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파리는 몸길이 6~19mm의 중형 파리로, 썩은 고기나 동물의 똥에서 발생하며, 난태생으로 유충을 낳는다. 가슴에 검은색과 회색 세로 줄무늬, 배에 체크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일부 종은 다른 곤충에 기생하기도 한다. 쉬파리과는 Miltogramminae, Paramacronychiinae, Sarcophaginae의 3개 아과로 분류되며, 약 2500종이 존재한다. 일부 종은 위생 해충으로 나병균을 옮기거나 구더기증을 유발하며, 법의학적 증거로 활용되기도 하고 낚시 미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쉬파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 |
| 어원 | 그리스어 σάρξ (sarx, 살) + φαγεῖν (phagein, 먹다)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곤충강 |
| 목 | 파리목 (쌍시목) |
| 아목 | 파리아목 (단각아목) |
| 군 | 환봉단각군 |
| 하목 | 파리하목 |
| 상과 | 히츠지바에상과 |
| 과 | 쉬파리과 (Sarcophagidae) |
| 아과 | 야도리니쿠바에아과 Paramacronychiinae 니쿠바에아과 |
| 학명 | Sarcophagidae Macquart, 1834 |
2. 특징
쉬파리는 몸길이 6~19mm의 중형 파리로, 몸은 회색이고 양겹눈은 붉은색이다. 얼굴과 뺨은 황금빛 비늘가루로 덮여 있다.[1] 가슴에는 검은색과 회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고, 배에는 체크 무늬가 있다.[1] 가슴방패판은 검은 바탕에 황금빛 또는 은빛 비늘가루가 덮였고 3개의 검은 세로줄이 아래로 뻗는다.[1] 날개는 투명하며, 날개맥은 흑갈색이다.[1] 일반적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1]
쉬파리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
- 붉은 눈과 털이 많은 배
- 배의 가슴판 II와 III는 자유롭고 등판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다.
- 후상방강모는 1개 또는 2개이며, 가장 바깥쪽 쌍은 없다.
- 전봉선모는 노플루랄 강모보다 낮고, 노플루랄 강모에 가장 바깥쪽의 후상방 강모보다 더 가깝다.
- 전봉선모는 후상방 강모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 가장 뒤쪽의 후상방 강모는 전봉선모에서 정중선까지 위치하거나 그쪽으로 향한다.
- 노플루랄 강모는 4개이며 앞쪽에서 뒤쪽으로 짧음, 긺, 짧음, 긺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 정맥 M1 +2(앞 가로 정맥, 중간 정맥 1+2)는 항상 존재하며, 큐비툴루스는 직각 또는 예각으로 강하게 구부러져 있다.
- 정맥 Rs는 이중 분기된다.
- 눈은 매끄럽고 매우 드물게 털이 있다.
- 아리스타는 기저부 절반에 깃털 모양이며, 드물게 털이 있거나 매끄럽다.



3. 생태
쉬파리는 난태생으로, 암컷은 부화 직전의 유충이 들어있는 알을 낳는다. 유충은 주로 썩은 고기나 동물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며, 일부 종은 살아있는 동물에 기생하기도 한다.[3] 성충은 인가에 잘 모여들며, 갓 사온 고기나 생선 위에 새끼를 낳는다.
Sarcophaginae 아과에 속하는 종의 대부분은 작은 시체를 청소 동물로서 섭취하며, 구더기와 그 유충은 썩어가는 식물성 물질과 배설물을 먹는다.[3]
쉬파리 성충은 부화 직전의 유충이 들어있는 알을 동물의 사체에 낳아 즉시 부화한 유충은 그곳에서 발육한다. 유충은 전형적인 구더기로, 고기 속에서 5~10일 동안 지내고, 그 후 흙 속으로 들어가 성충이 된다. 성충의 수명은 대부분 1개월 남짓이지만, 성충 월동을 하는 종은 더 길어진다.
쉬파리 유충 중에는 다른 유충을 포식하거나, 딱정벌레, 육상 달팽이, 나비목 유충과 같은 대형 무척추동물을 먹고 자라는 것도 있다.
쉬파리류는 죽은 고기나 동물 조직, 동물의 배설물과 같은 부패한 배설물을 먹는다. 푸세식 변소는 센치니쿠바에 등의 발생지이며, 센치니쿠바에처럼 이러한 환경에 의존해 온 종은 변소의 수세화가 진행된 지역에서 감소하고 있어, 병원균을 매개하는 위생 해충이 되기도 한다.
쉬파리의 생활사는 예측 가능하여, 시체 위의 쉬파리는 경찰 수사의 단서가 된다. 법의 곤충학자는 쉬파리가 먹고 있는 시체의 사망 시점을 추정하기 위해, 노숙 유충을 채집하여 사망했을 가능성이 가장 빠른 날짜를 역산한다.
쉬파리 유충은 '구더기'라는 상품명으로 낚시용 미끼로 사용되기도 하며, 위생 관리 하에 양식도 이루어진다.
3. 1. 기생
Miltogramminae 아과의 구성원은 벌과 말벌의 약탈 기생체이다.[4] Paramacronychiinae 아과는 나비목 포식자 또는 기생자, 털벌의 미성숙체(주로 번데기)의 포식자, 일반적인 청소 동물 및 곤충 포식자를 포함한다.[5]쉬파리 유충 중에는 다양한 무척추동물의 포식 기생자가 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가스미니쿠바에류는 메뚜기에 기생한다. 쿠사니쿠바에는 솔나방 유충에 기생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4. 분류
쉬파리과는 3개의 아과, 즉 Miltogramminae, Paramacronychiinae, Sarcophaginae로 나뉘며, 이들은 108개의 속과 약 2500종을 포함한다.[4]
일본산 쉬파리과의 분류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며, 아과 분류는 4개 또는 2개로 나뉘기도 한다. 속의 분류 또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시리아카니쿠바에가 속하는 ''Parasarcophaga''는 독립된 속으로 취급되기도 하고, ''Sarcophaga'' 속의 아속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불일치는 일반인에게는 불편하지만, 각 분류는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있다.[4]
일본의 쉬파리상은 위생 곤충 연구를 통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만, 시체에서 번식하지 않는 포식 기생성 또는 노동 기생성 종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신종 및 신기록종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4]
아래는 일본산 쉬파리과 목록으로,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의 토마스 파페(Tomas Pape)의 세계 목록을 따랐다. 아과별로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분포 정보는 일본산 곤충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추가되었다. 약자는 다음과 같다.
4. 1. 아과
쉬파리아과는 3개의 아과로 나뉜다.- Miltogramminae
- Paramacronychiinae
- 쉬파리아과
'''Miltogramminae (검정파리아과)'''
벌과 말벌의 약탈 기생체이다.[4]
| 학명 | 일본 이름 | 분포 |
|---|---|---|
| Amobia distorta | 얼룩등에 | 혼슈, 타이완, 구북구, 북미, 알제리 |
| Cylindrothecum angustifrons | 요코지마코바네야드리니쿠바에 | 혼슈, 오키나와, 중국 |
| Eumetopiella (Asiaraba) matsumurai | 시로오비긴가쿠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중국 |
| Macronychia (Macronychia) kanoi | 가노하치노스야드리니쿠바에 | 혼슈, 러시아 |
| Macronychia (Macronychia) striginervis | 에조하치노스야드리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구북구 |
| Macronychia (Moshusa) polydon | 하치노스야드리니쿠바에 | 일본, 중국, 구북구, 이스라엘 |
| Metopia (Anicia) campestris | 미카와야드리니쿠바에 | 일본, 전 구북구 |
| Metopia (Anicia) grandii | 일본어 이름 불명 | 일본,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
| Metopia (Anicia) inermis | 야드리니쿠바에 | 일본, 북미 |
| Metopia (Australoanicia) nudibasis | 미나미야드리니쿠바에 | 일본, 중국, 동양구, 호주 |
| Metopia (Metopia) argyocephala | 긴가쿠야드리니쿠바에 | 규슈~오키나와, 타이완, 중국, 한국, 구북구, 동양구, 중동, 북미, 페루 |
| Metopia sauteri | 타이완야드리니쿠바에 | 혼슈~아마미,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타이완, 네팔 |
| Metopia (Metopia) stackeibergi | 제니고긴가쿠니쿠바에 | 일본, 중국, 구북구 |
| Metopia (Metopia) suifenhoensis | 히코산긴가쿠니쿠바에 | 일본,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
| Metopia togashii | 토가시야드리니쿠바에 | 혼슈 |
| Miltogramma (Miltogramma) punctatum | 코바네니쿠바에 | 일본, 중국, 한국, 구북구, 중동, 아프리카, 카나리아 |
| Oebalia (Ptychoneura) minuta | 일본어 이름 불명 | 일본, 구북구 |
| Phylloteles formosana | 하네보시스나니쿠바에 | 일본, 러시아 극동, 중국, 몽골 |
| Protomiltogramma fasciata | 아나바치야드리니쿠바에 | 일본, 중국, 구북구, 중동, 아프리카, 카나리아 |
| Senotainia (Sphixapata) japonensis | 카오지로야드리니쿠바에 | 아마미 |
| Synorbitomyia linearis | 타카사고야드리니쿠바에 | 오키나와, 타이완, 동양구 |
'''Paramacronychiinae'''
나비목 포식자 또는 기생자 (''Agria''), 털벌의 미성숙체(주로 번데기)의 포식자 (''Brachicoma'') 및 일반적인 청소 동물 및 곤충 포식자 (''Sarcophila'' 및 ''Wohlfahrtia'')를 포함한다.[5]
| 학명 | 일본 이름 | 분포 |
|---|---|---|
| Agria moanchae | 야치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구북구 |
| Angiometopa cicadina | 히구라시야치니쿠바에 (히구라시야드리바에) | 혼슈 |
| Angiometopa hikosana | 히코산니쿠바에 | 규슈 |
| Angiometopa shinonagai | 시노나가니쿠바에 | 혼슈 |
| Brachicoma devia | 하나바치노스야드리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중국, 구북구, 북미 |
| Goniophyto boninensis | 오가사와라호소니쿠바에 | 오가사와라 |
| Goniophyto honshuensis | 혼슈호소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중국 |
| Goniophyto horii | 호리호소니쿠바에 | 규슈 |
| Goniophyto yaeyamaensis | 류큐호소니쿠바에 | 아마미~오키나와 |
| Sarcophila japonica | 고헤이니쿠바에 | 혼슈, 러시아 극동, 한국 |
'''Sarcophaginae (쉬파리아과)'''
''Sarcophaga''에 속하는 종의 대부분은 작은 시체를 청소 동물로 삼는다. 몇몇 종은 더 큰 척추동물 시체를 먹는다. 구더기는 다른 유충을 먹기도 한다.[3]
| 학명 | 일본 이름 | 분포 |
|---|---|---|
| Blaeoxipha ampliforceps | 산베카스미니쿠바에 | 혼슈 |
| Blaeoxipha dupuisi | 일본어 이름 불명 | 일본, 구북구 |
| Blaeoxipha gladiatrix | 일본어 이름 불명 | 일본, 중국, 중동, 이집트, 구북구 |
| Blaeoxipha grylloctona | 일본어 이름 불명 | 일본, 중국, 구북구 |
| Blaeoxipha japonensis | 야마토카스미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치시마, 중국 |
| Blaeoxipha rufipes | 바타야드리니쿠바에 | 혼슈, 규슈, 구북구, 동양구, 아프리카 |
| Blaeoxipha sublaticornis | 카스미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러시아 극동, 중국 |
| Blaesoxipha amamiensis | 아마미카스미니쿠바에 | 아마미 |
| Blaesoxipha palauensis | 히라에니쿠바에 | 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중국 |
| Blaesoxipha pygmaea | 쿠다마키모도키야드리니쿠바에 | 혼슈 |
| Ravinia striata | 히메시리아카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중국, 한국, 구북구, 동양구, 중동, 아프리카, 카나리아 |
| Sarcophaga (Asceloctella) calicifera | 타이완코니쿠바에 | 아마미~필리핀, 중국, 인도, 아프리카 |
| Sarcophaga (Asceloctella) kanekoi | 카네코니쿠바에 | 아마미 |
| Sarcophaga (Asiopierretia) kayaensis | 카야니쿠바에 | 혼슈, 한국 |
| Sarcophaga (Asiopierretia) ugamskii | 코니쿠바에 | 혼슈,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
| Sarcophaga (Bellieriomima) horii | 호리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러시아 극동 |
| Sarcophaga (Bellieriomima) josephi | 조세프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한국, 타이완 |
| Sarcophaga (Bellieriomima) kagaensis | 카가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
| Sarcophaga (Bellieriomima) pseudosubulata | 오키나와히메니쿠바에 | 오키나와 |
| Sarcophaga (Bellieriomima) pterygota | 히메니쿠바에 | 일본, 러시아 극동, 중국 |
| Sarcophaga (Bellieriomima) takahasii | 타카하시니쿠바에 | 혼슈, 러시아 극동 |
| Sarcophaga (Bellieriomima) uniseta | 필드니쿠바에 | 홋카이도~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중국 |
| Sarcophaga (Boettcherisca) peregrina | 센치니쿠바에 | 홋카이도~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동양구, 오세아니아 |
| Sarcophaga (Boettcherisca) septentrionalis | 크로니쿠바에 | 혼슈~규슈, 러시아 극동, 중국 |
| Sarcophaga (Dysparaphalla) asahinai | 아사히나니쿠바에 | 오키나와 |
| Sarcophaga (Helicophagella) melanura | 시리구로니쿠바에 | 홋카이도~오키나와, 구북구, 동양구 |
| Sarcophaga (Heteronychia) abramovi | 치비크로니쿠바에 | 홋카이도, 러시아 극동 |
| Sarcophaga (Heteronychia) nipponensis | 니혼크로니쿠바에 | 혼슈 |
| Sarcophaga (Heteronychia) obscurata | 사타니쿠바에 | 규슈, 오키나와, 중국, 한국, 구북구 |
| Sarcophaga (Heteronychia) vagans | 키타시리아카니쿠바에 | 홋카이도, 구북구 |
| Sarcophaga (Horiisca) hozawaii | 호자와니쿠바에 | 혼슈, 규슈, 한국 |
| Sarcophaga (Kanoa) okazakii | 오카자키니쿠바에 | 혼슈 |
| Sarcophaga (Kramerea) shuetzei | 슈체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중국, 한국, 구북구 |
| Sarcophaga (Leucomyia) cinerea | 하마베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동양구 |
| Sarcophaga (Lioproctia) beesoni | 비손니쿠바에 | 홋카이도, 중국, 버마, 태국 |
| Sarcophaga (Liopygia) ruficornis | 츠노아카니쿠바에 | 아마미~필리핀, 중국, 인도, 아프리카 |
| Sarcophaga (Liosarcophaga) brevicornis | 이소니쿠바에 | 혼슈~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동양구, 호주 |
| Sarcophaga (Liosarcophaga) dux | 미세라니쿠바에 | 일본,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태국, 네팔, 하와이, 호주 |
| Sarcophaga (Liosarcophaga) harpax | 쿠사니쿠바에 | 일본, 한국, 중국, 구북구, 동양구, 북미 |
| Sarcophaga (Liosarcophaga) kitaharai | 키타하라니쿠바에 | 혼슈~규슈, 중국 |
| Sarcophaga (Liosarcophaga) kobayashii | 코바야시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러시아 극동, 중국 |
| Sarcophaga (Liosarcophaga) shiritakaensis | 시리타카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
| Sarcophaga (Liosarcophaga) tuberosa | 유미가타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중국, 한국, 구북구, 북미 |
| Sarcophaga (Mehria) clathrata | 마키바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중국, 구북구, 카나리아 |
| Sarcophaga (Mehria) olsoufievi | 타카네니쿠바에 | 혼슈, 대만, 중국, 러시아 |
| Sarcophaga (Myorhina) tsintaoensis | 친타오코니쿠바에 | 홋카이도, 중국 |
| Sarcophaga (Myorhina) villeneuvei | 타이리쿠코니쿠바에 | 홋카이도, 구북구, 신북구 |
| Sarcophaga (Nihonea) hokurikuensis | 호쿠리쿠니쿠바에 | 혼슈~규슈, 중국 |
| Sarcophaga (Nudicerca) furutonensis | 후루토네니쿠바에 | 혼슈 |
| Sarcophaga (Pandelleisca) kawayuensis | 카와유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러시아 극동 |
| Sarcophaga (Pandelleisca) polystylata | 베킨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알타이 |
| Sarcophaga (Pandelleisca) similis | 나미니쿠바에 | 홋카이도~오키나와, 중국, 한국, 구북구, 중동 |
| Sarcophaga (Parasarcophaga) albiceps | 겐로쿠니쿠바에 | 홋카이도~오키나와, 한국, 중국, 구북구, 동양구, 이스라엘, 호주 |
| Sarcophaga (Parasarcophaga) crassipalpis | 시리아카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세계 각지 |
| Sarcophaga (Parasarcophaga) japonica | 야마토니쿠바에 | 혼슈 |
| Sarcophaga (Parasarcophaga) macroauriculata | 크로겐로쿠니쿠바에 | 쓰시마,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
| Sarcophaga (Parasarcophaga) oitana | 오오이타니쿠바에 | 혼슈, 규슈 |
| Sarcophaga (Parasarcophaga) tsushimae | 쓰시마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한국, 중국 |
| Sarcophaga (Parasarcophaga) unguitigris | 토라츠메니쿠바에 | 혼슈~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
| Sarcophaga (Phallantha) keegani | 키간니쿠바에 | 혼슈, 규슈 |
| Sarcophaga (Phallantha) sichotealini | 에조니쿠바에 | 혼슈, 한국 |
| Sarcophaga (Phallanthisca) magensi | 마겐스니쿠바에 | 이시가키, 이리오모테 |
| Sarcophaga (Phallanthisca) shirakii | 시라키니쿠바에 | 오키나와, 중국 |
| Sarcophaga (Phallonychia) oshimensis | 오오시마니쿠바에 | 아마미, 도쿠노시마 |
| Sarcophaga (Phallosphaera) gravelyi | 키노시타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네팔, 동양구 |
| Sarcophaga (Phallosphaera) konakovi | 시로가네니쿠바에 | 홋카이도~규슈, 러시아 극동, 중국, 한국 |
| Sarcophaga (Phallosphaera) metzgeri | 메츠게르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한국 |
| Sarcophaga (Pseudothyrsocnema) crinitula | 토리오니쿠바에 | 혼슈~오키나와, 중국, 한국 |
| Sarcophaga (Robineauella) pseudoscoparia | 에다가타니쿠바에 | 홋카이도, 시베리아, 중국, 한국, 몽골 |
| Sarcophaga (Robineauella) scoparia | 에다니쿠바에 | 혼슈, 중국, 한국, 구북구, 알래스카 |
| Sarcophaga (Robineauella) uemotoi | 우에모토니쿠바에 | 혼슈, 규슈, 오키나와, 중국 |
| Sarcophaga (Rosellea) uliginosa | 누마니쿠바에 | 홋카이도, 혼슈, 중국, 구북구, 북미 |
| Sarcophaga (Sarcorohdendorfia) aurata | 오오니쿠바에 | 혼슈, 규슈~오키나와, 중국, 한국, 자바, 뉴기니 |
| Sarcophaga (Sarcorohdendorfia) inextricata | 카모시카니쿠바에 | 혼슈, 규슈~오키나와 |
| Sarcophaga (Sinonipponia) aniyai | 아니야니쿠바에 | 이시가키, 이리오모테 |
| Sarcophaga (Sinonipponia) hervebazini | 토게니쿠바에 | 혼슈, 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
| Sarcophaga (Sinonipponia) musashinensis | 무사시노니쿠바에 | 혼슈~규슈, 러시아 극동, 한국 |
| Sarcophaga (Takanoa) hakusana | 하쿠산니쿠바에 | 혼슈, 규슈, 중국, 한국 |
| Sarcophaga (Takaraia) yonahaensis | 요나하니쿠바에 | 오키나와 |
4. 2. 한국의 쉬파리 종류 (일부)
털등에아과 (Miltogramminae영어)에 속하는 한국의 쉬파리 종류는 다음과 같다.[1]- Metopia영어 - 은빛얼룩쉬파리 (Metopia argyrocephala영어)
- Miltogramma영어 - 대륙은빛쉬파리 (Miltogramma ibericum영어)
쉬파리아과 (Sarcophaginae영어)에 속하는 한국의 쉬파리 종류는 다음과 같다.
- Bercaea영어 - 개울쉬파리 (Bercaea haemorrhoidalis영어)
- Blaesoxipha영어 - 꼬마노고단쉬파리, 가또쉬파리, 노고단쉬파리
- Pierretia영어 - 긴수염쉬파리, 고리쉬파리, 가야쉬파리, 애기머리쉬파리
- Ravinia영어 - 애기쉬파리 (Ravinia striata영어)
- Sarcophaga영어 - 대부분의 쉬파리 종
5. 인간과의 관계
쉬파리는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쉬파리는 병원균을 옮겨 구더기증과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 위생 해충이다.[5]
반면 법의 곤충학에서는 쉬파리가 시체에 알을 낳는 특성을 이용해 사망 시점을 추정하기도 한다. 쉬파리 유충은 시체의 부패 정도와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단서가 되어 사망 추정 일시를 계산하는 데 쓰인다.
또한, 쉬파리 유충은 '구더기'라는 이름으로 낚시 미끼로 사용된다.[4]
5. 1. 위생 문제
쉬파리는 병원균을 옮길 수 있는 위생 해충이다.[5] 특히 ''Wohlfahrtia magnifica''는 구더기증을 일으킬 수 있다.[5] 센치니쿠바에 등 일부 종은 오염된 환경에서 발생하여 위생 문제를 야기한다.5. 2. 법의학적 이용
쉬파리는 팽창할 정도로 부패가 진행된 사람이나 동물의 시체에 유충을 낳는 것을 선호한다.법의 곤충학자는 쉬파리의 유충을 채집하여 사망했을 가능성이 가장 빠른 날짜를 역산하여 대략적인 사망 일시를 추정한다. 이는 시체의 조건과 일치하는 인물이 사망 일시 부근에서 실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시체의 신원을 결정하는 데 유효하다.
특정 곤충은 특정 상태의 시체를 선호하며, 어떤 곤충은 상당히 분해되거나 건조된 시체조차 선호한다. 모든 곤충의 생활사는 예측 가능하므로, 법의 곤충학자는 여러 곤충의 평균 연령을 역산하여 사망 추정 일시를 얻는다.
5. 3. 낚시 미끼
쉬파리 유충은 '구더기'라는 이름으로 낚시 미끼로 사용되며,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양식되기도 한다.[4]참조
[1]
서적
Entomology for Medical Officers
https://archive.org/[...]
Gurney & Jackson
[2]
서적
Imms' General Textbook of Entomology: Volume 1: Structure, Physiology and Development Volume 2: Classification and Biology
Springer
[3]
웹사이트
Thomas Pape
http://www.zmuc.dk/e[...]
[4]
웹사이트
Thomas Pape
http://www.zmuc.dk/e[...]
[5]
웹사이트
Thomas Pape
https://web.archive.[...]
2012-04-05
[6]
웹사이트
センチニクバエ - Google 検索
https://www.google.c[...]
2023-01-19
[7]
문서
[8]
논문
A new species of ''Sarcofahrtiopsis'' Hall (Diptera: Sarcophagidae) living in roosts of Spix's disk-winged bat ''Thyroptera tricolor'' Spix (Chiroptera) in Costa Rica
http://www.tandfon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