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리스 (소아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리스는 소아시아 지역의 도시 공동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코스, 크니도스, 할리카르나소스, 린도스, 이알리소스, 카미로스를 포함하며, 크니도스 근처 트리오피아 곶에서 아폴론 신을 기리는 축제와 경기를 열었다. 할리카르나소스는 삼각대를 신전에 봉헌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대회에서 제외되었고, 헥사폴리스는 도리아 펜타폴리스가 되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도리스가 카리아에 둘러싸여 있으며 크니도스에서 시작한다고 언급했고, 투키디데스는 소아시아의 일부 지역을 차지한 도리아인의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도리스'라는 용어는 소아시아 지역에만 한정되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리아 - 카리아어
    카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에 사멸한 아나톨리아어파 언어로, 카리아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이집트와 카리아 지역에서 비문이 발견되었고, 헬레니즘화 과정에서 사멸되었다.
  • 카리아 - 티사페르네스
    티사페르네스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페르시아 귀족이자 장군으로, 리디아와 이오니아의 사트라프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하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었으나, 후에 암살당해 그리스인들에게 위험한 인물로 여겨졌다.
  • 기원전 12세기 설립 - 리디아
    리디아는 오늘날 튀르키예 서부에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마이오니아로 불리다 여러 왕조를 거쳐 크로이소스 왕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키루스 2세에 의해 멸망했으며, 세계 최초로 주화를 사용하고 아나톨리아와 그리스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12세기 설립 - 원시 빌라노바 문화
    원시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반도 북부와 중부에서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나타난 문화로, 유럽 중부 언필드 문화에서 기원하여 화장한 유골을 기하학적 무늬 항아리에 매장하는 독특한 장례 풍습을 지녔으며, 이후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지역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도리스 헥사폴리스 - 할리카르나소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터키 보드룸에 있던 고대 도시로, 마우솔레움이 건설되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헤로도토스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였다.
  • 도리스 헥사폴리스 - 린도스
    린도스는 로도스 섬에 도리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아테나 린디아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를 포함한 다양한 시대의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 무역 중심지이자 중세 시대 요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리스 (소아시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도리아 헥사폴리스
다른 명칭도리에온 헥사폴리스, 아시아의 도리스
위치아시아 속주
수도할리카르나소스 (가장 큰 도시, 현재의 튀르키예 뮈글라 보드룸)
역사
성립 시기기원전 1100년경
해체 시기기원전 560년경
소멸 후로마 속주 아시아로 편입
관련 사건도리아인 이주
기원전 560년경, 할리카르나소스의 아르테미시아가 이끄는 반란으로 해체
정치
정치 체제독립적인 도시 국가 연합
구성 도시
기타
법률렉스 로디아 (Lex Rhodia, 해상법의 기원)

2. 지역

대 플리니우스는 도리스 지역이 바다에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든 방향에서 카리아에 둘러싸여 있다고 언급했다.[5] 그는 도리스가 크니도스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도리스 만에는 레우코폴리스, 하마키토스 등의 도시가 있다고 기록했다. 학자들은 대 플리니우스가 언급한 만이 현재의 케라믹 만(고코바 만)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투키디데스는 '도리스'가 특정 지역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카리아인들의 이웃에 있는 소아시아 일부 지역을 점령한 도리아 민족을 가리키는 명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도리아인들이 할리카르낫소스, 케라모스, 크니도스 등에 자리 잡고 있었다고 설명했다.[6]

'도리스'라는 용어는 주로 소아시아의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데 한정되어 사용되었으며, 다른 저자들의 기록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2. 1. 주요 도시

도리스는 다음 여섯 개의 주요 도시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헥사폴리스(Hexapolis)라고 불렀다.

이 6개의 도시는 크니도스 근처의 트리오피아 곶에서 아폴론 신을 기리기 위해 공동으로 축제와 경기를 열었다. 경기의 우승자는 놋쇠 삼각대를 받았고, 이를 아폴론 신전에 바쳐야 했다. 그러나 할리카르나소스의 시민 중 한 명이 삼각대를 신전에 바치기 전에 자신의 집으로 가져가는 일이 발생하여, 할리카르나소스는 이 연맹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 헥사폴리스는 5개 도시 연맹인 '''도리아 펜타폴리스'''(Dorian Pentapolis)가 되었다.[4]

3. 트리오피아 곶의 축제와 헥사폴리스의 변화

크니도스 근처의 트리오피아 곶에서는 아폴론 신을 기리기 위한 축제와 경기가 공동으로 열렸다. 이 경기의 우승자는 놋쇠로 만든 삼각대를 상품으로 받았으며, 규칙에 따라 이를 아폴론 신전에 봉헌해야 했다. 그러나 할리카르낫소스 출신의 한 시민이 우승 후 삼각대를 신전에 바치지 않고 자신의 집으로 가져가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할리카르낫소스는 대회에서 배제되었고, 기존의 6개 도시 연맹체였던 헥사폴리스는 5개 도시만 남게 되어 '''도리아 펜타폴리스'''로 불리게 되었다.[4]

4. 고대 문헌에 나타난 도리스

대 플리니우스는 도리스가 바다에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든 방향에서 카리아에게 둘러싸여 있다고 언급했다.[5] 그는 도리스가 크니도스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보았다. 또한 도리스 만에 레우코폴리스, 하마키토스 등의 도시를 언급했는데, 학자들은 이 만이 현재의 괴코바 만(케라믹 만)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투키디데스는 대 플리니우스가 언급한 도리스가 나라 이름이 아니라, 카리아인들의 이웃에 사는 도리아인이라는 민족의 이름이라고 지적했다.[6]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이 도리아인들은 할리카르나소스, 케라모스, 크니도스에 자리 잡고 있었다.[6]

'도리스'라는 용어는 소아시아의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데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다른 고대 저자들의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ivil Law, Volume I, The Opinions of Julius Paulus, Book II https://constitution[...] Central Trust Company 2021-06-16
[2] 서적 The Documentary History of Insurance, 1000 B.C.–1875 A.D. https://archive.org/[...] Prudential Press 2021-06-15
[3] 웹사이트 Duhaime's Timetable of World Legal History http://www.duhaime.o[...] 2016-04-09
[4] 문서 헤로도투스, i. 144
[5] 문서 대 플리니우스, Delphi Complete Works of Pliny the Elder, v. 28
[6] 문서 투키디데스, ii. 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