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사서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사서독은 1994년 개봉한 왕가위 감독의 무협 영화이다. 1960년대 호금전 감독의 대취협에 감명받은 왕가위가 김용의 소설 사조영웅전 등장인물들을 차용하여 제작했다. 영화는 사조영웅전의 프리퀄 격으로, 구양봉을 중심으로 엇갈린 사랑과 운명을 다룬다. 2008년에는 재편집과 음향 보강을 거친 동사서독 리덕스가 공개되었다. 개봉 당시 난해한 스토리로 평론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작품성을 인정받아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왕가위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홍콩 영화 금상장, 금마장, 홍콩 영화 평론가 협회상 등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1994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촬영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용 원작의 영화 작품 - 의천도룡기 (영화)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를 원작으로 왕정 감독이 연출하고 이연걸이 제작 및 출연한 1993년 홍콩 영화 의천도룡기는 원나라 말기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싼 무림 고수들의 다툼 속에서 부모를 잃은 장무기가 복수를 위해 강호를 누비는 이야기이다.
  • 김용 원작의 영화 작품 - 동방불패
    동방불패는 영화 소오강호의 속편 시리즈로, 임청하가 여성적인 모습으로 연기한 동방불패 캐릭터로 유명하며 홍콩 박스 오피스에서 높은 흥행 수익을 기록했다.
  • 왕가위 감독 영화 - 아비정전
    《아비정전》은 1960년대 홍콩을 배경으로, 방탕한 청년 아비가 여성들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찾아가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을 그린 왕가위 감독의 1990년 영화이다.
  • 왕가위 감독 영화 - 중경삼림
    《중경삼림》은 왕가위 감독의 1994년 홍콩 영화로, 두 개의 독립적인 로맨스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엮어 도시 속 고독과 사랑을 독특한 영상미와 감각적인 음악으로 섬세하게 표현한다.
  • 홍콩의 모험 영화 - 용형호제
    1986년 개봉한 성룡 주연의 홍콩 액션 코미디 영화 《용형호제》는 '아시아의 매' 재키가 되어 신의 무기를 노리는 사교 집단에 맞서는 이야기로, 성룡의 부상 사고와 홍콩 역대 최고 흥행 수입 기록, 그리고 '아시아의 매' 시리즈의 시작을 알린 작품이다.
  • 홍콩의 모험 영화 - 엽문 외전
    엽문 시리즈의 스핀오프 영화인 엽문 외전은 엽문에게 패배 후 은둔하던 영춘권 마스터 장천지가 악당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로, 장진, 양자경, 데이브 바티스타 등이 출연하며 액션 연출에 대한 호평과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동사서독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東邪西毒 (Dōng Xié, Xī Dú, Dung1 Ce4 Sai1 Duk6)
영어 제목Ashes of Time
한국어 제목동사서독
감독왕가위
제작왕가위, 제프리 라우, Jacky Pang
각본왕가위
원작김용
출연장국영, 양가휘, 임청하, 양조위, 유가령, 양채니, 장학우, 장만옥
음악프랭키 찬, Roel A. Garcia
촬영크리스토퍼 도일, Pun-Leung Kwan
편집Hai Kit-wai, Kwong Chi-leung, 장숙평, 담가명
제작사Jet Tone Productions, Beijing Film Studio, Tsui Siu Ming Production, Scholar Films, Pony Canon Inc.
배급사Newport Entertainment (HK), HKFM (US), 비터즈 엔드, 아스믹 에이스
개봉일1994년 9월 17일 (홍콩), 1995년 11월 18일 (한국), 1996년 9월 28일 (일본)
상영 시간100분 (오리지널), 93분 (리덕스), 94분 (종극판)
국가홍콩
언어광둥어, 표준 중국어
제작비HK$40,000,000 (추정)
흥행 수익HK$9,023,583 (홍콩), US$1,912,490 (리덕스)
관련 작품
액션 지도홍금보
종극판 (Ashes of Time Redux)
감독왕가위

2. 제작 배경 및 과정

왕가위 감독은 1960년대 호금전 감독의 《대취협》을 보고 무협 영화의 예술성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이후 무협 문화에 심취하며 성장했다.[4] 1972년 이소룡의 《맹룡과강》이 강호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린 이후[4], 1990년대 중반 무협 영화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을 때, 왕가위는 김용의 유명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의 등장인물들을 모티브로 삼아 기존과는 다른 독특한 무협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4]

영화는 《사조영웅전》의 프리퀄 성격을 띠며, 주요 등장인물인 황약사(동사), 구양봉(서독), 홍칠공(북개) 등의 젊은 시절을 왕가위 감독의 상상력으로 새롭게 그려냈다. 원작 소설의 설정을 차용하면서도 인물 관계나 사건 전개는 감독의 독창적인 해석을 통해 재창조되었다. 특히 원작의 주요 악역인 구양봉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의 인간적인 면모와 이루지 못한 사랑에서 비롯된 고뇌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예를 들어, 원작에서 금기시되는 구양봉과 그의 올케 사이의 관계는 영화에서 비극적이지만 진실한 사랑으로 묘사되며, 이는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가 된다.

제작 초기에는 장국영, 양가휘, 임청하, 양조위, 장만옥, 장학우, 유가령 등 당대 홍콩의 톱스타들이 대거 캐스팅되어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촬영이 길어지고 제작비가 예상보다 크게 불어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제작자 유진강과 왕가위 감독은 같은 배우와 스태프를 활용하여 코미디 영화 《동성서취》를 급히 제작했다.[5]동성서취》는 불과 8일 만에 촬영을 마치고 1993년 2월 5일 먼저 개봉하여 2300만홍콩 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리며 성공을 거두었다. 반면, 《동사서독》은 제작 지연 끝에 1994년 9월 17일에야 개봉되었고, 900만홍콩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흥행에는 실패했다. 영화의 난해함 때문에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평가가 엇갈렸으며, 홍콩 영화계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13]

'''주요 수상 내역'''
시상식부문수상자/작품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1994)금사자상 (촬영상)두가풍
제14회 홍콩 영화 금상장촬영상두가풍
제14회 홍콩 영화 금상장미술상장숙평
제31회 금마장촬영상두가풍
제31회 금마장편집상해걸위, 담가명



한편, 이 영화는 임청하의 100번째 출연작이었으며, 그녀는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결혼과 함께 잠정 은퇴했다. 또한 왕조현과 엽온의도 촬영에 참여했으나, 최종 편집 과정에서 출연 분량이 모두 삭제되었다. (두 배우는 대신 《동성서취》에 출연했다.)

왕가위 감독은 개봉 이후에도 영화의 완성도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꾸준히 재편집 작업을 진행했다. 결국 2008년, 전 세계에 흩어져 있던 필름들을 모아 영상과 음악을 보강하고 상영 시간도 100분에서 93분으로 줄인 《'''동사서독 리덕스'''》 버전을 완성하여 칸 국제 영화제에서 공개했다.[6][7]

2. 1. 제목의 의미

한국어 제목 '동사서독(東邪西毒)'은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인 '동사(東邪)' 황약사와 '서독(西毒)' 구양봉의 별호를 합쳐 만든 것이다. 직역하면 '동쪽의 사악한 인물과 서쪽의 악독한 인물'이라는 뜻이다. 이 별호들은 김용의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에서 유래했다.

영어 제목 'Ashes of Time'은 직역하면 '시간의 재'라는 뜻으로, 영화 전반에 흐르는 허무함, 시간의 흐름 속에 남겨진 상처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3. 등장인물


  • 구양봉 (서독) (장국영): 서역 사막에서 암살 중개업을 하는 인물. 김용의 소설 ''사조영웅전''에 등장하는 주요 악역 구양봉의 젊은 시절을 인간적으로 조명하며, 그가 악당으로 변모하게 된 배경을 그린다.[2][3] 냉소적이고 고독하며, 과거 사랑했던 형수에 대한 깊은 상처를 안고 있다. 매년 봄 친구 황약사가 찾아오지만, 그가 가져온 '취생몽사'라는 술 마시기를 거부한다. 과거 형수에게 전하지 못한 말을 모용연에게 대신 전하기도 한다. 형수의 죽음을 알게 된 후 사막의 거처를 불태우고 고향 백타산으로 돌아가 '서독'이라 불리게 된다.
  • 황약사 (동사) (양가휘): 구양봉의 친구로 매년 봄 그를 찾아온다. '취생몽사'라는, 마시면 괴로운 과거를 잊게 되는 술을 가져와 마시고 여러 기억을 잊는다. 과거 모용연에게 여동생이 있다면 아내로 삼겠다는 농담을 했지만,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아 그녀에게 상처를 준다. 맹인 검객의 아내 도화와 부적절한 관계라는 의심을 받기도 한다. 구양봉의 형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그녀의 속마음과 불치병을 알게 되지만, 형수의 부탁으로 구양봉에게는 비밀로 한다. 형수의 죽음 후 도화도로 은퇴하여 '동사'라 칭하게 된다.
  • 모용언/모용연 (독고구패) (임청하): 연국의 귀족으로, 남장(모용연)을 하고 생활한다. 황약사에게 배신당했다고 생각하여 광기에 사로잡힌다. 남장 모습인 모용연과 본래 모습인 모용언, 두 모습으로 구양봉을 찾아가 각각 황약사와 모용연의 암살을 의뢰한다. 구양봉은 그녀가 애증으로 고통받는 동일 인물임을 간파한다. 구양봉이 건넨 '취생몽사'를 마시고 취한 상태에서 구양봉을 황약사로 착각하고 사랑을 고백한다. 이후 자취를 감추고 수련을 통해 훗날 독고구패라는 무적의 검객이 된다.
  • 맹무살수 (양조위): 시력을 잃어가는 떠돌이 검객. 황약사의 옛 친구이기도 하다. 아내 도화와 황약사의 관계를 의심하여 고향 도화도를 떠나 방랑길에 오른다. 30세가 되면 완전히 실명할 운명으로, 고향에 돌아갈 여비를 마련하기 위해 구양봉에게 의뢰를 받아 마적단과 싸운다. 마적단과의 첫 싸움에서는 승리하지만, 복수하러 온 마적단과의 결전 중 시력을 완전히 잃고 죽음을 맞는다. 죽기 직전 구양봉에게, 자신이 죽거든 황약사에게 도화도에서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고 전해달라는 유언을 남긴다.
  • 도화 (유가령): 맹무살수의 아내. 남편이 황약사와의 관계를 의심하고 떠난 뒤, 홀로 도화도에 남아 남편의 애마를 돌본다. 섬에는 복숭아나무가 없으며, '도화'는 그녀의 이름이다. 구양봉이 찾아와 남편의 유품인 수건을 건네자, 말없이 눈물을 흘리며 남편의 죽음을 직감한다.
  • 완사녀 (양채니): 가난한 소녀. 동생의 원수를 갚고자 달걀과 당나귀 한 마리를 가지고 구양봉에게 암살을 의뢰하지만 거절당한다. 맹무살수에게도 도움을 거절당하고, 그가 죽기 전 충동적으로 입을 맞추자 모욕감에 눈물을 흘리며 모래를 뿌린다. 이후 홍칠공에게 달걀을 주고 복수를 의뢰하여 마침내 원수를 갚는다.
  • 홍칠공 (북개) (장학우): 맨발의 젊은 무사. 강호에서 명성을 떨치려는 야망을 품고 구양봉의 암살 중개 일을 돕기 위해 찾아온다. 구양봉에게서 검술의 요령을 배운다. 자신을 찾아온 아내를 처음에는 차갑게 대하지만, 완사녀의 복수를 대신해주다 손가락 하나를 잃은 후, 강호의 관습을 깨고 아내와 함께 새로운 길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훗날 '북개'가 되어 구양봉과 대결할 운명을 맞는다.
  • 구양봉의 형수 (장만옥): 구양봉이 유일하게 사랑했던 여인. 구양봉이 무술 수행을 위해 집을 떠난 사이, 그를 길러준 형과 혼인한다. 혼례식 날 밤 구양봉의 강권적인 애정 표현을 거부했고, 이는 구양봉이 실의에 빠져 고향을 등지는 계기가 된다. 아들을 낳지만 깊은 마음의 병을 앓는다. 황약사에게 구양봉이 끝내 사랑한다는 말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와 함께하지 못했다고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불치병을 앓아 시한부 인생을 살다가 어린 아들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다. 그녀의 죽음은 황약사가 속세를 떠나 은둔하고, 구양봉이 과거의 상처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4. 줄거리

12세기 남송 말기, 서역의 사막에서 암살 중개업을 하며 살아가는 구양봉(장국영)에게는 매년 봄마다 친구 황약사(양가휘)가 찾아온다. 어느 해 봄, 황약사는 '취생몽사'라는 술을 가져온다. 이 술은 마시면 괴로운 과거를 잊을 수 있다고 하지만, 구양봉은 잊고 싶지 않은 기억 때문에 마시기를 거부한다. 황약사는 홀로 그 술을 마시고 여러 기억을 잊어간다.

과거 황약사는 연국을 방문하여 아름다운 귀공자, 모용연(임청하)과 우정을 쌓았다. 술김에 황약사는 "네게 여동생이 있다면 아내로 삼고 싶다"고 말했는데, 사실 모용연은 남자로 행세해야 했던 여자였다. 여동생 '모용언'의 모습으로 약속 장소에서 황약사를 기다렸지만 그는 나타나지 않았고, 배신감에 사로잡힌 그녀는 점차 광기에 빠져든다. 그녀는 구양봉을 찾아와 처음에는 오빠 모용연의 모습으로 여동생의 원수로서 황약사의 암살을 의뢰하고, 다음에는 여동생 모용언의 모습으로 오빠의 암살을 의뢰한다. 구양봉은 그녀가 사랑과 증오 사이에서 괴로워하는 한 인물임을 눈치챈다. 구양봉은 모용연에게 황약사가 두고 간 취생몽사를 마시게 하고, 술에 취해 황약사와 구양봉을 구분하지 못하는 그녀에게 과거 자신이 형수에게 전하지 못했던 말을 건넨다. 그날 밤 이후 모용연/모용언은 사라지고, 훗날 홀로 무예를 연마하여 독고구패라는 이름으로 강호에 알려지게 된다.

어느 날, 초라한 차림의 소녀(양채니)가 달걀 바구니와 나귀를 끌고 구양봉을 찾아와 동생의 원수를 갚아달라고 애원하지만, 구양봉은 냉정하게 거절한다. 소녀는 그의 거처 주변을 떠나지 않고 머문다.

얼마 후, 일거리를 찾는 검객(양조위)이 구양봉에게 찾아온다. 그는 황약사의 친구였으나, 아내(유가령)와 황약사의 관계를 의심하여 고향 도화도에 아내를 홀로 남겨두고 떠돌고 있었다. 구양봉은 그에게 마적단 처리 일을 맡긴다. 검객은 30살이 되면 완전히 시력을 잃게 될 운명이었고, 이미 시력이 악화된 상태였다. 그는 고향 도화도로 돌아갈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싸움에 나선다. 마적단을 물리치지만, 살아남은 마적에게 복수를 당해 죽음을 맞이한다. 죽기 전, 그는 구양봉에게 "만약 내가 죽으면, 황약사에게 도화도에서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고 전해달라"는 말을 남긴다. 그의 아내 '도화'는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며 도화도에서 말을 돌본다. 구양봉이 찾아가 남편의 유품을 전하자, 그녀는 말없이 눈물만 흘린다. 사실 도화도에는 복숭아나무가 없었고, '도화'는 그녀의 이름이었다.

맨발의 홍칠(장학우)이라는 젊은이가 구양봉을 찾아와 그의 밑에서 일하며 강호에 이름을 떨치고 싶어 한다. 구양봉은 그에게 싸움의 기술을 가르친다. 홍칠은 동생의 복수를 원하는 소녀의 의뢰를 달걀 한 바구니와 맞바꿔 검객 무리와 싸우지만, 싸움 도중 방심하여 손가락 하나를 잃는다. 홍칠은 자신을 간호하는 아내(백려)와 함께 강호의 관습을 깨고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기로 결심한다. 훗날 그는 북개라 불리며 이름을 떨치게 된다.

구양봉에게도 잊을 수 없는 과거가 있다. 그는 젊은 시절 유일하게 사랑했던 여인(장만옥)이 있었지만, 그녀는 그를 키워준 형과 혼인하게 된다. 구양봉은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지 못했고, 거절당할 것이 두려워 고향 백타산을 떠나 사막으로 왔다. 형수는 아들을 낳고 살아가지만, 구양봉을 잊지 못한다. 그녀는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황약사에게 "그가 사랑한다고 말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함께하지 못했다고 털어놓는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구양봉은 형수가 불치병으로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편지로 받게 된다.

가장 사랑했던 여인의 죽음을 알게 된 구양봉은 마침내 황약사가 가져왔던 '취생몽사'를 마신다. 하지만 그는 아무것도 잊지 못한다. "무언가를 잊으려 할수록, 더욱 선명하게 기억나는 법이다"라고 독백하며, 거절당하는 것이 두려워 먼저 상대를 거절하며 살아온 자신의 삶을 깨닫는다. 그는 사막의 거처를 불태우고 형수가 없는 고향 백타산으로 돌아간다. 이후 그는 스스로 서쪽의 패왕이라 칭하며 '서독'이라 불리게 된다.

5. 주제와 해석

이 영화는 소설 ''사조영웅전''의 등장인물인 구양봉의 젊은 시절을 다루면서, 원작의 주요 악역이었던 그를 인간적으로 조명하고 그가 악당으로 변모하게 된 배경을 탐구한다.[14] 특히 원작 소설에서 금기시되었던 구양봉과 올케(형수)의 관계를 영화에서는 진정한 사랑으로 묘사하며, 그녀를 향한 구양봉의 갈망은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로 작용한다.

영화는 "깃발은 움직이지 않고, 바람도 움직이지 않으니, 이는 사람의 마음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다"라는 불교 경전 구절을 인용하며[14], 인물들의 내면적 갈등과 번뇌가 이야기의 핵심임을 암시한다.

영화 속 '취생몽사'라는 술은 고통스러운 기억을 잊게 해주는 상징적인 장치로 등장한다. 황약사는 이 술을 마시고 과거를 잊으려 하지만, 구양봉은 처음에는 잊고 싶지 않은 기억 때문에 거부하고, 나중에는 술을 마셔도 잊을 수 없음을 깨닫는다. 이는 '무언가를 잊으려 할수록 마음에 남는 법이다'라는 구양봉의 독백처럼, 망각이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기억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양봉, 황약사, 모용연/모용언(독고구패), 눈 먼 검객, 홍칠, 그리고 구양봉의 형수 등 주요 등장인물들은 각자 사랑과 욕망, 상실과 후회, 기억과 망각이라는 보편적인 감정 속에서 고뇌한다. 이들의 엇갈린 관계와 비극적인 운명은 무협의 외피 아래 인간 내면의 복잡성과 삶의 허무함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특히 구양봉은 마지막에 이르러 '거절당하고 싶지 않다면 먼저 거절하는 것'이 자신의 방식이 되었음을 깨닫고, 이로 인해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고독하게 살아갈 운명임을 받아들인다. 이는 그의 냉소적인 태도와 행동 이면에 숨겨진 깊은 상처와 두려움을 보여주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6. 평가 및 영향

영화 개봉 당시 홍콩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비평가들은 이야기가 너무 난해하여 줄거리를 따라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9] 왕가위 감독은 무협 영화 장르에서는 이례적으로 주인공들의 화려한 무술 실력보다는 복잡한 내면 심리 묘사에 집중했는데, 이는 기존 무협 영화 팬들에게 낯설게 다가왔다.[9] 이로 인해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영화에 대한 열띤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13]

뉴욕 타임스의 로렌스 반 젤더 역시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그는 "은유를 찾는 사람들에게 '동사서독'은 시각의 환상뿐만 아니라 눈을 제시한다. 한 등장인물은 거의 장님이다. 또 다른 검객은 끔찍한 전투 중에 눈이 멀게 된다. 음과 양, 즉 한 사람은 남자로, 다른 사람은 그의 여동생으로 표현되는데, 이들은 동일하다. 그리고 자신의 반사된 모습에 맞서 기술을 연마하는 전설적인 검객이 잠시 등장한다."라고 언급하며 영화의 상징성을 분석했다. 또한 "전투를 찾는 사람들에게 '동사서독'은 때때로 흐릿한 액션, 날아다니는 인물의 잔상, 번쩍이는 칼날, 그리고 드물게 붉은 물감들이 급하게 그려진 수묵화처럼 스크린을 가득 채운다."라고 묘사하며, "지혜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사서독'은 험난한 여정을 거쳐야 한다."라고 덧붙여 영화의 난해함을 시사했다.[10]

장국영, 양가휘, 임청하, 양조위, 장만옥, 장학우, 유가령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했음에도 불구하고, 난해한 스토리 때문에 흥행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홍콩에서의 최종 흥행 수입은 900만홍콩 달러에 그쳤다.[13]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동사서독》은 왕가위 감독 특유의 미장센과 철학적인 주제 의식을 인정받아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영화는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상식연도부문수상자/작품
홍콩 영화 금상장1995최우수 촬영상크리스토퍼 도일
최우수 미술상장숙평
최우수 의상 및 분장 디자인장숙평
금마장1994최우수 촬영상크리스토퍼 도일
최우수 편집상담가명, 개걸위
홍콩 영화 평론가 협회상1995최우수 작품상《동사서독》
최우수 감독상왕가위
최우수 남우주연상장국영
최우수 각본상왕가위
베니스 국제 영화제1994최우수 촬영상크리스토퍼 도일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1997최우수 아시아 영화3위



이 외에도 1995년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는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왕가위), 액션 안무상(홍금보), 편집상(담가명, 개걸위), 오리지널 스코어(진훈기), 각본상(왕가위) 후보에 올랐으며, 1994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는 황금사자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배우 임청하에게는 이 작품이 개인 통산 100번째 출연작이었으며, 이후 결혼을 계기로 잠시 연기 활동을 중단했다. 한편, 왕조현과 엽온의도 촬영에 참여했으나 최종 편집 과정에서 출연 분량이 모두 삭제되었다(두 배우는 대신 같은 시기 촬영된 코미디 영화 《동성서취》에 출연했다).[13]

2008년에는 왕가위 감독이 직접 재편집한 《'''동사서독 리덕스'''》(東邪西毒:終極版|동사서독: 종극판중국어, Ashes of Time Redux) 버전이 공개되었다. 이 버전은 원본 필름 보존 문제로 인해 왕가위 감독이 1997년 필름을 회수한 것을 계기로 제작되었으며, 2006년부터 재편집 소문이 돌았다. 리덕스 버전에서는 프랭키 첸과 Roel A. García가 작업한 원본 음악 일부를 요요 마의 첼로 연주로 교체하고[8], 장국영의 등장 장면을 늘리는 대신 양조위의 검투 장면 일부를 축소했다. 또한 오프닝과 엔딩 장면을 수정하여 스토리의 흐름을 좀 더 명확하게 만들었다. 리덕스 버전을 통해 양조위가 연기한 검객을 쓰러뜨린 마적단의 고수 역이 당시 액션 감독이었던 홍금보가 발탁한 배우 콜린 초였음이 확인되기도 했다.

《동사서독 리덕스》는 2008년 제61회 칸 영화제에서 특별 초청작으로 상영되었으며, 오랫동안 영화를 접하기 어려웠던 중국 본토에서도 2009년 3월 27일부터 정식 개봉되었다. 같은 해 홍콩 국제 영화제에서도 상영되었다.

리덕스 버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87개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78%의 신선도 지수와 평균 6.80/10점의 평점을 기록했으며, "원본에서 약간의 변화를 주었으며, 따라가기 어려울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는 여전히 만족스럽다"는 총평을 남겼다.[11] 메타크리틱에서는 2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69점을 부여하며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generally favorable reviews)"를 받았음을 나타냈다.[12]

7. 한국과의 관계

1999년 MBC에서 한국어 더빙판으로 방영되었으며, 주요 성우진은 다음과 같다.

한국 성우배역원 배우
안지환구양봉 / 서독장국영
최원형황약사 / 동사양가휘
황윤걸맹인무사양조위
박선영자애인장만옥
엄현정모용언 / 모용연임청하
박영희완사녀양채니
이윤연홍칠공장학우
김아영도화삼랑유가령
이상범
김지영


참조

[1] 웹사이트 Ashes of Time Redux https://boxofficemoj[...] 2011-07-22
[2] 웹사이트 Ashes of Time at HKMDB http://hkmdb.com/db/[...]
[3] 웹사이트 Ashes of Time at chinesemov.com http://chinesemov.co[...]
[4] 서적 A Companion to Wong Kar-wai: Nochimson/Companion http://doi.wiley.com[...] John Wiley & Sons, Inc. 2015-11-05
[5] 웹사이트 Eagle Shooting Heroes, The (1993) Review https://cityonfire.c[...] 2024-03-12
[6] 웹사이트 The Perfect Storm: Wong Kar-wai's "Ashes of Time Redux" https://www.indiewir[...] 2024-03-12
[7] 웹사이트 'Ashes Of Time Redux': Sumptuous All Over Again https://www.npr.org/[...] 2024-03-12
[8] 뉴스 'Ashes of Time Redux' stars Tony Leung Chiu Wai, Brigitte Lin https://www.chicagot[...] 2008-11-14
[9] 웹사이트 How Wong Kar-wai's Ashes of Time became a Hong Kong classic https://www.scmp.com[...] 2022-04-20
[10] 뉴스 Film Review: Pain of an Aging Warrior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96-05-17
[11] 웹사이트 Ashes of Time Redux (2008) https://www.rottento[...] Fandango 2020-09-22
[12] 웹사이트 Dung che sai duk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0-09-22
[13] 서적 ウォン・カーウァイ―期待の映像作家シリーズ (キネ旬ムック―フィルムメーカーズ) キネマ旬報社 2001-03-01
[14] 문서 『六祖壇経|六祖大師法寶壇經』に「遂出至廣州法性寺。値印宗法師講涅槃經。時有風吹旛動。僧曰風動。一僧曰旛動。議論不已。惠能進曰。不是風動。不是旛動。仁者心動。」とある。(大正新修大蔵経 T2008_.48.0349c10 -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