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로버마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로버마어군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과거에는 중국어의 경멸적인 표현인 '로로'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 언어군은 다양한 하위 분류를 가지며, 학자들에 따라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다. Lama (2012)는 9개의 하위 어군으로 분류하며, Bradley (1997)는 '응위어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다른 분류 체계를 제시한다. 나시어의 분류와 므루어의 포함 여부 등, 일부 언어의 분류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며, 버마-치앙어군과 같은 가설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로버마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로로-버마어군 |
다른 이름 | 緬彝語群 (미엔이어군), Burmic (버믹) |
지역 |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티베트버마어파? |
하위 어군 | 몬드지어군 버마어군 로로어군 ? 므루이어군 |
Glotto 코드 | lolo1265 |
Glottolog 참조 | Lolo-Burmese |
2. 명칭
1950년경까지 '로로(Lolo)'라는 자칭어는 중국어의 경멸적인 표현으로 쓰였고, 이러한 이유로 때때로 회피되어 왔다. 셰이퍼(1966~1974)는 로로-버마어군에 대해 "버믹(Burmic)"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중국어 용어는 '몐-이(Mian–Yi)'인데, 이는 버마어에 대한 중국어 명칭과 타이어에 대한 여러 단어 중 하나에서 유래한 것으로, 1950년 이후 중국 정부가 '로로'를 대체하기 위해 재지정한 것이다.[1]
로로버마어군은 여러 하위 어군으로 나뉘는데, 학자마다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다.
3. 하위 분류
Lama(2012)는 9개 하위 어군이 있다고 보며, 몬지어군이 가장 먼저, 버마어군이 그 다음으로 분리되었다고 본다. 나머지 어군들은 로로어군(Loloish)으로 묶는다.[12]어군 하위 언어 몬지어군 카투어(Kathu), 토우어(Thou), 몬지 제어(Core Mondzish) 버마어군 버마어, 아창어, 자이와 제어(Zaiwa) 하니어군 하니어, 아카어 등 라후어군 라후어 등 나시어군 나시어 등 누수어군 누수어(Nusu) 등 카초어군 카초어(Katso) 등 리수어군 리수어, 리포어(Lipo) 등 니쑤어군 이 제어(니쑤어, 눠쑤어 등), 사니어(Sani), 아시어(Axi), 풀라 제어(Phula) 등
나시어군의 소속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하며, 일부 학자들은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므루어군을 로로버마어군에 추가하기도 한다.
3. 1. 주요 하위 어군 (Lama, 2012)
Lama(2012)는 로로버마어군에 9개의 하위 어군이 있다고 본다. 그는 몬지어군이 가장 먼저, 버마어군이 그 다음으로 분리되어 나왔다고 보며, 나머지를 통틀어 로로어군이라고 부른다.[12]3. 2. Bradley (1997)의 분류
Bradley(1997, Peiros 1997 재인용)는 로로버마어군에 대한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David Bradley는 "로로어파(Loloish)" 대신 보수적인 자칭(autonym)인 사니어(Sanie language)를 기반으로 "응위어파(Ngwi)"라는 용어를 사용한다.[8][9]
우공어
버마어군3. 3. 기타 언어
므루어군(Mruic)은 일부 학자들이 분류가 명확하지 않아 로로버마어군에 추가하기도 한다. 자크(Jacques) & 미쇼(Michaud) (2011)는 치앙어군과 로로버마어군을 함께 묶어 가설적인 버마-치앙어군을 제안하고 있다.[13]
나시어(모소어, Naxish languages)의 로로버마어족 내 위치는 불분명하며, 종종 로로어파와 버마어파 외의 세 번째 가지로 분류된다. 라마(Lama, 2012)는 나시어를 로로어파의 한 가지로 간주하는 반면, 기욤 자크(Guillaume Jacques)는 나시어를 짱어족(Qiangic languages) 언어로 제안했다.
버마의 버마어 이전에 사용되었던 퓨어(Pyu language)는 때때로 로로버마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지만, 특정 분류를 위한 충분한 증거가 없으므로 중국-티베트어족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두는 것이 가장 좋다.
뢰플러(Löffler, 1966)와 브래들리(Bradley, 1997)는 므루어(Mru language)가 로로버마어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그 일부라고 생각하는 반면, 제임스 A. 마티소프(James A. Matisoff)는 므루어를 인도 북동부(Northeast India) 언어 지역(linguistic area)에 포함시킨다.[4]
1세기에 중국 문자로 3개의 바이랑어(Bailang language) 노래가 기록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7세기의 인용문에서 살아남았다. 중국어를 통한 전달 때문에 해석이 어렵지만, 대부분의 저자들은 이 언어가 로로버마어족 또는 가까운 친척이라고 믿는다.[5]
4. 외부 관계
나시어(모소어)의 로로버마어족 내 위치는 불분명하며, 종종 로로어파와 버마어파 외의 세 번째 가지로 분류된다. 라마(Lama, 2012)는 나시어를 로로어파의 한 가지로 간주하는 반면, 기욤 자크(Guillaume Jacques)는 나시어를 짱어족(Qiangic languages) 언어로 제안했다.
버마의 버마어 이전에 사용되었던 퓨어는 때때로 로로버마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지만, 특정 분류를 위한 충분한 증거가 없으므로 중국-티베트어족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두는 것이 가장 좋다.
뢰플러(Löffler, 1966)와 브래들리(Bradley, 1997)는 므루어가 로로버마어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그 일부라고 생각하는 반면, 제임스 A. 마티소프(James A. Matisoff)는 므루어를 인도 북동부(Northeast India) 언어 지역(linguistic area)에 포함시킨다.[4]
3개의 바이랑어 노래가 1세기에 중국 문자로 기록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7세기의 인용문에서 살아남았다. 중국어를 통한 전달 때문에 해석이 어렵지만, 대부분의 저자들은 이 언어가 로로버마어족 또는 가까운 친척이라고 믿는다.[5]
기욤 자크와 알렉시 미쇼(Alexis Michaud)는 2011년 논문[6]에서 나키-장어(즉, 나시-장어)와 로로-버마어의 두 가지 주요 하위 분파를 가진 '''버마-장족어파'''를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데이비드 브래들리(David Bradley)(2008)[7]도 버마어(로로-버마어라고도 함)와 장어의 두 하위 분파를 포함하는 '''동티베트-버마어파'''를 제안한다.
기욤 자크와 알렉시 미쇼는 Naic languages|나어군|label=나영어어족과 티베트-버마어족의 창어파가 함께 Burmo-Qiangic|버마-창어족영어을 이룬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10] 마찬가지로, 데이비드 브래들리(David Bradley)도 "Burmic"(로로-버마어족)과 창어파로 이루어진 '''동부 티베트-버마어족'''(Eastern Tibeto-Burman)을 제안하고 있다.[11]
참조
[1]
저널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mic Family of Tibeto-Burman
http://www.ling.sini[...]
[2]
저널
The contribution of Mru to Sino-Tibetan linguistics
[3]
서적
Tibeto-Burman languages of the Himalayas, Papers in South East Asian linguistics
Pacific Linguistics
[4]
서적
Handbook of Proto-Tibeto-Burman: System and Philosophy of Sino-Tibetan Reconstruction
http://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저널
A New Study of the Pai-lang Songs
http://nthur.lib.nth[...]
[6]
저널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7]
서적
The Position of Namuyi in Tibeto-Burman
[8]
저널
Sanie and language loss in China
[9]
저널
Sanie and language loss in China
[10]
저널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11]
서적
The Position of Namuyi in Tibeto-Burman
[12]
PhD thesis
Subgrouping of Nisoic (Yi) Languages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3]
저널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