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락앤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락앤락은 1978년 국진유통으로 설립된 생활용품 기업이다. 1998년 4면 결착 밀폐 용기를 출시하며 락앤락으로 브랜드명을 통합했고, 2010년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었다. 식품 보관 용기, 텀블러, 쿡웨어, 소형 가전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한국, 중국, 베트남, 미국 등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락앤락은 한국산업브랜드파워(K-BPI)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을 위한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설립된 화학 기업 - 미쓰비시 케미컬 홀딩스
    미쓰비시 케미컬 홀딩스는 2005년 미쓰비시 화학과 미쓰비시 웰파마의 공동 주식 이전을 통해 설립된 일본의 종합 화학 기업 그룹으로, 화학, 메디컬, 산업 가스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KAITEKI'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2005년 설립된 화학 기업 - 바닐라코
    바닐라코는 에프앤에프의 감각을 담아 론칭 후 10년 만에 연 매출 1,200억 원을 달성한 대한민국의 화장품 브랜드로, 클린 잇 제로 시리즈를 포함한 클렌징 제품과 색조,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아시아 시장에서 K-뷰티 열풍을 이끌고 다양한 모델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했다.
  • 1978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쿠쿠전자
    쿠쿠전자는 압력밥솥으로 유명한 한국 소형 가전제품 제조 기업으로, OEM 방식으로 기술력을 쌓아 자체 브랜드 '쿠쿠'를 론칭한 후 해외 시장 확장과 다양한 가전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회적 논란도 있는 기업이다.
  • 1978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피죤 (한국 기업)
    피죤은 197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생활용품 기업으로, 섬유유연제 '피죤'을 시작으로 세탁세제, 유아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며 사회공헌 활동과 친환경 제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락앤락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락앤락
영문 이름Lock & Lock
종류주식회사
산업제조 및 유통
설립일1978년 11월 11일
상장일2010년 1월 28일
본점 소재지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4 그랜드센트럴 A동 20층
법적 본점 주소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삽교천로 104
서비스 지역전 세계
주요 제품식품 보관 용기, 쿡웨어, 베버리지웨어, 소형 가전 등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경영진
주요 인물김성훈
소유
소유주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
재무 정보 (2020년 12월 기준)
자본금27,500,000,000원
매출액501,984,850,630원
영업 이익28,927,882,916원
순이익11,755,551,266원
자산 총액783,185,018,158원
주주 구성 (2020년 12월 기준)
주요 주주Consumer Strength Limited 외 특수관계인: 67.01%
2대 주주국민연금: 7.88%
직원 수 (2020년 12월 기준)
총 직원 수국내외 총 4,047명
추가 정보 (2021년 기준)
매출액약 4억 1,800만 미국 달러

2. 역사

1978년 국진유통으로 설립된 락앤락은 1998년 4면 결착 밀폐 용기를 출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1] 2003년에는 회사명을 ㈜락앤락으로 변경하였다.[1]

2004년 중국을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에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에 판매 법인을 설립했다. 2010년에는 코스피 시장에 상장[1]하고 독일에 판매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베트남에 유리 및 주방용품 생산 공장을 완공하여 생산 능력을 확대했다. 2016년에는 미국에 판매 법인을 설립하며 미주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2. 1. 연혁

LocknLock영어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78년국진유통 설립[1]
1998년4면 결착 방식의 식품 용기 출시, LocknLock영어 브랜드 통합[1]
2010년한국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 상장, 토탈 리빙 키친웨어(Total Living-Kitchenware) 브랜드로 확장[1]
2017년어피너티 에쿼티 파트너스(Affinity Equity Partners)에 매각[1]
2018년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LocknLock영어), 혁신 연구소 LL Labs 신설, 한국/중국/베트남에 글로벌 디자인 센터 구축[1]
2019년4대 전략 카테고리(식품 보관 용기, 베버리지웨어, 쿡웨어, 소형 가전) 설정, ‘제니퍼룸’ 인수로 주방 소형 가전 사업 확대, 스팀에어프라이어 출시[1]


2. 2. 수상 및 인증

연도수상 및 인증 내역
2004년~2021년한국산업브랜드파워(K-BPI) 밀폐 용기 부문 18년 연속 1위, 주방용품(쿡웨어) 부문 5년 연속 1위
2008년~2021년레드 닷, iF, 미국 IDEA, 굿 디자인 등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다수 수상
2009년~2018년,
2020년
한국소비자웰빙지수(KS-WCI) 10년 연속 1위, 2020년 1위
2014년~2020년산업통상자원부 세계 일류 상품 7년 연속 선정
2012년~2020년베트남 소비자가 신뢰하는 100대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2009년~2018년로하스 인증 10년 연속 인증
2015년내열 유리 제식기 KS인증 획득
2011년독일 소비재 심사 기관 외코 테스트 밀폐 용기 ‘최우수 등급‘


3. 글로벌 락앤락

락앤락은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라이프 스타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 베트남을 비롯하여 태국, 중동 등 신흥 시장과 미국, 유럽 등 선진 시장 공략에도 힘쓰고 있다.[1]

중국에는 2004년 상해 영업 법인을 시작으로 진출했으며, 상해, 북경, 심천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영업 활동을 하고 있다. 한류 스타나 현지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으며, '중국 브랜드 파워 지수(C-BPI)'에서 2012년부터 2020년까지 9년 연속 밀폐 용기 부문 1위,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년 연속 보온병 부문 1위에 선정되는 등 중국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1] 2014년부터는 온라인 시장에 주목하여 온라인 중심으로 영업을 전환하고, 티몰, 징동닷컴 등 대규모 전자 상거래 회사와 핀두오두오(PDD), 틱톡 등 신흥 온라인 플랫폼까지 온라인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1]

베트남에는 2008년 호치민 시에 첫 직영점을 오픈하고 2009년 하노이 영업법인을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을 바탕으로 빈컴 센터(Vincom Center), 팍슨 백화점 등 고급 쇼핑몰에 입점했으며, 쿱마트(Coop Mart), 빈 마트(Vin Mart)와 같은 로컬 유통 기업과도 협력하며 오프라인 판매 채널을 강화했다.[1] 또한 '동남아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라자다와 티키(tiki), 쇼피(shopee) 등 베트남 3대 이커머스 채널을 중심으로 온라인 채널도 공략하고 있다.[1] 2020년에는 9년 연속 ‘소비자가 신뢰하는 100대 브랜드’에 선정되었고,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5년 연속 ‘10대 브랜드’에 이름을 올렸다.[1]

미국 시장에는 2001년 홈쇼핑 채널 QVC US 첫 방송을 통해 진출했다. 2017년에는 온라인 시장을 겨냥해 미국 법인을 설립하고 아마존 닷컴에 브랜드 전용 페이지를 오픈하는 등 미주 온라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1] 2019년에는 미국 최대 쿡웨어 유통기업인 마이어(Meyer US)와 밀폐 용기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1]

유럽 시장에는 독일 법인을 중심으로 식품 보관 용기, 텀블러, 쿡웨어 등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며 공략하고 있다. 2004년 독일 QVC 첫 생방송에서 분당 466세트 판매, 방송 6회 만에 전량 판매, 하루 만에 4만 세트 판매 등 기록적인 실적을 올렸다.[1] 2019년에는 독일 QVC에 텀블러를 대규모 수주하기도 했다.[1] 현재 QVC를 중심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동시에 유럽의 친환경 이슈에 대응하며 에코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국 최대 리테일인 TESCO에 에코 컨테이너가 입점하기도 했다.[1]

동남아시아 시장은 베트남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2003년 태국 시장에 진입해 직영점을 시작으로 할인점, 백화점 등으로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태국 법인을 기반으로 말레이시아,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 시장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1] 인도네시아에서는 프리미엄 주방용품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현지 대형 할인점 등을 통한 다양한 소비자 프로모션을 비롯해 자카르타, 수라바야, 메탄 등 대도시에서 직영점을 운영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고 있다.[1]

3. 1. 중국

중국 쑤저우 만산에 생산 공장이 있다.

3. 2. 베트남

락앤락은 베트남 붕따우에 플라스틱, 유리, 주방용품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4. 락앤락 제품 소개

락앤락은 밀폐 용기 전문 기업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주방용품 및 소형 가전 제품까지 아우르는 종합 생활용품 브랜드이다.

식품 보관 용기는 락앤락의 대표 제품군으로, 플라스틱(PP), 트라이탄, 내열 유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한다. 1인 가구, 이유식, 나들이 등 다양한 용도에 맞춘 제품과 간편식, 밥, 식재료 보관에 특화된 용기들을 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탑클라스'는 전자레인지, 오븐, 에어프라이어, 식기 세척기 등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프리미엄 내열 유리 밀폐 용기이다.

텀블러와 물병 등을 포함하는 베버리지웨어는 2010년 텀블러 시장 진출 이후, 안전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와 우수한 보온∙보냉 기능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 음료 용기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메트로 텀블러는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를 석권하며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쿡웨어는 1998년 시장 진출 이후, 2012년 자체 공장 설립을 통해 안정적인 제품 공급과 품질 관리 기반을 마련했다. '하드아노다이징 공법', 세라믹 코팅, 스테인리스 소재 등 안전한 코팅 기술과 소재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가벼워서 편리한 원쿡, 살롱 드 오브제, 하드 앤 라이트, 소마 IH 시리즈, 데꼬르 IH 시리즈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2019년에는 소형 가전 시장에도 진출하여 칼도마살균블럭, 칫솔살균기, 진공 쌀통, 스팀에어프라이어 등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보였다. 진공 쌀통은 출시 4개월 만에 10만 대 판매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2020년에는 주방 가전 브랜드 제니퍼룸을 인수하여 소형 가전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4. 1. 식품 보관 용기

락앤락 식품 보관 용기는 플라스틱(PP)부터 친환경 신소재인 트라이탄, 프리미엄 내열 유리까지 다양한 소재를 적용해 선보이고 있다. 또한 변화되는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1인 가구용, 이유식용, 나들이용 등 맞춤형 제품과 간편식 및 밥 전용 용기, 식재료 맞춤 용기 등 혁신적인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높은 공감을 얻고 있다. 2020년 출시한 프리미엄 내열 유리 밀폐 용기 ‘탑클라스’는 전자레인지오븐뿐 아니라 에어프라이어, 식기 세척기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간편식에 최적화된 ‘렌지락’, 올인원 도시락 용기 ‘투고(TO-GO) 시리즈’는 편리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으로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4. 2. 베버리지웨어

베버리지웨어는 텀블러와 물병 등을 아우르는 카테고리이다. 락앤락은 2010년 텀블러 시장에 진출했으며, 안전한 식품 용기 등급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만 사용하고, 우수한 보온∙보냉 기능을 적용하면서 국내 대표 음료 용기 브랜드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텀블러는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편의와 기능, 가성비를 비롯해 감각적인 디자인까지 갖추면서 전 연령대에 걸쳐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2019년 세계적인 디자인 컨설팅 업체 데이라이트와 협업해 선보인 메트로 텀블러는 실용적인 북유럽 감성과 세련된 현대적 디자인을 담아냈으며, 미국 IDEA,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등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를 비롯해 독일 디자인 어워드까지 휩쓸며 디자인 어워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바 있다. 또한 머그컵에 텀블러 기능을 더한 ‘메트로 머그’, 맥주 전용 텀블러 '스텐 맥주컵’ 등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물병 역시 인기 캐릭터와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하는 등 트렌드에 발맞춘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있다.

4. 3. 쿡웨어

락앤락 쿡웨어는 요리 초보자부터 매일 주방을 사용하는 사람, 전문 사용자까지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쿡웨어 브랜드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1인 가구 증가, 미니멀리즘, 주방 인테리어 트렌드 등 다채로운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맞춰 소비자 맞춤형 시리즈, 편의성을 강조한 시리즈, 차별화된 디자인을 더한 감성 디자인 시리즈 등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

락앤락은 1998년 쿡웨어 시장에 진출했으며, 2012년 자체 공장을 설립하며 안정적인 제품 공급과 우수한 품질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업을 본격 확장했다. 연구, 개발부터 생산, 유통까지 전 과정에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엄격한 품질 테스트부터 깐깐한 제조 공정 관리와 제품 전수 조사 등을 통해 품질을 높이고 있다. 또한 ‘하드아노다이징 공법’, 세라믹 코팅, 스테인리스 소재 등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코팅 기술과 소재를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초경량 쿡웨어 ‘가벼워서 편리한 원쿡’, 통주물 방식을 적용한 프리미엄 쿡웨어 ‘살롱 드 오브제’, 실용성을 강조한 ‘하드 앤 라이트’, 편의성을 강화한 ‘소마 IH 시리즈’,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더한 ‘데꼬르 IH 시리즈’ 등이 있다.

4. 4. 소형 가전

락앤락은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에서 300여 종의 소형 가전을 판매해 온 저력을 살려 2019년 한국 소형 가전 시장에도 진출했다. 칼도마살균블럭, 칫솔살균기 등 살균 가전 시리즈를 선보이며 위생적인 주방 생활을 도왔고, 쌀 보관에 최적화된 진공 쌀통과 기존 에어프라이어의 한계를 보완해 스팀 기능을 더한 스팀에어프라이어 등 혁신적인 소형가전을 잇따라 출시하며 업계 선도적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2020년 6월 출시한 진공 쌀통은 집밥 트렌드와 위생에 대한 높아진 관심 속에 큰 인기를 얻으면서 출시 4개월 만에 10만 대 판매를 돌파하기도 했다. 같은 해 4월에는 국내 소형 주방 가전 전문 브랜드 제니퍼룸을 인수하며 소형 가전 카테고리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선두 브랜드로서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5. 캠페인

락앤락은 수거된 밀폐 용기를 재활용하여 지속적인 자원 순환을 실천하는 '업사이클링 에코백'을 출시했다. 또한 테라사이클(TerraCycle)과 협력하여 텀블러를 수거 및 재활용하여 제주 올레길 벤치를 제작했다.[1] 테라사이클과 락앤락은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오래된 플라스틱 밀폐 용기를 매장으로 가져오면, 특정 제품 구매 시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2]

6. 락앤락 몰

http://www.locknlockmall.com 락앤락 몰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온라인 중심의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공식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고,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하는 라이브 방송을 기획하는 등 온라인 채널을 강화하고 있다.

7. 국내 사업장 및 주요 생산 시설

락앤락은 서울특별시경기도 안성시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서울 사업장은 중구 세종대로에, 안성 사업장은 안성시 원곡면에 위치하며 물류 센터로 운영된다. 주요 생산 시설은 중국베트남에 있다.

7. 1. 국내 사업장



락앤락 안성 사업장은 물류 센터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 기지는 중국베트남에서 운영하고 있다.

7. 2. 주요 생산 시설

국가도시품목설립일설명
중국쑤저우플라스틱2007년해외 주요 시장인 중국 내수 시장을 담당하는 생산 기지로 활용.
베트남붕따우플라스틱2009년가격 경쟁력과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베트남을 포함해 인근 아세안 국가, 유럽, 북미 등 전 세계 제품 생산
내열 유리2011년붕규산을 함유해 급격한 온도 변화에 강한 내열 유리 식기를 연간 1만 톤 규모로 생산
쿡웨어2012년피막과 코팅이 동시에 가능한 독자적 기술을 사용해 고품질의 다양한 쿡웨어 제품 생산


참조

[1] 웹사이트 Launch Love for Planet Campaign with TerraCycle and Lock&Lock https://www.sedaily.[...] 2021-05-27
[2] 웹사이트 [Photo] Lock&Lock, 'Love for Planet' Resource Circulation Campaign https://www.edaily.c[...] 2021-05-27
[3]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