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미얀마의 공용어이다. 바간 왕조 시기에 버마 문자와 함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 버마어는 고대, 중세, 현대 버마어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로 언어적 특징과 문법 변화를 보인다. 현대 버마어는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었으며, 문해율 향상과 함께 하부 미얀마로 확산되었다. 버마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이라와디 강 유역의 방언이 표준어로 사용된다. 버마어는 문어체와 구어체가 구분되며, 각기 다른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어휘는 티베트버마어족 어군, 팔리어, 몬어, 영어 등에서 차용되었으며, 수분류사, 조어, 첩어 등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버마어는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하며, 컴퓨터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어 - 미얀마 언어 위원회
    미얀마 언어 위원회는 미얀마어의 발전, 보존, 표준화를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사전 편찬, 용어 및 번역 자료 출판,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미얀마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버마어 - 버마어 대명사
    버마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경어법을 사용하며, 주격 조사가 붙는 주어 대명사와 목적격 조사가 붙는 목적어 대명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칭 대명사, 특수한 상황의 대명사, 지시 대명사, 재귀 대명사 등을 사용한다.
  • 미얀마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미얀마 - 아웅 산
    아웅산은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영국령 인도 시대 학생 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과 협력 및 항일 운동을 거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을 이끌며 독립 협상을 진행했으나 암살당했고, 미얀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국민 영웅이며 그의 딸 아웅산 수치 또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버마어
지도 정보
버마어 사용 지역
버마어가 사용되는 지역 (짙은 파란색은 더 널리 사용되는 지역을 나타냅니다). 이 지도는 언어가 다수인지 소수인지 여부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기본 정보
이름버마어
미얀마어
로마자 표기Mranma bhasa
발음[mjəmà bàθà]
[mjəmàzà]
[mjəmà zəɡá]
[mjəmà bàd̪à zəɡá]
[mjəmàbàθà]
사용 국가미얀마
태국
중화인민공화국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인도 (미조람주, 마니푸르주, 트리푸라주)
방글라데시 (치타공 구)
사용 지역동남아시아 광역
인도차이나 반도
민족버마족
사용자제1언어: 3,300만 명 (2007년)
제2언어: 1,000만 명
언어 순위29위
가족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로로버마어군
버마어군
문자 체계
문자미얀마 문자
몬-버마 문자
버마어 점자
국가 및 기관
공용 국가미얀마
언어 기관미얀마 언어 위원회
언어 코드
ISO 639-1my
ISO 639-2bbur
ISO 639-2tmya
ISO 639-3mya
글롯로그mran1234
언어학
조상 언어고대 버마어
중세 버마어
하위 언어
관련 언어인타어-다누어
타웅요어
라카인어
마르마어
타보얀 방언

2. 역사

버마어는 바간 왕조 초기로 역사가 거슬러 올라가며, 버마 문자와 역사를 같이 한다. 버마 문자는 고대 몬 문자 혹은 10세기 인도 남서부에서 사용되던 퓨 문자에 뿌리를 둔 것으로 추정된다. 두 문자 모두 브라흐미 문자의 일종이며 원래는 사각형이었다가 17세기 야자수 잎을 접어서 종이처럼 쓰는 바리야포크이 널리 쓰이면서 그 모양이 바뀌게 되었다.

버마 문자의 개발은 전기, 중기, 현대로 나뉜다. 전기 버마어는 바간 왕조와 아바 왕조를 아우르는 11세기-16세기를, 중기 버마어는 따웅우 왕조꼰바웅 왕조에 이르는 16-18세기에 사용되었다.[86] 현대 버마어는 18세기 이후 시대의 언어를 가리킨다.

19세기 초, 만달레이 중심의 상부 미얀마에서 주류이던 버마어는 하부 미얀마에 널리 퍼지게 되어 기존의 주요 언어이던 몬어를 밀어내고 주류 언어의 지위를 차지하게 됐다.[87] 하부 미얀마에는 여전히 몬족 출신 인구가 많으나 계속된 동화 정책과 버마족의 정복 전쟁에 따라 몬어 사용 화자의 비중이 줄어들었으며,[88] 1962년부터 강력한 언어 정책에 따라 소수 민족 아이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모국어인 몬어를 배울 기회가 없어지는 대신 버마어 위주의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89][96]

오늘날 버마 문자의 표기법 대부분은 중기 버마어와 연관이 깊으며 표준 성조는 18세기까지 나타나지는 않았다. 19세기를 지나가면서 언어학자들은 철자법에 따른 소리의 중첩 현상을 없애기 위해 문자 표기법을 개혁했다. 영국령 인도의 통치를 받게 되면서 버마 문자는 표준화 작업을 거치게 되었고, 오늘날 대한민국국립국어원과 같은 역할을 하는 ''Myanma Salonpaung Thatpon Kyan'' 이 미얀마 정부 하에 1978년부터 존속해오고 있다.

버마어의 초기 형태에는 고대 버마어와 중세 버마어가 포함된다. 고대 버마어는 11세기부터 16세기까지, 중세 버마어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현대 버마어는 18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버마어의 음운론은 상당히 진화했지만, 어순, 문법 구조, 어휘는 현대 버마어까지도 현저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다.[9]

2. 1. 고대 버마어

버마 문자와 역사를 같이 하는 버마어는 바간 왕조 초기로 역사가 거슬러 올라간다. 버마 문자는 고대 몬 문자[86] 혹은 10세기 인도 남서부에서 사용되던 퓨 문자[86]에 뿌리를 둔 것으로 추정된다.

11세기와 12세기 파간의 돌 비문에서 확인되는 고대 버마어는 15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 1113년에 제작된 미야제디 비문은 버마어로 된 가장 오래된 돌 비문이다.[31] 이 비문은 사면체의 돌기둥에 몬어, 팔리어, 퓨어, 그리고 버마어의 4개 언어로 동일한 내용이 새겨져 있어 "버마의 로제타석"이라고도 불린다.[31]

2. 2. 중세 버마어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된 중세 버마어는 따웅우 왕조꼰바웅 왕조에 이르는 시기의 언어이다.[86] 이 시기 버마 왕국에서는 문해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는 버마 문학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 기간 동안 버마 알파벳은 팜잎 사본에 주로 사용되는 필기체 스타일의 원형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 3. 현대 버마어

현대 버마어(Modern Burmese영어)는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9] 버마어가 하부 미얀마로 확장된 것도 현대 버마어의 등장과 일치한다.[87] 영국 통치는 사전과 철자 교정기를 통해 버마어 철자를 표준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였다. 1930년대, 버마어는 언어 부흥을 경험했다. 1948년 버마 헌법은 새로 독립한 국가의 공용어로 버마어를 규정했다.

3. 분류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의 남부 버마어파에 속하며, 중국어파를 제외하면 이 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91] 고대 중국어, 피유어, 고대 티베트어, 탕구트어에 이어 중국티베트어족에서 다섯 번째로 문자 체계를 발전시켰다.[91]

1113년에 제작된 미야제디 비문은 버마어로 된 가장 오래된 돌 비문이다.

3. 1. 방언

이라와디 강 유역에 거주하는 대다수의 버마어 화자들은 표준 버마어의 변종을 사용하지만, 국경 지역에서는 비표준 방언이 사용된다.[90] 주요 방언 지역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91]

  • 타닌타리 관구: 태국과 인접한 메르귀 지역의 머귀즈어(마예이크, 베이크), 타보얀어(다웨이), 팔라우어
  • 마궤 관구: 친 주 친 구릉 일대의 야우어
  • 샨 주: 인따어, 타웅요어, 다누어
  • 라카인 주: 아라칸어


아라칸어(라카인주)와 마르마어(방글라데시)는 버마어의 방언 또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버마어 방언들은 대부분 공통적인 톤, 자음군, 문자 체계를 공유하지만, 어휘, 어미, 운율 면에서 표준 버마어와 상당히 다른 방언들도 있다.[91]

방언버마어다누어인타어라카인어타웅요어
버마어100%93%95%91%89%
다누어93%100%93%85-94%91%
인타어95%93%100%90%89%
라카인어91%85-94%90%100%84-92%
타웅요어89%89%84-92%100%
마르마어85%


3. 1. 1. 이라와디 계곡

미얀마어 구어는 미얀마어 화자들 사이에서, 특히 이라와디강 유역에 사는 모든 표준 미얀마어 변종을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매우 균일하다.[95] 미얀마어의 표준 방언(만달레이-양곤 방언 연속체)은 이라와디 강 유역에서 유래했다. 상부 미얀마(예: 만달레이 방언) 출신 화자들이 사용하는 'anya tha' (အညာသား|아냐 따my)와 하부 미얀마(예: 양곤 방언) 출신 화자들이 사용하는 'auk tha' (အောက်သား|아욱 따my) 사이의 지역적 차이는 발음이 아닌 어휘 선택에서 주로 나타난다.[90] 이라와디 강 유역 전역에서 사소한 어휘 및 운율의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ဆွမ်း|승려에게 바치는 음식my의 경우, 하부 미얀마 화자들은 상부 미얀마에서 사용하는 표현 대신 다른 표현을 사용한다.

현대 도시의 미디어 영향력과 경제력 때문에 표준 방언은 양곤 방언을 특징으로 한다. 과거에는 만달레이 방언이 표준 미얀마어를 대표했다. 만달레이 방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남성과 여성 모두 1인칭 대명사 ကျွန်တော်|kya.nau|짜노my를 계속 사용한다는 점이다. 양곤에서는 남성 화자만 같은 대명사를 사용하고, 여성 화자는 ကျွန်မ|kya.ma|짜마my를 사용한다. 또한, 친족어와 관련하여 상부 미얀마 화자들은 모계와 부계를 구분하지만, 하부 미얀마 화자들은 구분하지 않는다.[94]

3. 1. 2. 이라와디 계곡 이외 지역

이라와디강 유역에서 멀리 떨어진 미얀마 주변 지역으로 갈수록 표준어와 차이가 큰 미얀마 방언들이 나타난다. 타닌다리 관구 지역의 방언들은 표준 미얀마어에 비해 특히 보수적인 특징을 보인다.[97] 타보얀 방언과 인타 방언은 고대 미얀마어 비문에서만 발견되는 လ|lmy 중간음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언들은 종종 성문 폐쇄음의 강도를 약화시킨다. 베이크 방언은 25만 명의 화자가 있고,[8] 타보얀 방언은 40만 명의 화자가 있다.[96]

라카인 주의 아라칸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표준 미얀마어에서 ယ|jmy가 된 ရ|ɹmy 음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96] 또한 아라칸어는 ဧ|emy와 ဣ|imy 모음의 합병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음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피"라는 단어 သွေး|θwémy는 표준 미얀마어에서는 သွေး|θwémy로 발음되지만 아라칸어에서는 သွေး|θwímy로 발음된다.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타닌타리 관구: 메르귀 지역(태국과 인접한 지역)의 머귀즈어(마예이크, 베이크), 타보얀어(다웨이), 팔라우어[97]
  • 마궤 관구: 친 주 친 구릉 일대의 야우어[91]
  • 샨 주: 인따어, 타웅요어, 다누어[91]
  • 라카인 주: 아라칸어[91]

4. 실현

버마어는 양층언어로, 문어체와 구어체가 다르다.[98] 문어체 미얀마어(မြန်မာစာ|mranma camy)는 공식 문건 및 문서에 쓰이며 신문, 방송, 연설 등에서 사용된다. 구어체 미얀마어(မြန်မာစကား|mranma ca.ka:'my)는 회화나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쓰이는 말투로, 만화, 문학 작품 등에서 일상 대화를 묘사할 때도 쓰인다.[98]

문어체에서는 일반 대화에서 나타나지 않는 문법 구조나 관사, 대명사, 소유격 조사 등이 나타난다. 동사의 경우 문어체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여러 개의 동사를 배열하여 문어체에서 사용되는 복잡한 표현을 순화하며, 이것을 하나의 서술어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문어체에서 사용되는 조동사 대신 동사를 통해 '가지다, 얻다'라는 뜻을 가진 ရ|ya.my를 이용하여 당위성을, '이기다'라는 뜻을 가진 နိုင်|naingmy을 이용하여 능력 혹은 가능성을, '오다'라는 လာ|lamy를 이용하여 방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하는 것이 그 예이다.[98]

다음 예문은 문어와 구어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차이를 보여준다.

8888 항쟁이 일어났을 때, 약 3천 명이 죽었다.”
명사동사불변화사명사불변화사수사불변화사동사불변화사불변화사불변화사
문어체
(HIGH)
ရှစ်လေးလုံးအရေးအခင်း|shic le: lum: a.re: a.hkang:my|rowspan="2"|ဖြစ်|hcacmy|style="background:lightyellow"|သောအခါက|sau: a.hka ka.myလူ|lumy|style="background:lightyellow"|ဦးရေ|u: remy|rowspan="2"|၃၀၀၀|3000my|style="background:lightyellow"|မျှ|hmya.myသေဆုံး|se sung:my|rowspan="2"|ခဲ့|hkai.myကြ|kramy|style="background:lightyellow"|သည်။|da.my
구어체
(LOW)
တုံးက|tun: ka.myအယောက်|a.yaukmy|style="background:lightyellow"|လောက်|laukmyသေ|semy-တယ်။|dai.my
대칭8888 항쟁일어을때사람파악된다(수가 ~가 되다)3,000명대략복수 표시다.



버마어 회화체는 공손함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청중을 고려하여 화자의 지위나 나이를 표현하는 높임말이 있다. 동사구 뒤에 쓰이는 소사의 일종인 ပါ|pamy는 공손함을 표현하는데 쓰인다.[98]

5. 어휘

버마어 단어는 주로 단음절이 많으며 티베트버마어족에 속하는 어군에서 유래한 단어도 많다. 차용어는 영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차용되며 이들은 주로 다음절인데, 몬어크메르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은 2음절이다.[99] 차용어의 대다수는 명사이다.[99]

상좌부 불교에서 의식어로 쓰이는 팔리어는 버마어 단어 확대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언어 자체에 미친 영향도 많다. 팔리어에서 차용된 어휘는 종교, 정부, 예술, 과학 분야에서 사용된다.[99]

팔리어 외에도 몬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매우 많은데 몬족은 여전히 하부 미얀마 지역에 사는 주요 종족이다. 몬어에서 차용한 단어는 영국 식민지 이전 수세기 동안 버마어와 별다른 구분 없이 쓰였기 때문에 차용어인지에 대해서 분간이 되지 않을 정도로 깊이 녹아 들어 있다. 보통은 동물상, 식물상, 섬유, 음식, 탈것, 공예품, 건축 용어 등에서 나타난다.

영어로부터 유입된 단어는 영국의 지배에 따른 자연적 결과로 근대적 기관이나 측정 단위, 기술 분야에 관련된 용어는 영어에서 차용한 것이 많다. 영어 차용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 직접 차용어: 버마어에 발음 그대로 차용된 단어[99]
  • ''democracy'': “민주주의” → 버마어 ဒီမိုကရေစီ|디모커뤠시my
  • ''human rights'': “인권” → 버마어 လူ့အခွင့်အရေး|루 아퀸 아예my (လူ့|루my “인간” + အခွင့်အရေး|아퀸 아예my "권리")
  • 혼종어: 미얀마어와 영어 단어를 결합한 합성어[99]
  • to sign: ဆိုင်းထိုး|사인 토my ← ဆိုင်း|사인my (“''sign''”) + ထိုး|토my (버마어 “등록하다”).


상대적으로 예는 많지 않지만 산스크리트어(종교), 힌디어(음식, 행정, 쇼핑), 중국어(음식, 놀이)에서 차용한 단어도 있다.[99]

  • “포피아”(Popiah): ကော်ပြန့်|꺼뺜my (민난어: 潤餅 (jūn-piáⁿ))
  • “아내”: ဇနီး|저니my (우르두어:جاني, ''jani'')
  • “국수”: ခေါက်ဆွဲ|카웃 쉐my (샨어:ၶဝ်ႈသွႆး|카우 소이my)
  • 피트”: ပေ|뻬my (포르투갈어: ''pé'')
  • “국기”: အလံ|얼란my (아랍어: علم ''ʕalam'')
  • “창고”: ဂိုဒေါင်|고다웅my (말레이어: ''gudang'')

6. 음성

버마어의 음성은 버마어 음운론에서 자세히 다룬다.

버마어 자음은 다음과 같다.



my의 자음은 마찰음()이나 파찰음이 아니라 치음 파열음()이다.[101] 이러한 음소는 와 함께 와 합쳐지는 경향이 있다.[101] 치경음 는 일부 차용어에서 의 변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종지 비음 는 네 개의 원래 종지 비음( , , , )과 팔리어 차용어에 사용되는 에서 나타난다. 종지 비음은 보통 모음의 비음화로 실현되며, 파열음 앞에서는 동종 비음으로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풍')은 로 발음된다.

버마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단모음 , , , 및 는 열린 음절(종성이 없는 음절)에서만 나타나며, 이중모음 , , 및 는 닫힌 음절(종성이 있는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는 미성절에서만 나타나며, 미성절에서 허용되는 유일한 모음이다.

고모음 및 과 이중모음의 고부분은 닫힌 음절, 즉 및 앞에서는 다소 중앙화된다(). 따라서 နှစ်my ('two')는 음성적으로 이고 ကြောင်my ('cat')는 음성적으로 이다.

버마어는 음조 언어이며, 모음의 음조를 기반으로 음소의 대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버마어에서 이러한 대조는 높낮이뿐만 아니라 성대의 움직임, 강도(소리의 크기), 지속 시간 및 모음의 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언어학자들은 버마어를 높낮이-성조 언어로 간주하기도 한다. 구어체 버마어는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저음에서 유도된 쉰 목소리 음조로 변화하는 형태의 음조 동화를 보인다.[10]

버마어에는 네 가지 대조적인 음조가 있으며, 음조는 모음 에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음조버마어IPA
(모음 a에 표시)
기호
(모음 a에 표시)
성대의 움직임지속 시간강도높낮이
저음နိမ့်သံmy성문조음중간낮음낮음, 종종 약간 상승
고음တက်သံmy때때로 약간 숨소리가 섞임높음높음, 종종 멈추기 전에 떨어짐
쉰 목소리သက်သံmy긴장 또는 쉰 목소리, 때때로 느슨한 성문 폐쇄음중간높음높음, 종종 약간 떨어짐
짧은 음တိုင်သံmy중앙화된 모음의 질, 최종 성문 폐쇄음짧음높음높음(표준형; 문맥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다음 단어들은 음조만을 기반으로 서로 구분된다.


  • 저음 ခါmy "흔들다"
  • 고음 ခါးmy "쓰다"
  • 쉰 목소리 ခmy "시중들다; 시종들다"
  • 짧은 음 ခတ်my "때리다; 치다"


로 끝나는 음절에서는 짧은 음조가 제외된다.

  • 저음 ခံmy "겪다"
  • 고음 ခန်းmy "말라붙다 (주로 강)"
  • 쉰 목소리 ခန့်my "임명하다"


구어체 버마어에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두 가지 실제 음조를 분류하기도 한다.

버마어의 음절 구조는 C(G)V((V)C)이다. 즉, 음두는 자음에 활음이 선택적으로 뒤따르는 구조이며, 운은 단모음, 단모음+자음, 또는 이중모음+자음으로 구성된다. 음미에 올 수 있는 자음은 와 뿐이다.

대표적인 단어 예시
구조예시IPA의미
CVမယ်my젊은 여성을 위한 경칭
CVCမက်my'갈망하다'
CGVမြေmy'땅'
CGVCမျက်my'눈'
CVVCမောင်my젊은 남성을 부르는 호칭
CGVVCမြောင်းmy'도랑'



단음절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다.


  • 유일한 모음으로 를 포함한다.
  • 개방음절이어야 한다(음미 자음 없음).
  • 성조를 가질 수 없다.
  • 간단한 (C) 음두만 가진다(자음 뒤에 활음 없음).
  •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될 수 없다.

6. 1. 자음

버마어 자음은 모두 33개가 있다. 유성음·무성음의 대립, 중국어한국어에서의 유기음·무기음의 구별 등도 찾아볼 수 있다.[100]

초성은 자음이나 여러 자음이 묶음(cluster)으로 올 수 있으며 다음에 모음이 와서 하나의 음절이 된다.[101] 다른 아부기다 문자와 같이 모음은 발음구분 기호가 자음의 위, 아래, 앞, 뒤에 표시되어 있어 성조가 구분되는데 자음은 자체적으로 아 소리를 달고 있기 때문에 모음과 결합하면서 변용되고 별도로 발음 구별 표시를 하지는 않는다.[100]

다음의 두 표는 국제음성기호 상 구분한 것으로 문자의 소리에 따라 순서대로 구성한 것이다.[101][102]

명칭자음군
무기음 (သိထိလ|시틸라my)유기음 (ဓနိတ|다니따my)유성음 (လဟု|라후my)비강음 (နိဂ္ဂဟိတ|니가헤이따my)
후두음
(ကဏ္ဍဇ|간다가my)
ကဝဂ်|가와욱my
က|까mywidth="8%"|ခ|카mywidth="8%"|ဂ|가mywidth="8%"|ဃ|가mywidth="8%"|င|응아mywidth="8%"|
ကကြီး|까지myခကွေး|카궤myဂငယ်|가응에myဃကြီး|가지myင|응아my
구개음
(တာလုဇ|딸루자my)
စဝဂ်|싸와욱my
စ|싸mywidth="8%"|ဆ|흐사mywidth="8%"|ဇ|자mywidth="8%"|ဈ|자mywidth="8%"|ဉ / ည|냐mywidth="8%"|
စလုံး|싸론myဆလိမ်|흐살레인myဇကွဲ|자궤myဈမျဉ်းဆွဲ|자민주에myညကလေး/ ညကြီး|냐갈레/ 냐지my
치경음
(မုဒ္ဒဇ|뭇다자my)
ဋဝဂ်|따와욱my
ဋ|따mywidth="8%"|ဌ|흐따mywidth="8%"|ဍ|다mywidth="8%"|ဎ|다mywidth="8%"|ဏ|나mywidth="8%"|
ဋသန်လျင်းချိတ်|따탈린제이myဌဝမ်းဘဲ|흐따운베myဍရင်ကောက်|다인까오myဎရေမှုတ်|다예모우myဏကြီး|나지my
치음
(ဒန္တဇ|단따자my)
တဝဂ်|따와욱my
တ|따mywidth="8%"|ထ|흐따mywidth="8%"|ဒ|다mywidth="8%"|ဓ|다mywidth="8%"|န|나mywidth="8%"|
တဝမ်းပူ|따와운부myထဆင်ထူး|흐따신두myဒထွေး|다두에myဓအောက်ခြိုက်|다아오차이myနငယ်|나응에my
순음
(ဩဌဇ|오흐따자my)
ပဝဂ်|빠와욱my
ပ|빠mywidth="8%"|ဖ|흐빠mywidth="8%"|ဗ|바mywidth="8%"|ဘ|바mywidth="8%"|မ|마mywidth="8%"|
ပစောက်|빠자오myဖဦးထုပ်|흐빠오우토우myဗထက်ခြိုက်‌|바레차이myဘကုန်း|바고운myမ|마my
기타
규칙외
(အဝဂ်|아와욱my)
ယ|야mywidth="8%"|ရ|야mywidth="8%"|လ|라mywidth="8%"|ဝ|와mywidth="8%"|သ|따mywidth="8%"|
ယပက်လက်|야뻬레myရကောက်‌|야가오myလငယ်|라응에myဝ‌|와myသ‌|따my
colspan="2" width="16%" rowspan="2" |ဟ|하mywidth="8%"|ဠ|라mywidth="8%"|အ|아mywidth="8%"|colspan="2" width="16%" rowspan="2" |
ဟ‌|하myဠကြီး|라지myအ|아my



양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
및 구개음
연구개음
순음화 연구개음
성문음기타
비강음



 align=center |
파열음/파찰음







align=center | 
마찰음 
1


align=center | align=center | 
접근음 2align=center |3
 
설측음 
 



# 는 같은 음소로 발음되는 이음에서 유성음을 제외하고는 흔치 않다.

# 영어의 r에 해당한다 볼 수 있는 치경접근음은 버마어에서 드물다.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의 발음이 남아 있는 장소명 혹은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이중모음은 현대 미얀마에서는 거의 사라져서 외국어 이름이나 일부 고유어를 제외하고는 많지 않다.

6. 2. 모음

버마어는 아부기다 문자와 흡사한 특성을 갖고 있어 자음이 위주이며 모음은 자음과 딸려 써야 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쓸 수 없다.[103] 모음은 자음의 아래, 위, 아래, 오른쪽에 위치하여 결합한다.[103]

예를 들어 미얀마의 공식 화폐인 미얀마 짯은 현지어로 ကျပ်my이다. 앞글자 ကျmy(kya)는 자음 ကmy(ka)에 모음 ah가 붙어 kya가 된 것이다.

rowspan="2" |단모음이중모음
전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 경과음후설모음 경과음
고모음
중고모음
중모음colspan="2"|
중저모음
저모음colspan="2"|


  • 단모음

:* '''a:''' "아"

:* '''i:''' "이"

:* '''u:''' "우"보다 입술을 더 둥그렇게 한다.

:* '''e:''' "에"보다 입을 평평하게 한다.

:* '''E:''' "에"보다 입을 크게 벌린다.

:* '''o:''' "오"보다 입을 크게 벌린다.

:* '''O:''' "오"보다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 '''A:''' 위 모음들이 약화되어 생기는 비강세모음. IPA의 “슈와(schwa)”.

  • 비모음: ‘aN’, ‘iN’, ‘eiN’처럼 모음의 끝이 비음화(鼻音化)한다. "-m", "-n", "-ŋ"은 현대 버마어에는 그 구별이 사라져 모두 비음화된다. 버마어의 이중모음, 단모음은 ''iN'', ''auN'', ''aiN'', ''aN'', ''eiN'', ''ouN'', ''uN(wuN)''을 들 수 있다.

  • 성문 폐쇄음: “앗!”은 목구멍을 통해 느껴지는 소리다. "앗"의 "ㅅ"받침에 가까운 소리로서 "-p", "-t", "-k", "-s"의 끝음이 남아 있는 일부 외래어(/bas ka:/my)를 제외하면 성문폐쇄음으로 변화한다. 자음기호에 아닷(Athaʔ)과 호칭 보조기호를 표시한다.
  • 앞의 모음 "i"에 "-p" 그리고 "-t"와 연결되면 "-ei"
  • 앞의 모음 "-u"에 "-p" 그리고 "-t"와 연결되면 "-ou"
  • 앞의 모음 "-O"에 "-k"가 연결되면 "-au"
  • 앞의 모음 "-o"에 "-k"가 연결되면 "-ai"

6. 3. 성조

버마어는 성조언어에 속하며 음절의 높낮이, 지속 정도, 강세, 발성 등에 영향을 받아 뜻이 달라진다. 버마어에는 4가지 대조적인 음조가 있다.[104]

음조버마어IPA
(모음 a에 표시)
기호
(모음 a에 표시)
성대의 움직임지속 시간강도높낮이
저음နိမ့်သံ|니음딴my[aː˧˧˦]à성문조음중간낮음낮음, 종종 약간 상승
고음တက်သံ|땟딴my[aː˥˥˦]á때때로 약간 숨소리가 섞임높음높음, 종종 멈추기 전에 떨어짐
쉰 목소리သက်သံ|땟딴my[aˀ˥˧]긴장 또는 쉰 목소리, 때때로 느슨한 성문 폐쇄음중간높음높음, 종종 약간 떨어짐
짧은 음တိုင်သံ|따잉딴my[ăʔ˥˧]중앙화된 모음의 질, 최종 성문 폐쇄음짧음높음높음(표준형; 문맥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다음 단어들은 음조만을 기반으로 서로 구분된다.[105]


  • 저음 ခါ|카my "흔들다"
  • 고음 ခါး|카my "쓰다"
  • 쉰 목소리 ခ|카my "시중들다; 시종들다"
  • 짧은 음 ခတ်|캇my "때리다; 치다"[106][107]


로 끝나는 음절에서는 짧은 음조가 제외된다.

  • 저음 ခံ|칸my "겪다"
  • 고음 ခန်း|칸my "말라붙다 (주로 강)"
  • 쉰 목소리 ခန့်|칸my "임명하다"


구어체 버마어에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두 가지 실제 음조(서면 버마어로 4개의 명목상 음조가 전사됨)를 분류한다. "고음"(마침표나 짧은 음으로 끝나는 단어에 적용, 고음 상승 음조)과 "일반"(짧지 않고 성문이 없는 단어, 떨어지는 또는 낮은 음조)이며, 이러한 음조는 다양한 높낮이를 포함한다.

6. 4. 음절 구조

버마어의 음절 구조는 자음(반모음)모음(모음+자음)의 순으로 결합하며 초성 뒤에 반모음이 결합한다. 중성종성을 일컫는 라임은 단모음으로 구성되거나 단모음과 자음이 만나며 이중모음인 경우 자음 하나를 포함한다.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은 와 둘 뿐이다.[110][111] 이때 는 비음이 강한 n 소리를 나타내며 이중모음 뒤에 올 /N/이 올 경우 연구개음이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혀끝에서 발음된다.[112]

버마어의 음절 구조는 C(G)V((V)C)이다. 즉, 음두는 자음에 활음이 선택적으로 뒤따르는 구조이며, 운은 단모음, 단모음+자음, 또는 이중모음+자음으로 구성된다. 음미에 올 수 있는 자음은 와 뿐이다.

}

|

|젊은 여성을 위한 경칭

|-

|CVC

|မက်|my

|

|'갈망하다'

|-

|CGV

|မြေ|my

|

|'땅'

|-

|CGVC

|မျက်|my

|

|'눈'

|-

|CVVC

|မောင်|my

|

|젊은 남성을 부르는 호칭

|-

|CGVVC

|မြောင်း|my

|

|'도랑'

|}

단음절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다.

  • 유일한 모음으로 를 포함한다.
  • 개방음절이어야 한다(음미 자음 없음).
  • 성조를 가질 수 없다.
  • 간단한 (C) 음두만 가진다(자음 뒤에 활음 없음).
  •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될 수 없다.


몬어는 버마어 단어에서 빈번한 준음절 축약의 발달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패턴은 다른 버마어 계열 언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13]

7. 문자

버마 문자는 33개의 자음 문자와 12개의 모음 문자로 구성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113] 띄어쓰기는 사용되지 않지만, 현대 버마어에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절이 끝난 뒤에 약간의 공간을 두기도 한다.[114]

버마어는 원형으로 생긴 것이 특징이며 아부기다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모든 자음은 딸림 모음 'a' 또는 를 포함한다.[115] 자음은 6개의 자음 그룹으로 나뉘는데 이를 ဝဂ်my라 칭하며 발음되는 곳에 따라 구분한다. 성조나 모음 변화는 왼쪽에서 문자의 상하좌우에 표시된다.

철자법 상으로는 중간 자음 소리 와 가 합쳐진 것에 따른 것으로 문법 구조나 음성학적 특성이 전반적으로 변한 것은 아니다. 문어체는 비음 소리()를 다 포함하고 있지만 구어체에서는 하나로 표현된다. 단, 응 소리는 광모음 등으로 표현된다. 유사하게 다른 자음 소리 는 성문폐쇄음 으로 축소됐다. 유사한 소리의 변화는 상하이어와 광동어에서도 나타난다.

버마 문자는 문자 자체로 발음하는 경우에 모음 a를 동반하며 기본 문자에 특정의 부호를 첨가하여 만든다.[116]

자음을 나타내는 '''기본 자모''' 주위에 '''모음 기호'''와 '''성조'''가 결합하여 글자를 형성한다. 글자는 전반적으로 둥근 모양이 특징적이다.


  • '''기본 자모''' - 자음을 나타내며, 33개가 있다. 같은 발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여러 개 있는 경우도 있다.[33]
  • '''복합 자모''' - 기본 자모에 y, w, 무성화 등을 나타내는 기호가 붙은 것.
  • '''모음 기호'''는 성조와의 조합으로 결정된다(참조: 미얀마 문자#말자음). 모음은 7개가 있으며, 성조와의 조합은 7 × 3 = 21개이다.
  • '''말자음''' - N,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가 여러 개 있다.


구두점에는 ။my (。종지점)과 ၊my (、쉼표)를 사용한다. 독자적인 미얀마 숫자를 가지고 있다.

8. 문법

버마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 대명사는 청자의 지위와 성별에 따라 달라지지만, 종종 생략되기도 한다. 동사는 어미 변화가 없는 대신 동사 뒤에 접미사가 붙는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사 'kha'는 변화 시 동사 자체가 변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버마어 어휘는 단음절이며, 각 단어가 다른 언어와 결합 시에는 접두어로 사용 가능하다.[14]

버마어는 교착어이며, 명사에 접미사를 붙여 문장이나 절에서의 통사적 기능을 결정하는 광범위한 격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때로는 두 어체 간에 격 표지가 다르다.[14] 격 표지는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단어 예시
구조예시IPA의미
CV{{lang|my|မယ်|}
상위 어체하위 어체
주격thi (သည်), ká (က), hma (မှာ)ha (ဟာ), ká (က)
목적격ko (ကို)ko (ကို)
수여격à (အား)
여격thó (သို့)
탈격hmá (မှ), ká (က)ká (က)
조격hnai (၌), hma (မှာ), twin (တွင်)hma (မှာ)
동반격hnín (နှင့်)né (နဲ့)
도구격hpyin (ဖြင့်), hnin (နှင့်)
소유격í (၏)yé (ရဲ့)



기본적으로 교착어이며, 일본어와 매우 유사한 골격을 가진다. 다만 고립어적인 성격도 가지지만, 동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적고, 뒤에 조사를 하나 또는 여러 개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때문에 교착어로 분류된다). 문의 종류는 명사문과 동사문으로 크게 나뉜다. 전치사도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어미가 변화한다. 조사도 일본어와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31]

미얀마인에게는 일반적으로 성에 해당하는 것이 없다. 이름은 태어난 요일에 따라 사용되는 글자가 정해져 있다. 다만, 부모의 이름 일부를 자신의 이름에 붙여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아웅산 수지는 아버지의 이름인 아웅산, 외할머니의 이름인 수, 어머니의 이름인 킨치에서 유래한다.

'…의'라는 명사구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46]

1. 소유자를 나타내는 명사의 어조를 하강조(소위 '쉰 목소리 어조')로 변화시킨다. (예: ကျနော်|차노my 가 ကျနော့်|차노my 로 변화)

2. 조사 ရဲ့|예my [47]를 소유자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인다.


  • ကျနော့် (ရဲ့) ဆရာ|차노 (예) 사야my

: 의미 분석: 나(남성) (의) 선생님

: 번역: '나의 선생님'

단, ရဲ့|예my는 생략이 가능하다.[46] 또한 1의 패턴에서도 ကျမ|차마my '나(여성)'처럼 원래부터 하강조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결과적으로 발음이 변하지 않는다.[46]

  • ကျမ (ရဲ့) ဆရာ|차마 (예) 사야my

: 의미 분석: 나(여성) (의) 선생님

: 번역: '나의 선생님'

명사문은 '…는 ~이다'라는 내용의 문장이다.[48]

  • ကျွန်တော် ဂျပန် လူမျိုး ပါ|차노 재팬 루묘 바my

: 음성 기호: 나(남성) 일본 인종 입니다

: 옮긴말: '나는 일본 사람입니다.'

버마어에서 명사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달리 성 변화를 하지 않지만, 동식물의 경우에는 성별 구분을 위한 접미사가 사용된다. 수컷을 나타낼 때는 ထီး|티my, ဖ|파my, 또는 ဖို|포my를 사용하고, 암컷을 나타낼 때는 မ|마my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ကြောင်ထီး|짜웅 티my "수컷 고양이"
  • ကြောင်မ|짜웅 마my "암컷 고양이"
  • ကြက်ဖ|짯 파my "수탉"
  • ထန်းဖို|탄 포my "수컷 야자나무"


명사의 복수형은 구어체와 문어체에서 다른 접미사를 사용한다. 구어체에서는 တွေ|뛔my (단어가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경우)를 사용하고, 문어체에서는 များ|먀my를 사용한다. 사람이나 사물의 무리를 나타내는 접미사 တို့|또my도 사용될 수 있다. 명사가 숫자로 수량화될 때는 복수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버마어는 한국어와 같이 "명사 + 수관형사 + 분류사"로 표현을 하기 때문에 "학생 두 명"과 같은 형태가 나타난다.[124] 수를 셀 때에는 앞에 수분류사가 붙어 기능한다.[125]

기본 형태는 세야 하는 명사 + 수 형용사 + 분류사인데, 0으로 끝나는 어림수일 경우만 제외하여 이때에만 명사 + 분류사 + 수 형용사의 순서를 띤다. 단, 10이 붙을 때에만 기본 형태를 따른다.[118]

시간 단위인 "시간"(နာရီ|나이my), "일"(ရက်|예my), "월"(လ|라my)에는 수분류사가 붙지 않는다.

다음은 일부 수분류사의 예이다.

버마어MLCTSIPA용법비고
ယောက်|야오myyauk사람구어체
ဦး|우myu:사람문어체 및 종교인 대상
ပါး|바mypa:사람불교 승려에만 사용
ကောင်|가웅mykaung동물
ခု|쿠myhku.일반 분류사동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명사와 병용
လုံး|룽mylum:원형의 물체
ပြား|뱌mypra:평평한 물체
စု|수mycu.무리지어 있는 대상로 병용 가능



버마어는 조어 사용이 매우 많으며 600년 이상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126] 이를 버마어에서 ပစ္စည်း|삐시my라 지칭한다. 이들 단어는 한국어의 조사와 같이 별도로 해석이 되지 않으며, 단어 앞이나 뒤에 위치하여 존경, 시제, 서법 등을 나타낸다.[126]

1993년 출간된 《미얀마어-영어 사전》은 449개의 조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조어 또한 문어와 구어의 차이가 상당하다.[126]

일부 조어는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데, 가장 흔한 것은 "어"(အ|어my)로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서 명사나 동사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들어가다"의 뜻을 지닌 버마어 ဝင်|윈my에 အ|어my가 붙으면 "출구"(အဝင်|어윈my)라는 뜻이 된다. "산"(စမ်း|산my)이라는 조어는 명령법을 나타내는 조어이다. 동사 변화 시에 결합하는 경우도 찾을 수 있다.

버마어에서 대명사는 보통 주어에 쓰이며 명령형이나 구어체에서는 생략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구어체에서는 주어에 'က'(က|꺼my)가, 문어체에서는 'သည်'(သည်|디my)가 반드시 붙어야 한다. 목적어로 쓰이는 대명사에는 바로 뒤에 'ကို'(ကို|꼬my)가 붙는다.[15]

연장자, 선생님, 이방인 등 존칭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한국어의 "저"와 유사한 표현으로 남성은 ကျွန်တော်|쩌노my, 여성은 ကျွန်မ|쩌마my라 칭한다. 이 단어는 "당신의 하인"이란 뜻이며 자신을 낮추는 표현이다.[20] 손아래 사람이나 친구와 이야기할 때에는 나를 뜻하는 ငါ|응아my, 너를 뜻하는 နင်|닌my을 쓴다. 그럼에도 3인칭 화자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16]

대명사가 하평성(저음)으로 발음될 경우 소유격은 구어체에서 생략된다. 문어체에서는 ၏|이my를 사용하여 후치형으로 소유격을 표시한다.


  • ငါ|응아my "나"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ငါ့|응아my "나의"
  • နင်|닌my "너"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နင့်|닌my "너의"
  • သူ|투my "그, 그녀"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သူ့|투my "그(녀)의"


버마어는 정중함을 위해 대명사를 회피하기도 한다.[15] 화자들은 성별, 나이, 친족 관계, 사회적 지위,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언어적으로 사회적 차이를 나타낸다.[16][17]

기본적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인칭단수복수*
비격식격식비격식격식
1인칭ငါ|응아myကျွန်တော်|짲노my, ကျွန်မ|짲마myငါဒို့|응아도myကျွန်တော်တို့|짲노도my, ကျွန်မတို့|짲마도my
2인칭နင်|닌my, မင်း|민myခင်ဗျား|크먕my, ရှင်|신myနင်ဒို့|닌도myခင်ဗျားတို့|크먕도my, ရှင်တို့|신도my
3인칭သူ|투my(အ)သင်|아띤myသူဒို့|투도myသင်တို့|띤도my


  • 복수형 조어 기본형은 တို့|도my이며 구어체에서는 ဒို့|도my를 쓴다.
  • 남성 화자 사용
  • 여성 화자 사용


승려를 만났을 때 사용하는 대명사로는 ဘုန်းဘုန်း|분분my이 있다. 이 단어는 승려를 뜻하는 ဘုန်းကြီး|분지my에서 유래했으며, 신분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다르다. အရှင်ဘုရား|아신부야my는 "나리"라는 뜻이다. 자신을 가리킬 때는 "사제"를 뜻하는 တပည့်တော်|따바니도my 혹은 ဒကာ|다가my를 쓰며, 기여자라는 뜻이다.

인칭단수
비격식격식
1인칭တပည့်တော်|따바니도myဒကာ|다가my
2인칭ဘုန်းဘုန်း|분분my, (ဦး)ပဉ္စင်း|우바진myအရှင်ဘုရား|아신부야my, ဆရာတော်|사야도my


  • 여성 화자는 접두어 မ|마my를 사용
  • 주지 스님과 같이 큰스님에게 사용


친족 명칭은 이라와디강 계곡 일대의 버마어 화자 가운데에서도 발음의 차이가 있다. 상부 미얀마와 하부 미얀마의 차이점이 있다면 만달레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모계와 부계의 친척 명칭을 달리 부른다는 데 있다.[94]

명칭상부 미얀마하부 미얀마방언
rowspan=2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용어상부 미얀마 지역의 표현표준어
colspan="2"|
colspan="2"|


8. 1. 형용사

미얀마어에는 고유한 형용사가 없으며, 실제로는 동사가 명사에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나타낸다.[117] 이때 불변화사 တဲ့my ''tai'' ()를 사용하는데, 문어체에서는 သောmy ''tau:'' ()이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사람"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구어체: ချောတဲ့လူmy ''hkyau: tai. lu'' ()
  • 문어체: ချောသောလူmy ''hkyau: so: lu''
  • 풀이: "아름다운" + 불변화사 + "사람"


이처럼 불변화사가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들어가 의미를 형성한다. 형용사가 명사와 결합하여 합성어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때는 불변화사 없이 명사+형용사의 순서로 결합하여 "미인"(လူချောmy ''lu hkyau:'' )과 같은 단어를 만든다.

비교급은 일반적으로 "가" + ထက်ပိုmy ''htak pui'' () + 형용사의 순서로 표현되며,[117] "가"는 비교 대상을 나타낸다. 최상급은 접미사 အmy ''a.'' () + 형용사 + ဆုံးmy ''hcum:'' ()의 순서로 표현된다.

명사나 동사와 달리, 버마어에서 “형용사”나 “부사”는 품사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65] 미얀마 학자들은 “형용사”에 해당하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태 동사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66] 상태 동사는 명사 뒤에서 수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중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 အိမ်'''ကြီးကြီး'''my ''imʻ '''krī" krī"''' () 〈'''큰''' 집〉).[67]

8. 2. 동사

버마어는 SOV형 언어이기 때문에 동사가 마지막에 나타나므로 주동사에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불변화사 혹은 어미가 붙어서 문장이나 절의 마지막을 표시한다.[118] 동사에 붙는 어미는 매우 다양하며 대명사의 쓰임새에 비해 동사의 쓰임새가 매우 발달되어 있다.[119]

단어 구조에 따라서는 단일 동사와 다른 2개의 동사가 결합된 복합동사로 구분되며 2음절, 3음절, 4음절 복합동사가 있다. 3음절 복합동사에는 2음절 명사와 단음절동사 혹은 단음절형용사가 결합하여 이뤄진다. 2음절 명사의 경우 눈이나 얼굴, 성격 등의 신체에 관련된 단어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120]

버마어 동사의 어근에는 시제, 의도, 예절, 서법 등을 나타내는 어미가 붙으며 문어체와 구어체의 형태가 다른 경우도 있다. 동사에 어미가 없는 경우는 명령형에 한정된다.[121] 예를 들어, "먹다"를 뜻하는 동사 "싸"(စား|싸my)가 원형 그대로 쓰일 때는 '먹어라'라는 뜻이 된다.

구조상 동사가 문장 끝에 있고 동사 어미가 붙기 때문에 이를 빼고 봐야 본동사를 찾을 수 있으며 후치사나 부사어구가 본동사 앞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면밀히 봐야 한다.[121] 또한 동사 가운데에서도 다른 동사의 보격으로 혹은 다른 동사를 취할 수 있는 동사와 그렇지 않은 동사가 있다. 예를 들어, '살다'를 뜻하는 동사 "''ne''"와 "''khyaN''" 둘 중 ''ne'' 동사는 다른 동사의 보격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동사 "''khyaN''"는 단독으로만 쓰인다. 이때 보격으로 쓰이게 되는 동사는 단독으로 쓰일 때의 의미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문장의 중심 의미가 본동사에 있기 때문이다.[122]

시제의 경우에 접미어 တယ်|tai|dɛ̀my는 현재 시제 혹은 일반 사실 기술을 뜻하며 စားတယ်|sa: tai|sá dɛ̀my는 "나는 먹는다"라는 뜻이다. 접미어 ခဲ့|hkai.|ɡɛ̰my는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 단, 이 어미는 과거 시제에 항상 붙는 어미는 아니다. 진행형을 뜻하는 어미는 နေ|ne|nèmy이며 영어식 진행형에 해당한다.

:စားနေတယ်|ca: ne tai|sá nè dɛ̀my "나는 먹고 있다."

불변화사 ပြီ|pri|bjìmy는 주어가 했어야 하는 일이 지금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어미이며 မယ်|mai|mɛ̀my는 미래형 어미를 가리킨다.

:စားမယ်|ca: mai|sá mɛ̀my "나는 먹을 것이다."

부정어 불변화사는 크게 세 종류가 있으며 ''ma''(မ|mamy), ''nay''(နဲ့|naymy), ''bu''(ဘူး|bumy)가 있다. 이 중 '마'는 접두어로 오며 '나이'는 부정명령형을 표시하는 어미이다.[123]

:မစားနဲ့|ma.ca: nai.|məsá nɛ̰my "먹지 마라"

:မစားဘူး|ma.ca: bhu:|məsá búmy "나는 먹지 않는다"

8. 3. 명사

버마어에서 명사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달리 성 변화를 하지 않지만, 동식물의 경우에는 성별 구분을 위한 접미사가 사용된다. 수컷을 나타낼 때는 ထီးmy ''hti:'' , ဖmy ''hpa'' , 또는 ဖိုmy ''hpui'' 를 사용하고, 암컷을 나타낼 때는 မmy ''ma.'' 를 사용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ကြောင်ထီးmy ''kraung hti:'' "수컷 고양이"
  • ကြောင်မmy ''kraung ma.'' "암컷 고양이"
  • ကြက်ဖmy ''krak hpa.'' "수탉"
  • ထန်းဖိုmy ''htan: hpui'' "수컷 야자나무"


명사의 복수형은 구어체와 문어체에서 다른 접미사를 사용한다. 구어체에서는 တွေmy ''twe'' (단어가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경우)를 사용하고, 문어체에서는 များmy ''mya:'' 를 사용한다. 사람이나 사물의 무리를 나타내는 접미사 တို့my ''tou.'' 도 사용될 수 있다. 명사가 숫자로 수량화될 때는 복수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8. 3. 1. 수분류사

이웃 국가의 언어인 태국어, 벵골어, 중국어와 같이 버마어 또한 수분류사가 있다. 버마어는 한국어와 같이 "명사 + 수관형사 + 분류사"로 표현을 하기 때문에 "학생 두 명"과 같은 형태가 나타난다.[124] 수를 셀 때에는 앞에 수분류사가 붙어 기능한다.[125]

기본 형태는 세야 하는 명사 + 수 형용사 + 분류사인데, 0으로 끝나는 어림수일 경우만 제외하여 이때에만 명사 + 분류사 + 수 형용사의 순서를 띤다. 단, 10이 붙을 때에만 기본 형태를 따른다.[118]

시간 단위인 "시간"(နာရီ|나이my), "일"(ရက်|예my), "월"(လ|라my)에는 수분류사가 붙지 않는다.

다음은 일부 수분류사의 예이다.

버마어MLCTSIPA용법비고
ယောက်|야오myyauk사람구어체
ဦး|우myu:사람문어체 및 종교인 대상
ပါး|바mypa:사람불교 승려에만 사용
ကောင်|가웅mykaung동물
ခု|쿠myhku.일반 분류사동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명사와 병용
လုံး|룽mylum:원형의 물체
ပြား|뱌mypra:평평한 물체
စု|수mycu.무리지어 있는 대상로 병용 가능


8. 4. 조어

버마어는 조어 사용이 매우 많으며 600년 이상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126] 이를 버마어에서 ပစ္စည်းmy라 지칭한다. 자연히 이들 단어는 한국어의 조사와 같이 별도로 해석이 되지 않으며 단어 앞이나 뒤에 위치하여 존경, 시제, 서법 등을 나타낸다.[126]

1993년 출간된 《미얀마어-영어 사전》은 449개의 조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조어 또한 문어와 구어의 차이가 상당하다.[126]

일부 조어는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데 가장 흔한 것은 "어"(အ|əmy)로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서 명사나 동사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들어가다"의 뜻을 지닌 버마어 ဝင်my에 အmy가 붙으면 "출구"(အဝင်my)라는 뜻이 된다. "산"(စမ်း|sáɴmy)이라는 조어는 명령법을 나타내는 조어이다. 동사 변화 시에 결합하는 경우도 찾을 수 있다.

8. 5. 대명사

버마어에서 대명사는 보통 주어에 쓰이며 명령형이나 구어체에서는 생략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구어체에서는 주어에 'က'(က|my)가, 문어체에서는 'သည်'(သည်|my)가 반드시 붙어야 한다. 목적어로 쓰이는 대명사에는 바로 뒤에 'ကို'(ကို|my)가 붙는다.[15]

연장자, 선생님, 이방인 등 존칭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한국어의 "저"와 유사한 표현으로 남성은 ကျွန်တော်|쩌노my, 여성은 ကျွန်မ|쩌마my라 칭한다. 이 단어는 "당신의 하인"이란 뜻이며 자신을 낮추는 표현이다.[20] 손아래 사람이나 친구와 이야기할 때에는 나를 뜻하는 ငါ|응아my, 너를 뜻하는 နင်|닌my을 쓴다. 그럼에도 3인칭 화자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16]

대명사가 하평성(저음)으로 발음될 경우 소유격은 구어체에서 생략된다. 문어체에서는 ၏|이my를 사용하여 후치형으로 소유격을 표시한다.

  • ငါ|응아my "나"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ငါ့|응아my "나의"
  • နင်|닌my "너"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နင့်|닌my "너의"
  • သူ|투my "그, 그녀" + ရဲ့|얘my (소유격 후치형) = သူ့|투my "그(녀)의"


버마어는 정중함을 위해 대명사를 회피하기도 한다.[15] 화자들은 성별, 나이, 친족 관계, 사회적 지위,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언어적으로 사회적 차이를 나타낸다.[16][17]

기본적인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인칭단수복수*
비격식격식비격식격식
1인칭ငါ|응아myကျွန်တော်|짲노my, ကျွန်မ|짲마myငါဒို့|응아도myကျွန်တော်တို့|짲노도my, ကျွန်မတို့|짲마도my
2인칭နင်|닌my, မင်း|민myခင်ဗျား|크먕my, ရှင်|신myနင်ဒို့|닌도myခင်ဗျားတို့|크먕도my, ရှင်တို့|신도my
3인칭သူ|투my(အ)သင်|아띤myသူဒို့|투도myသင်တို့|띤도my


  • 복수형 조어 기본형은 တို့|도my이며 구어체에서는 ဒို့|도my를 쓴다.
  • 남성 화자 사용
  • 여성 화자 사용


승려를 만났을 때 사용하는 대명사로는 ဘုန်းဘုန်း|분분my이 있다. 이 단어는 승려를 뜻하는 ဘုန်းကြီး|분지my에서 유래했으며, 신분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다르다. အရှင်ဘုရား|아신부야my는 "나리"라는 뜻이다. 자신을 가리킬 때는 "사제"를 뜻하는 တပည့်တော်|따바니도my 혹은 ဒကာ|다가my를 쓰며, 기여자라는 뜻이다.

인칭단수
비격식격식
1인칭တပည့်တော်|따바니도myဒကာ|다가my
2인칭ဘုန်းဘုန်း|분분my, (ဦး)ပဉ္စင်း|우바진myအရှင်ဘုရား|아신부야my, ဆရာတော်|사야도my


  • 여성 화자는 접두어 မ|마my를 사용
  • 주지 스님과 같이 큰스님에게 사용

8. 5. 1. 친족 명칭

친족 명칭은 이라와디강 계곡 일대의 버마어 화자 가운데에서도 발음의 차이가 있다. 상부 미얀마와 하부 미얀마의 차이점이 있다면 만달레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모계와 부계의 친척 명칭을 달리 부른다는 데 있다.[94]

명칭상부 미얀마하부 미얀마방언
rowspan=2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용어상부 미얀마 지역의 표현표준어
colspan="2"|
colspan="2"|


9. 수사

버마어 수사는 기수와 서수를 나타낸다. 1부터 10까지는 수분류사와 결합 시 특별한 변화가 없지만 다른 숫자의 경우 형태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127]

버마어의 수사
숫자버마어 표기표기법(MLCTS)IPA발음
01
(su.nya.)
뚜냐
1
(tac)
2
(hnac)
흐닛
3
(sum:)
4
(le:)
5
(nga:)
응아
6
(hkrauk)
7
(hku. hnac)
2쿠닛
8
(hrac)
9
(kui:)
10
(hcai/ta.hcai)
새, 띳새



# 0을 의미하는 단어 뚜냐는 산스크리트어 śūnya에서 왔다.[128]

# 숫자 7은 콘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버마 숫자는 전통적으로 몬-버마 문자에 고유한 숫자 집합을 사용하여 작성되었지만, 비공식적인 맥락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도 사용된다. 버마 숫자의 기수 형태는 주로 원시 티베트-중국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천만'을 넘는 숫자는 인도 언어에서 차용되었다. 주요 버마 숫자(즉, 첫 번째에서 열 번째까지)의 서수 형태는 팔리어에서 직접 차용되었으며,[21] 10을 넘는 서수는 မြောက်|myauk|올리다my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

버마 숫자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오지만, 반올림 숫자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또한, 숫자는 주변 단어의 발음에 따라 억양 변화와 음성 변화를 포함하는 여러 성조 변화 및 음성 규칙의 영향을 받는다.

9. 1. 첩어

남인도어 계통에서 흔히 나타나는 첩어 현상은 버마어에서 흔히 나타나며 형용사 의미를 강화하거나 약화하는 데 쓰인다.[114] 예를 들어 “아름답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ချော|tɕʰɔ́my)가 두 번 붙어서 '매우 아름답다'라는 뜻이 된다. 특히 두 음절로 된 형용사는 두 번 붙어서 부사로 기능하게 되는데 이는 동사나 명사에도 적용된다. 일례로 '자꾸'(ခဏ|my)라는 뜻을 지닌 단어가 두 번 붙으면 “자꾸자꾸”(ခဏခဏ|my)라는 뜻이 된다.

일부 명사는 복수형 표기를 위해 첩어가 되는데 '국가'를 뜻하는 단어 (ပြည်|pjìmy)는 첩어가 되어 “국가”라는 뜻이 되어 “국제적인”(အပြည်ပြည်ဆိုင်ရာ|əpjì pjì sʰàɪɴ jàmy)이라는 뜻이 된다.

10. 로마자 표기법

버마어 로마자 표기법은 계속적인 논의가 있었으나 공식적으로 마련되지는 않았다.[114][129] 이는 로마자 표기법으로 버마어를 옮기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팔리어와 연계하여 미얀마 언어위원회 전사 시스템이 미얀마 언어 위원회에 의해 제창되었다.(1990) 단, 이는 구어체의 특성을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음성학에 비해 철자법에 초점을 맞춘 것이 한계이다.[130]

표준화된 로마자 표기법이 없기 때문에 이름 ဝင်း|wɪ́ɴmy영어로 옮겼을 시 ''Win'', ''Winn'', ''Wyn'', ''Wynn'' 등으로 다양하며 ခိုင်|kʰàɪɴmy는 ''Khaing'', ''Khine'', ''Khain''으로 옮겨진다.

11. 컴퓨터

버마어는 QWERTY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폰트는 ''Zawgyi''이다. 이 폰트는 유니코드와 호환되지 않지만, 영어로 표현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131] 유니코드와 호환되는 폰트는 ''Padauk''이며, 모든 문자를 표기하기 때문에 버마어와 연관된 소수 언어도 표현할 수 있다.[131]

미얀마3, 미얀마의 법률상 표준 버마어 키보드 배열


윈도 체제에서 사용하는 버마어 키보드는 미얀마 NLP 연구센터(''Myanmar NLP Research Center'')에서 개발하여 사용 가능하다.[132] 2007년에 도입된 이후로 가장 인기 있는 버마어 글꼴인 Zawgyi는 미얀마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유니코드와 호환되지 않아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최근에는 Keymagic[25]과 같은 지능형 입력 소프트웨어와 Gboard 및 ttKeyboard[26]를 포함한 최신 버전의 스마트폰 소프트 키보드는 더욱 관대한 입력 시퀀스와 유니코드 호환 텍스트를 생성하는 Zawgyi 키보드 배열을 허용한다.

여러 유니코드 호환 버마어 글꼴이 있으며, 국가 표준 키보드 배열은 Myanmar3 배열로 알려져 있다. 미얀마 유니코드 및 NLP 연구 센터에서 개발한 이 배열은 버마어 및 관련 스크립트의 복잡한 구조를 다루는 스마트 입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미얀마 정부는 유니코드로 공식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2019년 10월 1일을 "U-Day"로 지정했다.[27]

12. 버마어 연구

런던 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원은 버마어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여러 언어를 교육하는 대표적인 교육 기관이며[133] 대표적인 버마어 학자인 존 오켈이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버마어 교육연구기관은 노던일리노이 대학교1986년 설립된 미얀마학 센터이며 이곳에서 ''The Journal of Burma Studies''를 발행하고 있다.[134]

한국어 화자 내에서의 미얀마어 교육은 대한민국 부산의 부산외국어대학교 미얀마어과가 유일하며 1992년 설립됐다.[135]

13. 예시 문구

လူတိုင်းသည် တူညီ လွတ်လပ်သော ဂုဏ်သိက္ခာဖြင့် လည်းကောင်း၊ တူညီလွတ်လပ်သော အခွင့်အရေးများဖြင့် လည်းကောင်း၊ မွေးဖွားလာသူများ ဖြစ်သည်။ ထိုသူတို့၌ ပိုင်းခြား ဝေဖန်တတ်သော ဉာဏ်နှင့် ကျင့်ဝတ် သိတတ်သော စိတ်တို့ရှိကြ၍ ထိုသူတို့သည် အချင်းချင်း မေတ္တာထား၍ ဆက်ဆံကျင့်သုံးသင့်၏။my[29]

lutuing:sany tu-nyi lwatlapsau: gun.sikhka.hprang. lany:kaung: mwe:hpwa:la.su-mya: hpracsany htuisutui.hnai puing:hkra: wehpantatsau: nyanhnang. kyang.wat si.tatsau: cittui.hri.kra.rwe htuisutui.sany ahkyang:hkyang: mettahta:rwe hcakhcamkyang.sum:sang.e}}

참조

[1]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2008), Chapter XV, Provision 450
[2] 웹사이트 Burmese https://www.ethnolog[...] 2019-08-20
[3] 언어코드 Burmese
[4] 웹사이트 Myanmar Subnational Phone Surveys (MSPS) of the World Bank: Coverage, Reliability and Representativeness https://documents1.w[...] 2023-04-01
[5] 웹사이트 Language Burmese https://wals.info/la[...] 2024-12-10
[6] 논문 25 The national languages of MSEA: Burmese, Thai, Lao, Khmer, Vietnamese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4-12-06
[7] 웹사이트 Myanmar http://www.ethnologu[...] 2016-10-10
[8] 서적 East and Southeast Asia Routledge 2007
[9] 논문 17 Typological profile of Burmic languag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4-12-06
[10] 논문 17 Typological profile of Burmic languag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4-12-06
[11] 어원 flying air vehicle
[12] 어원 name
[13] 논문 17 Typological profile of Burmic languag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4-12-06
[14] 웹사이트 DIFFERENTIAL OBJECT MARKING IN BURMESE https://www.comparat[...] 2009-08-26
[15] 웹사이트 Chapter Politeness Distinctions in Pronouns https://wals.info/ch[...] 2024-12-07
[16] 웹사이트 Chapter Politeness Distinctions in Pronouns https://wals.info/ch[...] 2024-12-07
[17] 논문 How Society Shapes Language: Personal Pronouns in the Greater Burma Zone https://www.degruyte[...] 2017-03-01
[18] 논문 How Society Shapes Language: Personal Pronouns in the Greater Burma Zone https://www.degruyte[...] 2017-03-01
[19] 어원 lord master
[20] 논문 How Society Shapes Language: Personal Pronouns in the Greater Burma Zone https://www.degruyte[...] 2017-03-01
[21] 서적 Burmese By Ear http://www.soas.ac.u[...]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13-10-20
[22] 웹사이트 Why we should stop Zawgyi in its tracks. It harms others and ourselves. Use Unicode! http://www.themimu.i[...]
[23] 웹사이트 Battle of the fonts http://frontiermyanm[...] 2016-03-23
[24] 웹사이트 Facebook nods to Zawgyi and Unicode http://blog.lwinmoe.[...]
[25] 웹사이트 Keymagic Unicode Keyboard Input Customizer https://keymagic.net[...]
[26] 웹사이트 TTKeyboard – Myanmar Keyboard https://play.google.[...]
[27] 뉴스 Unicode in, Zawgyi out: Modernity finally catches up in Myanmar's digital world https://www.japantim[...] 2019-09-27
[28] 뉴스 Myanmar switch to Unicode to take two years: app developer https://www.mmtimes.[...] 2019-11-21
[2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Burmese/Myanmar https://www.ohchr.or[...]
[30]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31] 서적 2004
[32] 인용 2013
[33] 인용 2009
[34] 인용 2016
[35] 인용 2016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서적 CDエクスプレス ビルマ語 白水社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기타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서적 ビルマの歴史の初まり 大学書林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웹사이트 ビルマ語文法 (1年次) http://www.aa.tufs.a[...] 2019-12-23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서적 2009
[72] 서적 2004
[73] 서적 2000
[74] 서적 1996
[75] 서적 2000
[76] 서적 2013
[77] 서적 1996
[78] 서적 1994
[79] 서적 2000
[80] 서적 1996
[81] 서적 2000
[82] 웹사이트 Ch.5Language Families http://www.uio.no/st[...] 오슬로대학교 출판부
[83] 간행물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Nationalencyklopedin
[84] 기타
[85] 법률 미얀마 연방 헌법 2008
[86] 서적 A History of Myanmar Since Ancient Times: Traditions and Transformations
[87] 서적 A Making of Modern Burma http://catdir.loc.go[...]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서적 Register in Burmese http://www.khamkoo.c[...] 1982
[89] 서적 Languages, Identities, and Education in Relation to Burma/Myanmar http://www.thinkingc[...] 2011
[90] 서적 Three Burmese Dialects University of London
[91] 논문 Three Burmese Dialects http://sealang.net/s[...] 1995
[92] 서적 Ethnic Group in Burma http://storage.globa[...] Anti-slavery International
[93] 서적 Burmese Phrasebook 2001
[94] 서적 South-East Asian Linguistics 동양 아프리카 연구 학원 1989
[95]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2006
[96] 보고서 Burma(Country Report https://www.gov.uk/g[...] 영국국경청 2012-02
[97] 논문 The Myeik(Beik) Dialect of Burmese http://repository.tu[...] 오사카대학교 2012
[98] 서적 2021
[99] 웹사이트 검색결과 http://www.ijunoon.c[...]
[100] 웹사이트 An insatiable appetite for ancient and modern tongues-Burmese http://www.languages[...]
[101] 논문 Foot, and Syllable Structure in Burmese 포츠담대학교
[102] 웹사이트 캠브리지대학교 언어학센터 http://www.langcen.c[...] 2014-07-23
[103] 보고서 Language Group Specifi Informational Reports - Burmese http://www.ritell.or[...] 로드아일랜드 대학교
[104] 웹사이트 미얀마어 http://www.ancientsc[...]
[105] 웹사이트 Burmese - Tones http://www.asiapearl[...]
[106] 서적 기초 미얀마어 회화 삼지사 2013
[107] 웹사이트 Burmese classification http://www.languages[...]
[108] 논문 Some acoustic properties of tones in Burmese
[109] 논문 An Articulatory, Acoustic, and Auditory Study of Burmese Tone 2011
[110] 논문 Word, Foot, and Syllable structure in Burmese
[111] 서적 Outline of Burmese Grammar Language 1944
[112] 논문 Towards an optimality-theoretic account of Burmese sandhi effcts Southeast Asin linguistics society IV 1994
[113] 웹사이트 Burmese http://www.monotypei[...]
[114]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6.1, Ch.11 Southerneast Asia Scripts
[115] 웹사이트 Burmese script-Notable features http://www.bodley.ox[...]
[116] 서적 가장 알기 쉬운 기초 미얀마어 회화
[117] 서적 Burmese Phrasebook 2001
[118] 웹사이트 UCAL Language Material Project - Burmese http://lmp.ucla.edu/[...]
[119] 논문 Syntactic Analysis of Myanmar Language
[120] 논문 미얀마어에 있어서의 복합동사의 구조에 관한 연구 외대어문논집 2005
[121] 논문 Myanmar Phrases Translation Model with Morphological Analysis for Statistical Myanmar to English Translation System
[122] 논문 BURMESE HISTORICAL MORPHOLOGY
[123] 서적 Aspect in Burmese: Meaning and Function
[124] 논문 한국어와 미얀마어 분류사의 대비 연구 2011
[125] 논문 Classifier Systems and Noun Categorization Devices in Burmese
[126] 논문 Burmese Particles as Boundary Marking Units of Text
[127] 서적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Essays
[128] 웹사이트 Learn Burmese http://learn101.org/[...]
[129] 웹사이트 Writing systems: Conversion of names from one writing system into another language romanization http://unstats.un.or[...] 1982
[130] 서적 A Guide to the Romanization of Burmese 2002
[131] 웹사이트 미얀마어 폰트 http://www.myordbok.[...]
[132] 웹사이트 Unicode-버마어 http://myanmar-unico[...]
[133] 웹사이트 Burmese studies http://www.soas.ac.u[...]
[134] 웹사이트 노던일리노이대학교 미얀마학 센터 http://www.grad.niu.[...]
[135] 웹사이트 부산외국어대학교 미얀마어학과 http://cms.bufs.ac.k[...] 2014-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