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바트 척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바트 척후대는 1900년 보어 전쟁 참전을 위해 로바트 경 시몬 프레이저에 의해 창설된 군 부대이다. 숲지기와 전문 스토커를 기반으로 명사수, 야전 기술, 군사 전술에 능숙했으며, 최초로 길리 슈트를 착용한 부대로 알려져 있다.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편과 통합을 거쳐 현재는 육군 생도 군단의 일부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육군의 요먼연대 - 요먼대
    요먼대는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조직된 기병 민병대로,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에 대응하고 치안 유지 및 시위 진압에 동원되었으며, 현재는 영국 육군 예비군과 독립적인 자선 단체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프레이저씨 - 존 프레이저
    존 프레이저는 1953년 데뷔한 스코틀랜드 배우로,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했으며, 싱글 음반을 발표하고 자서전을 통해 동성애자로서의 삶을 밝혔다.
  • 프레이저씨 - 피터 프레이저 (1884년)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뉴질랜드 노동당 정치인이자 제24대 총리(1940-1949)인 피터 프레이저는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노동 운동에 참여, 뉴질랜드 노동당 창당, 사회 개혁, 복지 시스템 구축,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뉴질랜드 이끌었으며 국제연합 설립에 기여했다.
  • 1900년 설립 - 경기고등학교
    1899년 고종의 칙명으로 설립된 한국 최초의 관립 중등교육기관인 경기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교명이 변경되었으나 1954년 중·고교 분리 후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으며, 1976년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 2010년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1900년 설립 - 휴스턴 미술관
    휴스턴 미술관은 7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한 미국 내 대규모 미술관이자 텍사스 주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관으로,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활발한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나치 시대 약탈 미술품 소유권 논란을 겪기도 했다.
로바트 척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로바트 척후대 휘장
로바트 척후대 모표
명칭로바트 척후대
약칭해당 없음
복무 기간1900년–현재
소속해당 없음
종류요먼대
역할해당 없음
규모1900년대: 2개 대대
제1차 세계 대전: 6개 연대
제2차 세계 대전: 2개 대대
현재: 1개 중대
지휘 구조해당 없음
장비해당 없음
과거 지휘관해당 없음
의장해당 없음
연대장해당 없음
주요 지휘관사이먼 프레이저, 제14대 로바트 경
사이먼 프레이저, 제15대 로바트 경
도널드 캐머런 오브 로키엘
식별 기호해당 없음
식별 기호 설명로바트 프레이저 씨족 (수렵) 타탄
별칭해당 없음
후원해당 없음
표어Je suis prest (나는 준비되었다)
색상해당 없음
행진곡해당 없음
마스코트해당 없음
기념일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전투 및 훈장
참전제2차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전투해당 없음
훈장해당 없음
전투 명예남아프리카 1900–02
갈리폴리 1915
이집트 1915–16
마케도니아 1916–18
프랑스와 플랑드르 1916–18

2. 역사

2. 1. 창설과 초기 역사 (1900-1908)

시몬 프레이저, 제14대 로바트 경


''로바트 척후대, 1900'', 플레이어 담배 카드


로바트 척후대는 1900년 1월 보어 전쟁 참전을 위해 로바트 경 시몬 프레이저에 의해 창설되었다.[1][2][3] 초기에는 고지대 영지의 사냥터 관리인과 전문 스토커를 모집하여 편성되었으며, 1900년 2월 로바트 경에 의해 임명된 앤드루 데이비드 머레이가 지휘를 맡았다.[4][5] 1901년 9월 머레이가 전사한 이후에는 부사령관이었던 로바트 경이 직접 지휘를 맡아 종전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7]

로바트 척후대는 명사수, 야전 기술 및 군사 전술에 능숙했으며, "항상 운명에 도전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이로운 숲지기였지만, 신중함을 실천하는 사람이기도 했다. "쏘고 도망가는 자는 다음 날을 위해 살 것이다."라는 격언을 따랐다.[8] 로바트 척후대는 최초로 길리 슈트를 착용한 군부대이다.[9]

로바트 척후대는 블랙 워치에 배속되었다가 1901년 7월 해산되었고, 두 개 중대 ('''113''' 및 '''114''' 중대)는 제국 요먼리 (IY)의 두 번째 분견대를 위해, 다른 하나 ('''178''' 중대)는 세 번째 분견대를 위해 편성되었다.[10] 1902년 6월 보어 전쟁이 끝난 후, 이 중대들은 두 달 후 SS ''틴타젤 캐슬''을 타고 영국으로 돌아와 해산되었다.[11] 이 부대는 이듬해 다시 편성되어, '제1' 및 '제2 로바트 척후대'라는 두 개 연대로 구성되었다. 이 척후대에서 저격수 부대가 창설되었고, 공식적으로 영국 육군의 첫 번째 저격수 부대가 되었다.[8] 연대는 1902년 8월 해산되었지만, 1903년 3월에 '로바트 척후대 제국 요먼리'로 재편성되었다. 요먼리 연대가 1908년 4월 영토군으로 이전되면서 '로바트 척후대 요먼리'로 변경되었다. 이 연대는 당시 보울리 근처 크로야드 로드에 주둔하고 있었다 (현재는 철거됨).[1][3][12]

2. 2.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1907년 영토 및 예비군 법에 따라 영토군은 전시 국내 방위를 위한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구성원들은 국외 복무 의무가 없었다. 그러나 1914년 8월 4일 전쟁 발발 당시 많은 구성원이 제국 봉사에 자원했다.[13] 이에 따라 1914년 8월과 9월에 TF 부대는 1차선(해외 복무 가능)과 2차선(해외 복무가 불가능하거나 원치 않는 사람들을 위한 국내 복무) 부대로 나뉘었다. 이후 3차선이 형성되어 1차 및 2차 연대에 훈련된 대체 인력을 제공하는 예비군 역할을 했다.[13]

제1/1 로바트 척후대 요먼리는 1915년 9월 갈리폴리에 상륙했다.[14] 1915년 12월 이집트로 철수했으며, 1916년 9월 퀸스 오운 캐머런 하이랜더 연대 제10(로바트 척후대) 대대로 개편되었다.[14] 1916년 10월 살로니카에 상륙하여 제82연대의 지휘를 받아 제27사단에 배속되었으며, 1918년 6월 프랑스에서 병참 부대가 되었다.[14]

2선 연대들은 1914년에 창설되었으며, 1915년 1월 2/1 하이랜드 기병 여단에 배속되었다.[15] 1916년 3월 31일, 남은 기병 여단들은 단일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라는 명령을 받았고,[16] 이 여단은 제1 기병 여단이 되어 노퍽에서 제1 기병 사단에 합류했다.[15] 1916년 7월, 제1 기병 사단은 제1 사이클리스트 사단으로 재편되었고, 이 연대들은 사이클리스트 부대로 전환되어 로우스토프토프 인근 서머리턴에 주둔한 사단의 제1 사이클리스트 여단에 배속되었다. 1916년 11월, 제1 사이클리스트 사단은 해체되었고, 이 연대들은 병합되어 '''제1 (로바트 스카우트) 요먼리 사이클리스트 연대'''를 형성했으며, 여전히 제1 사이클리스트 여단에 속해 있었다. 1917년 3월, 이들은 고르레스톤에서 '''2/1 로바트 스카우트'''와 '''2/2 로바트 스카우트'''로 다시 정체성을 되찾았다. 1917년 7월까지 이 연대들은 벡클스로 이동했으며, 제1 사이클리스트 여단에 소속된 채 전쟁이 끝날 때까지 그곳에 주둔했다.[15]

3선 부대는 1915년 7월 보울리에서 창설되었으며, 예비 기병 연대에 배속되어 올더숏에 주둔했다. 이들은 1선 및 2선 부대에 병력을 충원했다. 1916년 6월, 퍼스로 이동했다. 이 연대들은 1917년 1월에 해산되었으며, 병력은 2선 부대 또는 퀸스 오운 캐머론 하이랜더 연대의 3(예비)대대(인버고든 주둔)로 전출되었다.

1916년, 연대는 저격수로 알려진 분견대를 편성하여 서부 전선에서 관측 및 저격 임무에 사용했다.[14]

2. 3. 전간기 (1919-1939)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1년 10월 1일부터 국토 방위군의 형태를 검토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은 기병대가 과잉되었음을 분명히 했다.[17] 위원회는 기병대로 유지할 연대는 상위 14개 연대뿐이며, 나머지는 장갑차 또는 포병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두 개의 스코틀랜드 요먼 연대는 '정찰대'로 기병으로 남았는데, 그중 하나가 스코틀랜드 기병대와 로바트 척후대(단일 연대로 축소)였다.[17][18]
left

2. 4.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캐나다 산악인이자 가이드인 윌리엄 블랙로우는 산악 훈련 중에 로바트 척후대를 훈련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캐나다 앨버타에서 로바트 척후대의 스키 훈련


1940년 5월부터 1942년 6월까지 로바트 척후대는 나치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페로 제도의 수비대를 제공했다.[19] 이 시기 연대는 클랜 캐머런의 제26대 족장인 캐머런 경의 지휘를 받았다.[20]

스코틀랜드에 주둔한 후, 1943년 12월에 전문적인 스키 및 산악 훈련을 위해 캐나다로 파견되었다. 이들은 RMS 모리타니아를 타고 11일 동안 항해하여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에 정차한 후 캐나다 태평양 철도를 이용, 5일 후 앨버타 주 재스퍼에 도착했다. 재스퍼 국립공원의 외딴 지역에서 기본적인 스키 훈련을 시작으로, 침낭, 이틀 이상의 식량, 소총 등을 갖춘 크로스컨트리 작업, 매우 추운 환경에서 생존하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 (눈 구멍 파기, 쉼터 세우기 등), 눈과 얼음 위에서의 등반, 얼음 도끼 및 아이젠 사용 훈련과 연습이 이루어졌다.[21]

병사들은 에디스 캐벌 산 근처 또는 통킨 밸리에서 3~4주를 보내며 생존 작업을 연습하고 눈 구멍에서 잠을 잤다. 나머지 시간 동안 25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캔버스 천막에서 생활하며 나무 장작 난로를 사용했다.[21] 훈련 후에는 재스퍼의 샬레에서 휴식과 여가를 즐겼으며, 당시 앨버타는 "금주" 주였기 때문에 술은 없었다.[22] 휴가 기간에는 밴쿠버, 노바스코샤 주 핼리팩스 또는 온타리오 주 윈저로 여행을 떠나 현지인들, 특히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들의 환대를 받았다. 일부는 몬태나의 미국 국경 너머에서 주류를 구하기도 했다.[21][22]

4월 말, 연대는 핼리팩스로 이동하여 훈련을 계속했다. 성홍열 발병으로 출항이 지연되기도 했지만, 개조된 여객선 ''안데스''에 탑승하여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일 대서양을 횡단, 리버풀에 상륙했다. 이후 애버딘 키티브루스터 기차역으로 이동하여 약 3주를 보냈으며, 본국 휴가도 포함되었다.[21]

재스퍼에서의 훈련 결과, 척후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역으로 파견되어 1944년 7월 몬테카시노 함락 이후 나폴리에 도착,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역의 나머지 부분과 1945년 5월 초 독일의 항복에 참여했다.[22]

2. 5. 전후 (1945-현재)

제2차 세계 대전이 유럽에서 끝나자 연대는 브레너 고개를 거쳐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으로 진격하여 나치 당 고위 간부와 SS 대원을 수색했다.[22] 1946년 초, 연대는 그리스 내전 중 그리스 민간 권력을 지원하기 위해 비행기로 그리스 살로니카에 착륙했다.[22][19]

1947년 1월 1일, 육군 예비군 재편성에 따라 연대는 로열 아머드 군단 소속 스코틀랜드 기병대의 '''C (로바트 척후대) 분대'''로 축소되었다.[2][3] 1949년 1월 1일에는 인버네스에 본부를 둔 '''제677 (로바트 척후대) 산악 연대, 왕립 포병대'''로 왕립 포병대에 이전되었다.[3] 다음 해 5월 22일, 한 포대가 '''제850 (로바트 척후대) 산악 포대'''로 독립되었고, 9월 30일에는 연대의 나머지 부대가 팔커크의 제532 경대공 연대 및 인버네스의 제540 경대공 연대와 통합되어 '''제532 (로바트 척후대) 경대공 연대, 왕립 포병대'''가 되었다.[1] 제850 산악 포대는 1954년 4월 5일 해체되어 제532 LAA 연대에 흡수되었고, 그 해 11월 4일 '''제540 (로바트 척후대) LAA 연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56년 10월 31일, 제412 (하이랜드) (혼성) 해안 연대를 흡수했다.[23][24]

1961년 5월 1일, 예비군 재편성으로[3][1] 연대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알네스와 테인에 있는 B 중대와 게 로크에 있는 부대는 제11 시포스 하이랜더스 대대에 흡수되었다.
  • 벤베큘라에 있는 A 중대, 뉴턴모어에 있는 C 중대, 포트 윌리엄에 있는 부대는 제4 퀸스 오운 캐머론 하이랜더스 대대에 흡수되었다.
  • 제540 LAA 연대의 나머지 부대는 제861 (오크니 및 제틀랜드) 독립 LAA 포대를 흡수하여 셰틀랜드의 레르윅에 '''Q (오크니 & 제틀랜드) 포대'''가 되었고, 그 해 10월 4일 연대 명칭에서 'LAA'를 삭제했으며, 1964년 3월 18일부터 '경공중 방어'로 지정되었다.


1967년 국방 예산 삭감 이후 예비군이 영토 및 육군 자원 예비군 (TAVR)으로 축소되면서, 부대는 제3 (영토) 대대인 퀸스 오운 하이랜더스 (시포스 및 캐머론스)의 '''A (로바트 척후대) 중대'''가 되었고, 1969년 3월에는 제2 대대 제51 하이랜드 자원병의 일부가 되었다.[1][3]

1981년에는 제51 하이랜드 자원병의 두 개 다른 중대에 두 개의 분대로, 1995년에는 하이랜더스 (시포스, 고든스 및 캐머론스) 제3 (자원) 대대의 두 개의 분대로 재편성되었다.[3] 2012년부터 2018년 1월 1일까지 '''오크니 독립 생도 포대 (RA) 로바트 척후대'''가 혈통을 유지했고, 이 부대는 '''셰틀랜드 독립 생도 포대 (RA)'''와 통합되어 제1 하이랜더스 대대 육군 생도 군단의 오크니 및 셰틀랜드 포대가 되었으며, 이들은 여전히 머리 장식과 타탄을 착용할 수 있지만 현재는 제1 하이랜더스 ACF 내의 포대이다.[25]

3. 음악

''로바트 척후대''는 제임스 스콧 스키너가 백파이프 어법으로 작곡한 활기찬 스코틀랜드 퀵스텝이자 스트라스페이 곡이다.[26]

4. 기념비

뷰리의 인버네스 타운 광장에는 로바트 척후대 기념비가 있다.[27]

참조

[1] 웹사이트 Clan Fraser of Lovat http://www.clanfrase[...]
[2] 문서 Frederick, pp. 42–3.
[3] 웹사이트 The Lovat Scouts at regiments.org by T.F.Mills http://www.regiments[...] 2005-06-23
[4] 서적 Burke's Peerage, Baronetage & Knightage, 107th edition, 3 volumes Burke's Peerage (Genealogical Books) Ltd 2003
[5] 웹사이트 A military history of Perthshire, 1899-1902 https://archive.org/[...] Perth [Eng.] R.A. & J. Hay 1908-06-06
[6] 서적 Lieutenant-Colonel the Hon. Andrew David Murray https://www.angloboe[...]
[7] 서적 The Story of the Lovat Scouts 1900-1980 The Saint Andrew Press 1981
[8] 문서 Plaster, 2006, p=5
[9] 서적 Out of Nowhere: A History of the Military Sniper Osprey Publishing
[10] 웹사이트 Imperial Yeomanry [UK] http://regiments.org[...] 2005-12-26
[11] 뉴스 The Army in South Africa - troops returning home The Times 1902-08-02
[12] 웹사이트 Beauly, Croyard Road, Drill Hall https://canmore.org.[...] Canmore 2017-12-28
[13] 문서 Rinaldi, 2008, p=35
[14] 웹사이트 Lovat Scouts http://www.longlongt[...] The Long, Long Trail 2017-11-18
[15] 문서 James, 1978, p=24
[16] 문서 James, 1978, p=36
[17] 문서 Mileham, 1994, p=90
[18] 문서 Mileham, 1994, p=107
[19] 웹사이트 Lovat Scouts http://www.qohldrs.c[...] Queen's Own Highlanders 2017-11-18
[20] 뉴스 Colonel Sir Donald Cameron of Lochiel https://www.thetimes[...] 2023-01-11
[21] 문서 Personal testimony of Sergeant Frank Henderson
[22] 웹사이트 Obituary: Sergeant Frank Henderson, soldier and civil servant http://www.scotsman.[...] The Scotsman 2017-11-18
[23] 문서 Frederick, pp. 1011, 1021, 1030–1.
[24] 문서 Litchfield, pp. 285–6, 301, 309–9.
[25] 웹사이트 Regimental History https://sites.google[...] 2017-11-18
[26] 웹사이트 The Lovat Scouts, The Kirrie Kebbuck. http://www.abdn.ac.u[...] 2007-09-15
[27] 웹사이트 Lovat Scouts http://www.iwm.org.u[...] Imperial War Museum 2017-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