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시아 연대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시아 연대기는 여러 연대기를 모아 11세기 초에 편집된 고대 동슬라브 연대기이다. 원초 연대기를 비롯하여 수즈달 연대기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하며, 1377년 수도사 라우렌티우스에 의해 필사된 '로렌시아 사본'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연대기는 852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들을 다루며, 특히 12세기 북동부 루스 지역의 역사적 사건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주요 사건으로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의 수즈달 이동에 대한 키예프 연대기와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의 상반된 묘사가 있으며, 1096년의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훈계와 1263년의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생애 발췌본 등 독특한 자료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슬라브어 연대기 - 원초 연대기
원초 연대기는 12세기 초까지의 동슬라브족 역사, 키예프 루스 건국, 기독교화 등을 기록한 고대 동슬라브어 연대기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저자와 편집자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동슬라브족 초기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1차 사료로 평가받는다. - 1377년 책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1377년 책 - 무깟디마
무깟디마는 아랍어로 "서문" 또는 "소개"를 의미하며, 특히 이븐 할둔의 《무깟디마》는 역사, 사회학, 경제학 등을 아우르는 백과사전적 저술이자 역사철학의 기초를 다진 책이다. - 14세기 사본 - 레데르흐의 백색서
레데르흐의 백색서는 14세기 중반에 작성된 중세 웨일스어 필사본으로, 마비노기온을 포함한 웨일스 이야기와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웨일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중세 웨일스 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14세기 사본 - 마네세 법전
마네세 법전은 14세기 초에 제작된, 135명의 민네징어들의 작품과 초상화를 담고 있는 선집으로, 현재 하이델베르크의 팔라티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로렌시아 연대기 | |
---|---|
개요 | |
![]() | |
제목 | 라브렌티우스 연대기 |
원어 제목 |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Lavrent'evskaya letopis') |
유형 | 연대기 |
언어 | 고대 동슬라브어 |
날짜 | 1377년 |
보관 | 러시아 국립 도서관 |
설명 | |
내용 | 원초 연대기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역사적 기록 |
특징 | 가장 오래된 동슬라브어 연대기 중 하나 수즈달 지역의 역사적 관점 반영 |
중요성 | 러시아사 및 동유럽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
필사자 | |
주요 필사자 | 라브렌티 |
기타 필사자 | 그의 제자들 |
역사적 배경 | |
시대적 배경 | 몽골의 러시아 침공 이후의 혼란기 |
정치적 상황 |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쇠퇴와 모스크바 대공국의 부상 |
구성 | |
주요 내용 | 성서의 이야기 키예프 루스의 역사 몽골 침략과 그 영향 수즈달 지역의 사건 |
스타일 | 문학적이고 종교적인 특징이 강함 |
중요성 | |
역사적 가치 | 러시아사 연구의 주요 자료 |
문화적 가치 | 동슬라브 문화와 문학의 중요한 유산 |
2. 성립 및 구성
로렌시아 연대기(rus)는 여러 블라디미르 지역 연대기들을 집대성하여 편찬한 것이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852년부터 1110년대까지의 사건을 다루는 ''원초 연대기''
- 1111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을 다루는 ''수즈달 연대기'' (또는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
현재 전해지는 연대기 사본은 총 173면이지만, 일부 내용이 유실되었다. 유실된 부분은 898년–921년, 1263년–1283년, 1288년–1293년 사이의 기록으로 추정되며, 총 12면에 해당한다.
이 연대기는 네스토르가 저술한 『원초 연대기』의 두 번째 판본을 기반으로 하며, 1116년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통치 시기 비두비치 수도원의 수도원장 실베스터가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원초 연대기』 판본이다. 또한, 다른 연대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자전적 기록인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교훈』이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연대기 편집은 130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키예프 대주교 디오니시우스의 감독 아래 일부 내용(898–922년, 1263–1283년, 1288–1294년)이 검열 등의 이유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필사 과정에는 주 필사자인 수도사 라우렌티우스 외에 다른 필사자도 참여한 흔적이 남아 있다.[3]
2. 1. 원초 연대기
로렌시아 연대기의 첫 부분은 852년부터 1110년까지의 사건을 다루는 원초 연대기이다. 이는 네스토르의 연대기의 두 번째 판으로 여겨지며,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버전이기도 하다.1116년,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공작의 통치 시기에 비두비치 수도원의 원장이었던 실베스터가 이 연대기를 수정하고 내용을 추가했다. 로렌시아 연대기의 1110년 기사 뒤에는 1116년의 기술과 함께 "성 미하일(비두비치 수도원을 지칭)의 원장 실베스터는 연대기 기자들과 함께 저술을 하였다"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6], 실베스터의 편집 작업을 뒷받침한다.
2. 2. 남부 루스 연대기
로렌시아 연대기에서 1110년부터 1161년까지의 기록은 키예프를 중심으로 한 남부 루스 지역의 사건을 다룬 특정 연대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부분은 남부 루스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하지만 1162년과 1163년에 해당하는 2년간의 기록은 누락되어 전해지지 않는다.2. 3.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 (북동부 루스 연대기)
로렌시아 연대기에 포함된 ''수즈달 연대기'' 또는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는 1111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을 다루며, 특히 1164년 이후로는 블라디미르와 수즈달을 중심으로 한 북동부 루스의 사건 기록에 중점을 둔다.이 연대기의 초기 부분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의 의뢰로 작성되어 1177년 그의 암살 이후 완성되었으며, 이후 브세볼로트 대공 시기(1193년까지)와 그의 아들 유리 브세볼로도비치 시기(1212년까지)에 걸쳐 내용이 추가되었다. 블라디미르 공작들이 자신들의 영지로 여겼던 남부 루스의 페레야슬라프 지역 자료를 일부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상 남부 루스의 키예프 연대기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포함됨)와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중요한 차이점도 나타난다. 야로슬라프 페렌스키(Jaroslaw Pelenski)의 1988년 연구에 따르면, 가장 대표적인 차이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공작에 대한 평가이다. ''키예프 연대기''가 안드레이의 행동(예: 1155년 비시호로드에서 블라디미르의 성모 성상을 수즈달로 옮긴 사건)을 아버지의 허락 없는 불법적인 행동으로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반면,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는 이러한 비판적 서술을 생략하고 그의 통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키예프 연대기의 기록 (1155년) |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의 기록 (1155년) |
---|---|
같은 해 안드레이 공작은 아버지의 허락 없이 비시호로드에서 아버지에게서 수즈달로 갔으며, 비시호로드에서 복된 하나님의 어머니의 성상을 가져갔는데, 이는 피로고슈차 [성상]과 같은 배로 체사리아그라드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30-흐리브나 무게의 금, 은, 보석, 큰 진주로 틀을 만들었고, 이렇게 [성상]을 장식한 후, 자신의 블라디미르의 하나님의 어머니 교회에 두었다. | 같은 해 안드레이 공작은 아버지에게서 수즈달로 갔고, 복된 하나님의 어머니의 성상을 가져갔는데, 이는 피로고슈차 [성상]과 같은 배로 체사리아그라드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30-흐리브나 무게의 금, 은, 보석, 큰 진주로 틀을 만들었고, 이렇게 [성상]을 장식한 후, 자신의 블라디미르의 교회에 두었다. |
이처럼 12세기 이후 블라디미르 지역의 동향과 13세기 초 로스토프 공국 관련 사건에 비중을 두어, 해당 시기 북동부 루스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다만, 현존하는 사본에는 1263년–1283년과 1288년–1294년 사이의 기록이 유실되어 있다.[3]
2. 4. 추가 자료
로렌시아 연대기에는 다른 연대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1096년 항목에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자전적 기록인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훈계》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는 이 연대기의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1263년 항목에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생애》에서 발췌한 내용이 실려 있다.2. 5. 연대기 편찬 방식
『로렌시아 연대기』의 원본은 11세기 초, 『원초 연대기』를 비두비치 수도원의 원장 실베스터 등이 재편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이는 연대기 1110년 기사 뒤, 1116년 기술 부분에 "성 미하일(비두비치 수도원을 지칭)의 원장 실베스터가 연대기 기자들과 함께 저술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6] 현재 전해지는 사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377년에 수도사 라우렌티우스 등이 완성한 "로렌시아 사본"이다.[7]『로렌시아 연대기』는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편찬되었다.
기간 | 기반 자료 |
---|---|
852년 - 1110년 | 『원초 연대기』 |
1110년 - 1161년 | 남 루스의 사건을 기록한 특정 연대기 (단, 1162년-1163년 기록은 누락됨) |
1164년 - 1305년 | 북동 루스의 사건을 기록한 특정 연대기 |
로렌시아 연대기는 여러 블라디미르 연대기를 편집하여 엮은 것이다. 이 연대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연대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1096년 항목에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교훈』가 삽입되어 있으며, 1263년 항목에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생애Повесть о житии Александра Невскогоru』의 일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연대기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중심지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원초 연대기』의 영향을 받아 키예프를 중심으로 한 남 루스의 사건 기록에 중점을 두었으나, 12세기 기록부터는 블라디미르의 동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13세기 초에는 로스토프 공국 관련 기사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다. 이 때문에 『로렌시아 연대기』는 12세기 북동 루스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1377년의 로렌시아 사본은 단순히 원본을 필사한 것만은 아니다.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수도승 라우렌티우스가 키예프 대주교 디오니시우스의 의뢰를 받아 작업했는데, 특히 1284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 기록 부분은 원래 1305년 트베리 대공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를 위해 편집되었던 코덱스(현재는 소실됨)를 바탕으로 했다. 라우렌티우스는 이 과정에서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창시자인 유리 2세에 대한 묘사를 긍정적인 시각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수정하고, 타타르족의 역할을 일부 복원하는 등 내용을 재편집했다. 바실리 코마로비치(1976)는 이러한 필사본 내의 변화 흔적을 연구하여, 라우렌티우스가 편집한 판본과 소실된 트베리 연대기 원본 사이의 차이점을 추론하기도 했다.
한편, Бережков, Николай Георгиевич|니콜라이 베레즈코프ru의 연구에 따르면, 연대기에서 1110년부터 1304년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3월을 새해의 시작으로 삼는 Мартовский стиль|3월 역법ru이 사용되었다.[8]
3. 내용
연대기의 편찬 과정에는 여러 인물이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40번째 장 뒷면까지의 첫 부분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공작이 의뢰하여 익명의 필사자가 작성했으며, 1177년 공작 암살 이후 완성되었다. 이후 브세볼로트 3세 대공에 대한 기록은 1193년까지 이어졌고, 브세볼로트를 찬양하는 세 번째 부분은 1212년 그의 아들 유리 2세에 의해 작성되었다. 블라디미르 연대기는 남부 루스, 특히 페레야슬라프 지역의 자료를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공작들이 해당 지역을 자신들의 영지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 편집본은 1305년까지의 사건을 다루지만, 898년–922년, 1263년–1283년, 1288년–1294년에 해당하는 기록은 검열 등의 이유로 누락되었다. 연대기 개정 작업은 키예프 대주교 디오니시우스의 감독 하에 서둘러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렌티우스 외에 다른 필사자가 작업에 참여했음을 보여주는 필체 흔적이 남아있다.[3]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의 내용은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포함된 ''키예프 연대기''와 상당 부분 유사하지만, 특정 사건에 대한 서술 방식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각 연대기가 지지하는 정치 세력의 관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3. 1. 주요 사건
로렌시아 연대기는 키예프 루스와 그 후계 공국들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다양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부상과 관련된 사건들이 주목할 만하다.
3. 1. 1. 1155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의 수즈달 행
로렌시아 연대기에 포함된 ''수즈달 연대기'' (또는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는 1111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을 다루며, 특히 1155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공작의 수즈달 이주 사건에 대한 기록은 동시대 다른 연대기인 ''키예프 연대기'' (''이파티예프 연대기''에서 발견됨)와 비교했을 때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인다.
두 연대기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가 비시호로드에서 성모 마리아 성상을 가지고 수즈달로 이동한 동일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지만, 사건을 기술하는 관점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 표는 두 연대기의 해당 기록을 비교한 것이다.
키예프 연대기 |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 |
---|---|
같은 해 [1155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공작은 아버지의 허락 없이 비시호로드에서 아버지에게서 수즈달로 갔으며, 비시호로드에서 복된 하나님의 어머니의 성상을 가져갔는데, 이는 피로고슈차 [성상]과 같은 배로 차르그라드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30-흐리브나 무게의 금, 은, 보석, 큰 진주로 틀을 만들었고, 이렇게 [성상]을 장식한 후, 자신의 블라디미르의 하나님의 어머니 교회에 두었다. | 같은 해 [1155년]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공작은 아버지에게서 수즈달로 갔고, 복된 하나님의 어머니의 성상을 가져갔는데, 이는 피로고슈차 [성상]과 같은 배로 차르그라드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30-흐리브나 무게의 금, 은, 보석, 큰 진주로 틀을 만들었고, 이렇게 [성상]을 장식한 후, 자신의 블라디미르의 교회에 두었다. |
역사가 야로슬라프 펠렌스키가 지적했듯이, ''키예프 연대기''는 안드레이 공작이 "아버지의 허락 없이" 행동했음을 명시하며 그의 행동을 부적절하고 불법적인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와 그의 후계자들이 후원한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는 이러한 부정적인 언급을 생략하고 사건을 기술함으로써 안드레이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그리거나 최소한 중립적으로 보이도록 편집했다. 이는 키예프 중심의 관점과 새롭게 부상하던 블라디미르-수즈달 중심의 관점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키예프 연대기''가 전반적으로 안드레이의 통치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반면, ''수즈달-블라디미르 연대기''는 그의 행동을 칭송하는 경향과 일치한다.
3. 2. 보존 상태
로렌시아 코덱스는 총 173면의 양피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12면이 소실된 상태이다. 소실된 부분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위치 | 소실된 연도 (서기) | 내용 | 소실 면수 |
---|---|---|---|
9면과 10면 사이 | 6406년–6429년 (898년–921년) | 해당 시기 사건 기록 | 6면 |
169면 이후 | 6771년–6791년 (1263년–1283년) | 해당 시기 사건 기록 | 5면 |
170면 이후 | 6796년–6802년 (1288년–1293년) | 해당 시기 사건 기록 | 1면 |
유실된 면의 수는 인근 연대기의 병행 텍스트를 비교하여 추정한 것이다. 다만 마지막 1면의 누락은 면의 손실이 아니라 원본 자체의 누락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발문(奧付)에 따르면, 이 사본은 수도승 라브렌티가 1377년 1월 14일부터 3월 20일까지 작업했으며, 블라디미르 대공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와[9] 수즈달 주교 디오니시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 일부 연구자(겔리안 프로호로프 등)는 사본 작성 과정에서 1237년-1238년의 몽골의 루스 침공 관련 기술이 의도적으로 수정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으나[10], 다른 학자들(야코프 루리에, 보리스 클로스 등)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4. 사본
로렌시아 연대기는 여러 사본 형태로 전해지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1377년에 작성된 로렌시아 사본이다. 이 사본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간행본이 출판되었다.
4. 1. 로렌시아 사본 (1377년)
로렌시아 사본은 1377년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수도승 Лаврентий|라브렌티ru가 블라디미르 대공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와[9] 수즈달 주교 디오니시의 지시를 받아 작성한 연대기 사본이다.[4] 작업은 1377년 1월 14일부터 3월 20일까지 이루어졌다.[4]이 사본은 단순히 필사만 한 것이 아니라, 내용상 수정이 가해졌다. 1284년부터 1305년까지의 사건 기록은 1305년 트베리 대공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를 위해 편찬되었으나 현재는 유실된 다른 연대기 코덱스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라브렌티는 이 과정에서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창시자인 유리 2세에 대한 묘사를 긍정적인 평가에서 부정적인 평가로 바꾸었으며, 타타르의 역할을 일부 복원하는 등 내용을 재편집했다. 바실리 코마로비치(1976)는 사본에 남은 수정 흔적을 연구하여 라브렌티 사본과 유실된 트베리 연대기 사이의 차이점을 추정하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 학자 겔리안 프로호로프는 사본 작성 과정에서 1237년부터 1238년까지 있었던 몽골의 루스 침공에 관한 기록이 원래 내용보다 더 격렬하게 수정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10] 그러나 야코프 루리에와 보리스 클로스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 가설에 동의하지 않는다.
사본은 양피지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173장의 엽(葉)이 남아있고 12장은 소실되었다.[4] 이 귀중한 사본은 1792년 유명한 수집가인 알렉세이 무신-푸시킨 백작이 입수하였고,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 국립 도서관에 기증되어 현재까지 소장되어 있다.[4]
4. 2. 간행본
《러시아 연대기 전집》 제1권에 수록된 『로렌시아 연대기』 간행본은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서 출판되었다. 이 간행본은 「라브렌티 연대기 사본」을 바탕으로 《라지빌 연대기》와 《모스크바 아카데미 연대기》를 참조하여 편찬되었다.참조
[1]
학술지
Из наблюдений над Лаврентьевской летописью [From oberservations of the Laurentian chronicle]
1976
[2]
서적
Context and the lexicon in the development of Russian aspe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manuscript
http://expositions.n[...]
Russian National Library
[4]
문서
Ms. {{harvtxt|ref=RUS-SPscMsFpIV2|F.п.IV.2}}
[5]
백과사전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https://dic.academic[...]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6]
학술지
『イパーチイ年代記』翻訳と注釈(1) : 『原初年代記』への追加記事(1110~1117年)
https://toyama.repo.[...]
富山大学人文学部
2014-08
[7]
백과사전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https://dic.academic[...]
Большо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2000
[8]
서적
Хронология русского летописания
http://www.gumer.inf[...]
1963
[9]
백과사전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https://dic.academic[...]
Советская историче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0]
간행물
Повесть о Батыевом нашествии в Лаврентьевской летописи
Л.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