기와가 출토되어, 성이 함락된 이후에도 얼마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후 덴진 산성은 우키타 나오이에에 의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
3. 구조
덴진 산성은 연곽식(連郭式) 산성으로[2][3], 와케정 시가지 북쪽 국도 374호선 변에 있는 덴진 산 서쪽 봉우리(해발 390m) 정상에 자리 잡고 있다. 성의 서쪽으로는 요시이 강이 흘러 천연의 해자 역할을 했다.
성의 중심인 혼마루는 서쪽 봉우리 정상에 위치하며, 니노마루와 산노마루는 혼마루에서 북서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배치되었다. 혼마루 남동쪽으로는 마야노단(馬屋の段), 미나미노단(南の段) 등 여러 구루와(曲輪, 성곽 내부를 구획한 평탄지)가 계단식으로 이어져 있으며, 이 구루와들 사이에는 V자 형태의 깊은 호리키리(堀切, 산 능선 등을 끊어 적의 이동을 막는 빈 해자)가 파여 있다.
이 호리키리를 지나 남동쪽으로 더 가면 덴진 산 동쪽 봉우리(해발 409m)에 이르게 된다. 동쪽 봉우리로 가는 길에는 두 개의 석문이 있으며, 정상에는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다이코노마루(太鼓の丸)가 있다. 다이코노마루는 군대를 소집하고 정비하는 공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북동쪽으로는 '코구치'(虎口, 성의 주요 출입구)로 불리는 진입로가 나 있다.
덴진 산성 북서쪽의 시타노단(下の段) 유구에서 다이코노마루 남동쪽의 토루(土塁, 흙으로 쌓은 방어벽) 유구까지 성곽의 전체 길이는 1km가 넘어, 당시로서는 매우 큰 규모의 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성터에는 구루와, 토루, 석축, 빈 해자, 사무라이 저택 터 등의 유구가 남아 있다.
4. 관광
- JR 서일본 와케역에서 도보로 1시간 이상 소요된다.
- 산요 자동차도로 와케 나들목에서 국도 374호 북쪽 방면으로 차로 10분 정도 걸린다.
- 와케 신사
- 와케 등나무 공원
- 아름다운 숲 - 공원
5. 각주
- Wada Kazuyoshi, 畑 和良 (2003). "浦上宗景権力の形成過程 (우라가미 무네카게 권력의 형성 과정)". 《岡山地方史研究 (오카야마 지방사 연구)》 (100).
- Norioka Minoru, 乗岡 実 (2000). 《中世山城の瓦三題 (중세 산성의 기와 세 가지)》. 吉備されど吉備 (키비 사레도 키비).
- Nakai Kiyoshi, 中井 均 (2002). 《置塩城跡の石垣 (오시오 성터의 석축)》. 置塩城跡総合調査報告書 (오시오 성터 종합 조사 보고서).
참조
[1]
웹사이트
天神山〈てんじんやま〉城跡 (県指定文化財) 和気郡和気町岩戸・田土
https://www.pref.oka[...]
Okayama pref official
2021-10-28
[2]
웹사이트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浦上宗景」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8
[3]
웹사이트
Tenjinyama Castle
https://www.town.wak[...]
Wake city official
2021-10-28
[4]
웹사이트
宇喜多直家と城
https://www.pref.oka[...]
Okayama pref official
2021-10-26
[5]
웹사이트
天神山城
https://www.pref.oka[...]
岡山県古代吉備文化センター
2021-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