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쑤어는 중국 윈난 성에서 사용되는 이족어의 방언으로, 자칭으로는 "na̠33 su55" 또는 "na̠33 su55 pho21" 등으로 불린다. Chen 등(1985)은 니쑤어를 석건 토어, 원금 토어, 아신 토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구분했으며, Yang (2009)는 북부, 남부, 극북서부로 분류했다. 니쑤어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3개의 성조를 사용한다. 니쑤어 어휘 연구는 방언 간의 차이와 언어 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족 문화 - 나시어
    나시어는 중국 윈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나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로로-버마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고, 거바 문자와 프레이저 문자,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을 사용한다.
  • 이족 문화 - 눠쑤어
    눠쑤어는 중국 쓰촨성 남부 량산 지역에서 주로 쓰이며, 량산 이어, 노수어, 블랙 이 등으로 불리고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며, 현대 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사용하는 자음, 모음, 성조로 이루어진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니쑤어
언어 정보
이름니쑤어
다른 이름남부 이어
사용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사용자이족
화자 수약 300,000명 (북부 방언 화자 제외, 2004-2007년 기준), 북부 방언 화자 160,000명 (미상)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하위 어군티베트-버마어파
문자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nsd (남부 방언), yiv (북부 방언), nos (동부 방언), nsv (남서 방언), nsf (북서 방언)
글롯톨로그nisu1237 (Nisu–Nyisu)
음운 정보
예시 단어ne̠33 su55
방언

2. 방언

니쑤어는 사용되는 지역과 언어적 특징에 따라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중국의 언어학자들은 윈난성 등지에서 사용되는 니쑤어의 방언들을 연구하여 다양한 분류 체계를 제시해왔다. 대표적인 분류로는 Chen 등(1985)이 제시한 세 가지 주요 방언 구분과 Yang(2009)의 북부, 남부, 극북서부 니쑤어 분류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소규모 방언 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각 방언 분류와 특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Chen et al. (1985)

Chen 등(1985)은 중국 윈난 성에서 사용되는 니쑤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을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방언 명칭주요 사용 지역
석건 토어 (石建土语)스핑, 젠수이, 통하이, 거지우, 카이위안, 멍쯔, 허커우
원금 토어 (元金土语)위안양, 진핑, 모장, 위안장, 푸얼, 장청, 훙허
아신 토어 (峨新土语)어산, 신핑, 장촨, 위시, 이먼, 쿤밍



니쑤어 사용자들이 스스로를 부르는 자칭으로는 "na̠33 su55" 및 "na̠33 su55 pho21"(또는 "ne̠33 su55 pho21") 등이 있다. Chen(1985)은 당시 화자 수를 약 160만 명으로 보고했다.

2. 2. Yang (2009)

Yang (2009)는 니쑤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2]

  • '''북부 니쑤어'''
  • *'''중북부''' (''스젠'' 石建): 시핑, 신핑, 장청, 모장, 뤼춘 현에서 사용
  • *'''북서부''' (''어신'' 峨新): 어산과 진닝 현에서 사용
  • '''남부 니쑤어''' (''위안진'' 元金): 홍허, 위안양, 진핑, 위안장, 시핑 현에서 사용되며, 젠수이 현에서도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
  • '''극북서부 니쑤어''': 베이더우 향(北斗彝族乡)에서 사용되며, 융핑 현 (초기 명나라 시대에 융핑으로 이주한 니쑤어 병사들의 후손; 가장 이질적인 니쑤어 방언)


장청, 모장, 뤼춘 방언은 Chen (1985)에 의해 남부 방언으로 묶였지만, Yang (2009)는 실제로 북부 니쑤어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2. 3. 기타 방언

다른 니쑤 또는 남부 이족 집단으로, 유사한 자칭 또는 언어 변종을 가진 집단은 다음과 같다.

  • '''아체 阿车''': 신핑 현(1955년 기준 인구 100명 이상)의 자칭은 ''nei˧su˧ pʰɯ˨˩''이다.
  • '''루어우 罗武''': 신핑 현(1955년 기준 300명 이상), 솽바이 현(100 가구), 전위안 현 등지에 거주하며, 자칭은 ''ni33 su33 pʰo33''이다.
  • '''아창 阿常''': 뤼춘 현의 니우콩(牛孔)에 거주한다.
  • '''푸리엔 普连''': 뤼춘 현의 치마바(骑马坝), 다싱(大兴), 궈쿠이(戈奎)에 거주한다.
  • '''알루 阿鲁''': 뤼춘 현의 다시수이거우(大水沟)에 거주한다.


장청 현의 아카 루오두(阿卡洛多) 마을(타이핑촌(太平村) 또는 톈팡촌(田房村)이라고도 불림)에서 사용되는 남부 니쑤 방언은 루 얀(2008)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자칭은 ''ɲe33 su55 pʰo21''이다.

퉁하이 현에서는 향핑(象平), 바자오(芭蕉), 쓰자이(四寨), 스칸(石坎), 핑바(平坝), 상좡커(上庄科), 샤좡커(下庄科) 마을에서만 모든 세대가 ''남부 이족''(니쑤)를 사용한다.

3. 음운

니쑤어는 독특한 자음모음 체계, 그리고 성조를 가지고 있다.

3. 1. 자음

니쑤어는 다양한 조음 위치조음 방법으로 소리 나는 여러 자음을 가지고 있다.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치경구개-)구개음권설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파찰음
비음mnȵŋ
파열음/
파찰음
무성음ptt͡st͡ɕt͡ʂkʔ
유기음t͡sʰt͡ɕʰt͡ʂʰ
유성음bdd͡zd͡ʑd͡ʐɡ
마찰음무성음fsɕʂx
유성음vzʑʐɣ
설측음ɬ
설측음l


3. 2. 모음

성대가 조여진(tight) 모음과 느슨한 성대(lax, 평조음) 모음 사이에 음운론적 대립이 있다.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 모음조여짐비원순 모음조여짐비원순 모음원순조여짐
고모음iiɯuɯu
중모음ee(ə˞)(ə˞)ɤoɤo
중저모음(ɛ)(ɛ)colspan="2" |
저모음aacolspan="2" |


  • 이중모음 /iɛ/와 조여진 /iɛ/는 라오창(Laomian) 방언에서 치경구개음 /t͡ɕ, t͡ɕʰ, d͡ʑ, ɕ, ʑ/ 뒤에 오지 않는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 근전설 근저모음 /ɛ/와 조여진 /ɛ/는 샤오충(Xiaocong)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권설 중설 중모음 /ə˞/와 조여진 /ə˞/는 주로 북서부 방언에서 나타난다.
  • 음소 /i/와 조여진 /i/는 치경 마찰음이나 치경 파찰음 뒤에서는 성절 자음 [z̩] 또는 조여진 [z̩]으로, 권설음 뒤에서는 성절 자음 [ʐ̩] 또는 조여진 [ʐ̩]으로 실현된다.

3. 3. 성조

니쑤어는 3개의 성조를 가진다.

이름음높이기호
낮음 (하강)21˨˩
중간33˧
높음55˦


4. 어휘

Pu (2021)는 니쑤어 단어를 IPA이 문자로 표기한 니쑤-중국어 사전을 출판했다. 이 사전은 윈난성 멍쯔 시에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런허 마을(仁厚村)과 융닝 마을(永宁村)의 니쑤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4]

참조

[1] 문서 Northern Nisu
[2] 간행물 Ethnologue 16/17/18th edi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nline appendices 2015
[3] 웹사이트 Taiping Natural Village, Tianfang Village Committee, Guoqing Township, Jiangcheng Hani and Yi Autonomous County http://www.ynszxc.go[...] 2016-12-20
[4] 서적 Yiyu Nisuhua Hanyu changyong cihui duizhao 彝语尼苏话与汉语常用词汇对照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云南民族出版社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