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어는 중국 윈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등지에 거주하는 나시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언어 분류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며, 중국 학계에서는 로로-버마어파에 속한다고 보지만, 서구 학계에서는 한장어족 내에서의 분류가 불분명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나시어는 서부 나시어와 동부 나시어로 크게 나뉘며, 각 방언은 리장, 샹그릴라 등 지역에서 사용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31만 명이 나시어를 사용하며, 4개의 성조와 다양한 자음 및 모음 체계를 갖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족 문화 - 눠쑤어
눠쑤어는 중국 쓰촨성 남부 량산 지역에서 주로 쓰이며, 량산 이어, 노수어, 블랙 이 등으로 불리고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며, 현대 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는 자음, 모음, 성조로 이루어진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이족 문화 - 이 문자
이 문자는 누수 신화에 따라 당나라 시대 아기가 고안한 음절 표기 표의 문자 체계로 알려졌으나, 실제 사용례는 15세기 이후에 나타나며 지역적 차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현대에는 중국 정부 주도로 표준화된 이문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 이문은 유니코드에 인코딩이 제안되었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나시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나시어 |
고유 이름 | Naqxi geezheeq |
사용 국가 | 중국 |
사용 지역 | 윈난성 및 쓰촨성 |
사용자 | 나시족, 모숴족 |
사용자 수 | 350,000명 (2000년 인구 조사 – 2010년)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세부 계통 | 티베트-버마어족 |
세부 계통2 | 로로-미얀마어파 또는 창어군 (?) |
세부 계통3 | 나어군 |
세부 계통4 | 나시어군 |
문자 | 거바 문자 또는 거바 문자로 보강된 동바 문자, 로마자, 프레이저 문자 간체자 (드물게 사용) 번체자 (드물게 사용) |
소수 언어 | 중화인민공화국 |
ISO 639-3 | nxq nru |
Glottolog | naxi1245 naxi1246 yong1270 |
2. 언어 분류
나시어의 언어 계통은 학계에서 논쟁 중이다. 데이비드 브래들리는 1975년에 나시어가 로어군을 정의하는 공유 혁신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2] Thurgood와 La Polla (2003)는 "나시의 위치는 ... 많은 추측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언급하며 한장어족 내에서 분류하지 않았다.[3] 기욤 자크와 알렉시 미쇼 (2011)는 나시어를 나이어군으로 분류하는데, 나이어족의 일부이며, 나이어족은 "나-강어군" 분파의 일부이다.[4]
2. 1. 중국 학계의 분류
중국 학계에서는 나이 어족이 로로-버마어파에 속한다고 일반적으로 제안한다. 예를 들어, Ziwo Lama (2012)는 나시어를 로어군의 "나시" 분파에 속한다고 분류한다.[2]2. 2. 서구 학계의 분류
데이비드 브래들리는 1975년에 나시어가 로어군을 정의하는 공유 혁신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2] Thurgood와 La Polla (2003)는 "나시의 위치는 ... 많은 추측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언급하며 한장어족 내에서 분류하지 않았다.[3] 기욤 자크와 알렉시 미쇼 (2011)는 나시어를 나이어군으로 분류한다.[4] 나이어군은 나이어족의 일부이며, 나이어족은 "나-강어군" 분파의 일부이다.3. 방언
나시어는 크게 서부 방언과 동부 방언으로 나뉜다.[5] 광의의 나시어(나/모소어인 나/모소어 포함)는 언어학자 허지런과 장주이에 의해 처음으로 서부 나시어와 동부 나시어의 두 가지 주요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3. 1. 서부 방언 (Western Naxi)
서부 나시어(纳西语西部方言)는 비교적 동질적이다. 주로 리장, 중뎬, 웨이시현, 용성현에서 사용된다. 서부 나시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인구는 허칭현, 젠촨현, 란핑현, 더친현, 궁산현, 닝랑현(바피장촌 坝皮匠村, 융닝향 永宁乡), 무리현(어야 俄亚), 옌볜현(다오쥐 道咀), 티베트(망캉 芒康)에서도 발견된다. 총 24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다.[5] 서부 나시어는 다옌 방언, 리장바 방언, 바오산저우 방언으로 구성된다.- '''다옌 방언(大研镇)''': 리장현 내에서 다옌진 大研镇, 바이사지에 白沙街, 수허지에 束河街, 아시 阿喜, 다오신 道新, 다오구자이 道古宅, 광자이 光宅에서 사용되며, 5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 '''리장바 방언(丽江坝)''': 주로 리장현 내에서, 그리고 중뎬, 웨이시현, 용성현, 더친현, 궁산현 등에서 18만 명이 사용한다.
- '''바오산저우 방언(宝山州)''': 리장현의 바오산 宝山과 궈뤄 果洛에서 1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3. 2. 동부 방언 (Eastern Naxi)
동부 나시어는 서로 이해하기 어려운 여러 변종으로 구성된다. 주로 옌위안, 무리, 옌볜 등지에서 사용된다.[5] 용성(장쯔단 獐子旦), 웨이시현(치종 其宗)[6], 리장시(하이롱 海龙과 펑커 奉科[7])에서도 소규모 인구가 사용한다. 총 4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다(He and Jiang 1985: 754).동부 나시어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4. 사용 현황
200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31만 명이 나시어를 사용하며, 그 중 10만 명이 단일어 사용자이다. 약 17만 명은 중국어, 티베트어, 백어, 또는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화자는 윈난성에 거주하지만, 일부는 쓰촨성과 티베트 자치구에 있으며, 일부는 미얀마에 거주할 가능성도 있다.[1]
이 언어는 나시족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만, 문어 해독 능력은 여전히 드물다. 언어가 곧 사라질 위험은 거의 없다. 거바 음절 문자, 라틴 문자 또는 프레이저 문자로 표기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나시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1932년 나시 마가복음은 영국 성서 공회에 의해 프레이저 문자로 출판되었다.[1]
5. 음운
나시어에 사용된 문자는 1957년 병음 문자이다.[1]
나시어는 성조 언어이며, 자음과 모음 체계가 복잡하다. 리장 방언에는 9개의 모음과 음절이 있으며, 'i, ei, ai, a, iu, ee, e, o, u'로 표기된다. 또한 종성 'er'이 있다. 나시어에는 네 가지 성조가 있는데, 높은 음, 중간 음, 낮은 음(또는 하강), 그리고 몇몇 단어에서 높은 상승조가 있으며, '-l, -, -q, -f'로 표기한다.[1]
5. 1. 자음
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음/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평음 | 치찰음 | ||||||||
비음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
유기음 | |||||||||
유성음 | |||||||||
선비음화 자음 | |||||||||
마찰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전동음 | |||||||||
접근음 |
5. 2. 모음
리장 방언에는 9개의 모음과 음절 이 있다. 이며, 이는 ''i, ei, ai, a, iu, ee, e, o, u''로 표기된다. 또한 종성 이 있으며, 이는 ''er''로 표기된다.
5. 3. 성조
나시어에는 네 가지 성조가 있다. 높은 음, 중간 음, 낮은 음(또는 하강), 그리고 몇몇 단어에서 높은 상승조가 있다. 성조는 '-l, -, -q, -f'로 표기한다.6. 참고 문헌
- Bradley, David|브래들리, 데이비드|데이비드 브래들리영어. 1975. "나시어와 원시 버마-롤로어." ''티베토-버만어 지역의 언어학'' 2: 1.93–150.
- 브래들리, 데이비드. 1997. "티베토-버만어와 분류." ''동남아시아 언어학 논문집'' 14: 히말라야의 티베토-버만어, D. 브래들리 편집, 1–64쪽. 캔버라: 호주 국립 대학교 언어학부, 태평양 및 아시아 연구 학교.
- 팡궈위|방국유|팡궈위중국어와 허즈우|화지무|허즈우중국어. 1995. 나시어 상형 문자 사전|나시어 상형 문자 사전|나시어 상형 문자 사전중국어 (Nàxī Xiàngxíng Wénzì Pǔ|Nàxī Xiàngxíng Wénzì Pǔ|낙서 상형 문자 보중국어). 쿤밍: 윈난 인민 출판사.
- 푸마오지. 1944. 리장|여강|리장중국어에서 온 모소족 상형 원고 "인류의 기원과 역사" 연구. 우창, 후베이: 우창 대학교, 중화민국 37년.
- 푸마오지. 1984. 나시어 그림 문자 "백박쥐 경전 탐구기" 연구|나시어 도화문자 "백박쥐 경전 탐구기" 연구|나시어 그림 문자 "백박쥐 경전 탐구기" 연구중국어 (Nàxīyǔ Túhuà-wénzì "Bái biānfú qǔ jīng jì" yánjiū|Nàxīyǔ Túhuà-wénzì "Bái biānfú qǔ jīng jì" yánjiū|납서어 도화문자 "백편복취경기" 연구중국어), 2권. 도쿄: CAAAL.
- 궈달리에|곽대렬|궈달리에중국어와 허즈우|화지무|허즈우중국어. 1999. 나시족의 역사|나서족사|나시족의 역사중국어 (Nàxīzú Shǐ|Nàxīzú Shǐ|납서족사중국어): 쓰촨 민족 출판사.
- 허지런|화기인|허지런중국어과 장주이|강죽의|장주이중국어. 1985. 나시어 소개|나시어 간지|나시어 소개중국어 (Nàxīyǔ Jiǎnzhí|Nàxīyǔ Jiǎnzhí|납서어 간지중국어). 베이징: 민족 출판사.
- 허즈우|화지무|허즈우중국어. 1987. 나시어 기본 문법|나시어 기초 어법|나시어 기본 문법중국어 (Nàxīyǔ Jīchǔ Yǔfǎ|Nàxīyǔ Jīchǔ Yǔfǎ|납서어 기초어법중국어). 쿤밍: 윈난 민족 출판사.
- 리린찬, 장쿤, 허차이|화재|허차이중국어. 1953. 모소족 상형 문자 사전|마사 상형 문자 사전|모소족 상형 문자 사전중국어 (Móxiē Xiàngxíng Wénzì zìdiǎn|Móxiē Xiàngxíng Wénzì zìdiǎn|마사 상형 문자 자전중국어). 홍콩: 슈원서. (2001년 윈난 민족 출판사에서 "나시 상형 표음 문자 사전|납서 상형 표음 문자 자전|나시 상형 표음 문자 사전중국어"으로 신판 출판).
- Michailovsky, Boyd|미카일로프스키, 보이드|보이드 미카일로프스키영어 & Michaud, Alexis|미쇼, 알렉시스|알렉시스 미쇼영어 (알렉시스 미쇼). 2006. "서부 나시 방언의 음절 목록과 조셉 F. 록의 기록과의 관계".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동아시아 언어학|동아시아 언어학프랑스어'' 35 (1): 3–21.
- 알렉시스 미쇼. 2006. "요루바어를 위해 설계된 실험을 나시어(티베토-버만어)에서 복제하기: '두드러짐 민감 조음법' 대 '계산된 조음법' 접근법", ''Speech Prosody'' 2006 회의록, 드레스덴.
- 알렉시스 미쇼. 2006. 중립화의 세 가지 극단적인 경우: 나시어의 비음, 권설음 및 입술 둥글기.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동아시아 언어학|동아시아 언어학프랑스어'' 35, 23–55.
- 알렉시스 미쇼. 2006. 나시어의 음조 재결합과 상승하는 음조 윤곽.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티베토-버만어 지역 언어학|티베토-버만어 지역 언어학영어'' 29, 61-94.
- 알렉시스 미쇼와 허 슈에구앙|하설광|허 슈에구앙중국어. 2007. 나시어(티베토-버만어)의 재결합된 음조와 융합된 음절. ''국제 음성학 협회 저널'' 37(3): 237–255.
- Ramsey, S. Robert|램지, S. 로버트|S. 로버트 램지영어. 1987. ''중국의 언어''.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Rock, Joseph|록, 조셉|조셉 록영어. 1963–1972. ''나-키어-영어 백과 사전''. 로마: 이탈리아 중동 연구소.
- 제임스 매티소프. 2003. ''원시 티베토-버만어 핸드북: 시노-티베트어 재구조의 시스템과 철학''. 버클리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 Thurgood, Graham|서굿, 그레이엄|그레이엄 서굿영어. 2003. "시노-티베트어의 하위 분류: 언어 접촉, 변화 및 상속 간의 상호 작용." G. 서굿 및 R. 라폴라 편집, ''시노-티베트어'', 3–21쪽. 런던: 루틀리지.
참조
[1]
서적
A History and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Ancient Kingdoms of the Sino-Tibetan Borderland – Naxi and Mosuo
Edwin Mellen Pr.
2003
[2]
저널
The tones of numerals and numeral-plus-classifier phrases: On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Naxi, Na and Laze
2011
[3]
문서
The Sino-Tibetan Languages
[4]
저널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Naxi, Na and Laze
http://halshs.archiv[...]
2011
[5]
서적
Nàxīyǔ jiǎnzhì
Minzu chubanshe
1985
[6]
웹사이트
Wéixī Lìsùzú Zìzhìxiàn Tǎchéng Zhèn Qízōng Xíngzhèng Cūn
http://www.ynszxc.go[...]
2018-04-10
[7]
웹사이트
Yùlóng Nàxīzú Zìzhìxiàn Fèngkē Xiāng Shànměi Cūnwěihuì
http://www.ynszxc.go[...]
2018-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