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똥파리는 똥파리과에 속하는 곤충을 통칭하는 말로, 몸길이는 약 10mm이며, 썩은 유기물이나 배설물에 모여든다. 전 세계에 약 500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왕똥파리, 똥파리 등 2종이 서식한다. 똥파리과는 Delininae 아과와 Scathophaginae 아과로 나뉘며, 똥파리아과에는 Amaurosomini, Cleigastrini, Cordilurini, Gimnomerini, Hydromyzini, Microprosopini, Scathophagini 족이 있다. 똥파리 유충은 식물, 다른 곤충 유충, 배설물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성충은 다른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포식자로서 생물학적 방제에 기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똥파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Scathophagidae |
| 명명자 | Robineau-Desvoidy, 1830 |
| 이명 | Cordyluridae Scatophagidae Scopeumatidae Scatomyzidae |
| 하위 분류 | |
| 아과 | Scathophaginae Delininae |
2. 특징
똥파리의 몸길이는 10mm 정도이다. 몸은 대체로 노란색을 띠며, 겹눈은 적갈색이고, 이마는 적등색으로 너비가 좁다. 가슴의 등판은 우윳빛이고, 양쪽 정중선 부위는 연한 갈색이다. 다리와 배는 전체가 황색 털로 덮여 있다. 각 다리의 종아리마디에는 쌍을 이룬 검은색 센털이 여러 개가 나 있다. 더듬이는 짧고, 배는 여섯 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똥파리는 몸길이가 10mm 정도이다. 몸은 대체로 노란색을 띠며, 겹눈은 적갈색이고, 이마는 적등색으로 너비가 좁다. 가슴 등판은 우윳빛이고, 양쪽 정중선 부위가 연한 갈색이다. 다리와 배는 전체가 황색 털로 덮여 있다. 더듬이는 짧고, 배는 여섯 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 극동에서 가장 다양한 종류가 발견되었으며,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에서 많은 새로운 종이 발견되었다. 많은 종이 북부 지방에 분포하며, 심지어 홀극구 내에서도 발견된다. Vockeroth (1987)는 똥파리를 모든 파리 과 중에서 가장 북쪽에 분포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는 캐나다에서 기록된 150종 중 25종이 북극 툰드라에 국한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똥파리과에는 크게 Delininae 아과와 똥파리아과(Scathophaginae) 두 개의 아과가 있다.
숲 속에 많은데 이른 봄과 늦가을에 많이 발생하고, 사람과 동물의 똥이나 썩은 유기물에 모여든다. 또한 작은 벌레를 잡아먹기도 한다. 유충은 대부분 썩은 고기를 먹지만 식물질의 쓰레기나 동물의 똥에서 자라기도 한다. 간혹 살아 있는 동물에 기생하기도 한다.
흔히 똥에 모여드는 속칭 '똥파리'는 이 종이 아닌, 금파리, 구리금파리, 쉬파리, 검정파리 따위를 일컫는 말이다.
검정파리는 몸길이가 3mm~12mm인 중간 크기 또는 매우 작은 파리이다. 몸은 가늘고, 특히 수컷에서 가늘며, 일반적으로 길고 원통형의 배를 가지고 있다. 많은 검정파리과 종들은 빽빽한 털 때문에 더 튼튼해 보이지만, 몸 색깔은 노란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며, 일부 종은 광택이 있지만 금속성 광택은 없다. 일부 종은 두 가지 색을 띤다. 눈은 수컷과 암컷 모두 앞이마에서 넓게 떨어져 있다. 머리, 가슴, 다리의 강모는 잘 발달되어 있다. 뒤통수에는 일반적으로 옅고 긴 털이 있다. 아리스타는 털이 없거나 깃털 모양이다. 앞이마간 강모는 없다. 날개는 일반적으로 투명하지만, 일부 종에서는 날개 끝이나 가로 정맥을 따라 뚜렷한 무늬나 어두워짐이 있다. 항맥은 길고 일반적으로 날개 가장자리에 닿는다. 메론에는 뒷쪽 기문 근처의 뒷 가장자리를 따라 강모가 없다.
똥파리의 대부분은 전북구에 서식한다.[2] 유충은 구더기 형태이며, 몸길이는 4mm-14mm이다.[2]
육식성이며, 다른 파리목 유충을 포함한 무척추동물을 포식한다.[2] 따라서, 검정파리 등의 구제를 목적으로 생물학적 방제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3. 생태
숲 속에 많은데 이른 봄과 늦가을에 많이 발생하고, 사람과 동물의 똥이나 썩은 유기물에 모여든다. 또한 작은 벌레를 잡아먹기도 한다. 유충은 대부분 썩은 고기를 먹지만 식물질 쓰레기나 동물의 똥에서 자라기도 한다. 간혹 살아 있는 동물에 기생하기도 한다.
똥파리 유충은 구더기 형태이며, 몸길이는 4-14mm이다.[2] 유충은 보통 동물의 분뇨 속에 서식한다.[2] 육식성이며, 다른 파리목 유충을 포함한 무척추동물을 포식한다.[2] 검정파리 등의 구제를 목적으로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되기도 한다.[2] 수생 식물의 잎에 숨어 사는 ''Hydromyza livens''와 같은 종도 있다.[2]
성충은 다른 작은 곤충의 포식자이며, 꽃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수분 매개체 역할을 하기보다는 그곳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실제로 검정파리의 훌륭한 포식자 중 하나이므로 생물학적 방제의 유익한 요원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500종의 기재된 종이 66개 속에 속해 있다. 대다수는 구북구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발견되며, 이 과는 북반구에 거의 국한되어 있다. 가장 다양한 동물상은 러시아 극동에서 발견된다. 많은 종의 북부 분포 때문에, 심지어 홀극구 내에서도, Vockeroth (1987)는 이것을 모든 파리 과 중에서 가장 북쪽에 분포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는 캐나다에서 기록된 150종 중 25종이 북극 툰드라에 국한되어 있다고 보고한다.
4. 분포
영국 제도에서만 54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 중 거의 모두가 홀극구 분포를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약 500종이 66개 속에 속해 있다. 대다수는 구북구와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발견되며, 똥파리과는 북반구에 거의 국한되어 있다. 현재까지 남반구에서 5종만이 알려져 있는데, 이 중 2종은 남아프리카와 브라질로 가축과 함께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Scathophaga''의 흔한 북부 종이다. 한국에는 2종이 있다.[1]
5. 분류
Delininae 아과는 Delinini 족으로, 똥파리아과는 Amaurosomini, Cleigastrini, Cordilurini, Gimnomerini, Hydromyzini, Microprosopini, 똥파리족(Scathophagini)으로 나뉜다. 똥파리족에는 똥파리속(''Scathophaga'')이 있으며, 여기에는 왕똥파리(''Scathophaga mellipes'')와 똥파리(''Scathophaga stercoraria'') 등이 속한다.
똥파리과에는 총 61개의 속이 있으며, 대표적인 속은 다음과 같다.[3]5. 1. Delininae 아과

다음과 같은 속으로 구분된다.[3]
| 속 |
|---|
| Americina |
| Delina |
| Leptopa |
| Micropselapha |
5. 2. 똥파리아과 (Scathophaginae)
똥파리아과는 똥파리과의 아과 중 하나이다. 똥파리아과는 다음과 같은 족(Tribus)으로 구성된다.[3]- Amaurosomini
- Cleigastrini
- Cordilurini
- Gimnomerini
- Hydromyzini
- Microprosopini
- 똥파리족 (Scathophagini)
똥파리족에는 똥파리속(''Scathophaga'')이 있으며, 똥파리속에는 왕똥파리(''Scathophaga mellipes'')와 똥파리(''Scathophaga stercoraria'') 등이 속한다.[3]
똥파리과에는 61개의 속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3]
| 속(Genus) | 학명 | 비고 |
|---|---|---|
| Acanthocnema | Becker, 1894 | |
| Acerocnema | Becker, 1894 | |
| Allomyella | Malloch, 1923 | |
| Americina | Malloch, 1923 | |
| Cordilura | Fallen, 1810 | |
| Delina | Robineau-Desvoidy, 1830 | |
| 똥파리속 | Meigen, 1803 |
참조
[1]
논문
Norellisoma jelineki sp. nov. – a new species from the Czech Republic (Diptera: Scathophagidae)
2006
[2]
서적
Identification Guide of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Spain
2011
[3]
간행물
A catalogue of the Scathophagidae (Diptera) of the Palaearctic region, with notes on their taxonomy and faunistics
http://www.aemnp.eu/[...]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