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런던 교향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교향곡은 요제프 하이든이 1791년부터 1795년까지 런던에서 작곡한 12개의 교향곡을 지칭한다. 이 교향곡들은 제1기(1791-1792년)와 제2기(1793-1795년)로 나뉘며, 93번부터 104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하이든은 런던 교향곡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100번 '군대'와 101번 '시계' 교향곡은 초연 당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 이 시기 하이든은 런던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런던 교향곡은 관현악 규모를 키우고 클라리넷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등 하이든 음악 스타일의 변화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제프 하이든의 교향곡 - 교향곡 100번 (하이든)
    요제프 하이든이 작곡한 교향곡 100번은 '군대'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터키 군악풍의 타악기 사용과 4개의 악장 구성, 그리고 제2악장의 독특한 팀파니 솔로가 특징이다.
  • 요제프 하이든의 교향곡 - 교향곡 101번 (하이든)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이 런던을 두 번째 방문했을 때 작곡한 교향곡 101번은 '시계'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1794년 3월 3일 초연되었고, 특히 2악장의 시계 소리 같은 리듬이 특징이다.
런던 교향곡
런던 교향곡
작곡가요제프 하이든
작곡 시기1791년 ~ 1795년
장르교향곡
총 개수12곡
별칭잘로몬 교향곡
하이든 런던 교향곡
배경
런던 방문하이든이 런던에서 작곡 및 초연
후원자요한 페터 잘로몬 (콘서트 기획자)
초연 장소런던 하노버 광장
구성
교향곡 목록93번 라장조, Hob.I:93
94번 사장조, Hob.I:94 "놀람"
95번 다단조, Hob.I:95
96번 라장조, Hob.I:96 "기적"
97번 다장조, Hob.I:97
98번 내림나장조, Hob.I:98
99번 내림마장조, Hob.I:99
100번 사장조, Hob.I:100 "군대"
101번 라장조, Hob.I:101 "시계"
102번 내림나장조, Hob.I:102
103번 내림마장조, Hob.I:103 "큰북 연타"
104번 라장조, Hob.I:104 "런던"
특징
악기 편성관현악 (목관, 금관, 타악기, 현악기)
형식고전주의 교향곡 형식
선율하이든 특유의 밝고 경쾌한 선율
리듬생동감 있는 리듬
화성풍부하고 다채로운 화성
표현력극적이고 재치 있는 표현
영향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
추가 정보
관련 인물요한 페터 잘로몬, 요제프 하이든
관련 장소런던, 하노버 광장
다른 이름잘로몬 교향곡
참고하이든 런던 교향곡

2. 목록

런던 교향곡은 1791년-1792년의 제1기와 1793년-1795년의 제2기로 나뉜다. 일부 교향곡에는 별명이 붙어 있지만, 모두 하이든 자신이 지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100번 '군대'의 경우 초연 당시 신문 예고에 이미 '군대 교향곡'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하이든 자신이 명명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1]

2. 1. 제1기 (1791-1792년)

1791년-1792년

  • 교향곡 제93번 D장조 Hob. I:93
  • 교향곡 제94번 G장조 "놀람" Hob. I:94
  • 교향곡 제95번 C단조 Hob. I:95
  • 교향곡 제96번 D장조 "기적" Hob. I:96
  • 교향곡 제97번 C장조 Hob. I:97
  • 교향곡 제98번 B♭장조 Hob. I:98

2. 2. 제2기 (1793-1795년)

The Symphony No. 99 in E flat major|교향곡 제99번 E♭장조영어 Hob. I:99, The Symphony No. 100 in G major "Military"|교향곡 제100번 G장조 “군대”영어 Hob. I:100, The Symphony No. 101 in D major "The Clock"|교향곡 제101번 D장조 “시계”영어 Hob. I:101, The Symphony No. 102 in B flat major|교향곡 제102번 B♭장조영어 Hob. I:102, The Symphony No. 103 in E flat major "The Drumroll"|교향곡 제103번 E♭장조 “팀파니 연타”영어 Hob. I:103, The Symphony No. 104 in D major "London"|교향곡 제104번 D장조 “런던”영어 Hob. I:104.

최초의 6곡의 〈잘로몬 교향곡〉이 모두 런던에서 작곡된 것이었으나, 이 6곡은 빈과 런던에서 작곡되었다. 작곡 연대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조성작곡연대작곡한 곳초연
제99번내림마장조1793년1794년 2월 10일
제101번라장조 ‘시계’1794년빈→ 런던1794년 3월 3일
제100번사장조 ‘군대’1794년빈→ 런던1794년 3월 31일
제102번내림나장조1795년런던1795년 3월 2일
제103번내림마장조 ‘태고연타’1795년런던1795년 5월 4일
제104번라장조 ‘런던’1795년런던



따라서 이 6곡은 1794년에 초연되었던 ‘99번’, ‘101번’, ‘100번’과, 1795년에 초연되었던 ‘102번’, ‘103번’, ‘104번’의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교향곡 제99번 내림마장조 (1793년)
  • 교향곡 제100번 사장조 “군대” (1794년)
  • 교향곡 제101번 라장조 “시계” (1794년)
  • 교향곡 제102번 내림나장조 (1794년)
  • 교향곡 제103번 내림마장조 “태고연타” (1795년)
  • 교향곡 제104번 라장조 (1795년)


일부 교향곡에는 애칭이 붙어 있지만, 모두 하이든 자신이 지은 것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제100번 '군대'에 대해서는 초연 당시의 신문 예고에 이미 '군대 교향곡'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곡을 '군대'라고 명명한 것은 하이든 자신이 아니었을까 하는 설도 있다.

2. 3. 각 교향곡의 작곡 연대 및 초연

번호조성작곡 연대작곡한 곳초연
제99번내림마장조1793년1794년 2월 10일
제101번라장조 ‘시계’1794년빈→ 런던1794년 3월 3일
제100번사장조 ‘군대’1794년빈→ 런던1794년 3월 31일
제102번내림나장조1795년런던해당 없음
제103번내림마장조 ‘태고연타’1795년런던1795년 3월 2일
제104번라장조 ‘런던’1795년런던1795년 5월 4일



따라서 이 6곡은 1794년에 초연되었던 ‘99번’, ‘101번’, ‘100번’과, 1795년에 초연되었던 ‘102번’, ‘103번’, ‘104번’의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3. 작곡 배경 및 과정

하이든은 두 차례의 런던 여행을 통해 자신의 교향곡들을 초연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이든의 전기 작가 알베르트 크리스토프 디스(Albert Christoph Dies)에 따르면, 하이든이 두 번째 런던 여행을 계획했을 때 안톤 에스테르하지 후작은 그의 건강을 걱정했지만, 하이든의 열정과 후작의 배려로 1794년 1월 19일 두 번째 런던 여행이 성사되었다.[1]

1793년 10월 26일자 '베를린 음악 신문'에는 하이든이 베토벤을 데려갈 계획이었으나 실행되지 않았고, 대신 요한 엘슬러가 비서 겸 사보 책임을 맡아 동행했다는 기록이 있다.[1] 하이든이 런던에 도착했을 때는 안톤 에스테르하지 후작이 별세한 직후여서, 그의 아들 니콜라우스 2세가 에스테르하지가를 계승했다.[1]

두 번째 런던 방문에서 하이든은 1794년 잘로몬 콘서트와 1795년 오페라 콘서트에서 자신의 교향곡들을 연주했다.

3. 1. 1794년의 잘로몬 콘서트

하이든은 안톤 에스테르하지 후작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794년 1월 19일 두 번째 런던 여행길에 올랐다.[1] 런던에 도착하자마자 안톤 에스테르하지 후작이 별세하여 그의 아들 니콜라우스 2세가 에스테르하지가를 계승했다.[1] 하이든은 런던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그의 교향곡들은 연일 매진 사례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1]

당시 하이든의 콘서트에서는 현악 4중주 등 다양한 편성의 곡들도 연주되었다.[1] 1794년 시즌의 잘로몬 콘서트에서 연주된 하이든의 작품은 다음과 같다.

횟수날짜연주된 곡
제1회2월 10일교향곡 99번 내림마장조 (초연)
제2회2월 11일교향곡 99번 재연, 현악 4중주 1곡 (영국 초연, 작품 71 또는 작품 74 중 하나로 추정)
제3회2월 24일협주 교향곡, 1791년 또는 1792년에 연주된 교향곡 재연
제4회3월 3일교향곡 101번 시계 (초연)
제5회3월 10일교향곡 101번 (재연), 제2회에 연주된 현악 4중주 재연
제6회3월 17일1791년 또는 1792년에 연주된 교향곡 재연
제7회3월 24일1791년 또는 1792년에 연주된 교향곡 재연, 현악 4중주 1곡 (영국 초연)
제8회3월 31일교향곡 100번 군대 (초연), 제7회에 연주된 현악 4중주 재연
제9회4월 7일교향곡 100번 (재연)
제10회4월 28일2곡의 교향곡 (작품 불명)
제11회5월 5일2곡의 교향곡 (1곡은 98번으로 추정), 현악 4중주 1곡 (영국 초연)
제12회5월 12일2곡의 교향곡 (1곡은 100번 군대))



특히 100번 '군대' 교향곡과 101번 '시계' 교향곡은 초연 당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1] 5월 2일에는 런던에서 세 번째 자선 음악회가 열렸는데, 여기서도 '군대' 교향곡이 연주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1] 이 시즌을 끝으로 하이든이 출연한 잘로몬 콘서트는 막을 내렸다.[1]

3. 2. 1795년의 오페라 콘서트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대륙에서 뛰어난 가수들을 영국으로 초청하기가 어려워지자, 1795년에는 잘로몬 콘서트 대신 오페라 콘서트가 열렸다. 이 콘서트는 런던의 음악가들이 힘을 합쳐 개최한 연주회였으며, 하이든은 이 콘서트를 위해 마지막 세 곡의 교향곡(102번, 103번, 104번)을 작곡했다.[1]

오페라 콘서트는 2월 2일 월요일을 시작으로 2주 간격으로 총 9회에 걸쳐 킹스 극장에서 열렸다. 약 60여 명의 대규모 오케스트라로 구성되었으며, 하이든은 지휘를 맡았다.[1]

하이든은 영국 왕실의 초청을 받아 왕비와 황태자 앞에서 연주하기도 했다. 국왕과 왕비는 하이든을 영국에 머물게 하려고 했지만, 하이든은 에스테르하지 가문에 대한 의무 때문에 이를 거절했다.[1]

1795년 오페라 콘서트에서 연주된 하이든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1]

횟수날짜연주된 곡
제1회2월 2일교향곡 102번 (초연), 4악장은 앙코르 연주. 또 한편의 교향곡
제2회2월 16일교향곡 102번 (재연)
제3회2월 23일교향곡 100번 군대 (재연)
제4회3월 2일교향곡 103번 태고연타 (초연), 2악장은 앙코르 연주. 그 외 아리아 1곡
제5회3월 16일교향곡 102번 (재연), 4악장은 앙코르 연주
제6회4월 13일기록은 없으나 교향곡 104번 런던이 초연된 것으로 추정
제7회4월 27일기록은 없으나 교향곡 104번이나 103번이 연주된 것으로 추정
제8회5월 11일프로그램 미상
제9회5월 18일프로그램 미상



5월 4일에는 런던에서 하이든의 마지막 자선 연주회가 열려 100번 '군대'와 104번 '런던'이 연주되었고, 하이든은 이 연주회에서 400GBP를 벌었다.[1] 오페라 콘서트는 호평을 받아 5월 21일과 6월 1일에 두 번의 연주회가 추가되었고, 6월 1일에는 '군대 교향곡'이 연주되었다.[1]

하이든은 런던에서의 성공으로 큰 수입을 얻었으며, 영국에서의 경험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하이든의 전기 작가 A. 그리징거는 하이든의 런던 여행 성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한다.[1]

'''"만 3년 동안의 영국 체류 중 하이든은 2400GBP를 얻었으나 쓴 돈은 여비, 체류비 등 900GBP에 불과하다. 그는 영국에서 지낸 나날을 일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로 생각했고 또 영국을 통해 독일권에서도 유명해졌다고 종종 애기했다. 하이든은 영국 어디에서나 화제의 주인공이었고, 그래서 전혀 새로운 세계를 발견했다. 그리고 그 풍부한 수입에 의해 궁핍하던 형편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그가 1790년 빈에 나타났을 때 그의 주머니 속에 있던 30년 노력의 결정은 고적 200GBP였다."'''[1]

4. 악기 편성 및 특징

런던 교향곡은 관현악 규모가 커졌으며, 제2기 런던 교향곡 중 102번을 제외한 5곡에서 처음으로 클라리넷이 사용되었다. 하이든은 이후 『천지창조』 및 후기 미사곡 등에서 클라리넷을 많이 사용했다.[3]

4. 1. 클라리넷의 사용

초기 클라리넷은 제약이 컸고, 에스터하지 가문의 오케스트라에 클라리넷 연주자가 단기간만 있었던 탓에 하이든의 교향곡에서는 클라리넷을 사용하지 않았다. 런던 교향곡에서는 기존 하이든의 곡보다 관현악의 규모가 커서, 제2기 런던 교향곡 중 102번을 제외한 5곡에서 처음으로 클라리넷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다른 관악기와 비교하면 사용은 아직 신중했고, 101번 '시계'에서는 다른 악기와 같은 소리를 중복해서 연주할 뿐 거의 들리지 않는다. 100번 '군대'에서는 2악장에만 등장하여 예니체리 군악을 모방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Haydn, Joseph 2008-03-08
[2] 웹사이트 Haydn, Joseph 2008-03-08
[3] 서적 The Clarinet in the Classical Period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