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마니아 총대주교 다니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 총대주교 다니엘은 1951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나 신학을 전공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유학했으며, 제네바의 에큐메니컬 연구소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90년 티미쇼아라 대주교의 보좌 주교를 거쳐 몰도바와 부코비나의 대교구장이 되었고, 2007년 루마니아 정교회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학문적 활동과 더불어 에큐메니즘을 지지하며, 세쿠리타테 협력 의혹과 에큐메니즘 관련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 정교회의 총대주교 - 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옥티스트
    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옥티스트는 루마니아 정교회의 수장으로서 1986년부터 2007년까지 재임하며 공산 정권과의 협력 및 연루 의혹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화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말년에 심장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1951년 출생 - 김무성
    김무성은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핵심 인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역임, 한나라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에서 주요 당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치적 활동을 펼친 정치인이다.
  • 1951년 출생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루마니아 총대주교 다니엘
기본 정보
다니엘 총대주교 (2018년)
직함루마니아 총대주교
이름다니엘
출생명단 일리에 초보테아 (Dan Ilie Ciobotea)
출생일1951년 7월 22일
출생지도브레스티, 티미슈 주,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적루마니아
종교동방 정교회
거주지부쿠레슈티
부모알렉시에 초보테아, 스텔라 초보테아
교회 직책
서품1987년 8월 14일
주교 서임1990년 3월 20일
착좌2007년 9월 30일
소속 교회루마니아 정교회
관구부쿠레슈티
이전 직책이아시 대주교 및 몰다비아와 부코비나 대수도원장, 티미쇼아라의 비카 주교
전임자루마니아 총대주교 테오크티스트
학력
출신 대학시비우 신학 정교회 대학, 부쿠레슈티 정교회 신학대학,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개신교 신학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가톨릭 신학부
총대주교 직책 정보
총대주교루마니아 정교회
경칭지복하시다
거주지부쿠레슈티
설립1925년
초대 총대주교미론 크리스테아
공식 웹사이트루마니아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2. 생애

다니엘 치오보테아는 1951년 티미슈 주 도브레슈티에서 태어나 루마니아에서 기초 교육을 마친 후 시비우부쿠레슈티에서 신학을 전공했다. 이후 프랑스독일에서 유학하며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공산정권 시절 해외 유학 경력으로 인해 세쿠리타테 협력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관련 기록의 소실로 확인되지 않았다.

스위스의 에큐메니컬 연구소에서 활동한 뒤 1987년 루마니아 시하스트리아 수도원에서 '다니엘'이라는 이름으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루마니아 총대주교청 고문, 이아시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대학교 신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학문과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1990년 티미쇼아라 대주교의 보좌 주교로 서임되며 본격적인 성직자의 길에 들어섰고, 같은 해 몰도바부코비나의 대교구장으로 선출되었다. 대교구장 재임 중 라디오 트리니타스를 설립하고 국제 학술 행사를 주최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2]

2007년 9월, 루마니아 정교회의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는 지성과 외교력 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지만, 에큐메니즘에 대한 개방적 입장으로 인해 일부 전통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3][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다니엘 치오보테아는 티미슈 주 바라 코뮌의 도브레슈티 마을에서 교사 알렉시에와 스텔라 치오보테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고향 마을에서 초등학교(1958–1962)를 다녔고, 티미슈 주 Lăpușnic 마을에서 중학교(1962–1966)를 졸업했다. 1966년에는 부지아슈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시작했으며,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루고지의 "코리올란 브레디체아누" 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 졸업했다.

학사 시험에 합격한 후, 그는 시비우에 있는 신학 연구소(1970–1974)에 입학하여 신학 학위를 받았으며, 신약 성서를 전공했다.[1]

1974년부터 1976년까지 그는 부쿠레슈티 신학 연구소의 조직 신학부에서 두미트루 스태닐로아에의 지도 아래 박사 과정을 밟았다. 이후 해외 유학을 떠나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개신교 신학부에서 2년,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의 알베르트 루드비히 대학교 가톨릭 신학부에서 2년간 수학했다.

그의 해외 유학 경력은 세쿠리타테(루마니아 공산 정권의 비밀경찰)와의 협력 의혹을 낳기도 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독재 시절에는 세쿠리타테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서는 동구권 외부로 유학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루마니아 국가 기록 연구 위원회(CNSAS)의 미르체아 디네스쿠는 다니엘의 세쿠리타테 관련 파일이 1989년 12월 혁명 당시 소각되어 협력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1979년 6월 15일, 그는 스트라스부르 개신교 신학부에서 Réflexion et vie chrétiennes aujourd'hui. Essai sur le rapport entre la théologie et la spiritualité|오늘날의 기독교적 성찰과 삶. 신학과 영성의 관계에 대한 에세이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 논문은 프랑스의 저명한 교수인 제라르 지그발트와 앙드레 브누아의 지도로 작성되었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그는 박사 논문을 더욱 발전시켜 1980년 10월 31일, 부쿠레슈티 정교 신학 연구소에서 Teologie și spiritualitate creștină. Raportul dintre ele și situația actuală|신학과 기독교 영성. 그들 간의 관계와 현재 상황ro라는 제목으로 성공적으로 방어하여 루마니아에서도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과정은 그의 멘토인 두미트루 스태닐로아에가 지도했다.

2. 2. 수도 생활과 학문 활동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스위스 제네바 인근 보세의 에큐메니컬 연구소에서 활동했으며, 제네바프리부르에서 부교수를 역임했다. 1988년에는 부쿠레슈티 에큐메니컬 연구소에서 기독교 선교 강좌의 강사를 맡았다. 1992년부터 현재까지 이아시의 알렉산드루 이온 쿠자 대학교 '두미트루 스태닐로아이' 정교 신학부에서 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 3. 성직 활동

1987년, 루마니아 시하스트리아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에 입문하여 '다니엘'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의 "수도사 대부"는 저명한 영적 대부인 클레오파 일리에였다.

1988년 9월 1일부터 1990년 3월 1일까지 루마니아 총대주교청에서 총대주교 고문이자 현대 신학 및 에큐메니컬 대화 부서의 국장으로 활동했다.[1]

1990년 초에는 교회 쇄신을 위한 단기 그룹에 참여했으며, 당시에는 2007년 총대주교 선거에서 경쟁자가 된 바르톨로메우 아나니아와 교회 개혁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기도 했다.

1990년 3월, 티미쇼아라 대주교의 보좌 주교로 서임되었고, 3개월 후인 1990년 6월에는 몰도바부코비나의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992년부터는 이아시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대학교 내 두미트루 스타닐로아에 정교 신학부에서 신학 교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영향력 있는 라디오 방송국인 라디오 트리니타스(Radio Trinitas)를 설립했다. 새로운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을 축성할 때 성유를 묻힌 페인트 롤러를 사용한 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2]

2005년 10월 5일부터 8일까지, 그가 이끄는 몰도바 및 부코비나 대교구는 탈공산주의 연구 센터(캐나다 소재, 라비니아 스탄 박사와 루시안 터체스쿠 박사)와 협력하여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85740/http://www.upelsinka.com/English/romania/main.htm 탈공산주의 동유럽의 교회와 국가]"라는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공동 주최했다. (원본 링크는 깨져있어 아카이브 링크로 대체)

루마니아 총대주교 다니엘과 다른 동방 정교회 지도자들이 그리스 크레타 콜림바리에서 열린 정교회 성대한 공의회의 작업을 완료하는 자리에서 그리스 외무부 차관 요안니스 아마나티디스와 함께.


2007년 9월 12일, 루마니아 정교회의 성 시노드 선거에서 클루지의 대교구장 바르톨로메우 아나니아와 코바스나 및 하르기타의 주교 이오안 셀레잔을 제치고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세 차례의 투표에서 모두 선두를 유지했다.

다니엘 총대주교는 뛰어난 지적 능력과 외교술로 높은 평가를 받지만, 일부 전통주의자들로부터는 에큐메니즘(교회 일치 운동)을 지지하고 루마니아 정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통합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에큐메니즘은 일부 전통주의자들에게 "우리 시대의 이단"으로 여겨진다.[3] 다니엘 총대주교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공적인 성명을 통해 부인했다.[4]

'''주요 경력 및 직책'''

연도주요 경력 및 직책
1980–1988스위스 보시 에큐메니컬 연구소 강사 및 부교수, 제네바프리부르 부교수
1988–1990루마니아 총대주교청 총대주교 고문, 현대 신학 및 에큐메니컬 대화 부서 국장
1988부쿠레슈티 에큐메니컬 연구소 기독교 선교 강좌 강사
1990년 3월티미쇼아라 대주교 보좌 주교 서품
1990년 6월이아시 대주교 및 몰도바부코비나의 대교구장 선출
1992년 ~ 현재이아시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대학교 "두미트루 스태닐로아이" 정교 신학부 신학 교수
시점 불명부쿠레슈티 종교 교육을 위한 국가 시노달 위원회 대표
시점 불명루마니아 정교회 성 시노드 신학 및 전례 위원회 회장
시점 불명부쿠레슈티 국가 역사 기념물 위원회 명예 회원
1991–1998세계 교회 협의회 (제네바) 중앙 및 집행 위원회 위원
1990년 ~ 현재유럽 교회 회의 최고 및 중앙 위원회 간부회 위원
1997유럽 교회 회의 제2차 총회 (그라츠) 부회장
2000브뤼셀 국제 종교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시점 불명네그레스티-오아쉬시 명예 시민[5][6]
2022부쿠레슈티시 명예 시민[7]


3. 논란

(내용 없음)

4. 수상 및 영예


  • 1980–1988 – 보시에 있는 제네바의 ''에큐메니컬 연구소'' 및 스위스 제네바프리부르의 ''부교수'' 역임.
  • 1988 – ''총대주교 고문'', ''현대 신학 및 에큐메니컬 대화 부서''의 국장 역임.
  • 1988 – 부쿠레슈티 에큐메니컬 연구소의 ''기독교 선교 강좌'' 강사 역임.
  • 1990년 3월 – ''티미쇼아라 대주교''의 보좌 주교로 선출 및 서품.
  • 1990년 6월 – 이아시 대주교 및 ''몰도바와 부코비나의 대교구장''으로 선출.
  • 1992년 ~ 현재 – 이아시의 ''"알렉산드루 이온 쿠자" 대학교''의 ''"두미트루 스태닐로아이" 정교 신학부'' 신학 교수.
  • 부쿠레슈티 ''종교 교육을 위한 국가 시노달 위원회'' 대표.
  • ''루마니아 정교회의 성 시노드 신학 및 전례 위원회'' 회장.
  • 부쿠레슈티 ''국가 역사 기념물 위원회'' 명예 회원.
  • ''세계 교회 협의회'' (제네바, 1991–1998)의 ''중앙 및 집행 위원회'' 위원.
  • ''유럽 교회 회의 최고 및 중앙 위원회 간부회'' 위원 (1990년 ~ 현재).
  • ''유럽 교회 회의 제2차 총회'' (그라츠, 1997) 부회장.
  • 브뤼셀의 ''국제 종교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2000).
  • 네그레스티-오아쉬시 명예 시민.[5][6]
  • 2022 – 부쿠레슈티시 명예 시민.[7]

참조

[1] 웹사이트 Părintele Cleopa, Patriarhul Daniel şi Securitatea. Cum a urcat Preafericitul Dan Ilie Ciobotea 3 trepte ale vieţii monahale în 10 zile, ajutat de Teoctist http://adevarul.ro/l[...] 2015-11-04
[2] 뉴스 Romania: Church patriarch's paint-roller blessing https://www.bbc.com/[...] 2015-11-04
[3] 뉴스 Romanian Orthodox Christians get new leader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7-09-14
[4] 웹사이트 Patriarhul Daniel nu este mason http://www.gandul.in[...] Gandul.info 2019-01-17
[5] 웹사이트 Cetăţenii de onoare https://web.archive.[...] 2017-12-05
[6] 웹사이트 P.F. Daniel este cetățean de onoare al orașului Negrești-Oaș https://web.archive.[...] 2017-12-05
[7] 웹사이트 Proiect inițiat de Gabriela Firea: Patriarhul Daniel a fost numit Cetățean de Onoare al Capitalei https://www.mediafax[...] Mediafax 2023-04-23
[8]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9]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0]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1]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