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샨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샨타는 고대 인도 문학에 등장하는 인물로, 여러 형태로 이름이 불리며, 푸루 왕조의 왕이다. 그는 샤쿤탈라와 결혼하여 아들 바라타를 낳았으며, 바라타는 인도의 전설적인 황제가 된다. 두샨타의 이야기는 『마하바라타』, 『아비즈냐나샤쿤탈람』 등 다양한 문헌에서 다루어지며, 힌두교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신화의 왕 - 바라타
    전설적인 고대 인도 왕 바라타는 두샨타 왕과 샤쿤탈라 왕비의 아들이며, 그의 이름을 따 인도 아대륙이 불리게 되었고,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인 카우라바와 판다바는 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 힌두 신화의 왕 - 야두
    야두는 마하바라타와 비슈누 푸라나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버지의 저주를 거부하여 왕위 계승의 저주를 받았으며 야두밤샤 왕조를 세웠다.
  • 달 왕조 - 야다브
    야다브는 인도에 분포하는 여러 지역 공동체의 총칭으로, 기원은 고대 야다바 또는 아비라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전통적으로 목축과 낙농업에 종사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크리슈나 신화와 관련이 깊으며,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고,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해왔으며, 네팔에도 상당한 인구가 있다.
  • 달 왕조 - 동찰루키아 왕조
    동찰루키아 왕조는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데칸 동부 벵기 지역을 통치한 왕조로, 바다미 찰루키아의 총독에서 독립하여 힌두 철학 기반 왕정 체제를 유지하며 텔루구 문학 발전과 사원 건축을 장려했다.
  • 힌두 신화의 인물 - 히마바트
    히마바트는 힌두교 경전에서 히말라야 산맥을 의인화한 신으로, 강가와 파르바티의 아버지이며 마이나바티 또는 스바다를 아내로 두고, 그의 이야기는 여러 경전에 언급된다.
  • 힌두 신화의 인물 - 수라파드마
    수라파드마는 힌두 신화에 등장하는 아수라로, 시바에게 받은 은총으로 강력해져 세상을 정복하려 했지만 무루간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공작으로 변하며, 그의 죽음은 수라삼하람으로 기념된다.
두샨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두샨타
로마자 표기Duṣyanta
다른 표기"" (로마자 표기: Duḥṣanta)
"" (로마자 표기: Duṣyanta)
"" (로마자 표기: Duṣmanta)
두샨타 왕이 샤쿤탈라에게 반지와 함께 결혼을 제안하는 모습. R. 바르마의 크로모리토그래프.
두샨타 왕이 샤쿤탈라에게 반지와 함께 결혼을 제안하는 모습. R. 바르마의 크로모리토그래프.
가족 관계
아버지일린/산투로드하
어머니라탄타리/우파다나비
배우자샤쿤탈라
자녀바라타 (샤쿤탈라와의 사이에서)
형제자매수슈만타/수라
프라비라/비마
아나가/프라바수
바수
신화 정보
유형힌두교 신
관련 텍스트마하바라타
통치 정보
작위삼랏 (황제)
후계자바라타
왕조찬드라밤사

2. 명칭

모니엘 모니엘-윌리엄스는 두샨타 외에 duṣmanta|두슈만타sa, duṣyanta|두샨타sa, duṣvanta|두슈반타sa, duḥṣvanta|두흐슈반타sa의 4가지 형태를 언급했다.[11] 파지터에 따르면, 아마도 프라크리트어에서 두샨타(Duṣṣanta|두슈샨타sa) 또는 두산타(Dussanta|두싼타sa)와 같은 형태로 전해져 왔으며, 이에 대응하는 산스크리트 형태가 복수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복잡하게 되었다고 한다.[12]

팔리어 불전에서는 '''두산타'''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출라밤사』 64.44에 나타난다.[13]

3. 가계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두샨타는 일린과 라탄티의 아들이며, 각각 일리나와 라탄타라로도 불린다.[2] 장자 상속에 따라, 두샨타는 형제인 수라, 비마, 프라바슈, 바수 중 맏이이므로 하스티나푸라의 왕위를 계승한다.

『마하바라타』 제1권의 계보에 따르면, 푸루족의 리체유의 아들이 마티나라, 마티나라의 아들이 탄수, 탄수의 아들이 일리나이며, 일리나의 장남이 두쉬얀타라고 한다.[14]

푸라나 문헌에서도 마티나라의 자손이라는 점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계보는 『마하바라타』와 다르고, 푸라나 문헌끼리도 차이가 있다. 『아그니 푸라나』 278장에서는 마티나라의 아들로 탄스로다와 프라티라타 등이 있으며, 탄스로다의 아들이 두쉬얀타, 프라티라타의 아들이 칸바라고 한다.[15] 『하리밤샤』에서도 마찬가지로 마티나라의 아들로 탄스와 프라티라타 등이 있다고 하지만, 두쉬얀타는 탄스의 손자(스로다의 아들)라고 한다.[16]

4. 전설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두샨타는 일린과 라탄티의 아들이며, 형제들 중 맏이로 장자 상속에 따라 하스티나푸라의 왕위를 계승했다.[2] 그의 이름은 브라흐마나에서 바라타의 부칭으로 처음 등장한다.[17][18]

두샨타가 샤쿤탈라와 그녀의 두 친구를 만나는 모습

4. 1.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두샨타 왕은 숲에서 사냥을 하다가 화살로 새끼 사슴을 맞혔다. 새끼 사슴은 칸바 현자의 아쉬람으로 도망쳤고, 왕은 그 뒤를 쫓았다. 아쉬람에서 두샨타는 샤쿤탈라와 그녀의 두 친구 아나수야, 프리얌바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칸바 현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간다르바 의식에 따라 결혼했고, 샤쿤탈라는 임신했다. 왕은 그녀에게 자신의 인장을 주고 궁으로 떠났다.[3]

두샨타가 떠난 후, 샤쿤탈라는 상심하여 두르바사가 아쉬람에 온 것을 몰랐다. 두르바사는 그녀가 자신을 무시했다고 여겨, 그녀가 생각하는 남자에게 잊혀지는 저주를 내렸다. 칸바가 돌아와 이 사실을 알고 샤쿤탈라를 두샨타의 궁으로 보냈지만, 저주 때문에 두샨타는 그녀를 알아보지 못했다. 샤쿤탈라는 아쉬람으로 돌아갔고, 어머니 메나카는 그녀를 카샤파의 아쉬람으로 데려갔다. 샤쿤탈라는 아들(바라타)을 낳았고, 그는 용감하게 자라 카샤파에게 사르바다마나(모든 것을 정복하는 자)라는 이름을 얻었다.[3]

시간이 흘러 두샨타는 인드라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샤쿤탈라를 만나 그녀를 알아보고 아들과 함께 궁으로 데려갔다. 이 소년은 자라서 바라타가 되었고, 세계를 정복했다. 바라타는 27,000년 동안 통치했고, 그가 확장한 왕국은 그를 기려 바라타라고 불리게 되었다.[3][4]

바라타 (사르바다마나), 두샨타와 샤쿤탈라의 아들. 라자 라비 바르마의 그림.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두샨타는 숲에서 사슴을 쫓다가 고행자를 만나 칸바의 아슈라마를 방문하게 되었다. 그는 칸바의 양녀 샤쿤탈라에게 반했고, 그녀가 전사 혈통임을 알게 되었다. 둘은 간다르바 의식으로 결혼했고, 왕은 수도로 떠나며 아내에게 자신을 호위할 경비를 보내겠다고 약속했다.[5][6]

홀로 있던 샤쿤탈라는 두르바사에게 환대를 소홀히 하여 저주를 받았다. 아나수야가 용서를 구하자 두르바사는 인정의 토큰을 제시하면 남편이 그녀를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칸바는 결혼에 동의했고, 저주로 두샨타는 샤쿤탈라를 잊었다. 샤쿤탈라가 임신하자 칸바는 그녀를 남편에게 보냈지만, 두샨타는 그녀를 알아보지 못했다. 샤쿤탈라는 반지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슬픔에 잠긴 그녀는 압사라에게 이끌려 갔다. 후에 어부가 물고기 안에서 반지를 발견했고, 두샨타는 반지를 보고 기억을 되찾았다. 뉘우치는 두샨타는 인다라의 도움 요청에 참여했다.[7][8]

전쟁에서 승리한 두샨타는 카시야파의 아슈라마에서 자신과 똑같은 소년 바라타를 만났다. 그는 바라타가 푸루 혈통이며 샤쿤탈라의 아들임을 알게 되었다. 샤쿤탈라가 나타나 부부는 화해했다. 카시야파는 저주를 설명하고 두샨타의 잘못이 아님을 확신시켰다. 부부와 아들은 하스티나푸라로 돌아갔다.[9][10]

마하바라타』 제1권에 따르면, 두샨타는 칸바 선인의 암자에서 샤쿤탈라와 간다르바 혼(당사자만의 연애 결혼)을 했다. 두샨타가 떠난 후 샤쿤탈라는 아들을 낳았고, 6세가 되었을 때 왕궁을 방문했지만 두샨타는 아들을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하늘의 목소리가 샤쿤탈라의 정당함을 알렸기 때문에 두샨타는 아들을 인지하고 바라타라고 이름 짓고 후계자로 삼았다.[19]

4. 2. 아비즈냐나샤쿤탈람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두샨타 왕은 숲에서 사냥을 하다가 화살로 새끼 사슴을 맞혔는데, 새끼 사슴은 칸바 현자의 아쉬람으로 도망쳤다. 왕은 그 뒤를 쫓아 아쉬람에 도착하여 샤쿤탈라와 그녀의 두 친구인 아나수야와 프리얌바다를 만났다. 두샨타와 샤쿤탈라는 서로 사랑에 빠져 간다르바 의식에 따라 결혼했고, 샤쿤탈라는 곧 임신했다. 왕은 그녀에게 자신의 인장을 건네주고 궁으로 떠났다.[3]

두샨타가 떠난 후, 샤쿤탈라는 상심했고 두르바사가 아쉬람에 온 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두르바사는 그녀가 자신을 무시했다고 여겨 그녀가 생각하고 있는 남자에게 잊혀지는 저주를 내렸다. 칸바가 돌아와 이 사실을 알고 샤쿤탈라를 두샨타의 궁으로 보냈지만, 저주 때문에 두샨타는 그녀를 알아보지 못했다. 샤쿤탈라는 슬퍼하며 아쉬람으로 돌아갔고, 그녀의 어머니 메나카는 그녀를 카샤파의 아쉬람으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샤쿤탈라는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용감하게 자라 사르바다마나(모든 것을 정복하는 자)라고 불렸다.[3]

시간이 흘러 두샨타는 인드라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샤쿤탈라를 만나 그녀를 알아보고 그녀와 아들을 궁으로 데려갔다. 이 소년은 자라서 바라타가 되었고, 세계를 정복했다. 바라타는 27,000년 동안 통치했으며, 그가 확장한 왕국은 그를 기려 바라타라고 불리게 되었다.[3][4]

다른 이야기에서는, 여름 동안 두샨타 왕은 숲에서 사슴을 쫓다가 고행자를 만났고, 고행자는 그 사슴이 칸바의 아슈라마에 속하며 죽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두샨타는 사슴을 죽이지 않기로 하고 아슈라마를 방문했다. 그는 칸바의 양녀인 샤쿤탈라에게 반했고, 그녀가 비슈바미트라와 메나카의 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은 간다르바 의식에 따라 결혼했고, 왕은 수도로 떠나며 아내에게 자신을 궁궐로 호위할 경비를 보낼 것이라고 약속했다.[5][6]

샤쿤탈라는 남편 생각에 잠겨 두르바사에게 적절한 환대를 하지 못했고, 두르바사는 그녀에게 저주를 내려 그녀가 생각하는 남자가 그녀를 기억하지 못하게 했다. 아나수야는 친구를 변호하고 용서를 구했다. 두르바사는 저주를 완화하여 인정의 토큰을 제시하면 남자가 그녀를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칸바는 결혼에 동의했고, 저주가 효력을 발휘하여 두샨타는 샤쿤탈라에 대한 기억을 잃었다. 샤쿤탈라가 임신하자 칸바는 그녀를 남편에게 보냈다. 왕궁에서 두샨타는 샤쿤탈라를 알아보지 못했고, 샤쿤탈라는 왕이 준 반지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슬픔에 잠긴 샤쿤탈라는 압사라에게 이끌려 갔다. 잠시 후, 샤쿤탈라의 반지가 물고기 안에서 발견되었고, 두샨타는 반지를 보고 기억을 되찾았다. 마탈리, 인다라의 마부는 데바아수라와의 전쟁을 돕기 위해 두샨타를 불렀다. 두샨타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인드라로부터 영예를 받았다.[7][8]

마탈리는 왕을 지구로 호송했고, 두 사람은 카시야파(마리차라고도 함)의 아슈라마에 내려 경의를 표했다. 왕은 사자 새끼와 놀고 있는 자신과 똑같은 소년인 바라타를 만났고, 그가 푸루의 혈통이며 샤쿤탈라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샤쿤탈라가 나타나 부부는 화해했다. 카시야파는 두샨타에게 저주의 본질을 설명하고 아내에 대한 기억을 잃은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니라고 확신시켰다. 그는 부부에게 축복을 내렸다. 함께, 부부와 그들의 아들은 하스티나푸라로 돌아와 행복한 삶을 살았다.[9][10]

브라흐마나에서 두샨타의 이름은 바라타의 부칭으로 처음 등장한다.[17][18]

마하바라타』 제1권에 따르면, 두샨타는 칸바 선인의 암자를 방문했지만 칸바는 부재중이었고, 샤쿤탈라가 응대했다. 두샨타는 그녀와 간다르바 혼을 했다. 두샨타가 암자를 떠난 후 샤쿤탈라는 아들을 낳아 칸바의 교육을 받았다. 아이가 6세가 되었을 때 샤쿤탈라는 아이를 데리고 왕궁을 방문했지만, 두샨타는 아들을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하늘의 목소리가 샤쿤탈라의 정당함을 알렸기 때문에 두샨타는 아이가 자신의 아들임을 인지하고 바라타라고 이름 짓고 자신의 후계자로 삼았다.[19]

5. 투르바수족과의 관계 (푸라나 문헌)

몇몇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투르바수의 5대손인 마루타 왕에게는 아들이 없어 푸루족의 두샨타를 양자로 삼았다고 한다. 남인도판디아, 케랄라, 촐라, 크리야(코라)는 그의 자손이라고 한다.[20][21][22]

6. 힌두교 문화에 끼친 영향

두샨타 왕과 샤쿤탈라의 이야기는 힌두교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사랑, 운명, 책임에 대한 서사시이다. 이 이야기는 힌두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인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며,[5] 힌두교의 여러 신화와 전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두샨타 왕은 숲에서 사슴을 쫓다가 고행자 칸바의 아슈라마(수행처)에 도착하게 된다. 그곳에서 칸바의 양녀인 샤쿤탈라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되고, 간다르바 의식에 따라 결혼한다.[5][6] 그러나 샤쿤탈라는 현자 두르바사의 저주로 인해 두샨타 왕에게 잊혀지는 운명에 처한다.[7][8]

이후 샤쿤탈라가 잃어버린 반지를 통해 두샨타 왕의 기억이 돌아오고, 두 사람은 재회하여 아들 바라타와 함께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9][10] 이들의 아들인 바라타는 훗날 인도의 전설적인 왕이 되었고, 인도의 다른 이름인 '바라트'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두샨타와 샤쿤탈라의 이야기는 사랑과 이별, 그리고 재회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힌두교적인 가치관과 운명관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샤쿤탈라가 겪는 시련과 극복 과정은 힌두교에서 강조하는 다르마(의무)와 카르마(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Dushyanta, Duṣyanta: 11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2-06-29
[2] 웹사이트 Mahabharata, Adi Parva, Sambhava Parva http://www.sacred-te[...]
[3] 웹사이트 Story of Bharadvāja https://www.wisdomli[...] 2019-01-28
[4] 웹사이트 Story of Bharata https://www.wisdomli[...] 2019-01-28
[5] 서적 Abhijnana Shakuntalam Of Kalidasa M R Kale http://archive.org/d[...]
[6] 서적 Abhigyan Shakuntalam Of Kalidas With R. D. Karmarkar Chaukhamba Sanskrit Pratishthan Delhi http://archive.org/d[...]
[7] 서적 Abhijnana Shakuntalam Of Kalidasa M R Kale http://archive.org/d[...]
[8] 서적 Abhigyan Shakuntalam Of Kalidas With R. D. Karmarkar Chaukhamba Sanskrit Pratishthan Delhi http://archive.org/d[...]
[9] 서적 Abhijnana Shakuntalam Of Kalidasa M R Kale http://archive.org/d[...]
[10] 서적 Abhigyan Shakuntalam Of Kalidas With R. D. Karmarkar Chaukhamba Sanskrit Pratishthan Delhi http://archive.org/d[...]
[11] 서적 Sanskrit-English Dictionary
[12] 서적 Ancient Indian Historical Trad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Cūlavaṃsa, being the more recent part of the Mahāvaṃsa https://archive.org/[...] The Pali Text Society
[14] 간행물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XCIV https://www.sacred-t[...]
[15] 서적 The Agni Purāna Part III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6] 간행물 Harivamsha Purana: Book 1, Chapter 32 - An Account of Riceyu’s Family https://www.wisdomli[...]
[17] 서적 Rigveda Brahmanas: The Aitareya and Kauṣītaki Brāhmaṇas of the Rigved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Satapatha-brahmana: Kanda XIII, adhyaya 5, brahmana 4 https://www.wisdomli[...]
[19] 간행물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LXVIII https://www.sacred-t[...]
[20] 간행물 The Brahma Purana: Chapter 11 - Dynasty of Yayāti https://www.wisdomli[...]
[21] 간행물 The Brahmanda Purana: Section 3, Chapter 74 - Royal Dynasties https://www.wisdomli[...]
[22] 서적 The Vāyu Purāṇa Part II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23] 웹사이트 Mahabharata, Adi Parva, Sambhava Parva http://www.sacred-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