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랑게르한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랑게르한스섬은 췌장에 분포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세포로 구성된 미세 구조이다. 랑게르한스섬은 알파 세포, 베타 세포, 델타 세포 등 다양한 세포 유형을 포함하며, 각 세포는 특정 호르몬을 생성하여 혈류로 분비한다. 랑게르한스섬은 포도당/인슐린, 글리코겐/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의 측분비 되먹임 계를 통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며, 당뇨병 치료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췌도 이식은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손상된 베타 세포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또한, 랑게르한스섬은 재생 의학 연구의 대상이며, iPS 세포 등을 활용한 랑게르한스섬 세포 재생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랑게르한스섬
개요
췌장 조직; 췌장 섬은 췌장 내에서 발견되는 호르몬을 방출하는 세포 그룹임
췌장 섬은 췌장 내에서 발견되는 호르몬을 방출하는 세포 그룹이다.
쥐의 췌장 섬
일반적인 위치에서 혈관에 가까운 쥐의 췌장 섬; 적색의 인슐린, 청색의 핵.
라틴어 이름insulae pancreaticae
시스템내분비계
부분췌장
세부 정보
발견자파울 랑게르한스
발견 연도1869년
기능혈당 조절을 위한 호르몬 분비 (인슐린, 글루카곤 등)
세포 종류알파 세포
베타 세포
델타 세포
PP 세포
엡실론 세포
관련 질병당뇨병
인슐린종
글루카곤종
추가 정보
중요성췌장 섬 세포는 췌장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가?

2. 구조

건강한 성인의 췌장에는 약 100만~300만 개의 랑게르한스섬이 분포하며, 각 섬은 지름 0.1mm~0.2mm 정도이다.[42]:914[5]:928 섬들은 얇은 섬유성 결합 조직 캡슐로 둘러싸여 있으며, 췌장의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42]:914:928

랑게르한스섬은 파라크린 및 자가 분비 통신을 통해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베타 세포는 6~7개의 다른 베타 세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다른 세포 유형에는 연결되지 않는다.[11] 랑게르한스섬은 풍부한 신경 지배와 혈관 분포가 특징이며, 설치류와 인간의 랑게르한스섬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12][13] 랑게르한스섬 내 혈관 네트워크는 사구체 유사 구조를 닮았으며, 각 내분비 세포에 가깝게 위치한 고도로 창이 있는 내피 세포로 구성된다.[14] [15] 결과적으로 랑게르한스섬 내 산소 분압은 주변 외분비 조직보다 상당히 높다.[16]

2. 1. 미세해부학

랑게르한스섬은 최소 5가지 유형의 내분비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포는 특정 호르몬을 생성하여 혈류로 직접 분비한다. 이 세포들은 다음과 같다:[43]

랑게르한스섬 세포 유형 및 분비 호르몬
세포 유형분비 호르몬비율
알파세포글루카곤전체 랑게르한스섬 세포의 20%
베타세포인슐린, 아밀린≈70%
델타세포소마토스타틴<10%
입실론세포그렐린<1%
PP 세포 (감마세포 또는 F세포)이자 폴리펩타이드<5%



랑게르한스섬 내 세포 분포는 종에 따라 다르다.[44][45][46] 설치류는 베타 세포가 중심부에, 다른 세포들이 주변부에 분포하는 반면, 사람은 알파 세포와 베타 세포가 섬 전체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44][46] 조류는 알파 세포가 중심부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랑게르한스섬은 자가분비 및 측분비 신호 전달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47] 베타 세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47]

랑게르한스 섬. H-E 염색

3. 기능

랑게르한스섬의 주요 기능은 혈당 조절이다. 랑게르한스섬은 α 세포(글루카곤 분비), β 세포(인슐린 분비), δ 세포(소마토스타틴 분비), ε 세포(그렐린 분비), PP 세포(췌장 폴리펩티드 분비)의 5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들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혈당 수치를 조절한다.[48]


  • 포도당/인슐린: β 세포를 활성화하고 α 세포를 억제한다.
  • 글리코겐/글루카곤: α 세포를 활성화하여 β 세포와 δ 세포를 활성화한다.
  • 소마토스타틴: α 세포와 β 세포를 억제한다.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49] 일부는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의 표적이 된다 (GLP-1 수용체 길항제, DPPIV 억제제).[19]

췌장 폴리펩타이드에 면역 염색된 마우스 췌도


인슐린에 면역 염색된 마우스 췌도


글루카곤에 면역 염색된 마우스 췌도

3. 1. 전기적 활성

패치 클램프 기술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랑게르한스섬(이자섬)의 전기적 활성은 건강한 이자 섬과 그렇지 못한 이자 섬에서 세포 거동이 다르며, 온전한 췌도 내 세포와 흩어진 세포의 행동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50][20]

4. 임상적 의미

랑게르한스섬, 특히 베타 세포의 기능 이상은 당뇨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베타 세포는 인슐린을 분비하는데, 이 세포들이 면역 공격으로 파괴되면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췌도 베타 세포가 자가면역 과정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췌도 이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췌도 이식은 1970년대 초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인슐린이 필요한 당뇨병 치료의 옵션으로 고려되고 있다. 췌도 이식은 전체 췌장 이식보다 덜 침습적이며, 전신 마취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식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강력한 면역 억제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부터 췌도 이식이 시작되었으나, 2007년에 광우병 문제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2010년부터 다시 시행되고 있다. 췌도는 주로 문맥을 통해 간에 이식되지만, 문맥 분지 혈전증의 위험과 낮은 생존율 등의 단점이 있어 다른 이식 부위도 검토되고 있다.

현재 췌도 이식은 장기 기증자 부족, 췌도 분리 성공률, 고비용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체 줄기 세포나 전구 세포를 이용한 베타 세포 재생 연구가 진행 중이며, 재생 의학 분야의 발전과 함께 미래에는 더 나은 치료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4. 1. 당뇨병

췌도 베타 세포는 인슐린을 분비하므로 당뇨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면역 공격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21][22]

제1형 당뇨병에서 췌도의 베타 세포는 자가면역 과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임상의와 연구자들은 생리적인 베타 세포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췌도 이식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완전한 췌장 이식 또는 인공 췌장의 대안이 될 수 있다.[21][22] 췌도 이식은 1970년대 초 인슐린이 필요한 당뇨병 치료를 위한 실행 가능한 옵션으로 등장했으며, 이후 30년 동안 꾸준한 발전을 이루었다.[23] 임상 시험 결과, 부검된 기증자 췌도를 불안정형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한 후 인슐린 독립 및 향상된 대사 조절을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또는, 매일 인슐린 주사는 췌도 이식을 받을 수 없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체질량 지수 (BMI)가 높은 사람은 이식 중 기술적 합병증이 더 크기 때문에 췌장 기증에 부적합하다. 그러나 더 큰 췌장 때문에 더 많은 수의 췌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췌도 기증자로 더 적합하다.[24]

췌도 이식은 이 질병의 치료에 필요한 베타 세포로 구성된 조직의 이전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더 까다롭고 기관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췌장염과 같은 위험이 있는 전체 췌장 이식보다 이점이 있다.[24] 또 다른 장점은 환자가 전신 마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25]

제1형 당뇨병에 대한 췌도 이식은 기증자 췌도의 숙주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강력한 면역 억제가 필요하다.[26]

췌도는 문맥에 이식되며, 이는 간에 이식된다.[24] 문맥 분지 혈전증의 위험이 있으며, 이식 후 몇 분 후 췌도의 생존율이 낮다. 이는 이 부위의 혈관 밀도가 수술 후 몇 달 동안 내인성 췌도보다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 혈관 형성은 췌도 생존에 중요하며, 예를 들어 췌도와 혈관 내피 세포에서 생성되는 VEGF에 의해 지원된다.[10][25] 그러나 경문맥 이식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으며, 췌도 이식을 위한 더 나은 미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부위가 검토되고 있다.[24] 췌도 이식 연구는 또한 췌도 캡슐화, 칼시뉴린 억제제(CNI-free) 면역 억제, 췌도 손상 바이오마커 또는 췌도 기증자 부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7]

성체 줄기 세포 또는 전구 세포에서 파생된 인슐린 생산 세포와 같은 베타 세포의 대체 공급원은 이식을 위한 기증자 장기의 부족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재생 의학 분야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대한 큰 희망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 세포의 자가 면역 파괴의 결과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치료법은 적절하고 안전한 면역 개입과 베타 세포 재생 접근법을 결합하는 순차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할 것이다.[28] 또한 알파 세포가 건강하고 당뇨병이 있는 인간 및 쥐 췌도에서 자발적으로 운명을 바꾸어 베타 세포로 형질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베타 세포 재생의 가능한 미래 공급원이다.[29] 실제로 췌도 형태와 내분비 분화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30] 내분비 전구 세포는 응집하여 이동하고 싹과 같은 췌도 전구체, 즉 "반도"를 형성하여 분화하며, 여기서 알파 세포는 반도 외부 층을 구성하고 베타 세포는 그 아래에서 나중에 형성된다. 냉동 보존은 더 나은 이식 결과를 위해 췌장 췌도의 공급망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31]

4. 2. 췌도 이식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손상된 베타 세포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췌도 이식이 고려될 수 있다. 췌도 이식은 197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임상 시험에서는 췌도 이식 후 인슐린 독립성과 대사 조절 개선이 보고되었다.[22][23][52][53] 췌도 이식은 췌장 전체 이식보다 덜 침습적이고, 전신 마취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면역 거부를 예방하기 위한 면역 억제 치료가 필요하다.[24][25][26][54]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부터 췌도 이식이 시작되었으나, 2007년에 광우병 문제로 일시 중단되었다. 당시 이식 과정에서 소 뇌 성분을 이용한 약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소 뇌를 사용하지 않는 안전한 기법이 개발되어, 2010년부터 고도 의료 평가 제도를 통해 췌도 이식이 다시 시행되고 있다.

췌도는 문맥에 이식되며, 이는 간에 이식된다.[24] 문맥 분지 혈전증의 위험이 있으며, 이식 후 몇 분 후 췌도의 생존율이 낮다. 이는 이 부위의 혈관 밀도가 수술 후 몇 달 동안 내인성 췌도보다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 혈관 형성은 췌도 생존에 중요하며, 예를 들어 췌도와 혈관 내피 세포에서 생성되는 VEGF에 의해 지원된다.[10][25] 그러나 경문맥 이식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으며, 췌도 이식을 위한 더 나은 미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부위가 검토되고 있다.[24]

현재 췌도 이식의 과제로는 장기 기증자 부족, 췌도 분리 성공률(약 50%) 문제, 고액의 비용 등이 꼽힌다. 장기 기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체 줄기 세포 또는 전구 세포에서 파생된 인슐린 생산 세포와 같은 베타 세포의 대체 공급원이 연구되고 있으며, 재생 의학의 발전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해당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28][55] 또한, 알파 세포가 베타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미래의 베타 세포 치료법으로 예상된다.[29][56]

4. 3. 재생 의학 연구

iPS 세포(인공 다능성 줄기 세포) 등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랑게르한스섬 세포를 재생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55] 성체 줄기 세포 또는 전구 세포에서 유래된 인슐린 생성 세포는 장기 기증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재생 의학의 발전으로 가까운 미래에 해당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55] 알파 세포가 베타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미래의 베타 세포 치료법으로 예상된다.[56]

그러나 제1형 당뇨병은 이자의 베타 세포에 대한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파괴 때문에 발생하므로, 면역 중재와 베타 세포 재생을 결합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55] 즉,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베타 세포 파괴를 막고, 재생된 베타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과제이다.

5. 기타

무라카미 하루키와 안자이 미즈마루의 에세이집 《랑게르한스섬의 오후》에서는 랑게르한스섬을 공상 속 개념이자 이상향으로 묘사한다.[37] 야마모토 마사유키는 랑게르한스섬을 낙원에 비유하여 "모험 랑게르한스섬"이라는 곡을 제작, 앨범 《COLORS》(1992년)에 수록했다.[37] 하라다 시게미츠 원작, 하츠카노 잇세이 작화의 만화 《일하는 세포 BLACK》에서는 랑게르한스섬을 인슐린 제조 시설이 있는 외딴 섬이자 β세포들의 직장으로 묘사한다.[37]

5. 1. 경골어류의 랑게르한스섬

경골어류는 랑게르한스섬과 유사한 내분비 조직을 가지며, 일부 종은 랑게르한스섬 대신 "블록만 소체"라는 기관을 가진다.[1] 넙치나 제브라피쉬 등 많은 경골어류는 다른 척추동물과 마찬가지로 췌장 내에 내분비샘인 랑게르한스 섬을 가지고 있으며, 인슐린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을 한다.[1] 그러나 일부 경골어류는 췌장 내에 랑게르한스 섬을 갖지 않고, 간 근처에 췌장의 내분비샘과 동등한 기능을 가진 조직이 산재한다.[1] 이러한 종의 내분비샘은 랑게르한스 섬이 아니라 블록만 소체라고 불린다.[1] 이처럼 경골어류에서는 췌장의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의 관계가 다양하다.[1] 이는 췌장이 경골어류의 진화 과정에서 원래 다른 기관이었던 외분비샘과 랑게르한스 섬이 융합하여 새롭게 형성된 장기임을 시사한다.[1] 제브라피쉬의 랑게르한스 섬은 쥐목과 마찬가지로 그 중심부에 β 세포를 배치하고 주변에 다른 세포가 위치하는 형태를 갖는다.[1]

5. 2. 췌내분비 종양

랑게르한스섬을 구성하는 세포가 종양화된 것을 췌내분비 종양 또는 췌도 세포종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α 세포에서 유래한 글루카고노마, β 세포에서 유래한 인슐린종, δ 세포에서 유래한 소마토스타티노마, PP 세포에서 유래한 PP 오마 등이 있다.

5. 3. 가상의 섬

무라카미 하루키와 안자이 미즈마루가 함께 쓴 에세이집 《랑게르한스섬의 오후》에서는 랑게르한스섬을 공상 속의 개념, 이상향으로 실체화하고 있다.[37] 야마모토 마사유키는 랑게르한스섬을 낙원으로 비유하여 체내를 모험하는 "모험 랑게르한스섬"이라는 곡을 제작했는데, 이 곡은 앨범 《COLORS》(1992년)에 수록되어 있다.[37] 하라다 시게미츠(원작)·하츠카노 잇세이(작화)의 만화 《일하는 세포 BLACK》은 사람의 체내를 무대로 의인화된 세포들의 생활을 그리고 있는데, 작중에서 랑게르한스섬은 β세포들의 직장으로 인슐린을 제조하는 시설이 있는 외딴 섬으로 묘사된다.[37]

참조

[1] 논문 Beitrage zur mikroscopischen anatomie der bauchspeichel druse
[2]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Medical 2009-07-22
[3] 웹사이트 Functional Anatomy of the Endocrine Pancreas http://www.vivo.colo[...]
[4] 논문 Are islet cells the gatekeepers of the pancreas? 2002-01
[5] 서적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Elsevier Health Sciences
[6] 논문 An immunocytochemical and morphometric study of the rat pancreatic islets 1995-06
[7] 논문 Assessment of human pancreatic islet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by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2005-09
[8] 논문 A nove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cellular composition and beta-cell viability in human islet preparations 2005-07
[9] 논문 The unique cytoarchitecture of human pancreatic islets has implications for islet cell function 2006-02
[10] 논문 Pancreatic islet blood flow and its measurement 2016-05
[11] 논문 Role of islet structure and cellular interactions in the control of insulin secretion
[12] 논문 Vessel Network Architecture of Adult Human Islets Promotes Distinct Cell-Cell Interactions In Situ and Is Altered After Transplantation 2017-05
[13] 논문 Human Islets Have Fewer Blood Vessels than Mouse Islets and the Density of Islet Vascular Structures Is Increased in Type 2 Diabetes 2015-08
[14] 논문 New perspectives on the microvasculature of the islets of Langerhans in the rat 1982-10
[15] 논문 The unique cytoarchitecture of human pancreatic islets has implications for islet cell function 2006-02
[16] 논문 Measurements of oxygen tension in native and transplanted rat pancreatic islets 1998-07
[17] 서적 Physi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논문 A demanding path from iPSCs toward pancreatic β- and α-cells https://www.scienced[...] 2023-01-18
[19] 논문 An atlas and functional analysis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in human islets of Langerhans 2013-09
[20] 논문 Biophysical properties of gap junctions between freshly dispersed pairs of mouse pancreatic beta cells 1991-01
[21] 논문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2007-12
[22] 논문 Transplantation: curr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the future of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 as a cure for diabetes 2008-01
[23] 논문 25 Years of the Ricordi Automated Method for Islet Isolation http://www.cellr4.or[...]
[24] 논문 Beta-Cell Replacement: Pancreas and Islet Cell Transplantation S. Karger AG 2016-01-27
[25] 논문 The journey of islet cell transplantation and future development 2018-03
[26] 논문 Chemical immunosuppression in islet transplantation--friend or foe? 2008-03
[27] 논문 Current issues in allogeneic islet transplantation 2017-10
[28] 논문 Overcoming the challenges now limiting islet transplantation: a sequential, integrated approach 2006-10
[29] 논문 Virgin Beta Cells Persist throughout Life at a Neogenic Niche within Pancreatic Islets 2017-04
[30] 논문 A Peninsular Structure Coordinates Asynchronous Differentiation with Morphogenesis to Generate Pancreatic Islets 2019-02
[31] 논문 Pancreatic islet cryopreservation by vitrification achieves high viability, function, recovery and clinical scalability for transplantation 2022-04
[32] 논문 Presence of functional cannabinoid receptors in human endocrine pancreas 2008-03
[33] 논문 Islet cannabinoid receptors: cellular distribution and biological function 2013-10
[34] 논문 Cannabinoid receptors regulate Ca(2+) signals and insulin secretion in pancreatic beta-cell 2006-02
[35] 논문 Effects of oral, smoked, and vaporized cannabis on endocrine pathways related to appetite and metabolism: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human laboratory study 2020-02
[36] 뉴스 朝日新聞 2011年2月10日朝刊33面 朝日新聞 2011-02-10
[37] 문서 清水茜の漫画『はたらく細胞』のスピンオフ作品。
[38] 논문 Beitrage zur mikroscopischen anatomie der bauchspeichel druse
[39]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McGraw Hill Medical 2009-07-22
[40] 웹인용 Functional Anatomy of the Endocrine Pancreas http://www.vivo.colo[...] 2019-12-14
[41] 논문 Are islet cells the gatekeepers of the pancreas? 2002-01
[42] 서적 Sleisenger &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MD Consult
[43] 논문 An immunocytochemical and morphometric study of the rat pancreatic islets
[44] 논문 Assessment of human pancreatic islet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by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45] 논문 A nove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cellular composition and beta-cell viability in human islet preparations
[46] 논문 The unique cytoarchitecture of human pancreatic islets has implications for islet cell function
[47] 논문 Role of islet structure and cellular interactions in the control of insulin secretion
[48] 서적 Physi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9] 간행물 An atlas and functional analysis of G-protein coupled receptors in human islets of Langerhans.Amisten S, Salehi A, Rorsman P, Jones PM, Persaud SJ. 2013-05-18
[50] 논문 Biophysical properties of gap junctions between freshly dispersed pairs of mouse pancreatic beta cells
[51] 논문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52] 논문 Transplantation: curr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the future of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 as a cure for diabetes
[53] 논문 25 Years of the Ricordi Automated Method for Islet Isolation http://www.cellr4.or[...]
[54] 논문 Chemical immunosuppression in islet transplantation—friend or foe?
[55] 논문 Overcoming the challenges now limiting islet transplantation: a sequential, integrated approach
[56] 논문 Virgin Beta Cells Persist throughout Life at a Neogenic Niche within Pancreatic Islets http://www.escholars[...]
[57] 논문 A Peninsular Structure Coordinates Asynchronous Differentiation with Morphogenesis to Generate Pancreatic Islets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