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란드리아노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드리아노 전투는 1529년 6월 21일 프랑수아 1세가 롬바르디아 지역 란드리아노에 주둔시킨 프랑스군과 테라노바 공작 안토니오 데 레이바가 이끄는 스페인군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전멸했고, 프랑스는 이탈리아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 프랑스군 패배 후, 프랑수아 1세는 신성 로마 황제와 협상하여 캉브레 조약을 체결하고, 이탈리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9년 유럽 - 마르부르크 회의
    마르부르크 회의는 1529년 헤센의 필리프가 개신교 신자들의 통합을 위해 주도한 회의로, 성찬례에 대한 루터와 츠빙글리의 이견으로 결렬되었다.
  • 1529년 이탈리아 - 피렌체 공성전 (1529–30년)
    피렌체 공성전 (1529–30년)은 신성 로마 제국과 교황의 공격으로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 공화국을 멸망시키고 권력을 되찾은 사건이다.
란드리아노 전투
전투 정보
분쟁코냐크 동맹 전쟁
날짜1529년 6월 21일
장소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란드리아노
결과제국-스페인군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피렌체 공화국
밀라노 공국
교전국 2카를 5세 제국
신성 로마 제국
스페인
지휘관
지휘관 1생폴 백작 프랑수아 드 부르봉
지휘관 2안토니오 데 레이바

2. 배경

1528년 4월, 안드레아 도리아가 이끄는 제노바 함대가 나폴리를 해상에서 봉쇄하며 나폴리 공성전이 시작되었다.[11] 그러나 7월에 도리아 제독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와 새로운 용병 계약을 맺고 전장을 이탈하여 봉쇄를 풀었다.[11]

흑사병으로 인해 프랑스군 지휘관 로트레크 자작 (오데 드 푸아)을 비롯한 많은 병사들이 사망하면서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11] 8월 15일 로트레크 자작이 사망하자,[11] 조반니 루도비코 디 살루초가 지휘권을 인계받아 8월 29일 철수를 결정했다.[11] 철수하던 프랑스군은 오랑주 공 (필리베르 드 샬롱)이 이끄는 제국-스페인 연합군의 추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11]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 남부의 프랑스군 전체가 항복했다.[8]

생폴 백작의 문장.


1528년 8월과 1529년 6월 사이에 프랑수아 1세와 카를 5세 간의 외교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었다.[11]

2. 1. 나폴리 공성전 (1528)

1528년 4월, 안드레아 도리아가 이끄는 제노바 함대가 나폴리를 해상에서 봉쇄하며 나폴리 공성전이 시작되었다.[11] 그러나 7월에 도리아 제독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와 새로운 용병 계약을 맺고 전장을 이탈하여 봉쇄를 풀었다.[11]

흑사병으로 인해 프랑스군 지휘관 로트레크 자작 (오데 드 푸아)을 비롯한 많은 병사들이 사망하면서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11] 8월 15일 로트레크 자작이 사망하자,[11] 조반니 루도비코 디 살루초가 지휘권을 인계받아 8월 29일 철수를 결정했다.[11] 철수하던 프랑스군은 오랑주 공 (필리베르 드 샬롱)이 이끄는 제국-스페인 연합군의 추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11]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 남부의 프랑스군 전체가 항복했다.[8]

1528년 8월과 1529년 6월 사이에 프랑수아 1세와 카를 5세 간의 외교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었다.[11]

2. 2. 바르셀로나 조약 (1529)

1528년 4월에 시작된 나폴리 공성전은 제노바 출신 해군 제독 안드레아 도리아가 프랑스 편에 가담하여 나폴리를 해상에서 봉쇄하면서 시작되었다.[11] 그러나 7월에 도리아 제독은 신성로마 황제 카를 5세와 새로운 용병계약을 한 후 전장을 이탈하면서 나폴리 항구에 대한 해상 봉쇄를 풀어버렸다.[11]

나폴리 공성전은 8월경 프랑스군의 실패로 끝났는데, 이는 프랑스 진영에 흑사병이 발생하여 많은 병사와 지휘관들이 사망했기 때문이다.[11] 8월 15일에 프랑스 지휘관 로트레크 자작 (오데 드 푸아)이 사망한 후[11], 지휘권을 이어받은 조반니 루도비코 디 살루초가 8월 29일에 프랑스 군대를 철수시켰다.[11] 철수하던 프랑스 군대는 오랑주 공 (필리베르 드 샬롱)이 이끄는 제국-스페인 연합군의 추격으로 큰 피해를 보았으며[11], 얼마 안 있어 이탈리아 남부에 있던 프랑스군 전체가 항복하였다.[8]

1528년 8월과 1529년 6월 사이,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 간의 활발한 외교 활동으로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었다.[11]

3. 란드리아노 전투 (1529)

1529년 6월 21일 프랑수아 1세파비아 인근 롬바르디아 지역인 란드리아노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었다.[8] 생폴 백작 휘하의 프랑스군과 테라노바 공작 (안토니오 데 레이바)가 이끄는 스페인군 사이에 교전이 벌어졌다.[10] 이 전투에서 프랑스 군이 전멸 당하면서, 국왕 프랑수아 1세이탈리아에 대한 지배력을 되찾으려는 희망을 완전히 잃게 되었다.[12][5] 프랑스군 지휘관 생폴 백작(프랑수아 드 부르봉)은 포로로 잡혔고, 밀라노 공국은 카를 5세의 완전한 통제권하에 놓이게 되었다.[10][3]

그러나 오렌지 공 필리베르가 이끄는 제국-스페인 군대는 피렌체 공화국을 상대로 군사 행동을 계속하여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피렌체의 통치자로 세웠다.[6]

4. 전투의 여파

란드리아노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자, 프랑수아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8][2] 1529년 8월 3일, 프랑수아 1세의 어머니 루이사 디 사보이아와 황제의 이모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는 캉브레 조약을 체결했다.[8][2] 프랑수아 1세는 그의 두 아들을 돌려받았지만,[10][3] 이탈리아를 포기하고,[10][3] 베네치아인들페라라 공작에게 점령한 땅을 신성 로마 황제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반환하도록 설득해야 했다.[10][3] 또한 이탈리아와 독일 문제에 간섭하지 않고,[10][3] 개신교와의 싸움에 협조하며,[10][3] 200,000 두카트의 보상금과[10][3] 카를 5세의 대관식을 위해 이탈리아로 갈 때 배 4척, 갤리선 12척, 갈레온 4척을 제공해야 했다.[10][3]

이 조약은 부르고뉴 공국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는데, 이 침묵은 마드리드 조약에서 프랑수아 1세에게 가해진 굴욕적인 상황을 완화했다.[8][10][2][3]

4. 1. 캉브레 조약 (1529)

란드리아노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자, 프랑수아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8][2] 1529년 8월 3일, 프랑수아 1세의 어머니 루이사 디 사보이아와 황제의 이모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는 캉브레 조약을 체결했다.[8][2] 프랑수아 1세는 그의 두 아들을 돌려받았지만,[10][3] 이탈리아를 포기하고,[10][3] 베네치아인들페라라 공작에게 점령한 땅을 신성 로마 황제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반환하도록 설득해야 했다.[10][3] 또한 이탈리아와 독일 문제에 간섭하지 않고,[10][3] 개신교와의 싸움에 협조하며,[10][3] 200,000 두카트의 보상금과[10][3] 카를 5세의 대관식을 위해 이탈리아로 갈 때 배 4척, 갤리선 12척, 갈레온 4척을 제공해야 했다.[10][3]

이 조약은 부르고뉴 공국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는데, 이 침묵은 마드리드 조약에서 프랑수아 1세에게 가해진 굴욕적인 상황을 완화했다.[8][10][2][3]

4. 2. 피렌체 공화국의 멸망 (1530)

란드리아노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자, 프랑수아 1세는 신성 로마 황제와 협상을 시작해야 했다.[8] 1529년 8월 3일, 프랑수아 1세의 어머니 루이사 디 사보이아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고모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는 캉브레 조약을 체결했다.[8] 프랑수아 1세는 두 아들을 돌려받았지만,[10] 이탈리아를 포기해야 했다.[10] 또한 베네치아인들과 페라라 공작에게서 점령한 영토를 신성 로마 황제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반환하도록 설득해야 했다.[10] 이 외에도 이탈리아와 독일 문제에 간섭하지 않고,[10] 개신교와의 싸움에 협조하며,[10] 200,000 두카트의 배상금과[10] 카를 5세의 대관식을 위해 이탈리아로 갈 때 배 4척, 갤리선 12척, 갈레온 4척을 제공해야 했다.[10]

이 조약에서는 부르고뉴 공국에 대한 언급이 없었는데, 이는 마드리드 조약에서 프랑수아 1세에게 가해진 굴욕적인 상황을 조장했다.[8][10]

5. 결과

란드리아노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바르셀로나 조약이 체결되면서, 프랑수아 1세신성 로마 황제와 협상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8] 1529년 8월 3일, 프랑수아 1세의 어머니 루이사 디 사보이아와 황제의 이모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는 캉브레 조약을 체결했다.[8] 이 조약으로 프랑수아 1세는 두 아들을 돌려받았지만,[10] 이탈리아를 포기하고[10] 베네치아인들페라라 공작에게 점령한 땅을 신성 로마 황제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돌려주도록 설득해야 했다.[10] 또한 이탈리아와 독일 문제에 간섭하지 않고,[10] 개신교들과의 싸움에 협조하며,[10] 200,000 두카트의 보상금과[10] 카를 5세의 대관식을 위해 이탈리아로 갈 때 배 4척, 갤리선 12척, 갈레온 4척을 제공해야 했다.[10]

캉브레 조약에는 부르고뉴 공국에 대한 언급이 없었는데, 이는 마드리드 조약에서 프랑수아 1세에게 가해진 굴욕적인 상황을 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8][10]

6. 평가

6. 1. 한국 역사와의 비교

참조

[1] 서적 The Italian Wars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The History of Italy
[7] 서적 The Italian Wars
[8] 서적
[9] 문서 1525년 밀라노 공국의 황제군 총사령관 자리를 페스카라 후작에게서 이어받았다. 마지막 스포르차 가문의 밀라노 공작인 프란체스코 2세가 1535년에 사망하자, 카를 5세에 의해 밀라노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