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섬은 에게해에 위치한 그리스의 섬으로, 터키 보드룸 맞은편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고대 유적과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 코스섬은 지중해성 기후로 덥고 건조한 여름을 보이며, 주요 산업은 관광으로 해변을 중심으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농업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포도, 아몬드, 무화과 등이 재배된다. 코스섬은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그리스 정교회가 주된 종교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리스 헥사폴리스 - 할리카르나소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터키 보드룸에 있던 고대 도시로, 마우솔레움이 건설되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헤로도토스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였다. - 도리스 헥사폴리스 - 린도스
린도스는 로도스 섬에 도리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아테나 린디아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를 포함한 다양한 시대의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 무역 중심지이자 중세 시대 요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도데카니사 제도 - 로도스섬
로도스섬은 도데카니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자 그리스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로, 에게해 남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중세에는 성 요한 기사단의 요새였으며 로도스 시와 로도스의 중세 도시를 포함하고 관광 산업과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 도데카니사 제도 - 카스텔로리조섬
카스텔로리조섬은 터키 해안 근처 지중해 동부에 위치한 그리스 섬으로, 석회암 지질과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도리아 그리스 시대부터 다양한 지배를 거쳐 1947년 그리스에 귀속되었고 영화 촬영 이후 관광지로 발전했다.
코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지방 자치 단체 |
위치 | 남에게 주 |
현 | 코스 |
지방 자치 단체 인구 | 37089명 (2021년) |
지방 자치 단체 면적 | 295.3km² |
지역 단위 인구 | 21430명 |
지역 단위 면적 | 67.2km² |
별칭 | 코안, 코스 섬 주민 |
우편 번호 | 853 xx |
지역 번호 | 2242 |
차량 번호판 | ΚΧ, EA |
웹사이트 | www.kos.gr |
위치 | 에게 해 |
군도 | 도데카네스 제도 |
면적 | 290.313km² |
최고 높이 | 843m |
중심 도시 | 코스 |
지리 | |
크기 | 42.1 x 11.5km |
행정 | |
취임 년도 | 2019년 |
2. 명칭
코스(Κῶς|코스grc)[3]라는 이름은 ''일리아스''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그 이후로 계속 사용되었다. 다른 고대 명칭으로는 메로피스(Meropis),[4] 케아(Cea),[5] 그리고 님파이아(Nymphaea)가 있다.[6]
코스섬은 에게해에 위치하며, 북위 36°51′, 동경 27°14′에 자리 잡고 있다. 섬의 크기는 동서로 40km, 남북으로 8km이며, 해안선 길이는 112km에 달한다. 그리스 본토보다는 튀르키예의 보드룸 해안에 더 가깝다. 섬의 인구는 약 3만 7천 명이다.
코스섬은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코스섬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에게해의 중요한 섬으로서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역사를 거쳐왔다. 전설에 따르면 섬의 역사는 신화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특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가 기원전 460년경 이곳에서 태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많은 로망스어군에서 코스는 이전에는 ''Stancho'', ''Stanchio'', 또는 ''Stinco''로 알려졌으며, 오스만 튀르크어와 튀르키예어에서는 İstanköy|이스탄쾨이tur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모두 그리스어 표현 εις την Κω|에이스 틴 코grc('코스로'라는 뜻)의 재분석에서 유래되었다.[7][8] 이는 이스탄불이나 크레타의 스팀폴리(Stimpoli) 지명 유래와 유사하다. 로도스 기사단의 통치하에 이 섬은 아마도 그 길이 때문에 ''Lango'' 또는 ''Langò''로 알려졌다.[9][10] ''존 맨더빌 경의 여행기''에서 저자는 이를 오해하여 랑고와 코스를 별개의 섬으로 취급하기도 했다.[11] 이탈리아어에서는 이 섬을 Coo|코오ita라고 부른다.
코스 출신 사람을 영어로 "Koan"(또는 "Coan")이라고 부른다. 이 단어는 "Koan goods"(코스 상품)와 같이 형용사로도 사용된다.[12]
3. 지리
지형은 비옥한 평야와 불모의 고지가 혼재하며, 긴 모래 해변이 특징이다. 섬에는 여러 곶이 있는데, 북동쪽에는 스칸다리 곶(고대명: Σκανδάριον|스칸다리온grc, Scandarium 또는 Skandarion), 남쪽에는 락터(Lacter) 곶, 서쪽에는 드레카논 곶(고대명: Δρέκανον|드레카논grc, Drecanum 또는 Drekanon)이 있다.
코스섬은 고대에 발생한 지진과 침강으로 인해 분리된 산맥의 일부로 여겨진다. 이 산맥의 흔적으로는 약 70m 깊이의 수중 협곡으로 분리된 칼림노스섬, 프세리모스섬, 니시로스 화산 및 주변 섬들이 있다. 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암석이 발견되며, 특히 제4기 지층에서는 말, 하마, 코끼리와 같은 포유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중 거대한 어금니 화석은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 대학교의 고생물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섬의 주요 산업은 관광과 농업이다. 주요 도시이자 항구인 코스 시는 관광과 문화의 중심지로, 많은 호텔,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 흰색 건물들이 늘어서 있다. 도시 항구 입구에는 1315년 로도스 섬의 성 요한 기사단이 세운 요새가 있다. 농업 분야에서는 밀, 옥수수 외에도 포도, 아몬드, 무화과, 올리브, 토마토, 상추 등이 재배된다.구분 이름 주요 마을 코스, 카르다메나, 케팔로스, 팅가키, 안티마키아, 마스티하리, 마르마리, 필리 작은 마을 지아, 지파리, 플라타니, 라고우디, 아스펜디우
4.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C) 14.3°C 15.5°C 17.6°C 20°C 25°C 28.5°C 30.4°C 31°C 28.5°C 25.7°C 21.1°C 17.4°C 평균 최저 기온 (°C) 9°C 10.1°C 11.2°C 12.9°C 16.8°C 20.9°C 23.5°C 24°C 22.2°C 19.6°C 15.6°C 12.3°C 평균 강수량 (mm) 214.7mm 82.3mm 68.2mm 40.6mm 7.2mm 13.8mm 0mm 0mm 5.2mm 36.3mm 106mm 175.6mm
5. 역사
기원전 11세기경 도리아인들이 정착하면서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후 델로스 동맹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페르시아 제국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아래에서 학문과 의학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이후 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베네치아와 제노바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14세기에는 성 요한 기사단에게 매각되어 요새화되었다. 그러나 152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어 약 400년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20세기에 들어서는 1912년 이탈리아-투르크 전쟁 결과 이탈리아의 영토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통치 하에 근대적인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3년 이탈리아 항복 이후 독일군에게 점령되는 아픔을 겪었다. 전쟁이 끝난 후 잠시 영국의 보호령으로 있다가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따라 최종적으로 그리스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각 시대별 상세한 역사는 아래 하위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고대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460년경 코스섬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스 시 중앙에는 '히포크라테스의 나무'라 불리는 거대한 플라타너스 나무가 있으며, 히포크라테스가 이 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를 기념하여 국제 히포크라테스 재단 본부와 히포크라테스 박물관이 이곳에 세워져 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따르면, 코스섬 사람들은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군 편에 서서 싸웠다.[23] 고전 신화에서 코스섬의 창건왕은 메로프스로 전해지며, 이 때문에 "메로피안 코스"라는 이름으로 7세기 델리안 아폴론 찬가에 언급된 고대 델로스 섬의 암피크티오니(종교 동맹)에 포함되었다. 헤라클레스도 이 섬을 방문했다고 한다.[24] 코스섬은 아폴론의 어머니인 여신 레토가 태어난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25] 레토의 아버지인 코이오스가 섬의 첫 번째 거주자였다는 설도 있다.[26]
전승에 따르면 섬은 원래 카리아인들이 식민지로 삼았으나, 기원전 11세기에 도리아인들이 침입하여 에피다우로스에서 많은 이주민을 데려와 도리아 식민지를 건설했다. 이들은 아스클레피오스 숭배를 들여왔고, 이로 인해 코스섬은 '요양소'로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초기 역사는 린도스, 카미로스, 이알리소스, 크니도스, 할리카르나소스 등과 함께 종교-정치적 암피크티오닉 동맹인 도리스 헥사폴리스( hexapolisgrc, '여섯 도시'라는 뜻)의 일원이었다는 것 외에는 불분명하다.[27]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낮의 여신 헤메라와 태양신 헬리오스에게 바쳐진 작은 신전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28] 기원전 6세기 말, 코스섬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나,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페르시아 세력을 두 차례 몰아냈으며, 기원전 479년 미칼레 해전에서 그리스 연합군이 승리하자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대체로 과두정 체제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5세기에는 델로스 동맹에 가입했다. 로도스가 반란을 일으킨 후에는(기원전 411–407년) 에게해 남동부에서 아테네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366년에는 민주주의가 수립되었고, 수도는 섬 서쪽 끝의 아스티팔라이아(현대 케팔로스 마을 근처)에서 히포다모스의 도시 계획에 따라 새로 건설된 코스 시로 이전되었다. 아테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데 일조한 후, 사회 전쟁(기원전 357–355년) 중 잠시 카리아의 마우솔로스 왕에게 점령되기도 했다.
코스섬은 지리적으로 동쪽에 가까워 실크 실을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지역 중 하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코스섬 여성들이 실크를 짜는 기술을 언급했으며,[29] 대규모 공장에서 여성 노예들이 실크 의류를 생산했다고 전해진다.[30] 고대 기록에는 코스섬이 투명하고 가벼운 coae vesteslat라는 의복 생산으로 유명했다고 전해지며,[31]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견해이지만, 현대 연구에서는 이 용어가 생산지보다는 특정 종류의 실크 의복을 지칭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 기원은 불분명하다고 본다.[32]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 중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로부터 코스섬을 빼앗아 자신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편입시켰다. 헬레니즘 시대에 코스섬은 번영의 정점을 맞이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코스섬을 에게해 감시를 위한 해군 전초 기지로 활용했으며, 알렉산드리아 박물관의 분관 역할을 하는 학습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왕자들의 교육 장소로도 인기가 높았다. 이 시기 의과대학이 존재했지만, 고전 시대 히포크라테스가 설립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33] 코스섬은 유명한 헬레니즘 시인 학자 필리타스의 고향이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 속했음에도 코스섬은 상당한 정치적 자율성을 유지했다. 기원전 3세기 비문들은 섬이 시민 회의와 자체 행정관(군주, 프로스타테스, 엑세게테스 등)을 통해 자치적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준다.[34][35] 도시가 자체 법률을 제정하고 집행할 수 있었다는 점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로부터의 정치적 독립성을 시사한다. 코스섬은 또한 정제되지 않은 비단, 노, 그리고 암포라 생산의 중심지였다. 이 시기 경제 발전은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 걸쳐 극장, 여러 스토아를 갖춘 새로운 시장, 알리사르나의 아폴론 신전 건설, 아스클레피온 확장, 알리사르나 요새화, 호화 주택 건설 등으로 확인된다. 기원전 240년에는 비티니아의 지아엘라스,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쿠스,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가 코스 아스클레피온을 아실룸(피난처)으로 인정하는 보증을 제공하여, 상인과 순례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
기원전 4세기 말부터 코스섬은 공정함으로 명성을 얻어, 헬레니즘 시대 동안 다른 어떤 도시보다도 도시 간 또는 도시 내부 분쟁의 중재자로 자주 요청받았다. 기원전 310년에서 300년 사이에는 클라조메나이와 테오스 분쟁을 중재하고, 테오스와 레베두스의 시노이키즘(도시 통합)을 위한 임시 법전을 제공했으며, 일리움, 사모스, 텔로스의 내부 분쟁 해결을 위해 판사를 파견했다. 이후 2세기 동안 낙소스, 타소스, 에리트라이, 미틸레네 등 여러 도시로부터 판사 파견 요청을 받았다. 텔로스에서의 분쟁 해결 과정은 비문(''IG'' XII.4.1 132)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헬레니즘 시대 외국 판사 활동에 대한 중요한 자료이다.[36] 코스의 종교 및 재정 규정을 활용한 이 판결은 정치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들이 벌금을 내고 제사 및 사원 수리 비용을 부담함으로써 공동체와 화해할 길을 열어주었다.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와 스트라본은 코스섬을 잘 요새화된 항구로 묘사한다. 에게해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섬 자체는 품질 좋은 와인 생산으로도 유명했다.[37]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치하에서 코스 시는 에게해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요세푸스는 스트라본을 인용하며, 보스포루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1세가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 여왕이 코스섬에 맡겨둔 금을 가져가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기록했다.[38] 헤로데는 운동 경기 우승자들에게 연간 급여를 지급하도록 지원했으며,[39] 그의 아들 헤로데 안티파스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지기도 했다("C. I. G." 2502). 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 바울 역시 코스섬을 잠시 방문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코스섬은 때때로 해적의 침입과 지진 피해를 겪었지만 대체로 평화를 유지했다. 이웃한 로도스와 마찬가지로 로마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고, 서기 53년에는 자유 도시의 지위를 얻었다. 로마 시대에도 코스섬에는 지방 도서관이 있었는데, 이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부터 이어진 학습 중심지로서의 명맥을 이은 것이다. 히포크라테스, 화가 아펠레스, 시인 필리타스, 그리고 테오크리토스 등이 이 지역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서기 1세기 비문에는 도서관 건립에 기여한 인물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는데,[40] 그중 한 명은 로마에서 황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의 주치의를 지낸 코스 출신 의사 가이우스 스테르티니우스 제노폰이었다.[41] 헤로데 대왕은 유다의 왕으로서 코스섬 체육관의 연례 직무 운영을 위한 영구적인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기원전 14년경으로 추정되는 섬 회의의 비문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헤로데스를 기리고 있으며, 이는 헤로데가 로마식 이름(트리아 노미나)을 사용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이러한 재정 지원이나 다른 기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42]
5. 2. 중세
로마 제국의 일부였던 코스 섬은 이후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비잔틴 제국 통치 하에서 섬의 역사는 주로 주교들의 활동을 통해 파악된다. 코스 주교구는 로도스 대교구의 교구였으며[43], 여러 주요 공의회에 주교들이 참석한 기록이 남아있다.
연도 | 주교 | 참석 회의 | 비고 |
---|---|---|---|
325년 | 멜리프론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
344년경 | 에데시우스 | 사르디카 공의회에서 이탈한 동방 주교들의 필리포폴리스 공의회 | |
448년 | 이울리아누스 |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 | 칼케돈 공의회 (451년) 준비 |
458년 | 이울리아누스 | - | 교황 레오 1세의 사절로서 에게해 제도 주교들이 비잔틴 제국 레오 1세 황제에게 보낸 공동 서한에 서명 |
518년 | 도르테우스 |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 | |
680–681년 | 게르기우스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
879년 | 콘스탄티누스 | 포티오스의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8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는 "드로웅가리오스"라는 관리가 섬을 통치했으며, 11세기에서 12세기에는 섬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니케포로스 멜리세노스가 이곳에서 비잔틴 제국에 대항하는 봉기를 시작했고, 12세기 중반에는 콤네노스 왕조의 후손인 니케포로스 콤네노스가 통치자로 있었다.[43]
11세기 이후 코스는 명목상 비잔틴 제국의 영토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제노바 공화국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다. 잠시 니케아 제국이 통치하기도 했지만, 제노바인들은 약 4세기 동안 보호령 형태로 섬을 지배했다.[43] 1320년대에는 명목상 제노바인 비뇰로 데 비뇰리의 영지 일부를 형성했다.[43]
이후 섬은 베네치아인에게 정복되었고, 그들은 섬을 로도스에 근거지를 둔 성 요한 기사단에게 매각했다. 기사단은 제노바 공화국에 임대료를 지불하며 섬을 관리했다.[43] 그러나 14세기부터 섬은 아나톨리아 베이국의 해적들의 지속적인 습격을 받았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1391년에서 1396년 사이, 오스만 제국 술탄 바예지드 1세의 습격 기간 동안 성의 남동쪽과 남서쪽에 방어용 탑 두 개가 건설되었다.
1455년, 코스는 함자 베이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해군의 첫 번째 대규모 공격을 받았다. 오스만군은 섬을 침공하여 안티마키아 성을 포위하고 파괴하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8] 기사단은 점증하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약 200년간 섬을 방어했으나 결국 1522년 로도스 함락과 함께 코스에서도 철수하게 되었고, 이후 코스는 400년 가까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섬의 마지막 기사단 총독은 피에로 데 폰테였다.
오늘날 코스 교구는 그리스 정교회가 아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직접적인 관할 아래 있으며, 가톨릭교회에서도 명목 교구로 등재되어 있다.[46]
5. 3. 근현대
1522년 로도스 정복 이후, 코스 섬은 협정에 따라 오스만 제국에 항복했다. 1523년 1월 5일, 오스만 함대의 베흐람 베이(Behram Bey)가 코스 섬과 보드룸 앞에 도착하자 성의 수비대는 성을 넘겨주고 떠났다. 오스만 제국은 섬을 점령한 후 가장 크고 요새화된 네란지아 성에 카디, 성주, 경비병을 파견하고 성을 수리했다. 섬의 그리스 정교회 신자들은 기존 거주지에 남겨졌고, 성 밖 교외에 새로운 거주지가 제공되었다.[8]오를로프 반란 중인 1773년 8월 5일 밤, 러시아 함대는 코스 성을 점령하기 위해 상륙 부대를 보냈으나, 이어진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이틀 뒤 섬을 떠났다.[47]
1881/82년부터 1893년까지 시행된 오스만 제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스 섬(İstanköy|이스탄쾨이ota) 카자의 총 인구는 12,965명이었다.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49]
민족/종교 | 인구 수 |
---|---|
그리스인 | 10,459명 |
무슬림 | 2,439명 |
유대인 | 67명 |
1912년 5월 20일, 이탈리아-투르크 전쟁의 결과로 코스 섬은 이탈리아 왕국에 점령되었고[8], 이후 공식적으로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다.[50] 이탈리아 통치 시기인 1933년 4월 23일, 섬에 큰 지진이 발생하여 구시가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많은 신축 건물이 손상되었다. 이탈리아 당국은 건축가 로돌포 페트라코(Rodolfo Petracco)에게 새로운 도시 계획을 맡겨, 옛 구역을 고고학 공원으로 조성하고 신도시를 주거, 행정, 상업 지역으로 나누어 개발했다.[51]
제2차 세계 대전 중 코스 섬은 추축국의 일원인 이탈리아의 영토였다. 1943년 이탈리아 항복 이후, 섬의 통제권을 두고 영국군과 독일군 사이에 도데카니사 캠페인의 일환인 코스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하여 섬을 점령했다. 전투 이후, 독일군에 합류하기를 거부한 이탈리아 장교 약 100명이 처형되는 코스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독일군은 1945년까지 섬을 점령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코스 섬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 따라 그리스에 양도되었다.
6. 정치
현재의 코스 시는 2011년 행정 구역 개편(일명 칼리크라티스 계획) 당시 3개의 기존 시가 합병되어 만들어졌으며, 이들은 현재 코스 시의 하위 행정 단위인 시 구역(municipal units)이 되었다.[2] 합병된 시는 다음과 같다.
- 디케오스
- 이라클레이데스
- 코스
코스 시 전체의 면적은 290.313km2이며, 이 중 코스 시 구역의 면적은 67.2km2이다.[16]
7. 경제
관광은 코스 섬의 주요 산업이며[17], 섬의 해변이 주요 관광 명소이다. 섬의 주요 항구이자 인구 중심지인 코스 시는 관광 및 문화 중심지이기도 하며, 많은 호텔, 레스토랑, 여러 나이트클럽이 있는 하얀 건물들이 "바 거리"를 형성하고 있다. 코스 시 항구 입구에는 로도스섬의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1315년에 세워진 요새가 있다. 해안 마을인 카르다메나는 젊은 휴가객(주로 영국과 스칸디나비아 출신)들에게 인기 있는 휴양지이며 많은 수의 바와 나이트클럽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고급 호텔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1성급 및 2성급 호텔은 감소한 반면, 4성급 및 5성급 고급 호텔은 섬 전역에 걸쳐 생겨났다. 2014년부터 2023년까지 5성급 호텔은 시설 수(+95.83%)와 총 침대 수(+103.32%) 모두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4성급 호텔 역시 시설 수(+34.15%)와 총 침대 수(+8.5%)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나 5성급보다는 증가 폭이 작다.[18]
농업은 두 번째 주요 직업이며, 주요 작물은 포도, 아몬드, 무화과, 수박, 올리브, 토마토와 밀, 옥수수 등이다.[19][20] 코스 상추(로메인 상추)는 이 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곳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21][22]
8. 문화
코스 시는 섬의 주요 도시이자 관광 및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많은 호텔,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이 자리 잡고 있다. 도시 항구 입구에는 1315년 로도스 섬의 성 요한 기사단이 건설한 요새가 있다.
고대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460년경 코스 섬에서 태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도시 중심부에는 그가 제자들을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거대한 플라타너스 나무가 있으며, 현재는 오래되어 가지를 지지대로 받치고 있다. 코스 시에는 국제 히포크라테스 재단 본부와 그를 기리는 히포크라테스 박물관이 세워져 있다. 재단 근처에는 헤로디쿠스가 히포크라테스에게 의학을 가르쳤던 아스클레피온 유적이 남아 있다.
코스 시의 고대 시장 유적은 고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너비 50m, 길이 300m의 직사각형 안뜰을 중심으로 상업 및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북쪽으로는 도시 성벽과 항구 입구로 연결되었고, 동쪽에는 상점들이 있었다. 기원전 2세기 전반에 확장되었으나, 서기 469년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시장 남쪽 끝에서는 로마식 돔 건물과 이집트 블루를 포함한 안료 작업장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로마 시대 동전, 보물, 구리 조각상 등도 출토되었다. 서쪽에서는 코스에서 인기 있던 주제인 짐승 싸움을 묘사한 모자이크 바닥이 있는 방들이 발견되었다.[53]
코스 섬에는 항구 입구의 성 요한 기사단 요새 외에도 비잔틴 제국 시대에 지어진 안티마키아 요새가 남아 있다.
코스 섬에는 역사적인 유대교 회당인 카할 샬롬 회당이 있다. 시내 중심가 알렉산드루 디아쿠 거리 4번지에 위치하며, 1935년 건축가 아르만도 베르나비티와 로돌포 페트라코가 설계하고 'De Martis-Sardelli' 건설 회사가 시공했다.[54][55] 이 회당 단지에는 랍비 거주지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단체의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코스 섬의 유대인 공동체는 고대부터 존재했지만, 1933년 지진으로 기존 회당이 파괴되어 현재의 회당이 새로 지어졌다. 그러나 1944년 7월 23일, 나치 독일에 의해 약 100명의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이 추방된 후 회당은 방치되었다. 1980년대 코스 시에서 매입하여 강연회나 전시회 등 문화 센터로 활용해 왔다. 2022년 코스 시와 유대인 공동체 중앙 위원회는 건축가 엘리아스 V. 메시나스에게 내부 복원을 의뢰하여 종교 예배와 문화 활동 모두 가능한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9. 교통
코스섬에는 코스 국제공항이 있다.
10. 인물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460년경 이 코스 섬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을의 중앙에는 히포크라테스의 나무라는 플라타너스 거목이 있고, 이 나무 아래에서 히포크라테스가 의학을 가르쳤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 히포크라테스를 기념해 이 마을에 국제 히포크라테스 재단의 본거지와 히포크라테스 박물관이 만들어져 있다.
코스 섬 출신이거나 관련 있는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시대/분야 | 설명 |
---|---|---|
히포크라테스 | 기원전 5세기, 의학 | "의학의 아버지" |
아펠레스 | 기원전 4세기, 미술 | 화가 |
코스의 필리타스 | 기원전 4세기, 문학/학문 | 시인이자 학자 |
코스의 에피카르모스 | 기원전 6~5세기, 문학 | 희극 작가 |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 | 기원전 4세기, 정치 |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파라오 |
베로소스 | 점성술 | 비트루비우스의 저서 《건축에 관하여》에 따르면, 코스 섬으로 이주하여 이집트 왕의 후원하에 점성술 학교를 설립했다.[56] |
마이클 케팔리아노스 | 현대, 스포츠 | 프로 보디빌더[57] |
마리카 파파기카 | 20세기 초, 음악 | 가수[58] |
이오안니스 사르마스 | 현대, 정치/법조 | 2023년 그리스의 판사이자 임시 총리 |
코스타스 스칸달리디스 | 현대, 정치 | 전 그리스 내무부 장관이자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의 측근[59] |
알 캠파니스 | 현대, 스포츠 |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이자 임원[60] |
스테르고스 마리노스 | 현대, 스포츠 | 전 프로 축구 선수[61] |
쉬크뤼 카야 | 20세기, 정치 | 터키 정치인으로, 내무부 장관과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의 가해자 중 한 명이었다.[62] |
11. 종교
코스 주민들은 주로 그리스 정교회 신자이다. 도데카니사 제도에 있는 4개의 정교회 대성당 중 하나가 코스에 위치해 있다. 또한 섬에는 가톨릭 교회와 모스크가 있으며, 터키 무슬림 공동체가 거주한다.
과거에는 유대인 공동체도 존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군에 의해 시나고그가 파괴되면서 더 이상 종교 의식에 사용되지 않는다. 파괴된 시나고그는 복원되었고 모든 종교적 상징은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현재는 코스 시에서 주로 문화 행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1920년대 후반에는 약 3,700명의 터키인이 코스 시에 거주했으며, 이는 당시 인구의 50%에 약간 못 미치는 수치였다. 이들은 주로 도시 서쪽에 거주했다. 오늘날 코스에 있는 터키 공동체의 인구는 약 2,000명으로 추산되며, 코스 타운 근처의 플라타니(Πλατάνι|플라타니el, Kermentes) 마을에 상당수가 거주한다.
12. 현대 상황
코스 섬은 동서 40km, 남북 8km 크기로 북위 36°51′ 동경 27°14′에 위치하며, 그리스 본토보다 튀르키예에 더 가깝다. 섬은 비옥한 평야와 불모의 고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구는 약 3만 7천 명이다.
주요 산업은 관광으로, 섬에는 긴 백사장과 대형 호텔, 한적한 마을들이 있다. 주민의 상당수는 농업에 종사하며, 밀, 옥수수 외에도 포도, 아몬드, 무화과, 올리브, 토마토와 상추 등이 재배되고 있다.
항구이자 섬의 인구 중심지인 코스 시는 관광과 문화의 중심지이며, 많은 호텔,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등의 하얀 건물들이 늘어서 있다. 도시 항구 입구에는 로도스 섬의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1315년에 세워진 요새가 있다.
또한, 코스 섬에는 폐쇄형 통제 접근 센터(CCAC)로 불리는 난민 수용소가 있으며, 수용 가능 인원은 2,140명으로 알려져 있다.[52] 이는 그리스 섬에 있는 여러 시설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os Island
https://kos.gr/kos-i[...]
2024-09-06
[2]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3]
문서
Liddell et al., A Greek–English Lexicon, s.v.
[4]
기타
Cite Thucydides
[5]
문서
Pliny cites Staphylus of Naucratis for this name in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Pliny
[6]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Cos
https://www.perseus.[...]
2023-08-08
[7]
서적
Travels in Greece and Turkey: Undertaken by Order of Louis XVI, and with the Authority of the Ottoman Court
https://books.google[...]
T. N. Longman & O. Rees
1801
[8]
웹사이트
İSTANKÖY
https://islamansiklo[...]
2023-02-09
[9]
서적
A handbook for travellers in Greece; describing The Ionian Islands; Continental Greece, Athens, and The Peloponnesus; The Islands of The Aegean Sea; Albania; Thessaly; and Macedonia: With a map of Greece, plans, and view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72
[10]
서적
The Knights of Malt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6-01-01
[11]
서적
The Book of Marvels and Travel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9-13
[12]
웹사이트
Kos Island Today
https://www.kosislan[...]
2023-08-08
[13]
DARE
[14]
DARE
[15]
DARE
[16]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7]
웹사이트
Kos weather
https://www.metoffic[...]
2021-02-12
[18]
웹사이트
Hellenic Chamber of Hotels, Statistics
https://www.grhotels[...]
[19]
웹사이트
Agricultural History of Kos
https://koslocallygr[...]
2024-09-06
[20]
웹사이트
Fruits & vegetables
https://kos.gr/gastr[...]
2024-09-06
[21]
OED
Cos
2020-09-27
[22]
웹사이트
From Ancient Egypt to Outer Space, the Delicious History of Lettuce
https://www.national[...]
2015-08-13
[23]
Iliad
Iliad ii.676, from "Kos, the city of Eurypylus, and the Calydnae isles"
[24]
웹사이트
The Battalion of the Ioannite Knights (Knights of Saint John)
http://www.kosinfo.g[...]
2023-08-08
[25]
서적
Mimiambs
Oxbow Books
2009
[26]
웹사이트
Cornelius Tacitus, The Annals, BOOK XII, chapter 61
https://www.perseus.[...]
2023-08-08
[27]
문서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eds. Richard Stillwell, et al.), s.v. "Kos".
[28]
서적
The Cults of the Greek States volume V
Clarendon Press
1909
[29]
Google books
A Treatise on the Origin, Progressive Improvement, and Present State of the Silk Manufacture
[30]
Google books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31]
DGRG
Cos
[32]
서적
Roman Women's Dress
De Gruyter
[33]
문서
Cos e Cnido, in: Hippocratica – Actes du Colloque hippocratique de Paris, 4–9 septembre 1978, ed. M. D. Grmek, Paris, 1980, pp. 97–111, see also Antoine Thivel: Cnide et Cos ? : essai sur les doctrines médicales dans la collection hippocratique, Paris 1981
[34]
학술지
F. SOKOLOWSKI, Lois sacrées des cités grecques (École française d'Athènes. Travaux et mémoires des anciens membres étrangers de l'école et de divers savants, 11). Paris, E. de Boccard, 1962. 244 p. Pr. F 54.-
http://dx.doi.org/10[...]
1966
[35]
학술지
Brigitte Le Gune-Pollet: La vie religieuse dans le monde grec du e au IIIe Sieècle avant notre ère: Choix de documents èpigraphiques traduits et commentés. (amphi, 7.) Pp. 256. Toulouse: Presses Universitaires du Mirail, 1991. Paper, frs. 90.
http://dx.doi.org/10[...]
1994-04
[36]
웹사이트
IG XII,4 1:132 – PHI Greek Inscriptions
https://epigraphy.pa[...]
2023-01-26
[37]
문서
Pliny the Elder
[38]
문서
"Ant." xiv. 7, § 2
[39]
문서
Josephus, "B. J." i. 21, § 11
[40]
웹사이트
Libraries of Greece
http://www.eduscapes[...]
Annette Lamb
2015-03-28
[41]
웹사이트
The Asklepion of Kos – Home of Modern Medicine
http://www.skibberee[...]
The Skibbereen Eagle
2015-03-28
[42]
서적
For the Freedom of Zion: the Great Revolt of Jews against Romans, 66–74 CE
Yale University Press
2021
[43]
백과사전
Kos
Oxford University Press
[44]
간행물
Cos
http://booksnow.scho[...]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ecclésiastiques
[45]
웹사이트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http://www.wbc.pozna[...]
Leipzig
2015-03-08
[46]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47]
서적
Ἱστορία τῆς νήσου Κῶ : Ἀρχαία, μεσαιωνική, νεότερη
Dimos Ko
[48]
웹사이트
استانكوی – istanköy ingilizce ne demek, استانكوی anlami, what does it mean istanköy استانكوی
https://lehcei.cagda[...]
2023-02-09
[49]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kupdf.net/do[...]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0]
서적
Guida d'Italia Vol. XVII
C.T.I.
1929
[51]
간행물
Il piano regolatore di Kos del 1934: un progetto di città archeologica
http://www.thiasos.e[...]
"Thiasos"
2012
[52]
웹사이트
ΚΕΔ ΚΩ {{!}} Υπουργείο Μετανάστευσης και Ασύλου
https://migration.go[...]
2020-07-01
[53]
웹사이트
Stuffed Goat ("Labriatiko")
http://www.kosinfo.g[...]
2023-08-08
[54]
서적
The Synagogues of Greece: A Study of Synagogues in Macedonia and Thrace: With Architectural Drawings of all Synagogues of Greece
KDP
[55]
문서
The Historic and Folklore Archive of the Municipality of Kos
[56]
문서
Vitruvius, ix.6.2.
[57]
웹사이트
IFBB Pro Michael Kefalianos - Bio
https://www.michaelk[...]
2023-08-08
[58]
서적
Encyclopedia of Great Popular Song Recording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10-04
[59]
웹사이트
Σκανδαλίδης Κώστας – Βιογραφικό
http://www.skandalid[...]
2018-05-02
[60]
웹사이트
www.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018-05-02
[61]
웹사이트
Stergos Marinos biography
http://www.stergosma[...]
Stergos Marinos' official website
2012-04-13
[62]
웹사이트
Biography of Şükrü Kaya
http://www.kimkimdir[...]
2015-06-05
[63]
서적
Swords of Kos Fantasy Campaign Setting
https://www.drivethr[...]
Skirmisher Publishing
2020-01-31
[64]
뉴스
From Germany, 'Signs of Life'
https://www.nytimes.[...]
2023-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