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룽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룽어는 주로 네팔 중부와 인도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티베트-부르마어족에 속하며, 보딕어파 내 구룽어파에 분류된다. 문법적으로는 성조 언어이며, SOV 어순과 후치사를 사용하고,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구룽어는 다양한 문자 체계로 표기될 수 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구룽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이름구룽어
고유 이름তमु क्यी (Tamu Kyi)
गुरुङ (Gurung)
로마자 표기tamu kyī
tamu bhāṣā
다른 이름তमु भाषा (Tamu Bhāṣā)
사용 지역네팔
인도
부탄
사용자 민족구룽족
화자 수 (2021년 기준)376,000명
언어 계통시노-티베트어족
타망어군
구룽-타망어군
문자케마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티베트 문자
ISO 639-3 코드gvr
Glottolog 코드guru1261
Glottolog 명칭구룽
국가시킴 주 (추가)
생존 위협위험
기타
사용 지역 (네팔)간다키현
다울라기리현

2. 사용 지역

구룽어는 주로 네팔 중부와 인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구룽어는 네팔인도의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 간다키 주: 카스키 군, 샹자 군, 람중 군, 타나후 군, 고르카 군, 마낭 군, 무스탕 군
  • 다왈라기리 구역: 파르바트 군


구룽어는 인도의 시킴 주의 남시킴 구, 서시킴 구, 동시킴 구에서 사용된다.

2. 1. 네팔

구룽어는 네팔인도의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 간다키 주: 카스키 군, 샹자 군, 람중 군, 타나후 군, 고르카 군, 마낭 군, 무스탕 군
  • 다왈라기리 구역: 파르바트 군

2. 2. 인도

구룽어는 인도의 시킴 주의 남시킴 구, 서시킴 구, 동시킴 구에서 사용된다.

3. 언어 분류

상위 분류에서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또는 히말라야 너머 어족)에 속한다.[2] 로버트 셰이퍼는 구룽어를 보딕 어파 내에 분류하였고, 이를 다시 보디어파와 서중부 히말라야어파로 세분화하였다. 보디어파 "절" 내에서 그는 티베트 방언을 포함한 "보디어파" 언어들과 탐항어(무르미), 타칼리어(탁샤)를 포함한 "구룽어파"를 배치했다.[2] 셰이퍼가 설정하고 조지 반 드리엠이 업데이트한 어휘적 동족어를 바탕으로 셰이퍼는 보디어파를 세 개의 아파로 세분화했다. (1) 서부, (2) 중부 및 남부(소위 "구 보디어파", 티베트어 포함), (3) 동부("몽파"와 같은 "고대" 언어와 주류 언어를 포함).[2][3] 누난은 보디어파 내의 서부 아파를 마낭어/녜샹테어와 나르푸어 그리고 구룽어파(구룽어, 타칼리어, 찬찰어 포함)로 언급했다.[4][5] 그는 네팔어와의 광범위한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로 인해 찬찰어가 구조적으로 일탈했다고 언급했다. 스텐 코노우는 히말라야 티베트-부르마어족을 대명사화된 언어와 비대명사화된 언어로 분류하였는데, 구룽어는 후자에 속한다.[6] 이 분류는 Voeglin & Voeglin (1965)과 유사하지만, 중국-티베트어족 내의 "걀롱어파-미슈미어파" 아족 내에 있다.[7]

3. 1. 하위 분류

로버트 셰이퍼는 구룽어를 보딕 어파 내 보디어파와 서중부 히말라야어파로 세분화하고, 보디어파 "절" 내에서 티베트 방언을 포함한 "보디어파" 언어들과 탐항어(무르미), 타칼리어(탁샤)를 포함한 "구룽어파"를 배치했다.[2] 셰이퍼가 설정하고 조지 반 드리엠이 업데이트한 어휘적 동족어를 바탕으로 셰이퍼는 보디어파를 서부, 중부 및 남부(소위 "구 보디어파", 티베트어 포함), 동부("몽파"와 같은 "고대" 언어와 주류 언어를 포함)의 세 아파로 나누었다.[2][3] 누난은 보디어파 내의 서부 아파를 마낭어/녜샹테어와 나르푸어 그리고 구룽어파(구룽어, 타칼리어, 찬찰어 포함)로 언급했다.[4][5] 그는 네팔어와의 광범위한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로 인해 찬찰어가 구조적으로 일탈했다고 언급했다. 스텐 코노우는 히말라야 티베트-부르마어족을 대명사화된 언어와 비대명사화된 언어로 분류하였는데, 구룽어는 후자에 속한다.[6]

4. 문법

구룽어는 성조 언어이다. 음절 구조는 CV, CCV, CCCV 형태이며, 최대 세 개의 접미사가 붙을 수 있다. 어순은 SOV이며, 후치사가 사용된다. 문법적격은 전치사로 표현된다. 소유격은 명사 앞에 오고, 형용사관계절명사 앞에 온다. 수사는 명사 뒤에 온다. 긍정/부정 의문문에서는 상승 억양을 사용하며, 부정 동사에는 접두사가 붙는다. 동사에는 주어 또는 목적어 일치가 나타나지 않는다. 시제에 따른 분열적르그성, 사동, 수익 표현이 존재한다.

4. 1. 음운론적 특징

4. 2. 문법적 특징

구룽어는 성조 언어이다. 음절 구조는 CV, CCV, CCCV이다.

구룽어의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SOV 어순을 가진다.
  • 후치사를 사용한다.
  • 전치사로 문법적격을 표현한다.
  • 소유격을 사용한다.
  • 형용사관계절명사 앞에 온다.
  • 수사는 명사 뒤에 온다.
  • 긍정/부정 의문문에서 상승 억양을 사용한다.
  • 부정 동사에 접두사가 붙는다.
  • 동사에 주어 또는 목적어 일치가 없다.
  • 시제에 따른 분열능격을 보인다.
  • 사동 표현이 있다.
  • 표현이 있다.
  • 최대 세 개의 접미사가 붙을 수 있다.


5. 음운

5. 1. 자음

구룽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8][9]

colspan="2" |순음(Labial)치음(Dental)/치경음(Alveolar)후치경음(Retroflex)치경후음(Postalveolar)/경구개음(Palatal)연구개음(Velar)성문음(Glottal)
파열음(Stop)무성음(voiceless)ptʈk(ʔ)
유기음(aspirated)ʈʰ
유성음(voiced)bdɖɡ
성문마찰음(breathy)(bʱ)(dʱ)(ɖʱ)(ɡʱ)
마찰파열음(Affricate)무성음(voiceless)ts*
유기음(aspirated)tsʰ*tʃʰ
유성음(voiced)dz*
성문마찰음(breathy)(dzʱ)*(dʒʱ)
마찰음(Fricative)(β)sʃ(x)h
비음(Nasal)mnŋ
설측음(Rhotic)r
측음(Lateral)l
유음(Approximant)wj



방언에 따라, 구개치경 마찰파열음은 설첨치경음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j/ 앞에서는 음성적으로 구개치경음으로 들린다.[8] 성문마찰음은 일반적으로 네팔어 차용어에서 나타난다. 일부 환경에서 /pʰ/는 [f], /kʰ/는 [x], /r/은 [ɾ]로 소리날 수 있다. 모음 앞에 초기 자음이 없을 때 성문 폐쇄음 [ʔ]이 나타난다. 어말 위치에서 /p, t, k/는 무방출음으로 소리날 수 있다.[9]

5. 2. 모음

구룽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8]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i, e, a, o/는 짧은 변이음 [ɪ, ɛ, ʌ, ɔ]를 가질 수 있다.[8]

6. 문자 체계

네팔의 구룽어를 포함한 토착 언어들에서 다원주의와 민족 의식의 부상은 지역 공동체 맞춤 철자법 개발 및 사용 운동으로 이어졌지만, 동시에 다양성과 의견 충돌도 야기했다.[10] 구룽어의 경우, 주로 다른 언어를 매개로 쓰기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역 공동체 철자법은 기존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11]

글로버(Glover)에 따르면, 구룽어 철자법 개발 시도는 1976년 구룽어 사전 편찬 작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3][12] 글로버는 공동체에서 고려해 온 여러 문자 체계를 설명하는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안된 네 가지 문자 체계는 티베트 문자 기반 체계, 데바나가리 문자, 티베트 문자데바나가리 문자를 독특하게 조합한 알파벳 음절 문자 체계인 ''케마 리피''(Tamu Khema Phri 또는 Khema Phri로도 알려짐)[14], 그리고 로마자이다. 글로버는 2002년 네팔과 해외 거주 구룽어 사용자 모두에게 유익하도록 (변형된) 데바나가리 문자로마자를 모두 포함하는 구룽어 사전이 출판될 계획이었다고 보고했다.[12]

철자법을 사용하는 구룽어 출판물의 예로는 타무가 출판한 세 권의 책이 있다.[15][16][17] 이 책들은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데, 비음 모음에 하첨자 점을 사용하고, 구룽어에는 있지만 네팔어에는 없는 자음군과 톤, 성조 구분을 나타내는 특수 기호를 포함한다. 또한 타무 바우다 세와 사미티 네팔(구룽 문화 기관)[18]에서 제작한 2000년 구룽어-네팔어-영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며, 숫자(예: 미1 (IPA:/mi/) '눈' vs. 미2 (IPA:/mi/) '이름')를 사용하여 단어별 톤을 표시한다. 시킴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2020년 구룽어-영어-네팔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지만, 톤은 표시하지 않는다.[19]

6. 1. 문자 체계의 종류

구룽어 문자 체계는 티베트 문자 기반 체계, 데바나가리 문자, 케마 문자(티베트 문자와 데바나가리 문자를 조합한 알파벳 음절 문자 체계), 로마자 등이 있다.[10] 1976년 구룽어 사전 편찬 작업을 시작으로 구룽어 철자법 개발 시도가 있었다.[13][12]

구룽어 철자법은 주로 다른 언어를 매개로 쓰기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지역 공동체 철자법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11] 글로버(Glover)는 공동체에서 고려해 온 여러 문자 체계를 설명하는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2년에는 네팔과 해외 거주 구룽어 사용자 모두에게 유익하도록 변형된 데바나가리 문자와 로마자를 모두 포함하는 구룽어 사전이 출판될 계획이었다.[12]

타무에서 출판한 세 권의 책은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데, 비음 모음에 하첨자 점을 사용하고, 구룽어에는 있지만 네팔어에는 없는 자음군과 톤, 성조 구분을 나타내는 특수 기호를 포함한다.[15][16][17] 타무 바우다 세와 사미티 네팔(구룽 문화 기관)에서 제작한 2000년 구룽어-네팔어-영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며, 숫자를 사용하여 단어별 톤을 표시한다.[18] 시킴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2020년 구룽어-영어-네팔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지만, 톤은 표시하지 않는다.[19]

6. 2. 문자 사용 현황

네팔의 구룽어를 포함한 토착 언어들에서 다원주의와 민족 의식의 부상은 지역 공동체 맞춤 철자법 개발 및 사용 운동으로 이어졌지만, 동시에 다양성과 의견 충돌도 야기했다.[10] 구룽어의 경우, 주로 다른 언어를 매개로 쓰기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역 공동체 철자법은 기존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11]

구룽어 철자법 개발 시도는 1976년 구룽어 사전 편찬 작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3] 공동체에서 고려해 온 문자 체계는 티베트 문자 기반 체계, 데바나가리 문자, ''케마 리피''(Tamu Khema Phri 또는 Khema Phri) , 로마자이다.[14]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는 구룽어 출판물의 예로는 타무가 출판한 세 권의 책이 있다.[15][16][17] 이 책들은 비음 모음에 하첨자 점을 사용하고, 구룽어에는 있지만 네팔어에는 없는 자음군과 톤, 성조 구분을 나타내는 특수 기호를 포함한다. 타무 바우다 세와 사미티 네팔(구룽 문화 기관)[18]에서 제작한 2000년 구룽어-네팔어-영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며, 숫자를 사용하여 단어별 톤을 표시한다. 시킴 지역 방언을 기반으로 한 2020년 구룽어-영어-네팔어 사전도 수정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지만, 톤은 표시하지 않는다.[19]

참조

[1] 웹사이트 50th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India http://nclm.nic.in/s[...] 2014-07-16
[2]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Sino-Tibetan Languages 1955
[3] 서적 East Bodish and Proto-Tibeto-Burman morphosyntax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noTibetan Languages and Linguistics
[4] 논문 Language variation: Papers on variation and change in the Sinosphere and in the Indosphere in honour of James A. Matisoff http://sealang.net/a[...] 2015
[5] 서적 Motion, direction and location in languages : in honor of Zygmunt Frajzyngier https://www.worldcat[...] John Benjamins 2003
[6]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Vol. III, Part 1 Delhi: Motilal Banarsidass
[7] 논문 Languages of the World: Sino-Tibetan Fascicle Four 1965
[8] 서적 Sememic and Grammatical Structures in Gurung (Nepal) The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9] 서적 A phonology of Syangja Gurung
[10] 논문 Contact-induced change in the Himalayas: the case of the Tamangic languages http://crossasia-rep[...] 2008
[11] 논문 Language Documentation and Language Endangerment in Nepal http://crossasia-rep[...] 2008
[12] 간행물 Ouch! Don't print that! 2004-05-24
[13] 서적 Gurung-English-Nepali dictionary ANU Department of Linguistics
[14] 웹사이트 Khema alphabet https://omniglot.com[...] 2022-06-14
[15] 서적 तमु (गुह्रङ)(Tamu (Guhrang)) Jiwan Printing Sapritas Press
[16] 서적 Let's learn Tamu (Gurung) Language Jivan Printing Press
[17] 서적 तमु क्योए (Tamu Kyoe, Gurung Language) Nepali English Dictionary Jivan Printing Press
[18] 서적 Gurung-Nepali-English Dictionary. Tamu Bauddha Sewa Samiti Nepal
[19] 논문 Wordlist elicitation from Bishnu Maya Gurung http://dspace.cus.ac[...] 2020-05-20
[20] 웹사이트 Gurung at Ethnologue 2015
[21] 웹사이트 Official Summary of Census (2011),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Nepal http://cbs.gov.np/wp[...] 2012-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