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충은 두충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학명은 Eucommia ulmoides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높이 20m까지 자란다. 잎은 타원형으로 잎맥에서 라텍스가 분비되어 고무로 사용된다.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시과이다. 두충의 껍질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잎으로 만든 두충차는 혈압 강하 및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두충은 천연 고무의 대체재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두충차가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충과 - 두충속
두충속은 두충과에 속하는 유일한 속으로, 낙엽성 나무이며 잎이 찢어지면 고무로 굳어지는 라텍스 가닥이 흘러나오고,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 1891년 기재된 식물 - 배초향
배초향(Agastache rugosa)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남부 지방에서는 '방아'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추어탕 등에 향신채로 사용되며, 한의학에서는 곽향이라 불리는 약재이자 관상용 및 향료로도 활용된다. - 1891년 기재된 식물 - 물꼬리풀
물꼬리풀은 일본, 대한민국, 중국,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습생식물로 습지나 논에서 서식하며, 8~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피고, 수족관에서 '옐로우 오란다 플랜트'로 유통되기도 한다. - 중국의 나무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중국의 나무 - 호두나무
호두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식용 견과인 호두를 생산하며, 은회색 수피와 깃꼴겹잎을 가지고, 가을에 녹색 껍질에 싸인 열매를 맺으며, 주글론을 함유하여 다른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목재, 염료 등으로 이용된다.
두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ucommia ulmoides |
명명자 | Oliv. |
한국어 이름 | 두충 |
상태 | 취약종 |
상태 기준 | IUCN3.1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목 | 가리아목 |
과 | 두충과 |
속 | 두충속 |
종 | 두충 |
기타 정보 | |
일본어 이름 | トチュウ (토추) |
로마자 표기 | Tochū |
멸종 위기 등급 (IUCN) | 취약 |
IUCN Red List | Eucommia ulmoides |
2. 이름
《본초강목》에 의하면 옛날에 성이 두씨이고 이름이 중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의 껍질과 잎을 차로 달여 먹고 도를 통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성과 이름을 따 나무의 이름을 두중(杜仲)이라고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두충의 한자는 팥배나무 두(杜)와 빌 충(沖)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이름에는 사선목, 선사선, 목면이 있다. 이 중 목면은 두충나무의 껍질을 채취하면 속에 목면 같은 은실이 있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9]
두충은 중국 원산의 나무로, 20년 정도면 높이 2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이다.
3. 특징
수피는 한방의 원료로 사용되며, 어린 잎은 차로 이용된다. 두충의 수피나 가지를 꺾거나 잎을 찢으면 흰색 유액이 나오는데, 이를 가타파차(구타페르카)라고 부르며, 천연 고무로 이용된다.[6] 두충은 추운 곳에서도 자라는 천연 고무를 얻을 수 있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원래 가타파차는 사포테과의 구타페르카 나무(''Palaquium gutta'')에서 채취하는 유액이지만, 두충의 유액도 그와 비슷하여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카페인이 들어 있지 않아 임산부나 어린이도 마실 수 있다.
3. 1. 생김새
두충은 높이가 20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진다. 잎의 길이는 5-16cm, 너비는 2-7cm이며 잎맥 위에는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cm 정도로 잔털이 있다. 암수딴그루이며 꽃은 4월 무렵에 핀다. 꽃뚜껑은 없으며 수꽃은 꽃자루와 4-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꽃자루가 있으며 새 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열매는 익과(翼果)로 편평한 긴타원형이고 날개가 있으며 날개와 더불어 대를 제외한 길이가 3cm 정도이다.[6]
잎은 낙엽성이며, 어긋나게 배열되고, 단순한 난형으로 점첨두를 가진다. 잎의 길이는 8–16cm이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잎이 찢어지면 잎맥에서 분비되는 라텍스 가닥이 굳어 고무가 되어 잎의 두 부분을 붙잡는다. 3월에서 5월 사이에 꽃이 핀다. 꽃은 눈에 띄지 않고 작으며 녹색을 띤다. 열매는 6월에서 11월까지 열리며, 날개가 달린 시과로 씨앗이 하나 들어 있으며, 외관상 느릅나무의 시과와 매우 유사하고, 길이는 2–3cm, 폭은 1–2cm이다.
암수딴그루이다. 잎은 느릅나무나 느티나무를 닮은 타원형이며, 꽃은 녹색을 띤 흰색이고, 열매는 시과이다. 20년 정도면 높이 20미터 정도로 성장한다.
3. 2. 분포
중국 대륙이 원산지이다.[6] 다른 ''두충'' 종의 화석은 유럽 중부의 1,000만~3,500만 년 된 갈탄 퇴적물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 속이 과거에 훨씬 더 넓은 분포 범위를 가졌음을 나타낸다.[3] 현재는 중국 외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유럽, 북아메리카 및 기타 지역의 식물원과 다른 정원에 심어지기도 한다.
3. 3. 분류
''두충''(학명: ''Eucommia ulmoides'')은 두충속의 유일한 현존 종이다. 두충속은 두충과(Eucommiaceae)의 유일한 속이며, 이전에는 별도의 목인 두충목(Eucommiales)으로 여겨졌다. "구타페르카 나무" 또는 "중국 고무나무"라고도 불리지만, 동남아시아의 진정한 구타페르카 나무나 남아메리카의 고무나무와는 관련이 없다.[6]
4. 용도
두충은 잎, 열매, 나무껍질에 2~7%의 구타페르카를 함유하고 있어 자르면 끈끈한 점질의 실이 나온다.
중국에서는 천연 고무 생산량 부족과 수요 증가로 인해 ''Eucommia ulmoides'' 검(EUG)을 천연 고무 제품의 대체재로 사용하여 탄성 재료를 제조하는 독특한 공정이 개발되었다. EUG는 천연 고무 생산에 사용되는 라텍스와 달리 중합체 trans-1,4-폴리이소프렌이므로, EUG로 만든 재료는 더 높은 탄성, 더 낮은 열가소성 온도 등 천연 고무와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두충은 한랭지에서도 자라는 천연 고무 산출 나무로 알려져 있다.[7]
4. 1. 전통 의학
두충나무의 껍질은 "두충"이라는 생약으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강장제, 관절염·류머티즘 진통제로 사용된다.[7] 허리 통증, 다리와 허리의 피로 해소, 잦은 배뇨, 간 및 신장 기능 강화,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잎을 달인 '''두충차'''에는 게니포시드산영어이 포함되어 혈압 강하 및 간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두충(杜仲중국어)은 중국 본초학에서 사용되는 50가지 기본 약초 중 하나이다.
1970년대 일본에서는 두충차 붐이 일었지만 곧 시들해졌다. 1987년 4월부터 히타치 조선인노시마 공장 바이오 기술부(1999년에 "히타치 조선 바이오"로 분사)가 캔, 페트병에 담긴 두충차를 제조·판매하기 시작했고[8], 1994년부터 1995년에 걸쳐 다시 주목을 받았다. 2006년 7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노시마산 두충차가 특집으로 다루어지면서 다시 붐이 일어나, 매장이나 인터넷 판매에서도 '인노시마 두충차'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도 했다. 현재는 고바야시 제약이 2003년에 두충차 사업을 양도받아 판매하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도 많지만, 일본 국내에서도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외에 나가노현 이나 지방과 아키타현 다이센시 구 나카센마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4. 2. 두충차
잎을 달인 '''두충차'''(杜沖茶)에는 게니포시드산영어이 포함되어 혈압 강하 및 간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단, 잎은 효능을 내세우지 않으면 식품으로 취급한다)[7]。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두충차 붐이 일었지만 곧 시들해졌다. 그 후, 히타치 조선인노시마 공장 바이오 기술부(1999년에 "히타치 조선 바이오"로 분사)가 1987년 4월부터 캔, 페트병에 담긴 두충차의 제조·판매를 시작하여[8], "몸이 기뻐한다"라는 문구 등으로 판매에 힘쓴 결과, 1994년부터 이듬해 1995년에 걸쳐 크게 유행하여 다시 주목을 받았다. 2006년 7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노시마산 두충차가 특집으로 다루어지면서 세 번째 붐이 일어나, 매장이나 인터넷 판매에서도 '인노시마 두충차'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도 했다. 현재는 히타치 조선 바이오에서 2003년에 고바야시 제약이 두충차 사업을 양도받아 판매하고 있으며, 두충차의 텔레비전 광고와 프로모션 비디오를 내보내고 있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도 많지만, 국내에서도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외에 나가노현 이나 지방과 아키타현 다이센시 구 나카센마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단, 인노시마에서 생산되는 두충 잎은 사업이 양도된 고바야시 제약의 상품에는 이용되지 않고, 모두 지역 브랜드인 '인노시마 두충차'로 별도로 판매되고 있다.
4. 3. 천연 고무 대체재
잎이나 열매, 나무껍질에는 구타페르카가 함유되어 있어 자르면 끈끈한 점질의 실이 나온다. 이 유액은 가타파차(구타페르카)라고 불리며, 천연 고무로 이용된다. 중국에서는 천연 고무 생산량 부족과 수요 증가로 인해 ''Eucommia ulmoides'' 검(EUG)을 천연 고무 제품의 대체재로 사용하여 탄성 재료를 제조하는 독특한 공정이 개발되었다. 천연 고무 생산에 사용되는 라텍스와 달리, EUG는 중합체 trans-1,4-폴리이소프렌이다. 따라서 EUG로 만든 재료는 천연 고무와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더 높은 탄성과 더 낮은 열가소성 온도 등이 있다. 두충은 한랭지에서도 자라는 천연 고무 산출 나무로 알려져 있다.5. 화학 성분
게니포시드산이라는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두충에서 발견될 수 있다.
6. 한국에서의 두충
두충은 중국에서 수입되기도 하지만, 일본 국내에서는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외에 나가노현 이나 지방과 아키타현 다이센시 구 나카센마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인노시마에서 생산되는 두충 잎은 고바야시 제약의 상품에는 이용되지 않고, 지역 브랜드인 '인노시마 두충차'로 별도로 판매되고 있다.[8]
6. 1. 역사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귀족 계급에서 "화두중(和杜仲)"이라는 강장제가 사용되었지만, 이것은 두충과에 속하는 두충이 아닌 노박덩굴과의 사철나무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에 두충이 도입된 것은 1918년(다이쇼 7년)(일설에는 1899년(메이지 32년))으로 알려져 있다.6. 2. 재배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두충차 붐이 일었지만 곧 시들해졌다. 그 후, 히타치 조선인노시마 공장 바이오 기술부(1999년에 "히타치 조선 바이오"로 분사)가 1987년 4월부터 캔, 페트병에 담긴 두충차를 제조·판매하기 시작했고[8], "몸이 기뻐한다"라는 문구 등으로 판매에 힘쓴 결과, 1994년부터 이듬해 1995년에 걸쳐 큰 붐을 일으켜 다시 주목받았다. 2006년 7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노시마산 두충차가 특집으로 다루어지면서 세 번째 붐이 일어나, 매장이나 인터넷 판매에서도 '인노시마 두충차'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도 했다. 현재는 히타치 조선 바이오에서 2003년에 고바야시 제약이 두충차 사업을 양도받아 판매하고 있으며, 두충차의 텔레비전 광고와 프로모션 비디오를 내보내고 있다.중국으로부터 수입품도 많지만, 일본 국내에서도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외에 나가노현 이나 지방과 아키타현 다이센시 구 나카센마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단, 인노시마에서 생산되는 두충 잎은 사업 양도된 고바야시 제약의 상품에는 이용되지 않고, 모두 지역 브랜드인 '인노시마 두충차'로 별도로 판매되고 있다.
6. 3. 산업
두충나무의 껍질은 "두충"이라는 생약으로 불리며 의약품으로 취급된다. 허리 통증, 다리와 허리의 피로 해소, 잦은 배뇨, 간 기능·신장 기능 강화,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7]
잎을 달인 '''두충차'''(두충차)에는 게니포시드산영어이 포함되어 혈압 강하 및 간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두충차 붐이 일었지만 곧 시들해졌다. 그 후, 히타치 조선인노시마 공장 바이오 기술부(1999년에 "히타치 조선 바이오"로 분사)가 1987년 4월부터 캔, 페트병에 담긴 두충차의 제조·판매를 시작하여[8], "몸이 기뻐한다"라는 문구 등으로 판매에 힘쓴 결과, 1994년부터 이듬해 1995년에 걸쳐 대붐을 일으켜 다시 주목을 받았다. 2006년 7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노시마산 두충차가 특집으로 다루어지면서 세 번째 붐이 일어나, 매장이나 인터넷 판매에서도 '인노시마 두충차'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도 했다. 현재는 히타치 조선 바이오에서 2003년에 고바야시 제약이 두충차 사업을 양도받아 판매하고 있으며, 두충차의 텔레비전 광고와 프로모션 비디오를 내보내고 있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도 많지만, 국내에서도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인노시마 외에 나가노현 이나 지방과 아키타현 다이센시 구 나카센마치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단, 인노시마에서 생산되는 두충 잎은 사업 양도된 고바야시 제약의 상품에는 이용되지 않고, 모두 지역 브랜드의 '인노시마 두충차'로 별도로 판매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Eucommia ulmoides''"
2018
[2]
웹사이트
IPNI Plant name details ''Eucommia ulmoides''
http://ipni.org/ipni[...]
2013-09-09
[3]
논문
The fossil record of ''Eucommia'' (Eucommiaceae) in North America
[4]
간행물
Eucommia ulmoide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5]
웹사이트
トチュウ
小学館
2024-12-14
[6]
웹사이트
「トチュウ」とはどんな木か
https://www.pref.nag[...]
長野県林業指導所
2021-09-01
[7]
웹사이트
講談社
2024-12-14
[8]
뉴스
日立造船、「杜仲」事業を小林製薬へ譲渡
https://www.kaijipre[...]
해사프레스사
2002-12-10
[9]
서적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 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200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