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개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활동과 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것이며, 빈곤, 불평등, 질병, 교육 부족 등과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국제 개발은 20세기 후반,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같은 국가들의 지원을 통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근대화 이론, 신자유주의 등이 주요 접근법으로 사용되었으며, 마셜 플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다양한 계획과 목표를 통해 구체적인 발전을 추구해왔다.
국제 개발은 원조, 거버넌스, 보건, 교육, 빈곤 감소, 성평등, 재난 대비, 인프라, 경제, 인권, 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최근에는 지속 가능한 개발, 역량 강화, 권리 기반 접근법과 같은 개념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주와 송금, 그리고 국제 경제 불평등과 같은 문제도 국제 개발의 중요한 측면으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국제 개발은 신식민주의, 부의 불평등 심화 등과 같은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며, "개발된"과 "개발 도상"과 같은 용어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경제 세계화 - 경제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애덤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경제 이론으로, 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사유 재산, 개인 계약을 중시하며 봉건제와 중상주의에 반대한다. - 경제 세계화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국제 개발 | |
---|---|
국제 개발 개요 | |
정의 | 국제 개발은 국가들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더 발전하고, 지속 가능하고 공정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다. |
목표 | 빈곤 감소 불평등 해소 교육 및 보건 개선 지속 가능한 성장 촉진 민주주의 및 인권 증진 |
주요 활동 | 원조 제공 기술 지원 정책 자문 재정 지원 인도적 지원 |
국제 개발 주체 | |
정부 | 선진국 정부, 개발도상국 정부 |
국제 기구 | UN World Bank IMF WTO |
비정부 기구 | 다양한 민간 단체 및 시민 사회 단체 |
민간 부문 | 기업, 투자자, 사회적 기업 |
개발 이론 및 접근법 | |
현대화 이론 | 경제 성장 및 산업화에 초점 |
종속 이론 | 불평등한 국제 관계 비판 |
세계 체제 이론 | 국가 간의 불평등한 관계 분석 |
지속 가능한 개발 | 환경, 경제, 사회적 균형 추구 |
참여적 개발 | 지역 주민의 참여 강조 |
개발의 측정 | |
경제적 지표 | GDP 1인당 소득 빈곤율 |
사회적 지표 | HDI 기대 수명 문해율 교육 수준 건강 지표 |
환경 지표 | 탄소 배출량 삼림 면적 변화 생물 다양성 |
주요 개발 과제 | |
빈곤 | 절대 빈곤 및 상대적 빈곤 |
불평등 | 소득, 성별, 지역, 인종 간 불평등 |
기후 변화 |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자연재해 증가 |
식량 안보 | 식량 부족 및 영양실조 |
보건 | 전염병, 질병, 의료 서비스 부족 |
교육 | 학교 접근성 부족, 교육의 질 저하 |
거버넌스 | 부패, 정치 불안정, 인권 문제 |
분쟁 | 국내 및 국제 분쟁으로 인한 개발 저해 |
개발의 미래 | |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s) | 2030년까지 달성 목표 |
파트너십 강화 | 국제 협력 및 민간 부문 참여 확대 |
기술 혁신 | 개발 촉진을 위한 기술 활용 |
데이터 기반 개발 | 증거 기반 정책 결정 |
지역별 개발 | |
아프리카 | 고질적인 빈곤 문제 정치적 불안정 질병 만연 |
아시아 | 급속한 경제 성장 빈부격차 심화 |
라틴 아메리카 | 불평등 및 사회적 문제 정치적 불안정 |
개발도상국 | 다양한 개발 수준 및 도전 과제 직면 |
한국의 개발 경험 | |
경제 발전 | 한국 전쟁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 성장 |
새마을 운동 | 지역 사회 개발 운동 |
원조 공여국 | 국제 개발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 |
비판적 시각 | |
개발 원조의 효과 | 원조의 효율성 및 효과성에 대한 논쟁 |
서구 중심적 개발 모델 | 개발 모델의 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비판 |
식민주의의 유산 | 개발도상국의 불평등한 발전의 역사적 원인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국제 협력 공적 개발 원조 개발 경제학 인도주의적 지원 |
참고 자료 | |
세계은행 보고서 | 세계은행, 빈곤 퇴치 보고서 |
갭마인더 영상 | 갭마인더, 인권 및 민주주의 통계 영상 |
2. 개발의 개념
개발은 단순히 경제 성장을 넘어,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아마티아 센의 이론처럼, 빈곤, 공공재 부족 등 인간다운 삶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 또한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다.[15]
2. 1. 개발의 정의
개발은 뜀틀을 넘는 과정과 유사하게,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발판)을 마련하고 점차 단계를 높여가는 과정이다. 인간에게 해가 되는 개발은 진정한 개발이라고 할 수 없다.뜀틀의 단계를 높이듯, 인간의 행복을 위해 추가적인 조건이 필요할 때, 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이 개발이다. 이 과정에서 빈곤이나 공공재 부족과 같은 장애물이 나타나면, 이를 제거하거나 고쳐나가는 것 또한 개발에 포함된다. 이는 아마티아 센의 이론에서 따온 개념이기도 하다.[15]
국제 개발은 국제 원조 개념과 관련이 있지만, 재난 구호 및 인도적 지원과는 구별된다. 재난 구호 및 인도적 지원은 단기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반면,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이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장기적인 해결책을 구현하고자 한다. 진정한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젝트는 더 이상의 국제적 개입이나 지원 없이 무기한으로 지속될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국제 개발 프로젝트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일 프로젝트일 수도 있고, 사회의 여러 측면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젝트일 수도 있다. 지원되는 프로젝트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 정치, 지리 및 경제를 반영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최근에는 여성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16]
인간 개발의 맥락에서 국제 개발은 일반적으로 외국 원조, 거버넌스, 보건 의료, 교육, 빈곤 감소, 성평등, 재난 대비, 인프라, 경제, 인권, 환경 및 이와 관련된 문제를 포함한다.[17]
최근 수십 년 동안 개발에 대한 사고방식은 근대화와 구조 조정 프로그램에서 빈곤 감소로 전환되었다. 과거에는 빈곤 국가가 사회적, 경제적 구조 전환을 거쳐 산업화를 이루도록 장려했지만, 빈곤 감소는 거시경제 안정을 가져와 경제 성장을 증가시키는 사회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직접적인 예산 지원을 강조한다.
빈곤은 맥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빈곤은 식량, 주거, 안전한 식수와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에 대한 경제적 접근이 부족한 상태이다. 어떤 사람들은 빈곤을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정의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사회적, 정치적 측면도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는 종종 존엄성의 부족으로 나타난다.
2. 2. 개발의 목표
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며,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개발의 시작이자 동기이다. 인간에게 해가 되고 삶에 방해가 되는 개발은 제대로 된 개발이라고 할 수 없다.더 나은 삶의 조건, 즉 행복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이 바로 개발이다. 이 과정에서 빈곤이나 공공재 부족과 같은 장애물이 나타나면, 이를 제거하거나 고쳐나가는 것 또한 개발에 포함된다. 이는 아마티아 센의 이론에서 따온 개념이기도 하다.[15]
3. 국제 개발의 역사
국제 개발은 국제 원조 개념과 관련이 있지만, 재난 구호 및 인도적 지원과는 구별된다.[15]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추구하며, 최근에는 여성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환경 보호와 같은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6]
국제 개발은 외국 원조, 거버넌스, 보건 의료, 교육, 빈곤 감소, 성평등, 재난 대비, 인프라, 경제, 인권, 환경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근대주의적 정치 사상 시대에 등장한[39] 국제 개발 이론은 20세기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을 통해 설명되었다.
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하며, 주요 이론으로는 근대화 이론,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 신자유주의, 거버넌스, 역량 접근법, 탈개발 이론 등이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개발에 대한 사고방식은 근대화와 구조 조정 프로그램에서 빈곤 감소로 전환되었다. 이전에는 산업화와 산업 정책을 통해 빈곤 국가의 사회적, 경제적 구조 전환을 장려했지만, 빈곤 감소는 거시경제 안정을 통해 경제 성장을 증가시키는 사회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직접적인 예산 지원을 강조한다.
빈곤은 식량, 주거, 안전한 식수와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에 대한 경제적 접근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하며, 경제적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배치와도 관련되며, 존엄성 부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1990년대에는 개발 이론이 교착 상태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탈개발 시대"가 거론되기도 했다.[50][51][52] 냉전이 끝나고 자본주의가 사회 조직의 지배적인 방식이 되었지만,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빈곤 속에 살고 있으며, 부채 문제와 세계화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개발 담론은 빈곤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인간 개발 접근 방식과 같은 단기적 비전이 제시되고 있다.[54]
3. 1. 전후 재건과 마셜 플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미국은 마셜 플랜을 통해 유럽 재건을 지원하며 국제 개발의 기틀을 마련했다.[45] 마셜 플랜은 인도주의적 목표와 더불어 미국의 동맹국을 강화하려는 정치적, 경제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했다.[45] 이는 냉전의 시작과 함께 제3세계가 공산주의로 기울어지는 것을 막으려는 미국의 의도와도 맞닿아 있었다.[43]3. 2. 식민지 독립과 개발 시대
1949년 1월 20일,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우리는 과학적 진보와 산업 발전의 혜택을 후진 지역의 개선과 성장에 활용하기 위한 대담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합니다. 구식 제국주의 – 외국 이익을 위한 착취 – 는 우리 계획에 자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구상하는 것은 민주적이고 공정한 거래라는 개념에 기반한 개발 프로그램입니다."라고 말했다.[44] 이 연설은 "개발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트루먼 대통령의 연설 이전에도 미국은 이미 국제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에는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현재 세계은행 그룹의 일부)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설립되었고, 1945년에는 유엔(UN)이 창설되었다.[44] 이러한 기구들은 국제 개발 협력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3. 3. 냉전과 개발 경쟁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은 각자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개발 원조를 경쟁적으로 제공했다.[43]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사회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으로 근대화 이론과 종속 이론이 있다.근대화 이론은 1950년대 월트 로스토우(Walt Rostow) 등 미국의 경제학자들이 주창한 이론으로, 국제 개발에 대한 '선진국'의 접근 방식을 뒷받침했다.[45]
종속 이론은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서구와 제3세계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46]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의 현대화론자들은 밀턴 프리드먼 등의 경제학자들의 신자유주의 사상을 채택하여 구조조정 프로그램 형태로 실행했다.[47]
3. 4. 신자유주의와 구조조정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밀턴 프리드먼 등의 경제학자들의 신자유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개발도상국에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시행했다.[47] 이는 현대화 이론에 기반한 것으로,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이었다.하지만 이러한 구조조정 프로그램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세계화에 따른 환경 파괴를 일으키는 등 여러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1960년대 후반 종속 이론이 등장하여 서구와 제3세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도 했다.[46]
3. 5.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발전
1990년대에는 개발 이론이 교착 상태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있었고, 일부 학자들은 "탈개발 시대"를 상상하기도 했다.[50][51][52] 냉전이 끝나고 자본주의가 사회 조직의 지배적인 방식이 되었으며, 유엔 통계에 따르면 지난 40년 동안 전 세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5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인구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빈곤 속에 살고 있었고, 그들의 정부는 부채로 인해 마비되었으며 세계화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이러한 교착 상태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에 대한 담론은 이제 빈곤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화라는 메타 내러티브는 새천년개발목표(MDGs)와 인간 개발 접근 방식이라는 단기적 비전으로 대체되었다.[54]
4. 국제 개발의 목표
국제 개발은 빈곤 퇴치, 불평등 완화, 교육 및 보건 증진, 환경 보호 등 다양한 목표를 추구한다. 2000년 유엔은 유엔 밀레니엄 선언에 따라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8가지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설정했다.[11] 이는 측정 가능한 목표와 명확한 지표를 통해 세계 개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이 처음으로 수립된 것을 의미한다.[11]
2015년 유엔총회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의제를 계승하여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했다.[7] 이는 2030년까지 기후변화, 경제 불평등, 민주주의, 빈곤, 평화구축 등의 영역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다.[9]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일반적인 정부 정책 개선 또한 목표로 한다. 국가 건설은 장기적인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지역 기관을 강화하는 것이다. 교육은 국제 개발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며, 사람들에게 빈곤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제공한다.[14]
4. 1. 밀레니엄 개발 목표 (MDGs, 2000-2015)
유엔 밀레니엄 선언에 따라 2000년 유엔은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8가지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설정했다.[11] 이는 측정 가능한 목표와 명확한 지표를 통해 세계 개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이 처음으로 수립된 것을 의미한다.[11]MDGs는 8개 목표 중 일부에서 진전을 이루었다. 예를 들어, 2015년까지 극빈곤율이 절반으로 감소했고,[4] 안전한 식수 이용, 말라리아 퇴치, 교육에서의 성평등과 같은 목표들도 달성되었다.[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MDGs가 빈곤과 불평등 구조를 완화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관점이 부족하여 다른 많은 목표 달성에 심각한 지연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6]
MDGs는 세계 공동체가 달성해야 할 세계적 목표로 합의되었기 때문에 개별 국가의 이익과는 독립적이지만, 결코 무관하지는 않다. 모든 국가는 세계 공동체에 대해 의무를 가지며, 이미 목표를 달성한 국가는 그렇지 못한 국가를 도울 의무가 있다.
처음 일곱 가지 MDGs는 측정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는 반면, 여덟 번째 목표는 처음 일곱 가지 목표를 향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인 여러 '중간 목표'를 열거한다. 각 목표는 관련 UN 기구, OECD, IMF, 세계은행 등에서 수집하고 관리하는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한 지표를 사용한다.
MDGs는 밀레니엄 약속과 같은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포함하여 상당한 양의 행동을 촉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대부분은 소규모 개입으로 작동하여 MDGs가 요구하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도달하지 못했다.
4. 2.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2015-2030)
2015년 유엔총회는 새로운 개발 의제를 채택했다.[7] 전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은 이를 "역사적 결정의 순간"이라고 언급하며 국가들에게 "연대하여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8]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의제를 계승하여 169개 지표를 포함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만들어졌다.[7] 2015년 9월 25일에 채택된 유엔 결의 제70/1호는 "우리의 세계를 변혁: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 의제"라는 제목으로 2014년부터 추진되어 온 17개의 새로운 목표를 확정했다.[4][7] 이 목표들은 2016년 1월에 발효되었으며, 기후변화, 경제 불평등, 민주주의, 빈곤, 평화구축 등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9]SDGs는 MDGs의 기반 위에 구축되었지만, 두 과정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MDGs와 달리 SDGs는 채택되기 전에 시민 사회 행위자, NGO, 그리고 정부 간 협상을 포함하는 개막 정상회담을 통해 수개월 동안 논의되었다.[10] 새로운 세계 개발 의제는 목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이해 관계자의 노력을 결합하여 집단 행동을 더욱 강조한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또한 부문 간 파트너십을 증진시키고 환경, 사회, 문화, 정치, 경제 개발 영역에 걸쳐 국제적 노력을 결합하게 했다.[10]
4. 3. 기타 목표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의 일반적인 정부 정책 개선을 목표로 한다. 국가 건설은 장기적인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발전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지역 기관을 강화하는 것이다. 교육은 국제 개발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며, 오늘날 개발도상국들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 초점을 맞추는 좋은 예이다. 교육은 사람들에게 빈곤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제공한다.[14]5. 국제 개발의 개념과 접근법
국제 개발은 국제 원조 개념과 관련이 있지만, 재난 구호 및 인도적 지원과는 구별된다.[15] 재난 구호 및 인도적 지원은 대부분 단기적인 해결책인 반면,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이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을 구현하고자 한다.[15]
국제 개발 프로젝트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일 프로젝트이거나, 사회 여러 측면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젝트로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여성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16]
인간 개발의 맥락에서 국제 개발은 외국 원조, 거버넌스, 보건 의료, 교육, 빈곤 감소, 성평등, 재난 대비, 인프라, 경제, 인권, 환경 등과 관련된 문제를 포함한다.[17]
최근 개발에 대한 사고방식은 근대화와 구조 조정 프로그램에서 빈곤 감소로 전환되었다. 이전에는 빈곤 국가가 산업화를 거치도록 장려했으나, 빈곤 감소는 거시경제 안정을 통해 경제 성장을 증가시키는 사회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직접적인 예산 지원으로 구성된다.
빈곤은 식량, 주거 및 안전한 식수와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필요에 대한 경제적 접근이 부족한 상태이다. 빈곤을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정의하기도 하지만, 사회적, 정치적 측면과 존엄성의 부족 또한 빈곤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5. 1. 국제 경제 불평등
세계화와 국제 자본주의는 국가 간, 그리고 국가 내의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국제 개발은 이러한 불평등을 줄이고,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남협력과 같이 개발도상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19]
UN과 같은 국제 개발 기구 및 국제기구는 경제 활동에서 급속한 세계화와 국제 자본주의의 특정 측면이 국가 간 경제적 격차(때때로 남북 문제라고 함)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기구들은 글로벌 사우스 간의 협력 증진 및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관행과 정책을 통해 이러한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19]
국제 개발은 한 국가 사회 내의 부유한 계층과 가난한 계층 간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 성장이 개발과 산업화를 촉진할 때, 기업과 산업의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교육받은 사람에 대한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계급 차이를 만들 수 있다. 교육에 대한 대중적 수요는 사람들이 새로운 경제 엘리트의 일원이 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교육 비용을 상승시킨다. 교육 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충분한 교육비를 지불할 수 있는 사람들만 대규모 개발이 가져오는 고소득 일자리에 필요한 충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가난한 사람들을 저임금 일자리로 제한하지만, 기술 개발은 이러한 일자리 중 일부를 없애기도 한다.
5. 2. 존엄성 (Dignity)
현대의 빈곤 감소 및 개발 프로그램은 종종 존엄성을 중심 주제로 삼는다. 존엄성은 세계인권선언의 중심 주제이기도 하며, 그 첫 번째 조항은 다음과 같다.:"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게 태어난다."
개발에서 존엄성이라는 개념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탐구되었으며, 모든 개발 부문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존엄성을 지닌 개발(Development with Dignity)''에서 아밋 바두리(Amit Bhaduri)는 모든 사람을 위한 존엄성을 갖춘 완전 고용이 인도에서 중요하고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UN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물 및 위생 태스크포스는 보고서 ''건강, 존엄성 및 개발: 무엇이 필요한가?''에서 해당 부문을 존엄성과 직접적으로 연결한다.[20][21] 아시아인권위원회는 2006년 성명을 발표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5. 3. 참여 (Participation)
참여는 개발 사업 및 프로그램의 예상 수혜자가 그 사업 및 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행에 직접 참여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개발 사업의 수혜자들이 자신의 개발에 영향을 미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지며, 의존성의 문화를 제거하는데 기여한다. 참여는 현대 개발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널리 간주된다.[23][24] 유엔 농촌개발 및 식량안보 시스템 네트워크는 참여를 "개발의 수단이자 목표 중 하나"라고 설명한다.[25]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 주민들은 종종 구전 사회의 산물이다. 이로 인해 참여적 농촌 평가와 같이 문맹인도 접근할 수 있는 프로젝트 계획 및 조직 개발 방법을 설계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5. 4. 적절성 (Appropriateness)
개발 프로젝트가 올바른 규모와 기술 수준을 갖추고, 수혜자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이 '적절성'의 개념이다. 이는 단순히 저기술, 저렴한 비용, 기본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프로젝트가 수혜자와 소유자에게 받아들여지고, 경제적으로 감당 가능하며, 지속 가능하다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의 농촌 지역 사회에서는 염소 소독 및 펌프식 수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시스템을 제대로 유지 관리하거나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간단한 수동 펌프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반면 같은 국가의 대도시에서는 수동 펌프로 물을 제공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염소 소독 시스템이 적절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경제학자 E. F. 슈마허는 적절한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개발을 위한 적절한 기술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ITDG(Intermediate Technology Design Group, 현재 프랙티컬 액션)를 설립했다.
5. 5. 지속 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진정한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젝트는 재정적이든 그렇지 않든 더 이상의 국제적 개입이나 지원 없이 무기한으로 지속될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국제 개발 프로젝트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일의 혁신적인 프로젝트 또는 사회의 여러 측면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젝트로 구성될 수 있다. 지원되는 프로젝트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 정치, 지리 및 경제를 반영하는 문제 해결을 포함한다. 최근 이 분야의 초점은 여성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및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맞춰져 있다.[16]
5. 6. 역량 강화 (Capacity building)
국제 개발은 개발도상국이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을 구현하고자 한다.[15] 진정한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젝트는 재정적이든 아니든 더 이상의 국제적 개입이나 지원 없이 무기한으로 지속될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5. 7. 권리 기반 접근법 (Rights-based approach)
개발의 권리 기반 접근법은 많은 비정부기구와 국제연합이 국제 개발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채택했다. 권리 기반 접근법은 역량 강화, 인권, 참여 및 지속 가능성과 같은 국제 개발의 여러 개념을 결합한다. 개발의 권리 기반 접근법의 목표는 권리 소유자(완전한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는 집단)의 권한을 강화하고, 권리 이행자(이러한 권리를 충족할 의무가 있는 기관 또는 정부)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6. 국제 개발의 실제
국제 개발은 단순한 재난 구호나 인도적 지원을 넘어, 개발도상국이 스스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추구한다.[15] 이는 재정 지원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특수한 문화, 정치, 지리,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여성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환경 보호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포함한다.[16]
국제 개발은 외국 원조, 거버넌스, 보건 의료, 교육, 빈곤 감소, 성평등, 재난 대비, 인프라, 경제, 인권 등 다양한 문제들을 다룬다.[17] 과거에는 산업화를 위한 구조 전환을 강조했지만, 최근에는 빈곤 감소를 위한 사회 복지 프로그램에 직접적인 예산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빈곤은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으며, 존엄성의 부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6. 1. 측정 (Measurement)
개발 수준을 측정하는 것은 주관적이고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개발 목표 설정과 정책 수립에 중요하다. 국민총생산(GDP), 문해율, 평균 수명, 인간개발지수(HDI), 지니계수 등 다양한 지표가 활용된다. 사회 변화 지표는 경제적 요인을 보완하고, 개발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5][16][17]6. 2. 이주와 송금 (Migration and remittance)
이주는 역사적으로 국제 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그들의 문화, 지식, 기술이 함께 이동한다. 이주민들이 과거의 고향과 공동체와 맺는 유대는 국제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상품, 자본, 지식의 추가적인 흐름으로 이어진다. 현대 이주민들이 고향으로 보내는 송금의 가치는 국제 원조 총액보다 훨씬 크다.[29]6. 3. 분야 (Sectors)
국제 개발은 물과 위생, 보건 의료, 교육, 주거, 인권, 생계,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뉘어 접근하며, 이들 분야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17] 이러한 분야들은 새천년개발목표와 같은 국제적인 개발 목표와도 관련이 깊다.각 분야는 독립적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문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여러 분야가 협력하여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여성의 권한 강화, 지역 경제 구축, 환경 보호는 서로 연관된 목표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16]
인간 개발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17]
지표 | 설명 |
---|---|
국민총생산(GDP) | 한 국가의 경제 규모 |
문해율 |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
평균수명 | 평균 수명 |
인간개발지수 | 삶의 질을 나타내는 복합 지표 |
지니계수 | 소득 불평등 정도 |
인간안보지수 | 외부 링크 참조 |
1인당 소득 | 개인 평균 소득 |
모성 사망률 | 출산 중 산모 사망 비율 |
HIV 감염률 | 인구 중 HIV 감염자 비율 |
인구 1인당 의사 수 | 의료 서비스 접근성 |
이러한 지표들은 사회 변화를 나타내며, 개발 정책 수립에 있어 경제적 요인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26]
6. 3. 1. 물과 위생 (Water and sanitation)
개발 분야에서 물과 위생은 수용 가능한 삶의 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과 질의 물, 위생 시설(화장실, 목욕 시설,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생명 유지를 위해 충분한 양과 질의 물과 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구호 활동과는 다르다.[30]물과 위생 시설 제공은 공학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교육 및 행동 변화 요소를 포함하고 주거, 정치, 인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사회적, 정치적 과제이기도 하다.
7번째 새천년 개발 목표는 "환경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이었으며, 여기에는 "안전한 식수에 대한 지속 가능한 접근이 없는 사람들의 비율을 절반으로 줄이고" "2020년까지 최소 1억 명의 빈민가 주민들의 삶을 상당히 개선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물 문제를 다루는 26개의 UN 기관으로 구성된 UN-Water는 3년마다 발행되는 유엔 세계 물 개발 보고서를 담당하며, 물과 관련된 새천년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계 물 평가 프로그램은 8개의 새천년 개발목표가 물 자원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설명했다.[31]
6. 3. 2. 보건 (Health)
이는 인구의 요구에 따라 효율적이고 일관되게 양질의 보건 의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허용되거나 적절한 제공의 기준과 수준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국가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이든 아니든) 대도시에서는 광범위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병원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고 실용적일 수 있지만, 외딴 농촌 지역 사회에서는 여러 지역 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촌 진료소와 함께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보건 의료 종사자를 제공하는 것이 더 적절하고 실용적일 수 있다.보건 의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은 병원과 교통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링 과제이자 자격을 갖춘 보건 의료 종사자와 교육받은 소비자를 필요로 하는 교육 과제이기도 하다.
새천년 개발 목표 중 보건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4차 새천년 개발 목표는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을 3분의 2까지 줄이는 것'이다.
- 제5차 새천년 개발 목표는 '산모 사망률을 4분의 3까지 줄이는 것'이다.
- 제6차 새천년 개발 목표는 'HIV/AIDS의 확산을 막고 역전하기 시작하고' '말라리아 및 기타 주요 질병의 발생률을 막고 역전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은 관리 과제이기도 하다. 보건 서비스는 모든 남성, 여성, 아동에게 동일한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제한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수준의 서비스를 달성하려면 혁신, 품질 개선 및 공중 보건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확장이 필요하다. 주요 목표는 공중 보건을 진정으로 공공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보건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 파트너스 인 헬스(Partners in Health)
- 결과를 위한 개발 연구소(Results for Development Institute)
- 글로벌 백신 및 면역 연합(Global Alliance for Vaccines and Immunization)
6. 3. 3. 교육 (Education)
교육 제공은 주로 무상 초등 교육 제공에 초점을 맞추지만, 중등 교육과 고등 교육도 포함한다. 교육 접근성 부족은 인간 개발의 주요 제한 요소 중 하나이며, 다른 모든 부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거의 모든 개발 프로젝트에는 교육적 측면이 포함되는데, 그 이유는 개발 자체가 사람들의 삶의 방식 변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제2 새천년 개발 목표는 ''보편적 초등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 제공 자체가 교육 과제이다. 고등 교육 기관에서 교육받은 자격을 갖춘 교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6. 3. 4. 주거 (Shelter)
문화, 위치, 기후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가족과 지역사회에 적합한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국제 개발에서 주거 부문의 목표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적절한 품질과 유형의 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긴급 구호 활동에서의 주거는 생명 유지를 위해 충분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개발 분야의 주거와는 차이가 있다.[30]주거 문제 해결을 전문으로 하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유엔 인간 정주 계획(UN-HABITAT) (개발)
- 유엔난민기구(UNHCR) (구호)
- 쉘터 센터(Shelter Centre) (구호)
- 휴머니티를 위한 건축(Architecture for Humanity) (구호 및 개발)
- 제25조(Article 25) (구호 및 개발)
- 아카이브 글로벌(ARCHIVE Global) (개발)
6. 3. 5. 인권 (Human rights)
인권 보장은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세계인권선언 등 국제 인권 문서에 명시된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2] 국제 개발 사업과 관련이 깊은 인권 주제에는 성평등, 사법, 고용, 사회복지, 문화와 관련된 권리가 있다.세 번째 밀레니엄 개발 목표는 "2005년까지는 가능하면 초중등 교육에서, 2015년까지는 모든 교육 수준에서 성별 불평등을 해소함으로써 성평등을 증진하고 여성의 권익을 신장하는" 것이었다.
여성의 권익 신장은 다른 개발 목표 달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목표 1~6(빈곤 퇴치,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개선 등)은 콩고 민주 공화국,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및 많은 개발도상국 지역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여성의 낮은 사회적 지위는 빈곤과 기아 극복, 건강한 아이 양육 등을 어렵게 만든다.
역사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교육받을 기회가 제한되어 경제적 발전 기회가 적었다. 여성에게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면 보편적 초등 교육 달성에 기여하고, 질병 예방 지식 확산에도 도움이 된다. 여성들은 쉽게 예방할 수 있는 이유로 HIV/AIDS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여성의 교육 기회 확대는 여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성평등 증진은 세계 개발을 향한 진전을 이끄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33]
6. 3. 6. 생계 (Livelihoods)
모든 사람이 인권을 침해받지 않고 존엄성을 유지하며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고 적절한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제 개발의 중요한 목표이다.새천년 개발 목표의 첫 번째 목표는 ''하루 1USD 미만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을 절반으로 줄이고'', ''굶주림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비율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다.[28]
생계 개념은 지속 가능한 생계 접근법(SLA)에서 직접적으로 도출되었다. 로버트 체임버스는 1980년대 중반부터 개발 협력의 효율성 증진에 관심을 가지고 SLA 개발에 기여했다. 이 접근법은 나중에 영국 국제개발부(DFID)에 의해 개발되고 활용되었다. SLA는 기존 개발 계획의 이전 이론과 방법론보다 더 포괄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핵심 개념에는 전체적인 관점을 취하고, 지역 사회와 개인의 강점을 기반으로 하고, 거시적 및 미시적 사고를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고, 역동적이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프레임워크를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6. 3. 7. 금융 (Finance)
개인들이 자신의 발전을 위해 서비스, 물품 또는 프로젝트를 조직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재정 시스템과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여러 기관과 이니셔티브가 존재한다.무하마드 유누스와 그가 설립한 그라민 은행은 소액신용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제공한 공로로 2006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하였다.[28]
7. 글로벌 개발 (일본의 관점)
글로벌 개발은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외 개발은 일본인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특정 국가에서 인력을 확보하는 형태가 현실적으로 많았다.[1] 그러나 현대에는 각국의 계약서 작성 서비스 및 송금 서비스가 발달하여 여러 국가의 인재 채용 및 고용이 매우 용이해졌다.[1]
기존의 해외 개발처럼 특정 국가의 인력만을 채용하는 것은 해당 국가의 임금 상승이나 정치적 문제 발생 시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일본 기업이 해당 국가의 문화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어 다른 국가 인력을 채용해야 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처음부터 여러 국가에서 인력을 채용하면 능력 있는 인재를 국가에 관계없이 고용하는 문화가 일본 기업에 형성되고, 임금 상승이나 정치적 문제 등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국가 인력 채용으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어 위험을 줄일 수 있다.[1]
7. 1. 장점
기존의 해외 개발보다 우수한 인재를 저렴하게 채용할 수 있다.[1] 각국의 정치적 위험, 임금 상승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1] 시차를 이용한 개발 및 인프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1]7. 2. 단점
해외 인력 채용이기 때문에 언어 장벽이 존재한다. 의사소통에 장벽이 되지만, 세계화 현황을 고려할 때 번역 기술의 발전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거의 해소될 것으로 생각된다.8. 비판적 시각
"개발된"과 "개발 도상"(또는 "저개발")이라는 용어는 부의 분배 문제와 식민주의의 지속적인 영향을 무시하기 때문에 정책 수립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일부 이론가들은 개발 노력을 근본적으로 신식민주의로 보고 있는데, 이는 부유한 국가가 가난한 국가에 자국의 산업 및 경제 구조를 강요하여 가난한 국가가 개발된 국가의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국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후개발주의자들은 개발을 서구의 문화 제국주의의 한 형태로 보고 있으며, 이는 가난한 나라의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고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기 때문에 개발 자체를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4]
다른 학자들은 가장 부유하고 산업화된 국가조차도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 도상"이라는 개념을 모든 국가에 적용하려고 노력했다.[35] 이는 냉전 시대의 "제3세계" 용어부터 그 이후의 "개발된" 국가와 "개발 도상" 국가의 이분법에 이르기까지 개발 실천 언어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보여준다.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36]라는 표현도 (특히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예를 들어 호주가 글로벌 노스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처럼) 정확하지 않다. 현재 "글로벌 사우스"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는 "다수 세계"[37]와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가 있다. 후자의 용어는 예를 들어 저소득 중간소득 국가와 고소득 중간소득 국가를 구분하는 데 있어 더 큰 구체성을 허용하지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권리와 자유를 희생하면서 개발의 경제적 측면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언어적 문제는 개발의 틀과 관련된 개념적 긴장을 반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ifting 800 Million People Out of Poverty – New Report Looks at Lessons from China's Experience
https://www.worldban[...]
2024-01-05
[2]
웹아카이브
Video with prof. Hans Rosling
https://web.archive.[...]
2009-10-01
[3]
서적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Wiley-Blackwell
[4]
뉴스
From MDGs to SDGs
http://www.sdgfund.o[...]
2014-12-17
[5]
문서
Transitioning from the MDGs to the SDGs
World Bank Grou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6]
학술지
From MDGs to SDGs: We need a critical awakening to succeed
[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www.un.org/ga[...]
2018-11-09
[8]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s remarks at Summit for the Adoption of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https://www.un.org/s[...]
2018-11-09
[9]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www.undp.org/[...]
2018-11-09
[10]
학술지
From MDGs to SDGs the political value of common global goals
[11]
웹사이트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dicators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08-01-13
[12]
웹사이트
Engineering Civilisation from the Shadows
http://www.sistech.c[...]
[13]
웹사이트
Engineering Without Frontiers
http://www.sistech.c[...]
2004-07
[14]
웹사이트
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15]
웹사이트
From Humanitarian to Development Aid
https://www.humanita[...]
2022-07-20
[16]
웹사이트
www.idex.org
International Development Exchange
[17]
웹사이트
Oxfor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www.qeh.ox.ac[...]
2018-04-29
[18]
문서
Data from the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1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www.un.org/mi[...]
2018-04-29
[20]
서적
[21]
서적
Stockholm International Water Institute
[22]
보도자료
India: Human dignity is the true measure of development
http://www.ahrchk.ne[...]
2006-07-27
[23]
웹사이트
Participation, Power and Social Change research team – Overview
http://www.ids.ac.uk[...]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4]
웹사이트
Participation & Civic Engagement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5]
웹사이트
Participation
http://www.rdfs.net/[...]
UN System Network on Rural Development and Food Security
[26]
웹사이트
www.worldbank.org/id[...]
The World Bank
[27]
웹사이트
www.idrc.ca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28]
웹사이트
Mapping Progress:Evidence for a New Development Outlook
http://www.developme[...]
ODI
2012-01-12
[29]
뉴스
Migrant remittances 'top $100Bn'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08
[30]
서적
Sphere Project
[31]
웹사이트
World Water Assessment Programme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018-04-29
[32]
웹사이트
Unhchr.ch - unhchr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www.unhchr.ch[...]
[3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gender equality
https://www.unfpa.or[...]
2022-07-20
[34]
웹사이트
Pluriverse: A Post-Development Dictionary, 2018
https://degrowth.org[...]
2018-04-14
[35]
웹사이트
Every Country Is Developing, According To The New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
https://www.forbes.c[...]
2021-04-16
[36]
논문
Notes on a Southern urban practice
https://doi.org/10.1[...]
2019-10-01
[37]
웹사이트
Discussing views of Majority and Minority world countries with Ethiopian students
http://toolkit.risc.[...]
2021-04-16
[38]
서적
Culture and Development Theory
1999
[39]
문서
Barlett (2007)
2007
[40]
서적
Poverty and the end of development
2000
[41]
문서
Browne (1990)
1990
[42]
논문
Marching to the Tune: Colonization, Globalization, Immigration, and the Ghanaian Diaspora
http://dx.doi.org/10[...]
2005
[43]
서적
Global Development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09-03
[44]
서적
Development
1992
[45]
논문
The Role of Modernization Theory in the Re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Labour Movement in the Cold War Period: Lessons for Today
2018
[46]
논문
The success and failure of dependency theory: the experience of Ghana
http://dx.doi.org/10[...]
1985
[47]
서적
Economic Development, 10th Ed.
Addison-Wesley
2009
[48]
서적
Adjustment with a Human Face
[49]
논문
What is Human Development?
https://hdr.undp.org[...]
2015-02-19
[50]
문서
Schuurman (1993)
1993
[51]
문서
Escobar (1995)
1995
[52]
문서
Fukuyama (1992)
1992
[53]
문서
Wroe, Doney (2005)
2005
[54]
서적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Beyond: Global Development after 2015
Routledge
2012
[55]
문서
Utting (2003)
2003
[56]
문서
Korten (1995)
1995
[57]
문서
Parfitt (2002)
2002
[58]
문서
Moss, Roodman and Standley (2005)
2005
[59]
서적
Theories and Practices of Development
[60]
서적
Development as Freedom
[61]
서적
자유로서의 발전
[62]
서적
국제개발과 국제원조
[63]
서적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