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론 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폴론 신전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폴론을 숭배하는 신전으로, 델포이에 위치한 신전이 가장 유명하다. 델포이 신전은 피티아라는 여사제를 통해 신탁을 내리는 곳으로,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후 393년까지 운영되었으며,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으로 폐쇄되었다. 델포이 외에도 에게해 주변과 로마, 터키 등 다양한 지역에 아폴론 신전이 존재했다. 아폴론 신전은 아폴론이 피톤을 물리치고 가이아 신전을 차지하면서 그 권위를 얻게 되었다는 신화를 배경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폴론 신전 - 델포이
델포이는 파르나소스 산 기슭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이자 종교 중심지로, 아폴론 신탁으로 유명하며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유적지이다.
아폴론 신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고대 그리스 신전 |
위치 | 그리스, 델포이 |
좌표 | 38°28′56″N 22°30′09″E |
건축 | |
스타일 | 도리아 양식 |
재료 | 석회암 |
역사 | |
건설 시작 | 기원전 4세기 |
건축가 | 스핀타로스, 아가메데스, 트로포니오스 |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 기원전 6세기 경에 세워진 이후 여러 번 파괴 및 재건축됨 |
현재의 신전 | 기원전 4세기에 건설됨 |
파괴 | 서기 390년,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파괴됨 |
신화 | |
아폴론 | 신탁을 받기 위해 신전으로 옴 |
피톤 | 아폴론이 신전을 차지하기 위해 죽인 뱀 |
신탁 | 델포이 신탁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유명한 신탁 중 하나 |
기타 | |
중요성 | 고대 그리스에서 중요한 종교적 장소 델포이는 세계의 중심으로 여겨짐 |
2. 델포이 신탁의 조직
델포이 신전은 가로 60미터, 세로 23미터 크기로, 38개의 도리아식 기둥이 외벽을 떠받치고 있었다. 현재는 6개의 기둥만 남아있다. 신전은 전실, 후실, 신실의 3개 방으로 구성되었고, 신실 안쪽에 신탁소가 있었다. 피티아는 아폴론 신전의 여사제였으며, 카산드라가 그중 한 명이었다. 신관은 피티아가 전하는 말을 옮겨 적는 역할을 했는데, 플루타르코스가 유명한 신관 중 한 명이었다.[3]
2. 1. 피티아와 신관
델포이 신탁(Oracle of Delphi)의 피티아(Pythia)는 아폴론 신전의 여사제 또는 무녀를 말한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카산드라는 피티아 가운데 한 명이었다.아폴론 신전의 신관들은 무녀 피티아가 신의 대답을 전할 때에 중얼거리는 말을 옮겨 적었다. 플루타르코스는 유명한 신관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3]
신관들은 델포이의 주요 시민들 중에서 선정되어 평생 임명되었다. 이들은 예언과 예지를 위한 신탁 절차뿐만 아니라 신전에 대한 고유 의무로서 신에 대한 성전 의식을 주관했다.[6]
2. 2. 신탁 절차
초기 아폴론 신탁은 기원전 1400년경부터 기원전 1200년경의 미케네 문명과 도리아인의 침략, 델로스섬과의 교류를 통해 아폴론 신전에 대한 신화적 배경이 형성되었다.[4] 이후 기원전 200년경을 전후하여 플루타르코스는 피티아 외에 자신을 포함한 여러 신관들이 신탁을 위해 봉사했다고 기록했다.[5] 이 신관들은 델포이의 주요 시민들 중에서 선정되어 평생 임명되었다.피티아와 신관들은 예언과 예지를 위한 신탁 절차뿐만 아니라, 신전에 대한 고유 의무로서 신에게 바치는 성전 의식도 주관했다.[6]
아폴론 신탁 절차와 관련된 전통에 따르면, 피티아는 매년 가장 따뜻한 9개월 동안만 예언을 했다. 겨울철에는 성전이 비워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전의 전성기인 기원전 8세기를 전후하여 신탁 절차가 더 자주 행해졌다.[7][8]
또한 신전은 범그리스 경기 중 2개 이상의 경기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맹 리그인 범그리스 단체와 관련된 피티아 제전에 대한 의식 제사도 주관했다.
3. 델포이 신전의 기능 정지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후 393년까지 기록된 가치 있는 신탁 내용이 일부 전해지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기록된 신탁은 393년에 있었다.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명령에 따라 성전은 폐쇄되었고 다시는 재개되지 않았다. 당시 신탁은 계시를 통해 모든 신탁이 종료된다고 선언했다. 5년 안에 황제는 죽었고, 15년 후 알라리크 1세는 로마를 점령했다.[9]
4. 다른 지역의 아폴론 신전들
델포이 외에도 에게해 주변에는 여러 아폴론 신전들이 존재했다. 지도에는 델로스섬, 리키아의 크산토스, 고린도, 아이딘의 디다이마 등의 주요 신전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그리스, 키프로스, 체코, 이탈리아, 몰타, 터키 등 여러 지역에 아폴론 신전이 존재했다.[9]
4. 1. 주요 아폴론 신전 목록
국가 | 도시 | 비고 |
---|---|---|
그리스 | 코린토스 |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델포이 | 아폴론 신전 (델포이) |
그리스 | 바세 | 바세의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아테네 | 아폴론 파트로스 신전 |
그리스 | 부리아그메니 | 아폴론 조스터 신전 |
그리스 | 아이기나 | 아폴론 신전 (콜로나) |
그리스 | 테르몬 |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델로스 | 델리안의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드레로스 |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고르틴 | 아폴론 신전 |
그리스 | 에레트리아 | 아폴론 다프네포로스 신전 |
이탈리아 | 쿠마이 | 쿠마이의 아폴론 신전 |
이탈리아 | 로마 | 팔라티누스 언덕의 아폴론 신전, 소시아누스 아폴론 신전 |
이탈리아 | 폼페이 | 폼페이의 아폴론 신전 |
이탈리아 | 시라쿠사 | 시라쿠사의 아폴론 신전 |
이탈리아 | 셀리눈테 | 셀리눈테의 C 신전 |
이탈리아 | 멜리테 | 아폴론 신전 (멜리테) |
튀르키예 | 디디마 | 아폴론 신전 (디디마) |
튀르키예 | 밀레토스 | 아폴론 신전 (밀레토스) |
튀르키예 | 클라로스 | 아폴론 신전 (클라로스) |
튀르키예 | 시데 | 아폴론 신전 (Side) |
튀르키예 | 하막시토스 | 아폴론 신전 스민테우스 |
튀르키예 | 히에라폴리스 | 아폴론 신전 (히에라폴리스) |
키프로스 | 리마솔 | 아폴론 힐라테스 신전 |
체코 | 남모라바 주 | 아폴론 신전 (레드니체-발티체 문화 경관) |
5. 델포이 신전의 정통성
델포이의 옛 지명은 피톤이었는데, 신화에 의하면, 아버지 제우스는 쌍둥이 아폴론과 아르테미스가 태어난 것을 기뻐하며 아폴론에게 예언을 관장하는 능력을 주었다고 한다. 아폴론이 태어난 지 나흘이 지나자, 제우스는 그에게 황금 왕관과 현악기 리라, 백조가 끄는 마차를 주며 피톤(델포이)으로 가라고 명령했다. 그곳에서 헤라의 명령으로 어머니 레토가 임신했을 때, 이들을 줄곧 괴롭혔던 큰 뱀 피톤을 아폴론은 화살로 쏘아 퇴치했다. 이후 아폴론은 피톤이 지키던 가이아의 신전을 차지하고, 지명도 피톤에서 델포이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렇게 델포이의 신전은 아폴론의 신전으로 바뀌었고, 신전의 피티아를 통해 사람들에게 신탁을 내렸다. 그 후로 인간은 가이아의 뜻이 아닌, 제우스의 뜻을 알리는 아폴론의 신탁에 의하여 미래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신화는 피톤이라는 구시대에서 델포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시대로 권위 있는 주권자에 의해 바뀌었음을 의미하는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Delphi: the Oracle and its Role in the Political and Social Life of the Ancient Greeks
Hannibal Publishing House
[2]
기타
Hymn to Pythian Apollo, l. 254–74: Telphousa recommends to Apollo to build his oracle temple at the site of "Krisa below the glades of Parnassus".
[3]
서적
Plutarch's Lives
Liberty Library of Constitutional Classics
1864
[4]
서적
Python. A Study of Delphic Myth and Its Origins
1959
[5]
기타
[6]
논문
The Mystery of Apollo's E at Delphi
1981-01
[7]
기타
2007
[8]
서적
Mysteries of the Oracles
Tauris Parke Publications
2007
[9]
서적
The Destruction of Paganism in the Roman Empire
18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